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252Y1 -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252Y1
KR200229252Y1 KR2019990012223U KR19990012223U KR200229252Y1 KR 200229252 Y1 KR200229252 Y1 KR 200229252Y1 KR 2019990012223 U KR2019990012223 U KR 2019990012223U KR 19990012223 U KR19990012223 U KR 19990012223U KR 200229252 Y1 KR200229252 Y1 KR 200229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eat
package panel
recessed surfa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729U (ko
Inventor
이계정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90012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252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252Y1/ko

Links

Abstract

이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어 시트중 백 시트를 거취시키는 브라켓트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크기를 줄이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또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리어 시트의 거취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차실의 후방에 상방이 움푹 패여 요부면(4)이 구비된 리어 패키지 판넬(2)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키지 판넬(2)의 요부면(4) 외측으로는 브라켓트(22)가 위치되어 리어 시트중 백 시트(30)를 와이어(32)로 고정하는 리어 시트 거취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패키지 판넬(2)의 요부면(4)에는 릴 베이스(8) 상에 시트 벨트(16)가 권취되어 있는 리트랙터(6)가 고정되고, 상기 릴 베이스(8)의 선단에는 백 시트(30)측의 외이어(32)가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장공(24)이 형성된 브라켓트(22)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rear seat fixing structure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리어 시트중 백 시트를 거취시키는 브라켓트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크기를 줄이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또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리어 시트의 거취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리어 시트(rear seat)는 차실내의 플로어 판넬(floor panel) 및 차실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 패키지 판넬(rear package panel)에 거취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 시트의 백 시트(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키지 판넬(2)에 거취된다. 즉, 리어 패키지 판넬(2)에는 일정 공간 움푹 패인 요부면(4, 凹部面)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면(4)의 외측면에는 다수회 절곡되어 대략 활 모양을 하는 브라켓트(22')가 다수의 볼트(28')에 의해 양단이 상기 리어 패키지 판넬(2)의 전면 및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22')에는 일정크기의 장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24')을 통하여 백 시트(30)측의 와이어(32)가 통과되어 상기 리어 패키지 판넬(2)의 요부면(4)을 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요부면(4)에는 서스 타워(34, sus tower)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스 타워(34)에는 상기 브라켓트(22')의 장공(24')을 통과하는 백 시트(30)측의 와이어(3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 시트의 백 시트(30)는 그것에 연결된 와이어(32)가 상기 브라켓트(22')의 장공(24')을 통하여 서스 타워(34)에 결합됨으로써 결국, 리어 패키지 판넬에 백 시트가 거취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는 통상 백 시트를 리어 패키지 판넬에 고정시키는 브라켓트의 크기가 대형이고, 중량이 무거운 단점이 있으며, 또한 그 브라켓트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수가 많아서 제조 경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리어 시트중 백 시트를 리어 패키지 판넬에 거취시키는 브라켓트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크기를 줄이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또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리트랙터의 릴 베이스와 브라켓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2; 리어 패키지 판넬(rear package panel) 4; 요부면
6; 리트랙터(retractor) 8; 릴 베이스(reel base)
12; 돌기부 14,26; 통공
16; 시트 벨트(seat belt) 18; 커버(cover)
22; 브라켓(bracket) 20, 24; 장공
28; 리벳(rivet) 30; 백 시트(back seat)
32; 와이어(wi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에 의하면, 차실의 후방에 상방이 움푹 패여 요부면이 구비된 리어 패키지 판넬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키지 판넬의 요부면 외측으로는 브라켓트가 위치되어 리어 시트중 백 시트를 와이어로 고정하는 리어 시트 거취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패키지 판넬의 요부면에는 릴 베이스 상에 시트 벨트가 권취되어 있는 리트랙터가 고정되고, 상기 릴 베이스의 선단에는 백 시트측의 외이어가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장공이 형성된 브라켓트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는, 리어 패키지 판넬의 요부면에 리트랙터를 위치시키고, 그 리트랙터의 릴 베이스에 브라켓트를 취부하며, 백 시트의 와이어가 상기 브라켓트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트의 크기를 종래에 비하여 소형으로 구비하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또한 그 브라켓트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수를 줄여 제조 경비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의 후방에는 상방이 움푹 패여 요부면(4)이 구비된 리어 패키지 판넬(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 패키지 판넬(2)의 요부면(4)에는 한쌍의 릴 베이스(8)가 구비되고, 그 릴 베이스(8) 사이에는 시트 벨트(16)가 권취되어 있는 리트랙터(6)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트랙터(6)의 릴 베이스(8) 상부면에는 시트 벨트(16)가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장공(20)이 구비된 커버(18)의 일단이 리어 패키지 판넬(2)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릴 베이스(8)의 선단에는 대략 '??'자형으로 절곡된 브라켓트(22)가 고정되어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릴 베이스(8) 선단에는 바깥쪽으로 절곡된 채 통공(14)이 구비된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브라켓트(22)에도 역시 통공(26)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트(22)의 통공(26)과 릴 베이스(8)의 통공(14)에는 리벳(28)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브라켓트(22)가 릴 베이스(8)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22)의 일측에는 장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24)을 통과하여 백 시트(30)쪽의 와이어(32)가 관통됨으로써 백 시트(30)가 리어 패키지 판넬(2)에 거취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리어 패키지 판넬의 요부면에 리트랙터를 위치시키고, 그 리트랙터의 릴 베이스에 브라켓트를 취부하며, 백 시트의 와이어가 상기 브라켓트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트의 크기를 종래에 비하여 소형으로 구비하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또한 그 브라켓트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수를 줄여 제조 경비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예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리어 시트의 거취 구조에 의하면, 브라켓트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크기를 줄이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또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실의 후방에 상방이 움푹 패여 요부면(4)이 구비된 리어 패키지 판넬(2)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키지 판넬(2)의 요부면(4) 외측으로는 브라켓트(22)가 위치되어 리어 시트중 백 시트(30)를 와이어(32)로 고정하는 리어 시트 거취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패키지 판넬(2)의 요부면(4)에는 릴 베이스(8) 상에 시트 벨트(16)가 권취되어 있는 리트랙터(6)가 고정되고, 상기 릴 베이스(8)의 선단에는 백 시트(30)측의 외이어(32)가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장공(24)이 형성된 브라켓트(22)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거취 구조.
KR2019990012223U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 KR200229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23U KR200229252Y1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23U KR200229252Y1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29U KR20010001729U (ko) 2001-01-26
KR200229252Y1 true KR200229252Y1 (ko) 2001-07-19

Family

ID=5476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223U KR200229252Y1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2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527B1 (ko) 2012-04-30 2013-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527B1 (ko) 2012-04-30 2013-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29U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3787A1 (en) Seat
KR200229252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거취 구조
US6840641B2 (en) Carrier plate for mirror assembly
JP2010023826A (ja) エアーバッグモジュール
JP2008143359A (ja) 自動車用内装構造
JP3755702B2 (ja) 自動車のテールエンドメンバートリム構造
JP2002225601A (ja) 車両のチャイルドシート支持構造
JPS58224832A (ja) 車両用ダツシユハ−ネス等の取付構造
JP3758518B2 (ja) コネクタ固定構造
KR0115823Y1 (ko) 자동차용 오디오 결합장치
JPH05124477A (ja) バンパ構造
KR0112912Y1 (ko) 차량의 전방램프고정용 가니쉬
JP2003209916A (ja) 継電装置
JP3228407B2 (ja) 自動車のリアパーセル取付構造
KR100207191B1 (ko) 다용도 클립구조
KR100869731B1 (ko)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JP2004204869A (ja) クリップ部材
KR200245208Y1 (ko) 자동차용리어패키지트레이컴플리트패널구조
JP5817493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JP2002120600A (ja) ハーネスの固定構造
JP5656510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け構造
KR100828837B1 (ko)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KR200247147Y1 (ko) 영업용 승용차(택시) 후미 광고기구
KR20030024975A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JPH08301051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