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439Y1 - 강 유닛용 기저부 - Google Patents

강 유닛용 기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439Y1
KR200228439Y1 KR2020010000338U KR20010000338U KR200228439Y1 KR 200228439 Y1 KR200228439 Y1 KR 200228439Y1 KR 2020010000338 U KR2020010000338 U KR 2020010000338U KR 20010000338 U KR20010000338 U KR 20010000338U KR 200228439 Y1 KR200228439 Y1 KR 200228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girder
base
support
suppor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 테 후앙
Original Assignee
치엔 테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엔 테 후앙 filed Critical 치엔 테 후앙
Priority to KR2020010000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439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강 유닛용 기저부는 지지관, 저판 및 플랫폼 및 적어도 하나의 거더를 포함한다. 저판은 지지관의 하단에 연결되고 저판에는 복수 개의 지지 홀이 형성되어 있다. 플랫폼은 지지관의 상단에 연결되고, 플랫폼에는 네 구석 부근에 체결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거더가 일단으로 플랫폼 위에 배치될 수 있고, 거더의 일단은 플랫폼의 체결 홀에 체결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충격 방지능이 달성되고 그리하여 고가마루는 우수한 충격 내성을 갖고 구조의 안전성은 개선된다.

Description

강 유닛용 기저부{A BASE OF A STEEL UNIT}
본 고안은 거더(girder)가 기저부(base)의 상부판에 체결되어 있는 경우 충격 방지 능력을 가진 강 유닛(steel unit)의 기저부에 관한 것으로, 지진이 발생할 때 본 고안의 거더는 돌출하지도 않고 나사도 풀어지지 않고 거더가 기저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더욱이 이 거더는 절곡되지 않을 것이어서 고가마루(elevated floor)는 충격 내성이 개선되고 구조의 안전성은 향상된다.
선행기술의 고가마루(93)는 서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교차해 있는 거더(90) 위에 배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의 좌도를 참조). 거더들(90)의 교차점에는 기저부(91)가 설치되어 있다. 각 기저부(91)에는 지지관(94)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관(94)의 상측에는 거더(90)를 적당한 높이에 지지하기 위한 상부판(92)이 설치되어 있어서 기저부(91)가 거더(90)를 지지하고 고가마루(93)를 적당한 높이에 있게 한다.
그러나, 도 1, 도 2의 우도 및 도 3에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선행기술 고가마루(93)에서는, 거더(90)가 기저부(91)의 상부판(92)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고가마루는 바람직한 충격 방지 능력이 없이 약하다. 지진이 일어나면 거더(90)는 쉽사리 위로 비어져 나오고 나사는 헐거워진다(도 1의 우도를 참조).
거더(90)는 기저부(91)로부터 탈락되고(도 2의 우도를 참조), 거더(90)는 만곡되어(도 3과 같이) 재산 손실이 생기고, 더욱이 인명이 위협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강 유닛의 기저부를 설계할 때에는 충격 내력 및 안전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선행 기술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신규 강 유닛용 기저부가 강렬하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거더가 기저부의 상부판에 체결되어 있을 때에 충격 방지 능력을 갖는 강 유닛용 기저부를 제공하는 것으로, 지진 발생시 거더가 돌출하지 않고 나사가 이완되지 않고 거더가 기저부로부터 탈락되지 않고, 더욱이 거더가 만곡될 가능성이 적어 고가마루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고 구조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지관, 저판, 플랫폼 및 적어도 하나의 거더를 포함하는 강 유닛용 기저부를 제공한다. 저판은 지지관의 하단에 연결되고 그 저판에는 복수개의 지지 홀이 설치된다. 플랫폼은 지지관의 상단에 연결되고; 플랫폼에는 네 구석 가까이에 체결 홀이 설치된다. 그럼으로써 일단을 가진 적어도 한 거더가 플랫폼에 배치될 수 있고; 거더의 일단은 플랫폼의 체결 홀에 체결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충격 방지능이 달성되고 그래서 고가마루는 우수한 충격 내성을 갖고 구조의 안전성은 개선된다.
본 고안의 여러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선행기술 고가마루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2는 다른 선행기술 고가마루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3는 또 다른 선행기술 고가마루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고가 유닛의 조립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이 마루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과 마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과 마루를 보여주는 조립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90 : 거더 91 : 기저부
92 : 상부판 93 : 고가마루
94 : 지지관 10 : 지지관
20 : 저판 21 : 지지홀
30 : 플랫폼 31 : 체결홀
32 : 나사홀 33 : 기둥
34 : 나사홀 35 : 조정나사
40 : 상부판 41 : 나사봉
42 : 너트 50 : 날개
60 : 고가마루 70 : 거더
71 : 나사 77 : 기둥
78 : 지지체 80 : 패드
81 : 홈
도 4에 따르면, 본 고안의 강 유닛용 기저부가 예시되어 있다. 이 기저부는 지지관(10), 저판(20), 플랫폼(30), 상부판(40) 및 거더(70)(도 5 및 7에 도시되어 있음)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관(10)은 중공 원통관이다. 저판(20)은 정사각형 단면을 갖고 있다. 저판(20)은 지지관(10)의 하단에 용접되어 있다. 저판(20)은 기저부가 무거운 물체를 지지하도록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지지 홀(21)은 나사 또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됨)를 통해 바닥에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저판(2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네 개의 삼각형 날개(50)가 지지관(10)과 저판(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삼각형 날개(50)는 지지관(10)이 절곡되거나 또는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관(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지관(10)의 외벽과 저판(20)의 상부 표면 사이에 용접되어 있다.
플랫폼(30)은 직사각형 판이고 지지관(10)의 상단에 용접되어 있다. 플랫폼(30)의 중심에는 나사 홀(32)이 형성되어 있다(도 5에 도시됨). 플랫폼(30)의 네 가장자리의 각각의 부근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 홀(31)은 조정이 가능하도록 긴 슬롯과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상부 판(40)은 대략 정사각형 모양의 판이다. 그의 바닥은 수직으로 연장된 나사 봉(41)을 갖고 있다. 상부 판(40)은 플랫폼(3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판(40)의 저부에 있는 나사봉(41)은 상부 판(40)이 적어도 하나의 육각형 너트(42)와 나사 연결되도록 플랫폼(30)의 나사 홀(32) 내로 나사 연결되고 그래서 나사 봉(41)은 플랫폼(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판(40)은 선택적 요소이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무시될 수도 있다(도 8 참조).
거더(70)의 일단은 플랫폼(30)에 배치되어 거더(70)와 플랫폼(30)의 체결 홀(31)을 통과한다. 그래서 거더(70)의 일단은 플랫폼(30)에 체결되고 그럼으로써 고가마루(60)는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열된 거더(70)에 체결될 수 있다. 거더들(70)의 교차점에는 거더(70) 위의 고가마루(60)를 상승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지지관(10), 저판(20) 및 플랫폼(30)으로 형성된 고가장치(elevated device)가 설치된다. 거더(70)는 고가마루(60)를 적당한 높이에 지지한다. 그리고 패드(80)가 거더(70)와 플랫폼(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80)는 적당한 두께를 가진 판이고 거기에는 홈들(81)이 형성되어 있다. 패드(80)를 거더(70)와 플랫폼(30) 사이에 배치할 때, 거더(70)의 일단이 상기 거더(70)의 수평을 조정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홈(81)에는 나사(71)가 통과된다. 상기한 부재들에 의해 강 유닛을 갖는 기저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기저부에 있는 지지관(10)의 상단은 플랫폼(30)을 갖고 있어 거더(70)의 일단이 플랫폼(30)에 체결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강 유닛이 형성된다. 플랫폼(30)은 큰 직경을 가진 지지관(10)에 연결되어 있어 바람직한 강도를 갖는다. 플랫폼(30)은 거더(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지진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큰 면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그것은 바람직한 충격 방지능을 갖고 있다. 그래서 지진시에 거더(70)는 위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나사(71)의 이완, 거더(70)와 기저부 사이의 분리 및 거더(70)의 굴곡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9에 표시된 것처럼, 각 네 구석에는 고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네 고가장치의 플랫폼(30)에는 각각 주 기둥(33)이 설치되어 있다. 고가장치(33)의 인접 주연과 대향 주연은 복수 개의 거더(70)로 강고하게 체결되어 있다. 거더(70)의 중앙부는 지지체(78)가 고가마루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체(78)를 연결하기 위한 기둥(77)을 갖고 있다(도시 안됨). 거더 구조물을 교차시킴에 의해 거기에 인가되는 힘은 효과적으로 근방의 지지체들에 전달될 수 있어 지지체의 변형은 방지되고 지지 능력이 증가되고 고가마루가 삐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충격이 방지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고가장치의 플랫폼(30)에는 복수 개의 조정가능한 나사 홀(34)이 형성되어 있다. 각 나사 홀(34)은 조정나사(35)에 나사 연결된다. 조정 나사는 거더(70)의 바닥에 맞서 작용한다. 조정나사(35)에 의해 거더(70)를 회전시키고 밀어서 Z축(수직축)을 따라 이동되게 하여 수평을 조정한다. 조정이 완료된 후 나사(71)는 거더(70)를 고가장치의 플랫폼(30)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선행 기술에서의 결점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거더가 기저부의 상부 판에 체결될 때 충격 방지능이 불량해지는 것; 거더가 쉽게 돌출하고 나사가 쉽게 풀어지는 것; 및 지진 발생시 거더가 기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 특히 거더가 휘어질 수도 있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하여 모든 이런 결함이 본 고안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거기에 기재된 상세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기재에서는 여러 치환 및 변형이 암시되어 있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는 다른 것도 생각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모든 그런 치환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거더가 기저부의 상부판에 체결될 때 충격 방지능이 양호하고, 지진 발생시에 거더가 돌출하지도 않고 나사도 풀어지지 않고 거더가 기저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특히 거더가 절곡되지 않고, 따라서 고가마루의 충격 내성이 개선되고 구조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Claims (8)

  1.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저판; 및
    상기 지지관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체결 홀이 형성되어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관, 저판 및 플랫폼은 고가장치로서 형성되어 있고, 고가장치의 상기 플랫폼에는 주 기둥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가장치의 인접 주연과 대향 주연들에는 복수 개의 거더가 강고하게 체결되어 있고; 거더의 양단은 플랫폼 위에 배치되어 있고; 거더의 양단은 플랫폼에 있는 체결 홀에 체결되어 있고; 지지 기둥이 거더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 기둥들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이 지지체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 유닛용 기저부.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지지 홀이 바닥에 체결되게 하기 위해 저판에 형성되어 있는 강 유닛용 기저부.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삼각형 날개가 지지관과 저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관의 외벽과 상기 저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강 유닛용 기저부.
  4. 제 1 항에 있어서, 플랫폼은 용접에 의해 지지관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강 유닛용 기저부.
  5. 제 1 항에 있어서, 나사 홀이 플랫폼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 판이 상기 플랫폼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부판의 저부에는 나사 봉이 강고하게 체결되어 있고; 상기 플랫폼의 나사 봉은 상기 플랫폼의 나사 구멍에 나사 연결되어 있어서 상부 판이 상기 플랫폼의 상측에 나사 연결될 수 있고 너트가 나사봉에 나사 연결되어 있는 강 유닛용 기저부.
  6. 제 1 항에 있어서, 플랫폼에 형성된 체결 홀이 긴 슬롯인 강 유닛용 기저부.
  7. 제 1 항에 있어서, 패드가 플랫폼과 거더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강 유닛용 기저부.
  8. 제 1 항에 있어서, 고가장치의 플랫폼에는 복수 개의 조정가능한 나사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나사 홀이 조정 나사에 나사 연결되게 하고, 조정나사는 거더의 저부에 대해 맞서 작용하고, 조정 나사에 의해 거더가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거더를 회전시키고 밀어서 거더가 조정되게 하는 강 유닛용 기저부.
KR2020010000338U 2001-01-06 2001-01-06 강 유닛용 기저부 KR200228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38U KR200228439Y1 (ko) 2001-01-06 2001-01-06 강 유닛용 기저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38U KR200228439Y1 (ko) 2001-01-06 2001-01-06 강 유닛용 기저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439Y1 true KR200228439Y1 (ko) 2001-06-15

Family

ID=7306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338U KR200228439Y1 (ko) 2001-01-06 2001-01-06 강 유닛용 기저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4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820A (ko) * 2019-08-20 2021-03-04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210036453A (ko) * 2019-09-25 2021-04-05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820A (ko) * 2019-08-20 2021-03-04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634717B1 (ko) * 2019-08-20 2024-02-13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210036453A (ko) * 2019-09-25 2021-04-05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314464B1 (ko) * 2019-09-25 2021-10-20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8921A (en) Support column
US5031724A (en) Shoring frame pillar
KR200228439Y1 (ko) 강 유닛용 기저부
JPH07505934A (ja) 耐震建造物構造
KR102059195B1 (ko) 물탱크용 조립식 기초 패드장치
US6339903B1 (en) Supporting device for prefabricated building components, particularly for prefabricated units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with high resistance to earthquakes
JP4669955B2 (ja) アンカーフレーム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CN2455827Y (zh) 加强型高架地板基座
JP3082292U (ja) 単位鋼構造を具えたベース構造
US4522000A (en) Earthquake safety support for transportable building
JPH0633043Y2 (ja) 支柱の支持構造
JP2002276167A (ja) 傾斜構造物設置工法用サポート及び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JP3120467U (ja) 機具水平調節座
RU46792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металлическая опор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фальшпола
CN213741719U (zh) 一种高效减震的防屈曲支撑
KR102382182B1 (ko) 이중 마루용 레벨링 포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설치 구조
KR20240049932A (ko) 낚시용 좌대
KR102504725B1 (ko) 조립식 와이어리스 신호등주
KR10225067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수평조절장치 및 설치방법
CN214657708U (zh) 一种库架合一立柱结构
CN216340454U (zh) 箱梁钢柱固定连接结构
JPH09151622A (ja) 建築物の免震装置
KR102570994B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브릿지 기둥 및 그 시공방법
CN219826381U (zh) 一种输电线路铁塔用安装基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