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896Y1 - 파일 홀더 - Google Patents
파일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8896Y1 KR200228896Y1 KR2020010000756U KR20010000756U KR200228896Y1 KR 200228896 Y1 KR200228896 Y1 KR 200228896Y1 KR 2020010000756 U KR2020010000756 U KR 2020010000756U KR 20010000756 U KR20010000756 U KR 20010000756U KR 200228896 Y1 KR200228896 Y1 KR 2002288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 cover
- fixing member
- fixing
- file holder
- pai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에 복수개의 천공된 구멍을 가지는 종이 또는 비닐 시이트를 다수매 적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서 생산성의 향상 및 사용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파일 홀더에 관한 것으로써, 앞표지 및 뒷표지와, 용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앞뒷표지를 서로 연결하는 등표지로 이루어진 파일 홀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등표지의 내측에 쌍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부; 및 상기 용지를 끼워 고정시키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의 쌍에 상보적으로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돌기를 가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파일 홀더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복수개의 천공된 구멍을 가지는 종이 또는 비닐 시이트를 다수매 적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서 생산성의 향상 및 사용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파일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앞표지 및 뒷표지와, 이들 앞뒷표지를 서로 연결하는 등표지와, 이들 표지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어, 이 고정부에 각종 서류 및 소책자 등을 철할 수 있는 파일 홀더는 용도에 따라서 서류정리용, 명함정리용, 사진정리용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크기도 A3용, A4용 등으로 다양하게 세분되어 있다.
이러한 파일 홀더로서는, 철하기 위한 용지 등에 직접 구멍을 천공하여 보관하는 방식과, 투명한 비닐소재로 만들어진 간지 내에 서류 등을 끼워 보관하는 방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어떠한 방식을 이용하건 간에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용지 또는 간지를 증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방식의 경우에는, 합성수지나 두꺼운 종이로 만들어진 딱딱한 표지의 내측에 금속소재의 고정구조물이 부착되며, 이 고정구조물에 서류 등을 철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파일 홀더는 무게가 많이 나가며, 고정구조물을 열고 닫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사용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된 제2 방식을 이용한 파일 홀더의 일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일 홀더(100)는, 앞표지(101) 및뒷표지(102)와, 이들 앞뒷표지(101, 102)를 서로 연결하는 등표지(103)와, 이들 표지(101, 102, 103)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10)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 홀더(100)의 고정부(110)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중합체에 의해, 간지(109)가 끼워지는 원통형 결합돌기(114)가 일측에 형성되는 동시에 타측에 결합구멍(115)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만들어진다. 또한, 한 쌍의 평행한 절곡홈(116)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고정부(110)를 등표지(103)에 접착, 융착, 리벳접합 등에 의해 부착시킴으로서 파일 홀더(100)가 이루어진다.
제2 방식의 경우에는, 제1 방식의 파일 홀더에 비하여 가볍고 구조가 간단하긴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홀더(100)를 펼쳤을 때 간지(109)가 완전히 펼쳐지지 않기 때문에, 철해진 문서 내용을 보기가 어렵고 표면에 글씨를 쓸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용지를 파일 홀더(100)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등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지를 철하여 보관하는 파일 홀더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용지를 철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파일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파일 홀더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파일 홀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일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파일 홀더의 외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파일 홀더의 주요부 작동 상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일 홀더 11 : 앞표지
12 : 뒷표지 13 : 등표지
14 : 지지부 15 : 명찰부재
20,30,40,50,60,70 : 고정부 21,22,31,41,51,61 : 끼움홈부
23,24,33,43,53,63 : 고정부재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앞표지 및 뒷표지와, 용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앞뒷표지를 서로 연결하는 등표지로 이루어진 파일 홀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등표지의 내측에 쌍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부; 및 상기 용지를 끼워 고정시키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의 쌍에 상보적으로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돌기를 가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홀더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한 쌍의 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에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된 돌기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뒷표지는 각각 별개로 제작된 후 등표지에 부착되며, 상기 등표지의 앞표지가 부착되는 쪽에는 상기 파일 홀더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앞표지에는 상기 지지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일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폴더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일 폴더(10)는, 앞표지(11) 및 뒷표지(12)와, 상기 앞뒷표지(11, 12)를 서로 연결하는 동시에 용지를 고정시키는고정부(20)를 구비한 등표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20)는, 등표지(13)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끼움홈부(21, 22)와, 이 끼움홈부(21, 22)에 끼워지는 고정부재(23, 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앞뒷표지(11, 12)는 얇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별개로 만들어진 후 등표지(13)에 접착, 융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등표지(13)는 역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될 끼움홈부(21, 22)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사출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등표지(13)의 앞표지(11)가 부착되는 쪽의 중앙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반원형의 지지부(14)가 형성되며, 앞표지(11)에는 그에 상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4)는 파일 홀더(10)의 강성을 증가시켜, 본 고안에 따른 파일 홀더(10)가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14)는 앞표지(11) 쪽 중간에 반원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었지만, 그 위치나 형상이 이것만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끼움홈부(21, 22)는 쌍을 이루고 있으며, 등표지(13)의 내측에는 이러한 끼움홈부(21, 22)의 쌍이 복수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끼움홈부(21, 22)는 세 쌍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고정부재(23)는, 대략 U자형으로 구부러진 몸체(23a)와, 이 몸체(23a)의 끝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돌기(23b, 23c)를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고정부재(23)는 상기 끼움홈부(21)에 돌기(23b, 23c)가 각각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도 3에서 볼 때 좌측의 돌기(23b)와 우측의 돌기(23c)는 그 형상에 있어서 동일하지만, 좌측돌기(23b)는 몸체(23a)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3)는 이 좌측돌기(23b)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운데에 위치된 끼움홈부(22) 및 고정부재(24)의 두께가 양쪽 끝에 위치된 것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힘을 덜 받는 가운데의 고정부재(24)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재료비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표지(13)의 외측에는 철해진 서류 등의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기다란 장방형의 종이를 끼워 넣을 수 있는 명찰부재(15)가 부착됨으로써, 정리 및 보관시 파일 홀더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명찰부재(15) 대신에 스티커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등표지(13)의 외부 표면에는 명찰부재(15) 입구부근에 반원형의 함몰부(16)가 형성될 수 있어, 명찰부재(15) 내에 수용된 종이 등을 빼내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제조된 파일 홀더(10)에 용지(1)를 철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3)를 좌측돌기(23b)를 중심으로 선회시킨 다음, 끼움홈부(21)와의 끼워맞춤이 해제된 우측돌기(23c)를 통하여 용지(1)를 빼내거나 끼워 넣는다. 그 후, 상기 고정부재(23)를 우측으로 선회시켜 우측돌기(23c)와 끼움홈부(21)를 결합시킴으로써 용지(1)를 철하는 작업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부(21)의 입구 치수가 돌기(23b, 23c)의 치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도록 끼움홈부(21)의 내주면 모서리를 약간 돌출시킨 돌출부(21a)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23)와의 끼워맞춤을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23)가 끼움홈부(21) 내로 삽입될 때, 돌기와 돌출부는 탄성변형되어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내지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 즉 고정부재와 끼움홈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들을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끼움홈부(31)와 고정부재(33)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실시예의 끼움홈부(31)는 제1 실시예의 끼움홈부에 비하여 기다랗게 성형되며, 측벽의 중앙에 오목부(35)가 형성된다. 오목부(35)가 형성되지 않은 양쪽 끝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33)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돌출부(31a)가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돌기(33b) 역시 제1 실시예의 돌기에 비하여 기다랗게 성형되며, 그 길이는 상기 끼움홈부(31)에 상응한다. 또한, 고정부재(33)의 몸체(33a)는 끼움홈부(31)의 오목부(35)에 상응하는 치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고정부에 의하면 끼움홈부(31)에 형성된 오목부(35) 내로 고정부재(33)의 몸체(33a)가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파일 홀더에 용지를 철하기 위해서 고정부재(33)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3)의 좌측돌기(33b)를 중심으로 선회되었을 때, 제1 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큰 각도만큼선회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끼움홈부(41)와 고정부재(43)로 이루어진 고정부(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끼움홈부(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고정부재(43)의 돌기(43b)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홈(41a)이 형성되고, 대략 반원형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성형된다. 또한, 고정부재(43)의 몸체(43a)와 돌기(43b) 사이에는 상기 끼움부재(46)의 두께만큼의 홈이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어, 돌기(43b)와 원형홈(46a)이 결합된 후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도 8에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끼움홈부(51)와 고정부재(53)로 이루어진 고정부(5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끼움홈부(51)는 상면에 凸자형상의 개구부(51a)가 형성된 중공(中空)의 육면체이다. 이러한 끼움홈부(51)에 상기 고정부재(53)를 삽입할 때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53a)를 손으로 파지하여 양쪽 돌기(53b)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시킨 상태로 상기 끼움홈부의 개구부(51a)에 끼워 넣는다. 그 다음 손을 놓아 가압력을 해제하면, 고정부재의 몸체(53a)가 탄성 복원되면서 개구부(51a)와 확실하게 끼워맞춤된다. 즉, 고정부재의 돌기(53b)는 끼움홈부(51)의 개구되지 않고 남아있는 상면의 아래쪽으로 밀려들어감으로써 끼워맞춰진다.
도 9에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끼움홈부(61)와 고정부재(63)로 이루어진 고정부(6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끼움홈부(61)는 상면이 개구된 중공의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상면의 내주면 테두리에는 돌출부(61a)가 형성된다. 또한, 구형상을 가지는 고정부재(63)의 돌기(63b)는, 돌출부(61a)와 함께 돌기(63b)가 끼움홈부(61) 내로 삽입될 때 탄성 변형되며 고정부재(63)를 끼움홈부(61) 내에 확실하게 결합시켜 유지시킨다.
도 10에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7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70)는, 단면이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걸림발톱(71)과, 상기 걸림발톱(71)에 걸리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구멍(73a)이 형성된 고정부재(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파일 홀더의 등표지(13)에 걸림발톱(71)이 형성되고 고정부재(73)에 걸림구멍(73a)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파일 홀더의 등표지(13)에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고정부재(73)에 걸림발톱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일 홀더에 따르면, 앞표지(11), 뒷표지(12) 및 등표지(13)를 별개로 제조한 후 함께 부착시킨 후 고정부재를 끼움홈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파일 홀더(10)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공정수가 감소되어 제작에 드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금속재료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표지(11, 12, 13)가 별개로 만들어짐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중 파일 홀더에 용지를 추가시키거나 빼낼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고정부재와 끼움홈부를 서로 착탈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용지를 증감시킬 수 있으며, 파일 홀더를 펼쳤을 때 용지가 파일 홀더의 고정부 부근에서 굴곡이 생기지 않도록 완전하게 펼쳐지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완벽하게 부응할 수 있는 파일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3)
- 앞표지 및 뒷표지와, 용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앞뒷표지를 서로 연결하는 등표지로 이루어진 파일 홀더에 있어서,상기 고정부는,상기 등표지의 내측에 쌍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부; 및상기 용지를 끼워 고정시키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의 쌍에 상보적으로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돌기를 가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한 쌍의 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에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된 돌기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뒷표지는 각각 별개로 제작된 후 등표지에 부착되며, 상기 등표지의 앞표지가 부착되는 쪽에는 상기 파일 홀더의 강성을 증가시키기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앞표지에는 상기 지지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0756U KR200228896Y1 (ko) | 2001-01-11 | 2001-01-11 | 파일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0756U KR200228896Y1 (ko) | 2001-01-11 | 2001-01-11 | 파일 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8896Y1 true KR200228896Y1 (ko) | 2001-07-19 |
Family
ID=7306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0756U KR200228896Y1 (ko) | 2001-01-11 | 2001-01-11 | 파일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8896Y1 (ko) |
-
2001
- 2001-01-11 KR KR2020010000756U patent/KR2002288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01393A (en) | Spring biased clip and method of making | |
US7823927B2 (en) | Media binder systems with datum stops for registering physical media sheets | |
JPH07149090A (ja) | ノートバインダ | |
EP2094507B1 (en) | Binder | |
US6079614A (en) | File holder | |
JP2006347157A (ja) | 事務用クリップ | |
KR200228896Y1 (ko) | 파일 홀더 | |
US20070158936A1 (en) | Book tag | |
JP2014504568A (ja) | 紙束綴じ具 | |
KR102204914B1 (ko) | 클립끼움형 바인더 | |
JP4813243B2 (ja) | 書類用ホルダ | |
JP2001018573A (ja) | リングバインダ装置 | |
KR200493812Y1 (ko) | 탄성클립유닛을 구비한 서류보관파일 | |
JPH0630467Y2 (ja) | スライドファイル | |
JP3127845U (ja) | クリップ | |
JP7168830B2 (ja) | 用紙の着脱が容易な手帳やノート、バインダー等 | |
CN109397918B (zh) | 部件的固定构造 | |
KR200350478Y1 (ko) | 표찰 수용 플레이트 | |
JPH10217664A (ja) | インデクス取付構造 | |
KR200316226Y1 (ko) | 서류수납용 파일 | |
CN211764417U (zh) | 一种锁扣 | |
JP3114010U (ja) | メモホルダー | |
JP4394126B2 (ja) | 綴じ具及びそれを備えたファイル・バインダ | |
KR0139799Y1 (ko) |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 |
JP3144863U (ja) | 綴じ込み補助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