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457Y1 - 전선및튜브압출용크로스헤드 - Google Patents

전선및튜브압출용크로스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457Y1
KR200231457Y1 KR2019980018255U KR19980018255U KR200231457Y1 KR 200231457 Y1 KR200231457 Y1 KR 200231457Y1 KR 2019980018255 U KR2019980018255 U KR 2019980018255U KR 19980018255 U KR19980018255 U KR 19980018255U KR 200231457 Y1 KR200231457 Y1 KR 200231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rosshead
section
straight
concen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957U (ko
Inventor
김준선
권영일
김길선
양영규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2019980018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45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9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457Y1/ko

Links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및 튜브 압출용 크로스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다이(32)가 결합된 바디(31)에 삽입·착탈되는 캐리어(34)와, 이 캐리어(34)의 바디 삽입부 선단에 삽입·착탈되는 가이더팁(33)을 구비한 크로스헤드의 바디(31)와 캐리어(34), 가이더팁(33)과 캐리어(34)의 상호조립부에 길이가 1㎜∼20㎜인 짧은 직선 가공구간(35)(37)(38)(40)이 각도가 1∼20。인 긴 테이퍼(Taper) 가공구간(36)(37)의 양 끝단에 형성됨으로써, 조립이 되었을 때 테이퍼 부분끼리 밀착되어 용융수지의 누설이 없고, 직선 가공구간이 동심도를 잡아주어 조립공차가 최소화되며,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전선 및 튜브 압출용 크로스헤드
본 고안은 전선 및 튜브 압출용 크로스헤드(Cross Head)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짧은 직선 가공구간과 긴 테이퍼(Taper) 가공구간을 형성하여 조립공차가 최소화되고 조립·분해가 용이하게 되는 전선 및 튜브 압출용 크로스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로스헤드는 바디, 캐리어, 가이더팁 및 다이로 구성되어 조립되는데, 이 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잘 밀착되어 용융수지가 틈새로 스며 나오지 않아야 하며, 각각의 동심도가 일치해야 하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바디(11), 캐리어(14)와 가이더팁(13)을 원통형으로 직선 가공하여 조립하였으므로 가공이 비교적 용이하고 바디(11)와 캐리어(14), 캐리어(14)와 가이더팁(13), 바디(11)와 다이(12) 각각의 동심도를 비교적 잘 맞출수 있었다.
그러나, 동심도를 잘 맞추기 위해서 공차를 작게 가공하면 조립 및 분해가 어려워지므로 각 부품에 무리를 주어 변형이나 마모가 생기고 결국은 동심도가 잘 맞지 않게 되는 반면 공차를 크게 하면 동심도가 맞지 않을 뿐 아니라 틈새로 용융수지가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종래의 또다른 크로스헤드를 보인 것으로, 바디(21)와 캐리어(24) 및 캐리어(24)와 가이더팁(23)의 상호조립부(25)(26)를 원뿔 모양으로 테이퍼 가공하여 조립함으로써 용융수지가 압력을 받아도 틈새로 흘러나올 염려가 없었으며, 테이퍼 가공으로 인하여 분해·조립이 용이하였다.
그러나, 원뿔형상의 테이퍼는 그 가공이 어려워 제작공차가 커지게 되므로 동심도가 잘 맞지 않아 정밀도를 요하는 제품에는 적용이 어렵고, 가공정밀도를 검수하는데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잘 밀착되어 용융수지가 틈새로 스며 나오지 않으며, 각각의 동심도가 잘 맞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크로스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긴 테이퍼 가공구간과 동심도를 맞추기 위한 짧은 직선 가공 구간을 갖는 크로스헤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크로스헤드는 긴 테이퍼 가공 구간과 짧은 직선 가공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모두 용이하고 용융수지의 누설이 없다.
도 1은 종래의 크로스헤드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크로스헤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크로스헤드의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크로스헤드의 분해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바디(Body) 32 : 다이(Die)
33 : 가이더팁(Guider Tip)
34 : 캐리어(Carrier)
35, 37, 38, 40 : 직선 가공구간
36, 37 : 테이퍼(Taper) 가공구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크로스헤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32)가 결합된 바디(31)에 삽입·착탈되는 캐리어(34)와, 이 캐리어(34)의 바디 삽입부 선단에 삽입·착탈되는 가이더팁(33)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31)와 캐리어(34), 가이더팁(33)과 캐리어(34)의 상호조립부에 짧은 직선 가공구간(35)(37) (38)(40)이 긴 테이퍼(Taper) 가공구간(36)(37)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Ø 65㎜ 압출기에서 Ø 5㎜ 튜브를 압출하는 공정에서 크로스헤드의 바디(31)의 외경은 100㎜, 캐리어(34)는 큰 쪽의 직경을 45㎜, 작은 쪽의 직경을 20㎜로 하였으며, 바디(31)와 캐리어(34) 각각의 테이퍼 각도는 10。, 양 끝단의 직선 가공 부분의 길이는 5㎜로 하였다.
가이더팁(33)은 큰 쪽의 직경을 15㎜, 작은 쪽의 직경을 10㎜로 하였으며, 테이퍼 각도를 5。, 직선부분의 길이를 3㎜로 하였다.
다이(32)는 작업중 앞뒤로 이동해야 하므로 테이퍼 가공을 하지 않고 공차를 5/1000으로 설계하여 직선가공을 하였으나, 실제로는 7/1000로 가공되었다.
조립이 완료된 후 공차를 측정한 결과, 동심도의 차이는 작을 때는 0.005㎜, 클 때는 0.012㎜로 양호하였으며, 조립·분해시 직선부분의 경우만 약간의 힘이 필요하고 나머지 부분은 쉽게 조립·분해되었다.
또한, 직선 가공 구간에는 약간의 용융수지가 새어 나오기도 하였으나 그 양은 미비하였으며 테이퍼 가공 구간에서는 용융수지가 전혀 새지 않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테이퍼의 각도를 크게 하면 조립부품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작게 하면 극단적으로는 직선 가공한 것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당한 각도로서 비교적 크기가 큰 부품인 바디(31)와 캐리어(34)의 조립부분은 테이퍼의 각도를 10。로 하였고, 크기가 작은 가이더팁(33)과 캐리어(34)의 조립부분은 테이퍼 각도를 5。로 하였다.
직선 가공 구간은 테이퍼 구간의 양쪽 끝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동심도를 맞추기가 용이하므로 테이퍼 구간의 양쪽에 직선 구간을 두었다. 양쪽의 직선 구간은 같은 길이로 하는 것이 조립·분해시 양 끝단이 함께 조립 및 분해되어 편리하므로 같은 길이로 하였다.
직선 구간의 길이는 짧은 것이 조립·분해가 용이하여 바람직하나 너무 짧으면 동심도를 맞추어주지 못하므로 적당한 길이로서 각도가 20。이하인 테이퍼 구간이 주어질 경우 3㎜ 정도면 1/100 이하로 동심도를 맞출 수 있으므로 약간의 여유를 주어 5㎜로 하였다.
공차에 있어서는 공차가 크면 직선구간을 두는 것이 의미가 없어지고 너무 작게 되면 테이퍼 부분의 가공 공차로 인하여 조립이 안되거나 테이퍼 구간이 밀착되지 않아 테이퍼 구간의 의미가 없어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5/1000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직선 가공 구간이 테이퍼 가공 구간의 양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나, 테이퍼 가공 구간의 한끝단 또는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여러가지로 실험한 결과 직선 가공 구간의 길이는 1㎜∼20㎜가 적당하였고, 테이퍼 가공 구간의 각도는 1∼20。인 것이 적당하였으며, 이들이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크로스헤드는, 긴 테이퍼 가공 구간과 짧은 직선가공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조립이 되었을 때 테이퍼 부분끼리 밀착되어 용융수지가 틈새로 흘러나오지 않으며, 테이퍼 가공 구간의 끝단 또는 중앙에 위치한 직선 가공 구간이 동심도를 잡아주므로 테이퍼 부분의 가공이 잘못되어 동심도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조립자체가 되지 않아 밀착성과 동심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크로스헤드의 분해시에 도4에서와 같이 직선 가공 부분만 빠지면 테이퍼 부분의 특성상 쉽게 분해되고, 또한 조립시에도 긴 직선 가공부분까지는 쉽게 조립되고 마지막에 짧은 직선 가공구간을 조립함으로써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이(32)가 결합된 바디(31)에 삽입·착탈되는 캐리어(34)와, 이 캐리어 (34)의 바디 삽입부 선단에 삽입·착탈되는 가이더팁(33)을 구비한 크로스헤드에 있어서, 상기 바디(31)와 캐리어(34), 가이더팁(33)과 캐리어(34)의 상호조립부에 길이가 1㎜∼20㎜인 짧은 직선가공구간(35)(37)(38)(40)이 각도가 1∼20°인 긴 테이퍼(Taper) 가공구간(36)(39)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KR2019980018255U 1998-09-24 1998-09-24 전선및튜브압출용크로스헤드 KR200231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255U KR200231457Y1 (ko) 1998-09-24 1998-09-24 전선및튜브압출용크로스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255U KR200231457Y1 (ko) 1998-09-24 1998-09-24 전선및튜브압출용크로스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957U KR20000006957U (ko) 2000-04-25
KR200231457Y1 true KR200231457Y1 (ko) 2001-10-25

Family

ID=6951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255U KR200231457Y1 (ko) 1998-09-24 1998-09-24 전선및튜브압출용크로스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4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957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168B1 (ko) 이중벽구조의 튜브조립체 및 그 계속적 제조방법
US6832909B2 (en) Injection nozzle for plastic injection moulding equipment
US20090017155A1 (en)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EP1482604A2 (de) Schleifring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200231457Y1 (ko) 전선및튜브압출용크로스헤드
US6832857B2 (en) Plastic optical fiber ferrule
JP3540216B2 (ja) フェルールとその成形方法
EP1027980A4 (en) POLYTETRAFLUOROETHYLENE TUBE AND EXTRUDER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2658628A (zh) 注射模制喷嘴
JP2006327005A (ja) 成形用金型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8111477A (ja) シールリング
US5004037A (en) Long span sprue tube for investment casting
JP2006181889A (ja) 金型装置
JPS6222780B2 (ko)
CN220297835U (zh) 喷头结构及三维打印机
JP2002018926A (ja) 線材の押出被覆装置及び押出被覆方法
JP2002350685A (ja) 光コネクタフェルールの製造方法
EP1258333B1 (de) Einspritzdüse zur Führung von Schmelzemasse in einer Kunststoffspritzgiessform od. dgl.
WO2021039804A1 (ja) 流路構造
JPH0523935Y2 (ko)
KR100703864B1 (ko) 압출 다이스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관체
JP2866240B2 (ja) 中空射出成形用加圧流体圧入装置
JPS6158707A (ja) マルチプランジヤ型レジンモ−ルド装置のプランジヤ
JP2005212164A (ja) 押出成形用ダイとこれを用いた押出成形方法
JP2004025753A (ja) セラミック成型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