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844Y1 - 밀폐형압축기의오일윤활구조 - Google Patents

밀폐형압축기의오일윤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844Y1
KR200230844Y1 KR2019980005257U KR19980005257U KR200230844Y1 KR 200230844 Y1 KR200230844 Y1 KR 200230844Y1 KR 2019980005257 U KR2019980005257 U KR 2019980005257U KR 19980005257 U KR19980005257 U KR 19980005257U KR 200230844 Y1 KR200230844 Y1 KR 200230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ain frame
bank
sealed container
fl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139U (ko
Inventor
윤용태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riority to KR2019980005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8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1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1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844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 뱅크부에 고여지는 오일을 신속하게 밀폐 용기 저부로 유동시킴과 동시에 오일 뱅크로부터 낙하되는 오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여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관한 것으로,
밀폐 용기 저부에 수용된 오일이 크랭크 샤프트를 타고 올라간 후, 베어링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 내려 메인 프레임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오일 뱅크에 고여진 후, 상기 밀폐 용기 저부로 귀환되도록 형성된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일 뱅크에는 상기 오일이 통과할 수 있는 오일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오일 유동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오일이 타고 흘러 내려 상기 밀폐 용기 저부로 귀환되도록 오일 안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STRUCTURE FOR LUBRICATING OIL OF CLOSED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 뱅크부에 고여지는 오일을 신속하게 밀폐 용기 저부로 유동시킴과 동시에 오일 뱅크로부터 낙하되는 오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현저하게 줄여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 용기(1),(2)의 내부에 고정자(3)와 회전자(4)로 이루어지는 전동기구부(5)와, 크랭크 샤프트(6)의 회전 동작에 의해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후 토출시키는 압축기구부(7)로 구성된다.
압축기구부(7)는, 메인 프레임(8)에 일체로 형성되어 냉매의 흡입 공간을 이루는 실린더(9)를 구비한 실린더 블록(10)과, 크랭크 샤프트(6)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실린더(9)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11)과, 상기 실린더(9)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12)와, 밸브 장치(13)로 구성된다.
회전자(4)의 중앙에는 크랭크 샤프트(6)가 압입되어, 베어링(1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랭크 샤프트(6)의 외주면에는 오일 공급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크랭크 샤프트(6)의 편심축부(6a)의 하부에는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픽업 튜브(16)가 설치되어 오일 공급공(17) 및 오일 공급홈(15)을 통해 베어링(14)에 윤활용 오일을 공급하게 된다.
메인 프레임(8)의 상부면에는, 크랭크 샤프트(6)에 형성된 오일 공급홈(15) 및 베어링(14)의 단부에 형성된 오일 안내홈(14a)을 통해 베어링(14)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오일 뱅크(9a)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일 뱅크(9a)에 저장된 오일은 실린더 블록(10)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려, 실린더 블록을 냉각시킨 후, 밀폐 용기(1,2)의 저부로 복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따르면, 베어링(14)의 외벽을 타로 흘러내린 오일은 메인 프레임(8)에 형성된 오일 뱅크(8a)에 고여진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넘쳐 흘러 메인 프레임의 사방 및 실린더 블록(10)의 외벽을 타고 흘러 내려 밀폐 용기(1,2)의 저부로 복귀되기 때문에, 오일이 오일 뱅크에 고여져 넘쳐 흐르는 시간이 오래 걸려 오일 윤활이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일이 오일 뱅크에 고여지는 양만큼 밀폐 용기 저부에 수용된 오일이 줄어들게 되어 압축기 각 부분의 냉동에 필요한 오일이 감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밀폐 용기 저부에 수용된 오일의 유면으로부터 메임 프레임이 소정 높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 뱅크에 고여진 오일이 넘쳐 흐를 때, 낙하 높이로 인해 일정한 주기로 소음이 발생되며, 낙하되는 오일이 유면에 도달할 때 발생되는 소음의 레벨도 높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 뱅크에 고여지는 오일을 신속하게 밀폐 용기 저부로 유동시킴과 동시에 오일 뱅크로부터 낙하되는 오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여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윤활구조에 따른 메임 프레임의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 : 오일 1,2 : 밀폐 용기
6 : 크랭크 샤프트 8 : 메인 프레임
9a : 오일 뱅크 9b : 오일 유동공
14 : 베어링 20 : 오일 안내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밀폐 용기 저부에 수용된 오일이 크랭크 샤프트를 타고 올라간 후, 베어링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 내려 메인 프레임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오일 뱅크에 고여진 후, 상기 밀폐 용기 저부로 귀환되도록 형성된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일 뱅크에는 상기 오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을 관통하는 오일 유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부에는 상기 오일 유동공을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상기 밀폐 용기 저부로 귀환되도록 상기 오일 유동공의 하부에서 밀폐용기의 저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오일 안내판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밀폐 용기(1,2) 저부에 수용된 오일(0)이 크랭크 샤프트(6)를 타고 올라간 후, 베어링(14)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 내려 메인 프레임(8)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오일 뱅크(9a)에 고여진 후, 밀폐 용기(1,2) 저부로 귀환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있어서, 이 오일 뱅크(9a)에는 오일(0)이 통과할 수 있는 오일 유동공(9b)이 관통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8)의 하부에는 오일 유동공(9b)을 통해 배출되는 오일이 타고 흘러 내려 밀폐 용기(1,2) 저부로 귀환되도록 오일 안내판(20)가 형성된다.
오일 뱅크(9a)를 관통하는 오일 유동공(9b)은, 실린더 블록(10)을 제외한 메인 프레임(8)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 뱅크(9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안내판(20)는, 오일 유동공(9b)의 하측에서 메인 프레임(8)의 하부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끝단부가 밀폐 용기(1,2) 저부에 수용된 오일(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오일 안내판(20)의 다른 설치예로,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인 프레임(8)의 하부면에 설치되되, 일측단부가 오일 유동공(9b)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측단부가 밀폐 용기(1,2) 저부에 수용된 오일(0)의 유면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오일 안내판(20)를 메인 프레임(8)의 측부면에 설치하는 것은 볼트(21) 등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거나, 용접등의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따른 오일이 유동되는 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랭크 샤프트(6)의 회전에 의해 편심축부(6a)의 하부에 결합된 오일 픽업 튜브(16)를 통해 오일이 흡입되어 오일 공급공(17)을 따라 흡상된 후, 오일 공급홈(15)을 따라 유동하며 베어링부에 윤활 작용을 한 후, 베어링(14)의 단부에 형성된 오일 안내홈(14a)까지 상승한다.
오일 안내홈(14a)까지 상승된 오일은 고정자(4)와 베어링(14)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강하여 메인 프레임(8)에 형성된 오일 뱅크(9a)에 도달된다. 이 오일 뱅크(9a)에 도달된 오일은 오일 뱅크(9a)에 관통 형성된 오일 유동공(9b)을 통해 메인 프레임(8)의 하부로 유동된다. 메인 프레임(8)의 하부로 유동된 오일은 메임프레임(8)의 하부에 설치된 오일 안내판(20)의 면을 타고 흘러 내려 밀폐 용기(1,2) 저부에 수용된 오일(0)에 도달된다.
따라서, 베어링의 외벽을 타고 흘러 내린 오일이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오일 뱅크에 고여지는 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고, 오일 안내판을 타고 흘러 내려 밀폐 용기의 저부에 수용된 오일과 합쳐질 때,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 뱅크부에 고여지는 오일을 신속하게 밀폐 용기 저부로 유동시킴과 동시에 오일 뱅크로부터 낙하되는 오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여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1)

  1. 밀폐 용기 저부에 수용된 오일이 크랭크 샤프트를 타고 올라간 후, 베어링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 내려 메인 프레임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오일 뱅크에 고여진 후, 상기 밀폐 용기 저부로 귀환되도록 형성된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일 뱅크에는 상기 오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을 관통하는 오일 유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부에는 상기 오일 유동공을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상기 밀폐 용기 저부로 귀환되도록 상기 오일 유동공의 하부에서 밀폐용기의 저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오일 안내판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윤활구조.
KR2019980005257U 1998-04-06 1998-04-06 밀폐형압축기의오일윤활구조 KR200230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257U KR200230844Y1 (ko) 1998-04-06 1998-04-06 밀폐형압축기의오일윤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257U KR200230844Y1 (ko) 1998-04-06 1998-04-06 밀폐형압축기의오일윤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139U KR19990039139U (ko) 1999-11-05
KR200230844Y1 true KR200230844Y1 (ko) 2002-02-19

Family

ID=6951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257U KR200230844Y1 (ko) 1998-04-06 1998-04-06 밀폐형압축기의오일윤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8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139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27969A (ja) 密閉型圧縮機
JPH06229387A (ja) 横型密閉回転式圧縮機の潤滑装置
KR200230844Y1 (ko) 밀폐형압축기의오일윤활구조
KR100434916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350802B1 (ko) 밀폐형 압축기
JP4416701B2 (ja) 密閉形圧縮機
KR100292512B1 (ko) 리니어압축기의오일공급구조
KR200158625Y1 (ko) 선형 압축기
JP2003293953A (ja) レシプロ式密閉型電動圧縮機
KR0125143Y1 (ko) 밀폐형압축기의 프레임구조
JP2009510298A (ja) 圧縮機
KR100292505B1 (ko) 리니어압축기
KR10039595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JPH0826864B2 (ja) 密閉型回転式圧縮機
KR19980058625U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0163923Y1 (ko)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윤활장치
KR10023404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급유구조
CN101287909A (zh) 密封式压缩机
KR100275876B1 (ko) 전동 압축기의 오일 공급구조
KR970005777Y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오물수거장치
KR87000208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 차단장치
KR940000194Y1 (ko) 횡형 회전식 압축기의 급유장치
KR101235190B1 (ko) 밀폐형 압축기
JPS6040790A (ja) 冷媒圧縮機
KR19990074572A (ko)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