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836Y1 -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836Y1
KR200228836Y1 KR2019960025218U KR19960025218U KR200228836Y1 KR 200228836 Y1 KR200228836 Y1 KR 200228836Y1 KR 2019960025218 U KR2019960025218 U KR 2019960025218U KR 19960025218 U KR19960025218 U KR 19960025218U KR 200228836 Y1 KR200228836 Y1 KR 200228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valve
air conditioner
tube assembly
tube
join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1696U (ko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60025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83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16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6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836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증발기에 연통되는 튜브 및 제 1 조인트 플렌지를 구비한 제 1 튜브 조립체와, 콘덴서에 연통되는 튜브 및 제 2 조인트 플렌지를 구비한 제 2 튜브 조립체를 팽창 밸브에 연결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조립체의 제 1 조인트 플렌지 및, 상기 제 2 튜브 조립체의 제 2 조인트 플렌지에 형성된 홀(hole)과, 상기 팽창 밸브에 형성된 관통공을 일직선상으로 배열시키고, 상기 홀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 스터드 볼트를 삽입시켜서 상기 제 1 튜브 조립체, 상기 제 2 튜브 조립체 및, 상기 팽창 밸브를 상호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팽창 밸브 설치 구조는 조립 작업의 편이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
본 고안은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콘디셔너에 구비된 팽창 밸브를 차량의 엔진 룸에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는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난방용의 히터와, 냉각용의 에어 콘디셔너를 포함한다. 히터는 차량 엔진 냉각용 냉각수를 히터 코어내로 유동시키고 그 냉각수의 열을 송풍기의 작용으로 방열시킴으로써 차량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한편 에어 콘디셔너는 냉매를 콘덴서, 팽창 밸브, 증발기 및 콤프레서등을 통해 유동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한다.
도 1에는 통상적인 에어 콘디셔너(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매는 공기 조화 케이스(11)내의 증발기에서 증발되어 배출 호스(12a,12b)를 통해 리시버 드라이어(16)로 유입되며, 다시 콘덴서(13)에서 응축되고, 튜브(15a,15b)를 통해 콤프레서(14)로 유입된다. 콤프레서(14)에서 압축된 냉매는 공기 조화 케이스(11)내에 있는 증발기로 송출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에어 콘디셔너의 구성 부품은 차량의 엔진 룸과 실내 공간내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공기 조화 케이스(11)는 대쉬 패널(미도시)로 분리된 차량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반면에 나머지 구성부들은 엔진룸내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것은 도 1의 공기 조화 케이스(11)를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공기 조화 케이스(11)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1a,21b) 사이에 증발기(22)의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커버(21b)의 하부 일측에 히터 코어 커버(23)가 결합됨으로써 히터(24)의 설치 공간이 형성된다. 하부 커버(21b)의 일측에는 모터 조립체(25) 및 휠(26)이 조립됨으로써 공기 조화 케이스(11)내에 송풍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증발기(22. 제 2 도)에 설치되는 팽창 밸브(30)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밸브 본체(31)에는 제 1 유로(32)와 제 2 유로(33)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냉매가 증발기(22)로 유입되거나 유출된다. 밸브 본체(31)의 일측에는 봉입 가스(39)가 충전되며 다이아프램(38)과 플레이트(40)가 설치된 부분이 형성된다. 플레이트(40)에는 로드(34)가 부착되며, 로드(34)의 단부에는 볼(35)이 결합된다. 볼(35)은 스프링(36)의 탄성력과 봉입 가스의 팽창에 따른 다이아프램(38)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제 2 유로(33)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팽창 밸브(30)는 소정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 조화 케이스(11)의 내측이나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공기 조화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될 경우, 자동차 차체의 대쉬 패널(미도시)의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자동차 실내 공간에 설치되거나 또는 엔진룸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종래 기술에 따라서 팽창 밸브(40)를 자동차 차체의 엔진룸(미도시)에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시되지 아니한 대쉬 패널을 관통하여 돌출한 튜브(47a,47b)는 제 1 조인트 플렌지(41)에 조립되어 제 1 튜브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 1 튜브 조립체는 팽창 밸브(40)의 일측에 형성된 스크류 홀(44)에 볼트(43)로 결합된다. 튜브(48a,48b)는 제 2 조인트 플렌지(42)에 조립되어 제 2 튜브 조립체를 형성하며, 튜브의 일단부는 팽창 밸브(40)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며, 타 단부는 콘덴서(미도시)에 연결된다.
위와 같은 팽창 밸브의 조립 구조에는 몇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우선 팽창 밸브를 2 개의 튜브 조립체와 연결하여 설치할때 2 개의 볼트를 사용하므로 작업 공수가 많아진다. 즉, 작업자는 우선 제 1 튜브 조립체의 볼트(43)에 팽창 밸브(40)를 조립하고, 이후에 스터드 볼트(45)에 제 2 튜브 조립체를 조립하여야 한다. 또한 협소한 엔진룸내에서 조립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작업이 용이한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공기 조화 케이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팽창 밸브의 개략적인 설명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 공기 조화 케이스 12a.12b. 액상 튜브
13. 콘덴서 14. 콤프레서
22. 증발기 24. 히터 코어
30.40.50. 팽창 밸브 55. 스터드 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통되는 튜브 및 플렌지를 구비한 제 1 튜브 조립체와;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에 연통되는 튜브 및 플렌지를 구비한 제 2 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조립체 및 제 2 튜브 조립체의 플렌지에 형성된 홀 및 상기 팽창 밸브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이들을 상호 체결할 수 있는 스터드 볼트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자동차 차체의 대쉬 패널을 관통하여 엔진룸으로 돌출하는 튜브(57a,57b)는 제 1 조인트 플렌지(51)에 결합됨으로써 제 1 튜브 조립체를 형성한다. 제 1 튜브 조립체는 증발기측에 연결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의 콘덴서측에 연결되는 튜브(58a,58b)는 제 2 조인트 플렌지(52)에 결합됨으로써 제 2 튜브 조립체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 1 플렌지(51)로부터 결합되는 스터드 볼트(55)는 팽창 밸브(50)를 관통하여 제 2 플렌지(52)에서 너트(56)로 결합된다. 스터드 볼트(55)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팽창 밸브(50)에는 관통공(5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플렌지(51) 및 제 2 플렌지(52)에도 볼트(55)가 관통할 수 있는 홀(54,59)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팽창 밸브의 결속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우선 종래 기술에 비해 조립 작업의 공수가 줄어든다. 작업자는 제 1 플렌지(51)에 조립된 스터드 볼트(55)에 팽창 밸브(50)와 제 2 플렌지(52)를 차례로 끼우고 너트(56)를 체결함으로써 팽창 밸브의 조립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엔진 룸에서 작업할때 팽창 밸브(50)를 미리 스터드 볼트(55)에 끼워서 가조립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이성이 증진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벼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증발기에 연통되는 튜브 및 제 1 조인트 플렌지를 구비한 제 1 튜브 조립체와, 콘덴서에 연통되는 튜브 및 제 2 조인트 플렌지를 구비한 제 2 튜브 조립체를 팽창 밸브에 연결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조립체의 제 1 조인트 플렌지 및, 상기 제 2 튜브 조립체의 제 2 조인트 플렌지에 형성된 홀(hole)과, 상기 팽창 밸브에 형성된 관통공을 일직선상으로 배열시키고, 상기 홀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 스터드 볼트를 삽입시켜서 상기 제 1 튜브 조립체, 상기 제 2 튜브 조립체 및, 상기 팽창 밸브를 상호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
KR2019960025218U 1996-08-21 1996-08-21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 KR200228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218U KR200228836Y1 (ko) 1996-08-21 1996-08-21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218U KR200228836Y1 (ko) 1996-08-21 1996-08-21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696U KR19980011696U (ko) 1998-05-25
KR200228836Y1 true KR200228836Y1 (ko) 2001-09-17

Family

ID=5397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218U KR200228836Y1 (ko) 1996-08-21 1996-08-21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8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41B1 (ko) * 2008-08-22 2014-09-0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696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8836Y1 (ko) 공기 조화 장치용 팽창 밸브의 설치 구조
JP3432108B2 (ja) 電気自動車用空調装置
JP3348665B2 (ja) 膨張弁のカバー取付構造
KR100431591B1 (ko)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받침구조
JP2001183032A (ja) 温度式膨張弁
KR200367630Y1 (ko) 리시버 드라이어 고정용 브래킷 조립체
KR200250173Y1 (ko) 천장형 버스 에어컨 유니트 케이스 장착 구조
KR101362202B1 (ko)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 장치
KR10045405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고정구조
KR20050005811A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JP3644103B2 (ja) 冷凍サイクル
KR100397634B1 (ko) 자동차 에어컨시스템의 리시버드라이어 일체형 팽창밸브
JP2008074323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冷媒配管シール構造
KR20010092149A (ko) 루프형 에어컨의 케이스 구조
KR100335358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245718Y1 (ko) 에어컨실외기의평행흐름식콘덴서장착구조
KR19990019910A (ko) 버스의 쿨러용 압축기 고정구조
KR0115219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밸브 설치구조
KR200214201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KR200282155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KR20030086701A (ko) 리시버드라이어 일체형 컨덴서 및 그 조립방법
KR200213720Y1 (ko) 에어컨 실외기의 평행흐름식 콘덴서
KR200248774Y1 (ko) 공기 조화기용 팽창 밸브
KR19980074149A (ko) 냉방장치용 응축기 어셈블리
KR20060007139A (ko) 팽창밸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4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