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811A -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 Google Patents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811A
KR20050005811A KR1020030045635A KR20030045635A KR20050005811A KR 20050005811 A KR20050005811 A KR 20050005811A KR 1020030045635 A KR1020030045635 A KR 1020030045635A KR 20030045635 A KR20030045635 A KR 20030045635A KR 20050005811 A KR20050005811 A KR 20050005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bracket
receiver
protrusion
receiver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황재
변성균
홍지유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5811A/ko
Publication of KR2005000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2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fixation of the receiver to the h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는,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헤더 파이프들과, 헤더 파이프들에 그 양단부가 연통되는 복수개의 튜브들과, 헤더 파이프들 중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응축기에 있어서, 브라켓의 일측에는 헤더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의 타측에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가 압입될 수 있는 고정 홈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Condenser with receiver drier}
본 발명은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와 리시버 드라이어 사이를 결합하는 브라켓의 구조가 개선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실내를 냉방 및 난방하기 위하여, 공기조화장치인 냉난방 시스템이 구비된다. 그 중 냉방 시스템은 통상적인 냉동사이클에 의해 열교환 매체를 순환시키면서 발생되는 열을 자동차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작동한다.
도 1에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냉방 시스템의 일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냉방 시스템(10)에 있어서, 압축기(11)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저온 저압의 상태인 열교환 매체를 압축하여 응축기(12)로 보내고, 이어서 응축기(12)는 압축기(11)에 의해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전환된 열교환 매체를 냉각 팬(미도시)의 송풍 작용으로 응축시켜서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만든다.
그 후 액체 상태로 상변화가 이루어진 열교환 매체는 상기 열교환 매체 속에 발생되어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리시버 드라이어(13)를 통과하며, 이어서 열교환 매체를 고압측과 저압측으로 구획하는 팽창 밸브(14)를 통해서 증발기(15)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5)에서는 열교환 매체가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증발하며 이때 발생한 증발 잠열이 주변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 차량의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부는 제1 연결관 내지 제4 연결관(16a,16b,16c,16d)에 의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냉방 시스템(10)에서는 열교환 매체의 연속적인 상변화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열교환 매체에 수분과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상변화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또한 냉방 시스템(10)을 부식시킨다. 특히, R-12와 같은 냉매에 수분이 혼합될 경우에는 수산화 화합물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수산화 화합물은 금속재료를 부식시키는 원인이 된다.
리시버 드라이어(13)는 이와 같이 수분과 불순물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응축기(12)와 팽창밸브(14)의 사이에 위치하여 열교환 매체 속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시버 드라이어는 차량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예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4458호, 1996-36686호에 개시된 것들이 있다.
이 중에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4458호에 개시된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의 장착장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20)가 브라켓(21)에 마련된 접촉부(22)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부(22)의 내주면과 리시버 드라이어(20)의 외주면이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2)의 외주면과 리시버 드라이어(20)의 외주면에는 슬릿 요홈들(23)(24)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슬릿 요홈들(23)(24)을 통하여 체결부재(2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20)가 브라켓(21)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상기한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20)의 장착장치는,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20)를 브라켓(21)의 일측에 마련된 결합부(26)에 의해 차량의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하는데, 이에 따라,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20)가 설치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응축기(미도시)와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20) 사이의 배관 길이가 길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20)가 설치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배제되는 한편,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20)와 응축기 사이의 배관 길이도 줄여 보다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20)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시버 드라이어를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설치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헤더 파이프 사이를 결합하는 브라켓을 보다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용 냉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가 차량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장착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30..응축기 31,32..헤더 파이프
40..리시버 드라이어 50..브라켓
52..접합부 53..고정 홈
54..고정 돌기 55..나사홈
56..볼트 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는,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헤더 파이프들과, 상기 헤더 파이프들에 그 양단부가 연통되는 복수개의 튜브들과, 상기 헤더 파이프들 중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헤더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가 압입될 수 있는 고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자유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의 폭 길이보다 큰 폭 길이를 가지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홈은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의 몸체부 측면에는 상기 고정 홈과 연통되며, 볼트 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볼트 부재의 단부가 상기 고정 돌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교환기의 일종인 응축기(30)는,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헤더 파이프들(31)(32)과, 상기 헤더 파이프들(31)(32)에 그 양단부가 연통되는 복수개의 튜브(33)들과, 상기 튜브(33)들 사이에 설치되는 방열휜(34)들을 포함한다. 상기 헤더 파이프들(31)(32)의 내부에는 공급관(36)으로부터 공급된 열교환 매체가 튜브(33)들로 형성된 통로가 사행을 이루며 배출관(35)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미도시된 배플들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응축기(30)에 있어서, 헤더 파이프(31)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35)을 통하여 리시버 드라이어(40)와 연결되어진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40)는, 본체(41)와, 상기 본체(41)내에 상부 공간(42), 흡습제 공간(43), 하부 공간(4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삽입되어 설치된 상부 격벽(45a) 및 하부 격벽(45b)과, 상기 본체(41)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는 캡(46)과, 상기 흡습제 공간(43)에 채워진 흡습제(47)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격벽(45a) 및 하부 격벽(45b)에는 각각 구멍들이 형성되어 열교환 매체의 통과시 이에 포함된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본체(41)의 상단 개구에 결합되는 캡(46)에는 유입관(48a) 및 유출관(48b)이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48a) 및 유출관(48b)은 상부 공간(42) 및 하부 공간(44)까지 각각 위치되어 이들 공간들(42)(44)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48a)은 응축기(30)의 배출관(35)과 상호 연결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리시버 드라이어는 일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40)는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50)에 의해 응축기(30)의 헤더 파이프(31)와 결합되어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50)을 이루는 몸체부(51) 일측에는 상기 헤더 파이프(31)와 접합되는 접합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부(52)는 상기 헤더 파이프(31)의외주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헤더 파이프(31)의 외주면과 상응하게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부(52)는 상기 헤더 파이프(31)의 외주면과 브레이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50)과 헤더 파이프(31) 사이를 브레이징 하는 공정은 응축기(30)의 제조를 위한 브레이징 공정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1)의 타측에는 고정 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홈(53)은 리시버 드라이어(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54)가 삽입되어진다.
상기 고정 돌기(54)는 제1돌기부(54a)와, 상기 제1돌기부(54a)의 자유단에 형성된 제2돌기부(54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돌기부(54a)는 리시버 드라이어(40)의 본체(41)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4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돌기부(54a)의 단면 형상은 대략 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돌기부(54a)의 자유단에 형성된 제2돌기부(54b)의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제2돌기부(54b)의 단면 직경의 크기는 제1돌기부(54a)의 단면 폭의 길이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돌기부의 단면 형상은 비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돌기부의 단면 폭의 길이는 제1돌기부의 단면 폭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2돌기부(54a)(54b)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제1,2돌기부(54a)(54b)가 고정 홈(53)에 삽입된 후, 리시버 드라이어(40)가 그 폭 방향을 따라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돌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이면 여러 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53)은 몸체부(51)에 대하여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은 상기 고정 돌기(54)의 제1,2돌기부(54a)(54b)의 전체 단면 형상과 상응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홈(53)의 크기는 고정 돌기(54)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홈(53)에 대하여 상기 고정 돌기(54)가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홈(53)은 몸체부(51)의 일측면으로부터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홈(53)을 따라 고정 돌기(54)가 리시버 드라이어(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시버 드라이어(40)의 위치가 브라켓(50)에 대하여 조정되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50)에는 상기 고정 홈(53)과 연통되도록 몸체부(51)의 측면에 나사홈(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홈(55)에 볼트 부재(56)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기 볼트 부재(56)의 단부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40)의 고정 돌기(54) 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40)가 브라켓(50)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브라켓(50)을 매개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40)와 헤더 파이프(31) 사이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헤더 파이프(31)의 외주면에 브라켓(50)의 접합부(52)를 브레이징 접합시켜 브라켓(50)을 헤더 파이프(31)의 일측에 결합시킨다. 그 다음, 브라켓(50)에 형성된 고정 홈(53)에 리시버 드라이어(40)에 형성된 고정 돌기(54)를 압입시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40)가 소정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40)의 위치가 헤더 파이프(31)에 대하여 결정되면 볼트 부재(56)를 나사홈(55)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볼트 부재(56)의 단부가 고정 돌기(54)를 가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리시버 드라이어(40)가 브라켓(5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시버 드라이어(40)를 갖는 응축기(3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응축기(30)에서 응축된 열교환 매체는 헤더 파이프(31)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35)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배출관(35)과 연결된 리시버 드라이어(40)의 유입관(48a)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열교환 매체는, 상기 유입관(48a)을 통하여 리시버 드라이어(40)의 본체(41) 내의 상부 공간(42)으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공간(42)에 유입된 열교환 매체는 상부 격벽(45a)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과한 후, 흡습제 공간(43)에 설치된 흡습제(47)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 매체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이 제거된다. 수분 및 불순물이 제거된 열교환 매체는 다시 하부 격벽(45b)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과하여 하부 공간(44)으로 유동되며 하부 공간(44)까지 설치된 유출관(48b)을 통하여 리시버 드라이어(40)의 외부로 유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는, 리시버 드라이어가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설치됨에 따라, 리시버 드라이어가 설치되는 공간을 줄이는 한편, 리시버 드라이어와 응축기 사이의 배관 길이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헤더 파이프 사이를 결합하는 브라켓이 보다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조비용도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헤더 파이프들과, 상기 헤더 파이프들에 그 양단부가 연통되는 복수개의 튜브들과, 상기 헤더 파이프들 중 일측의 헤더 파이프에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헤더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가 압입될 수 있는 고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자유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의 폭 길이보다 큰 폭 길이를 가지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은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접합부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외주면 사이의 접합은, 상기 응축기의 브레이징 공정중에 브레이징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몸체부 측면에는 상기 고정 홈과 연통되며, 볼트 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볼트 부재의 단부가 상기 고정 돌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나사홈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KR1020030045635A 2003-07-07 2003-07-07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KR20050005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635A KR20050005811A (ko) 2003-07-07 2003-07-07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635A KR20050005811A (ko) 2003-07-07 2003-07-07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811A true KR20050005811A (ko) 2005-01-15

Family

ID=3721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635A KR20050005811A (ko) 2003-07-07 2003-07-07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58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364B1 (ko) * 2005-12-30 2007-04-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용 응축기구조
CN110631294A (zh) * 2019-10-28 2019-12-31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平行流冷凝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364B1 (ko) * 2005-12-30 2007-04-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용 응축기구조
CN110631294A (zh) * 2019-10-28 2019-12-31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平行流冷凝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052B1 (ko) 액체탱크를가진응축기구조
US5875650A (en) Refrigerant condenser including super-cooling portion
US7089760B2 (en) Air-conditioner
KR100730567B1 (ko)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및 그 제작방법
JP2002187424A (ja) 車両用凝縮器
JPH0835744A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CN113167516B (zh) 内部换热器及具有内部换热器的制冷循环装置
KR20050005811A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KR20080038784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소음기
KR100340420B1 (ko) 건조기 일체형 과냉각 응축기
KR100819014B1 (ko) 차량용 냉방장치
KR100928807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응축기
KR200153779Y1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열교환기
JP2004177006A (ja) 内部熱交換器
KR100804661B1 (ko) 자동차 에어컨의 냉동사이클
KR100335358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90004273A (ko) 다관 열교환부형 급탕 열교환기를 구비한 고압 냉매시스템
KR20050015761A (ko) 차량 공조장치용 응축기
KR19980024698U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180118292A (ko) 열교환기
KR200246227Y1 (ko) 평행흐름식콘덴서의헤더결합구조
KR20080092589A (ko) 냉난방시스템의 액열기
KR19980029188U (ko) 엔드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실내기의 열교환기
KR19980037824A (ko) 응축기
KR20000000305U (ko) 압축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