KR20020093433A -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433A
KR20020093433A KR1020010032188A KR20010032188A KR20020093433A KR 20020093433 A KR20020093433 A KR 20020093433A KR 1020010032188 A KR1020010032188 A KR 1020010032188A KR 20010032188 A KR20010032188 A KR 20010032188A KR 20020093433 A KR20020093433 A KR 20020093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ircuit board
battery pack
output terminal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난 창
슈엔데 마우
Original Assignee
인벤텍 어플라이언시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텍 어플라이언시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벤텍 어플라이언시스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1003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3433A/ko
Publication of KR2002009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4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팩 회로기판은 배터리 및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은 커넥터 및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전자장치 상의 상응하는 커넥터에 연결된다. 출력단자는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와 출력단자 사이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출력단자 및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Battery pack circuit board with a position-vari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배터리 팩(battery pack) 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치가변형 커넥터(connector)를 가지는 배터리 팩 회로기판 및 상기 커넥터의 위치를 가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전자장치의 크기와 무게는 감소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자장치용 악세사리(accessories)의 설계도 따라서 변화되어야 한다. 배터리 팩을 예로 들면, 다른 전자장치에 커넥터의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는, 보통 다른 전자장치에는 다른 배터리 팩이 필요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은 주로 배터리 셀(battery cell; 11) 및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회로기판(12)을 포함한다. 배터리 셀(11) 및 회로기판(12)은 전선(13)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회로기판(12)은 출력단자(14) 및 커넥터(15)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 출력단자(14) 및 커넥터(15)는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며, 커넥터(15)는 이에 연결될 전자장치 상의 커넥터와 맞아야 한다.
그러나, 때때로 전자장치의 크기나 형상은 변하지만 필연적으로 동일한 회로기판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커넥터를 새로운 위치에 맞추기 위하여는, 동일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이 부적당하게 되고, 재설계되어야 한다. 회로기판의 재설계와 재배선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소매상인(retailers)에 의한 또 다른 정돈(justification)과 검사(verification)를 요하기 때문에, 새로운 전자장치의 개발에 비용과 안정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이상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및 이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커넥터 위치가변방법을 제공하여, 동일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을 다른 전자장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로운 전자장치의 개발시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및 이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커넥터 위치가변방법을 제공하여, 따라서 동일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을 다른 전자장치에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신 모델의 전자장치의 껍데기만이 수정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및 이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커넥터 위치가변방법을 제공하여, 회로기판의 품질관리가 가능하여 그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위치고정형 커넥터를 구비한 통상의 배터리 팩 회로기판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회로기판에서 커넥터의 위치가변방법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배터리 셀12: 배터리 팩 회로기판
13: 전선14: 출력단자
15: 커넥터16, 16': 연결수단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개시된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은 배터리 셀 및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 팩 회로기판은 커넥터 및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전자장치 상의 상응하는 커넥터에 연결된다. 출력단자는 배터리 셀의 전력을 회로기판 상에 출력할 수 있도록 배터리 팩 회로기판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연결수단이 출력단자와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공되어서, 출력단자에 대한 커넥터의 상대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먼저 회로기판상의 커넥터의 위치를 결정하고, 회로기판상의 출력단자 및 커넥터에 대한 적절한 위치에 연결수단을 디자인하고, 마지막으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출력단자 및 커넥터를 연결하는, 상기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커넥터의 위치를 가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방법은 동일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이 다른 전자장치에 사용될 수 있도록 출력단자와 커넥터를 회로기판 상에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사용하며, 따라서 새로운 전자장치를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개시된 방법은 동일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이 다른 전자장치에 사용될 수 있도록 출력단자와 커넥터를 회로기판 상에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사용하며, 따라서 개발비용이 절감된다.
개시된 방법은 회로기판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로기판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여기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회로기판(12)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배터리 셀(11) 및 전자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개시된 배터리 팩 회로기판(12)은 출력단자(14), 커넥터(15) 및 연결수단(16)을 포함한다.회로기판(12)은 전선(13)을 통하여 배터리 셀(11)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되며, 충전회로 및 보호회로를 가진다. 커넥터(15)는 전자장치 상의 상응하는 커넥터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1)로부터의 전류출력을 전자장치로 송출하거나 또는 전자장치를 통하여 배터리 셀(11)을 충전한다.
커넥터(15)의 위치는 전자장치 상의 상응하는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설계된다. 배터리 팩 설계자는 전자장치 상의 상응하는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회로기판(12)에 대한 커넥터(15)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커넥터(15)는 회로기판(12) 상에 고정된다. 연결수단(16)은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수단(16)은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이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연결수단(16)에 대한 필요하고도 균등한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 사이의 연결은 점프 선(jump wire)이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15)는 반드시 회로기판(12) 상에 반드시 않으며, 예를 들면, 배터리 팩의 껍데기(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연결수단 16'은 PCB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15)의 위치가 결정된 후, 필요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PCB가 설계될 수 있다. 그 다음에, PCB는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 전자제품의 커넥터가 그 위치를 바꾸면, 배터리 팩 회로기판상의 상응하는 커넥터도 따라서 바뀌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나,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이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6)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5)의 위치가 변하고, 전자장치는 동일한 회로기판(12)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로기판(12) 상의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는 같은 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다. 연결수단(16)을 통하여,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전자제품의 배터리 팩 회로기판 상의 회로가 같은 한, 동일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이 적용될 수 있다. 새로운 전자장치의 개발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커넥터의 위치를 가변하는 바람직한 방법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방법은 먼저 단계 31에서 전자장치 상의 상응하는 커넥터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 단계 32에서 전자장치 상의 상응하는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회로기판(12) 상의 커넥터(15)의 위치가 설계된다. 단계 33에서, 연결수단(16)의 재질과 크기를 결정하여, 회로기판(12) 상의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의 상대위치에 따라 적절한 연결수단(16)이 설계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34에서, 연결수단(16)을 이용하여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가 연결된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기판(12)에서,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는, 출력단자(14)와 커넥터(15)의 상대위치를 가변할 수있도록, 연결수단(16)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커넥터(15)는 원래 사용된 회로기판(12)을 교체할 필요 없이 전자장치의 위치에 따라 그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전자장치의 개발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12)

  1. 전자장치의 상응하는 커넥터에 연결되는 커넥터;
    배터리 팩 회로기판을 통하여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출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커넥터와 출력단자의 상대위치를 가변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과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점프 선(jump 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5. 배터리 셀 및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전자장치의 상응하는 커넥터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기 위하여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의 위치를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커넥터와 출력단자 사이의 상대위치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연결수단을 통하여 출력단자와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커넥터 위치전환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커넥터 위치전환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점프 선(jump 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커넥터 위치전환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회로기판의 커넥터 위치전환방법.
  9. 전자장치의 상응하는 커넥터에 연결되는 커넥터;
    회로기판에 설치된 출력단자; 및
    커넥터와 출력단자 사이의 상대위치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출력단자와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연결되는 회로기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점프 선(jump 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KR1020010032188A 2001-06-08 2001-06-08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KR20020093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188A KR20020093433A (ko) 2001-06-08 2001-06-08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188A KR20020093433A (ko) 2001-06-08 2001-06-08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433A true KR20020093433A (ko) 2002-12-16

Family

ID=3749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188A KR20020093433A (ko) 2001-06-08 2001-06-08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34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3603B2 (en) 2007-07-25 2012-03-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and case of battery pa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993A (ja) * 1990-11-27 1992-07-10 Ricoh Co Ltd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装置
KR19990002409U (ko) * 1997-06-27 1999-01-25 배순훈 브이씨알용 로터리 트랜스포머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조
JP2001060474A (ja) * 1999-08-23 2001-03-06 Isao Ueda ケーブルコネクタ
KR200231591Y1 (ko) * 2001-02-22 2001-07-19 황규완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EP1168511A2 (en) * 2000-06-22 2002-01-02 Cray Inc. Electrical circuit connector with suppo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993A (ja) * 1990-11-27 1992-07-10 Ricoh Co Ltd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装置
KR19990002409U (ko) * 1997-06-27 1999-01-25 배순훈 브이씨알용 로터리 트랜스포머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조
JP2001060474A (ja) * 1999-08-23 2001-03-06 Isao Ueda ケーブルコネクタ
EP1168511A2 (en) * 2000-06-22 2002-01-02 Cray Inc. Electrical circuit connector with support
KR200231591Y1 (ko) * 2001-02-22 2001-07-19 황규완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3603B2 (en) 2007-07-25 2012-03-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and case of battery 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3484B2 (en) IC device, circuit board and IC assembly
CN213124646U (zh) 电子设备
US5999410A (en) Flexible circuit board configurable for use with different types of battery packs
JP2002158420A (ja) プリント基板の電源線および信号線の接続方法ならびに電気機器
KR20070064447A (ko) 직류 변환기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CN209028159U (zh) 电池接入状态检测电路及连接器
US20020182929A1 (en) Battery pack circuit board with a position-variable connector
KR20020093433A (ko)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JP2002134080A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電子機器
US2004011767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platform load lines
JPH11354089A (ja)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40081B (zh) 用于车辆电气控制器的电源输入结构及车辆电气控制器
US6724639B2 (en) Power supply structure
JP2002324535A (ja) 位置変更が可能なコネクタを有するバッテリ・パック回路板及びそのバッテリ・パック回路板のコネクタの位置変更方法
CN100410672C (zh) 信号输出装置及其操作方法
CN215528631U (zh) 基于soc的无线充电路板及无线充电器
KR101141903B1 (ko) 연결 패턴부를 구비하는 저항구조
CN220492657U (zh) 集成模块
JP2005326201A (ja) 漏電検出装置
JPH11329509A (ja) 充電池判別装置
JPS6222854Y2 (ko)
JPH0819176A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
JPH09107307A (ja) 携帯通信機
CN103066235A (zh) 充电电池和包含其的移动终端
JP2576784B2 (ja) 集積回路チェック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