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201Y1 -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201Y1
KR200214201Y1 KR2019980015392U KR19980015392U KR200214201Y1 KR 200214201 Y1 KR200214201 Y1 KR 200214201Y1 KR 2019980015392 U KR2019980015392 U KR 2019980015392U KR 19980015392 U KR19980015392 U KR 19980015392U KR 200214201 Y1 KR200214201 Y1 KR 200214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mounting structure
air conditioner
baffle plat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807U (ko
Inventor
이동식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80015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20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8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201Y1/ko

Links

Landscapes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응축기를 실외기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배플 플레이트에 형성된 요홈에 응축기의 유입 파이프와 배출구를 삽입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응축기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 응축기 장착구조에서는 응축기(34)의 헤더(35)가 삽입되는 제 1안착홈(32b) 및 제 2안착홈(32c)구비되어 있는 배플 플레이트(32)를 사용하여 응축기(34)와 압축기(44)를 격리하게 된다.

Description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본 고안은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기를 실외기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배플 플레이트에 형성된 요홈에 응축기의 유입 파이프와 배출구를 삽입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응축기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모든 기후조건과 실내환경에 따라서 최적의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공기를 시원하게 하거나 따뜻하게 하는 냉방장치 및 난방장치를 비롯하여, 습도를 적당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습장치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 등이 포함된다.
이중에서 냉방장치는 액체가 증발할 때의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냉방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냉방작용 이외에도, 제습작용을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냉방장치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가스형태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팽창밸브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냉각공기는 블로어에 의해 냉방이 필요한 실내로 강제 송풍된다.
이러한 냉방장치는 산업용과 업소용 및 일반 가정용과 같이 사용장소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통상, 영업점이나 일반가정의 거실에 주로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은 실외기와 실내기로 구분되어 있다.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소음 및 열방출로 인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베란다 외부에 설치하게 된다. 실내기는 응축기에서 보내진 냉매를 증발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응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응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0)에는 응축기(14)와 압축기(24)를 격리하기 위한 배플 플레이트(12)가 엔드 플레이트(28)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응축기(14)의 후방에는 리어 패널(16)이 배치되어 있다. 리어 패널(16)에는 브라켓(18)이 부착되어 있어, 팬(22)을 회전시키는 모터(20)를 고정할 수 있으며, 브라켓(18)의 하단은 베이스 패널(26)에 고정된다.
도 2를 보면, 종래의 곡선형 응축기(14)에 대한 장착구조가 보다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곡선형 응축기(14)는 브라켓(18)에 의해서 베이스 패널(26)에 고정되며, 응축기(14)의 일단에는 엔드 플레이트(28)가 부착된다. 응축기(14)와 압축기(24)를 격리하기 위한 배플 플레이트(12)의 하부에는 체결공(12a)이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 플레이트(26)에 형성된 체결공(26a)과 나사 결합되며, 그의 플랜지(13)에도 체결공(13a)이 형성되어 있어 엔드 플레이트(28)에 형성된 체결공(28a)과 나사 결합된다. 브라켓(28)에는 모터 장착홀(18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에서는 모터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의해서 응축기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강도가 약하며, 특히 응축기의 튜브형상이 평탄한 직선형 응축기가 장착되는 실외기인 경우에 이 브라켓만으로 응축기를 지지하게 되면, 압축기 및 팬의 회전시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서 응축기가 심하게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배플 플레이트의 형상을 일부 변경하여 직선형 응축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압축기와 팬의 고속 회전시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서 응축기가 흔들리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응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응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응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응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실외기 32;배플 플레이트
34:응축기 36:리어 패널
38:브라켓 42:팬
44:압축기 46:베이스 패널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기와 응축기가 내장된 실외기와,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기화되는 과정에서 열교환되어 주위 공기를 차갑게 냉각시키는 증발기가 내장된 실내기로 구성되어 있는 분리형 에어컨에 있어서, 압축기와 응축기사이에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에는 응축기의 헤더가 삽입되는 제 1안착홈 및 제 2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응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응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보면,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30)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44)와 함께, 압축된 냉매를 냉각하여 액상으로 만드는 응축기(34)가 베이스 패널(46)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압축기(44)와 응축기(34)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배플 플레이트(32)가 배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시한 응축기(34)는 튜브의 형태가 일직선으로 이루어진 직선형 응축기로서, 후면에는 리어 패널(36)이 부착되어 있다. 리어 패널(36)에는 모터(40) 및 팬(42)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8)이 연결되어 있으며, 배플 플레이트(32)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때, 배플 플레이트(32)의 일단에는 응축기(34)의 헤더(35)가 삽입되는 2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다음의 도 4에 명확히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응축기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서 실시한 직선형 응축기(34)는 브라켓(38)에 의해서 베이스 패널(46)에 고정된다. 응축기(14)와 압축기(44)를 격리하는 배플 플레이트(32)의 하부에는 체결공(32a)이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 플레이트(46)에 형성된 체결공(46a)과 나사 결합되며, 그의 플랜지(33)에도 체결공(33a)이 형성되어 있어 엔드 플레이트(48)에 형성된 체결공(48a)과 나사 결합된다. 브라켓(48)에는 모터 장착홀(38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배플 플레이트(32)의 플랜지(33)부위에는 2개의 안착홈(32b, 3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상부에 형성된 제 1안착홈(32b)과 하부의 제 2안착홈(32c)에는 응축기(34)의 헤더(35)가 삽입된다. 즉, 조립시에 배플 플레이트(32)의 제 1안착홈(32b)과 제 2안착홈(32c)을 헤더(35)에 대고 감싼 다음에 플랜지(33)에 형성된 체결공(33a)과 리어 패널(36a)의 체결공(36a)을 일치시켜 체결함으로써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배플 플레이트의 형상을 일부 변경하여 직선형 응축기의 유입 파이프와 배출구를 파지함과 동시에 배플 프레이트를 개재하여 응축기를 베이스 패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압축기와 팬의 고속 회전시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응축기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서 응축기를 지나면서 냉각되는 냉매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냉각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압축기(44)와 응축기(34)가 내장된 실외기(30)와, 응축기(34)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기화되는 과정에서 열교환되어 주위 공기를 차갑게 냉각시키는 증발기가 내장된 실내기로 구성되어 있는 분리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44)와 응축기(34)사이에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32)에는 응축기(34)의 헤더(35)가 삽입되는 제 1안착홈(32b) 및 제 2안착홈(32c)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KR2019980015392U 1998-08-17 1998-08-17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KR200214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92U KR200214201Y1 (ko) 1998-08-17 1998-08-17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92U KR200214201Y1 (ko) 1998-08-17 1998-08-17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07U KR20000004807U (ko) 2000-03-15
KR200214201Y1 true KR200214201Y1 (ko) 2001-11-16

Family

ID=6951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392U KR200214201Y1 (ko) 1998-08-17 1998-08-17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2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07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31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5524450A (en) Air-conditioning ceiling fan
KR200214201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기 장착구조
US5675986A (en) Air-conditioning fan
KR200245713Y1 (ko) 패키지에어콘의실내기
KR100350439B1 (ko)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용 전장품 고정장치
KR200173453Y1 (ko) 창문형공기조화기의콘트롤박스고정장치
KR100432686B1 (ko) 회전이 가능한 분리형 에어컨의 서비스 밸브
KR200312148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서비스밸브 장착구조
KR200252544Y1 (ko) 평행흐름식 콘덴서 장착구조
KR100390220B1 (ko) 벽걸이형 실내기의 횡단류팬
KR100432687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구조
KR100357456B1 (ko) 에어콘실외기의 원통형덕트가이드
KR0121713Y1 (ko) 냉동 공조장치
KR0120521Y1 (ko) 에어컨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KR200195395Y1 (ko) 에어콘용 구동모터의 진동흡수구조
KR200178071Y1 (ko) 에어컨의 실외기
KR200349521Y1 (ko) 에어콘 실외열교환기의 베이스조립구조
KR100522880B1 (ko) 히터장착 공기조화기
KR200230039Y1 (ko) 냉장고
KR200280162Y1 (ko)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 커버
KR200161182Y1 (ko) 분리형 룸에어컨의 실외기 구조
KR200303943Y1 (ko) 에어컨의 송풍기 체결 구조
KR200246231Y1 (ko) 분리형에어컨의실내기
KR100293792B1 (ko) 멀티형룸에어콘의실내기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