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717B1 -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717B1
KR102634717B1 KR1020190101938A KR20190101938A KR102634717B1 KR 102634717 B1 KR102634717 B1 KR 102634717B1 KR 1020190101938 A KR1020190101938 A KR 1020190101938A KR 20190101938 A KR20190101938 A KR 20190101938A KR 102634717 B1 KR102634717 B1 KR 102634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element
pedestal
bracket
receiving hole
fl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820A (ko
Inventor
김면수
김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19010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717B1/ko
Priority to US16/660,610 priority patent/US10570626B1/en
Publication of KR2021002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플로어 패널이 안착되는 지지 구조물이 개시된다. 상기 지지 구조물은,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연결하는 보요소 브라켓 및 상기 보요소 브라켓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SUPPORT STRUCTURE FOR SUPPRO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THE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바닥 시스템에서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중 바닥(access floor) 시스템은 기초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마루(플로어)를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기초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플로어 패널 및 상기 플로어 패널을 기초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중 바닥 시스템은 고도의 정밀도와 집적도를 요구받는 반도체의 제조를 위한 반도체 제조실, 의약품 연구실, 유전자공학 연구실 등과 같은 클린룸에 이용되며, 플로어 패널과 기초 바닥 사이의 공간에는 각종 장비 또는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5991호(2010.12.28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서 플로어 패널과 기초 바닥 사이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페데스탈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플로어 패널이 안착되는 지지 구조물은,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연결하는 보요소 브라켓 및 상기 보요소 브라켓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은, 플로어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복수의 단위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연결하는 보요소 브라켓 및 상기 보요소 브라켓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단위 패널들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페데스탈을 포함하므로, 지지 구조물과 플로어 패널 사이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데스탈 및 보요소 브라켓을 페데스탈 연결부를 이용하여 보요소들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지지 구조물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데스탈 연결부를 보요소들상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 상에 결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나사산을 보요소 상에 가공하지 않더라도 쉽게 페데스을 안착시킬 수 있어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상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베이스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과 보요소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이동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바닥 시스템(10)은 플로어 패널(100) 및 지지 구조물(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100)은 클린룸 또는 전산실 등에 사용되는 바닥재를 의미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200)에 의해 기초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은 복수의 단위 패널들(11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단위 패널들(110)은 지지 구조물(200) 상에 격자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이중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200)은 지지 구조물(200) 상에 안착된 플로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200)은 기초 바닥 상에 설치되어 플로어 패널(100)을 상기 기초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일정 간격은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110)의 한 변의 길이를 초과할 수 잇다.
지지 구조물(200)은 제1보요소(210), 제2보요소(220) 및 포스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서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 개의 제1보요소(210)가 제1방향(D1)으로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보요소(220)가 제2방향(D2)으로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이 때, 제1보요소(210)들의 배치 간격과 제2보요소(220)들의 배치 간격은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110)의 길이(또는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요소(210)의 상면과 제2보요소(220)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에 속할 수 있다.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알루미늄 압출 방식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단면 형상에 대한 제약이 적으며, 이에 따라 보요소들(210 및 220)의 무게가 경량화되고 및 제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H형강, L형강 및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형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스트(230)는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와 결합되어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스트(230)는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교차 부분의 아래에서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스트(230)의 높이는 플로어 패널(100)의 설계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플로어 패널(100)이 제거된 상태의 지지 구조물(200)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지지 구조물(200)은 페데스탈(240), 보요소 브라켓(250) 및 스트링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데스탈(240)은 보요소 브라켓(250)상에 안착되고, 플로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은 페데스탈(24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110)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될 때, 페데스탈(240)은 단위 패널들(110)의 교차점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4개의 단위 패널들(110)은 하나의 페데스탈(240)상에 안착될 수 있다.
페데스탈(240)은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이 조절될 수 있다.
보요소 브라켓(250)은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보요소 브라켓(250)은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 상부에 안착되어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요소 브라켓(250)은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교차 부분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요소 브라켓(250)에 의해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 사이의 뒤틀림이 감소하고,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 사이의 결속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스트링거(260)는 페데스탈(240)과 연결되어 플로어 패널(100)을 페데스탈(240)과 함께 지지함으로써, 페데스탈(240)의 수평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스트링거(260)는 제1보요소(210)와 동일한 방향(즉, 제1방향(D1)) 및 제2보요소(220)와 동일한 방향(즉, 제2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고, 플로어 패널(100)은 스트링거(2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링거(260)는 인접한 페데스탈(240)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페데스탈(240)의 수평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보요소(210)는 제1몸체부(211) 및 제1날개부(21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보요소(220)는 제2몸체부(221) 및 제2날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부(211)는 제1상부 홀(215)과 제1슬라이드 홈(217)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상부 홀(215)과 제1슬라이드 홈(217)은 제1몸체부(211)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상부 홀(215)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제1상부 홀(215)들은 제1슬라이드 홈(217)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몸체부(211)가 2개의 제1상부 홀(215)들을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제1상부 홀(215)들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는 제1슬라이드 홈(217)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1슬라이드 홈(217)은 제1보요소(2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슬라이드 홈(217)의 형상은 "T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날개부(213)는 제1몸체부(211)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1몸체부(211) 하부에서 제1몸체부(211)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날개부(213)는 제1몸체부(211)의 폭 방향을 따라 제1몸체부(211)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날개부(213)는 제1하부 홀(2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 홀(219)은 제1날개부(2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하부 홀(219)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제1하부 홀(219)들은 제1몸체부(211)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날개부(213)가 2개의 제1하부 홀(219)들을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제1하부 홀(219)들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는 제1몸체부(211)를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2몸체부(221)는 제2상부 홀(225)과 제2슬라이드 홈(227)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상부 홀(225)과 제2슬라이드 홈(227)은 제2몸체부(221)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상부 홀(225)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제2상부 홀(225)들은 제2슬라이드 홈(227)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몸체부(221)가 2개의 제2상부 홀(225)들을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제2상부 홀(225)들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는 제2슬라이드 홈(227)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2슬라이드 홈(227)은 제2보요소(22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슬라이드 홈(227)의 형상은 "T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날개부(223)는 제2몸체부(221)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2몸체부(221) 하부에서 제2몸체부(221)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날개부(223)는 제2몸체부(221)의 폭 방향을 따라 제2몸체부(221)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날개부(223)는 제2하부 홀(2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부 홀(229)은 제2날개부(22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하부 홀(229)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제2하부 홀(229)들은 제2몸체부(221)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날개부(223)가 2개의 제1하부 홀(229)들을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제2하부 홀(229)들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는 제2몸체부(221)를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1보요소(210)와 제2보요소(220)는 하부 홀들(219 및 229)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하부 홀(219) 및 제2하부 홀(229)을 기준으로 제1보요소(210)의 제1날개부(213) 상에 제2보요소(220)의 제2날개부(223)가 안착되고, 보요소 연결 부재가 제1하부 홀(219) 및 제2하부 홀(229)을 관통하여 포스트(230)에 결합됨으로써 제1보요소(210)와 제2보요소(2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보요소(210)의 제1날개부(213) 상에 제2보요소(220)의 제2날개부(223)가 안착되어 결합되므로, 제1보요소(210)의 높이(H11)는 제2보요소(220)의 높이(H21)보다 클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보요소(210)의 제1높이(H11)는 제1몸체부(211)의 높이(H12)와 제1날개부(213)의 높이(H13)의 합일 수 있고, 제2보요소(220)의 높이(H21)는 제1보요소(210)의 제1몸체부(211)의 높이(H12)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요소(210) 상에 제2보요소(220)가 안착되어 결합되더라도 제1보요소(210)의 상면과 제2보요소(220)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포함되고 이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상면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페데스탈(240)은 헤드부(241), 연결부(243) 및 베이스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41)는 페데스탈(240) 상부에 배치되어, 플로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들(110)이 안착되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부(242)가 헤드부(24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 가이드부(242)는 십자 방향으로 헤드부(241)상에 형성되어 헤드부(241) 상면을 4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4개의 구역 각각에 단위 패널들(110)이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 가이드부(242)는 헤드부(241) 상에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들(110)은 돌출된 안착 가이드부(2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헤드부(241)는 스트링거(260)와 페데스탈(240)을 연결하기 위한 스트링거 연결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스트링거(260)는 스트링거 연결부(244)를 통해 페데스탈(240)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링거 연결부(244)는 헤드부(241)로부터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243)는 헤드부(241)와 베이스부(245)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연결부(243)는 헤드부(241) 및 베이스부(245)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높이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243)는 헤드부(241) 및 베이스부(245)에 삽입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45)는 페데스탈(240)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베이스부(245)는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 안착되어 페데스탈(24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베이스부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수용 홀(247)이 베이스부(245) 상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수용 홀(247)을 통해 페데스탈(240)의 베이스부(245)와 보요소 브라켓(250)이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4개의 제1수용 홀(247)이 베이스부(24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 홀(247)의 길이 방향(즉,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방향)은 제1수용 홀(247)이 위치하는 보요소(210 및 220)의 연장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요소(210) 상에 위치하는 제1수용 홀(247)의 길이 방향은 제1보요소(210)의 연장 방향(즉, 제1방향(D1))과 수직일 수 있다. 4개의 제1수용 홀(247)이 베이스부(245) 상에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베이스부(245) 상에 제1방향(D1)을 따라 2개의 제1수용 홀이 형성되고, 제2방향(D2)을 따라 2개의 제1수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원형부(247a) 및 제1타원형부(247b)가 제1수용 홀(247)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원형부(247a)는 원의 형태이고, 제1타원형부(247b)는 타원의 형태이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원형부(247a)의 중심과 및 제1타원형부(247b)의 중심은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8에는 보요소 브라켓(250)의 상면, 측면 및 저면이 순서대로 나타나 있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수용 홀(251), 결합 핀(253) 및 안착부(255)가 보요소 브라켓(250)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수용 홀(251)은 페데스탈(240)과 보요소 브라켓(250)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4개의 제2수용 홀(2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 홀(251)의 길이 방향(즉,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방향)은 제2수용 홀(251)이 위치하는 보요소(210 및 22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요소(210) 상에 위치하는 제2수용 홀(251)의 길이 방향은 제1보요소(210)의 연장 방향(즉, 제1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4개의 제1수용 홀(251)이 형성되는 경우, 제1방향(D1)을 따라 2개의 제2수용 홀이 형성되고, 제2방향(D2)을 따라 2개의 제2수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원형부(251a) 및 제2타원형부(251b)가 제2수용 홀(25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원형부(251a)는 원의 형태이고, 제2타원형부(251b)는 타원의 형태이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원형부(251a)의 중심과 및 제2타원형부(251b)의 중심은 동일할 수 있다.
페데스탈(240)의 제1수용 홀(247)과 보요소 브라켓(250)의 제2수용 홀(251)을 통해 페데스탈(240)과 보요소 브라켓(25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핀(253)은 보요소 브라켓(25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핀(253)은 복수일 수 있고, 제2수용 홀(25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핀(253)은 보요소들(210 및 220)의 상부 홀들(215 및 225) 각각에 삽입되어 보요소 브라켓(250)이 보요소들(210 및 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안착부(255)는 보요소 브라켓(25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안착부(255)는 보요소 브라켓(250)의 하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면의 수직 방향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면에서 보요소 브라켓(250)을 바라볼 때, 안착부(255)는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안착부(255) 사이에 의해 형성된 홈(257)에 보요소들(210 및 220)의 몸체부(211 및 221)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안착부(255)는 보요소 브라켓이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 안착된 후, 보요소 브라켓(250)이 보요소들(210 및 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 페데스탈 및 보요소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보요소(210)의 제1날개부(213) 상에 제2보요소(220)의 제2날개부(223)가 안착된다. 이 때, 제1하부 홀(219) 및 제2하부 홀(229)이 정렬되도록 제1날개부(213) 상에 제2날개부(223)가 안착된다. 보요소 결합 볼트를 제1하부 홀(219) 및 제2하부 홀(229)에 관통시켜 제1날개부(213)와 제2날개부(223)를 결합한다. 제1날개부(213)와 제2날개부(223)가 결합되면,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상면의 높이는 동일해진다.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상면에 보요소 브라켓(250)을 안착시킨다. 이 때, 보요소 브라켓(250)의 결합 핀(253)이 보요소들(210 및 220)의 상부 홀들(215 및 225) 각각에 삽입되도록 그리고 보요소 브라켓(250)의 안착부(255)가 몸체부들(211 및 221) 각각에 안착되도록 정렬하여 보요소 브라켓(250)을 안착시킨다.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 페데스탈(240)을 안착시킨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수용 홀(247)과 제2수용 홀(251) 각각이 일대일 대응되도록 페데스탈(240)이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수용 홀(247)과 제2수용 홀(251)이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 페데스탈(240)이 안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페데스탈(240)의 제1원형부(247a)의 중심과 보요소 브라켓(250)의 제2원형부(251a)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 페데스탈(240)을 안착시킨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수용 홀(247)의 길이 방향(즉,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방향)과 대응되는 제2수용 홀(251)의 길이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페데스탈(240) 및 보요소 브라켓(250)은 페데스탈 연결부(270)를 통해 보요소들(210 및 220)에 고정될 수 있다.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페데스탈(240) 및 보요소 브라켓(250)을 관통하여 보요소들(210 및 220)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페데스탈(240)의 제1원형부(247a)를 관통하고, 보요소 브라켓(250)의 제2원형부(251a)를 관통하고, 보요소(210 및 220)의 슬라이딩 홈(217 및 227)에 결착될 수 있다.
페데스탈 연결부(270)가 페데스탈(240)의 제1수용 홀(247) 및 보요소 브라켓(250)의 제2수용 홀(251)을 관통함으로써 페데스탈(240)은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 마운트될 수 있다.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T형 헤드를 가지는 T형 볼트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페데스탈 연결부(270)의 T형 헤드의 길이(즉, 가장 큰 직경)는 제1원형부(247a)의 직경 및 제2원형부(251a)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제1수용 홀(247) 및 제2수용 홀(251)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 9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제1수용 홀(247)과 제2수용 홀(251)에 수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제1수용 홀(247)의 제1타원형부(247b)와 제2수용 홀(251)의 제2타원형부(251b)에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제1타원형부(247b)와 제2타원형부(251b)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페데스탈 연결부(270)가 페데스탈(240) 및 보요소 브라켓(250)을 관통하여 보요소들(210 및 220)에 결착된 후에도,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페데스탈(240)의 제1타원형부(247b) 및 보요소 브라켓의 제2타원형부(251b)를 통해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데스탈(240)의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서의 수평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데스탈 연결부(270)가 제1수용 홀(247)의 중심과 제2수용 홀(251)의 중심에 수용될 때의 페데스탈(240)의 위치를 기준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제1원형부(247a) 및 제2원형부(251a)에 수용될 수 있고, 이 때, 페데스탈(240)의 중심점과 보요소들(210 및 220)의 교차점이 일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240)은 도 10에 도시된 기준 위치로부터 전후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제2타원형부(251b)를 따라 제2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페데스탈(240)은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서 제2방향(D2)으로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제1타원형부(247b)를 따라 제1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페데스탈(240)은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서 제1방향(D1)으로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다.
비록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제2타원형부(251b)를 따라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고, 제1타원형부(247b)를 따라 제1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데스탈(240)은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서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으로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데스탈(240)과 보요소 브라켓(250)을 연결시키는 페데스탈 연결부(270)의 이동에 따라, 페데스탈(240)이 보요소 브라켓(250) 상에서 전후좌우로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설치 누적공차 또는 기타 시공상의 사유로 단위 패널들(110)의 교차점에 페데스탈(240)의 중앙이 위치하지 못하게되더라도, 페데스탈(240)의 위치를 쉽게 이동시킴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2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페데스탈(240)을 포함하므로, 지지 구조물(200)과 플로어 패널(100) 사이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데스탈(240) 및 보요소 브라켓(250)을 페데스탈 연결부(270)를 이용하여 보요소들(210 및 220)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지지 구조물(200)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데스탈 연결부(270)를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217 및 227) 상에 결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나사산을 보요소(210 및 220) 상에 가공하지 않더라도 쉽게 페데스탈(240)을 안착시킬 수 있어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플로어 패널 110: 단위 패널
200: 지지 구조물 210: 제1보요소
220: 제2보요소 230: 포스트

Claims (17)

  1. 플로어 패널이 안착되는 지지 구조물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연결하며, 제2수용 홀을 포함하는 보요소 브라켓; 및
    상기 보요소 브라켓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하며,
    상기 페데스탈은,
    상기 보요소 브라켓의 상부에 안착되고, 제1수용 홀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 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수용 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며,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제1수용 홀과 상기 제2수용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보요소 또는 상기 제2보요소에 결착되는 페데스탈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요소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요소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부 상에 안착되는,
    지지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는 제1하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날개부는 제2하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는 상기 제1하부 홀과 상기 제2하부 홀에 삽입되는 보요소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지지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는 제1상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부는 제2상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요소 브라켓은 상기 보요소 브라켓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홀 및 상기 제2상부 홀으로 삽입 가능한 결합 핀들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요소 브라켓은 상기 보요소 브라켓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를 상기 보요소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며, 높이 조절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보요소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보요소에 결합되어 상기 페데스탈, 상기 보요소 브라켓 및 상기 제1보요소를 연결하는,
    지지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T자형 헤드를 가지는 T형 볼트인,
    지지 구조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 홀은 제1원형부와 제1타원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원형부의 직경은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의 헤드의 길이 이상이고,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페데스탈이 상기 보요소 브라켓 상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타원형부 사이로 이동가능한,
    지지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요소는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제1수용 홀과 상기 제2수용 홀을 지나 상기 제1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 상에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페데스탈과 연결되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링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거는 상기 페데스탈과 함께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14. 플로어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은 복수의 단위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연결하며, 제2수용 홀을 포함하는 보요소 브라켓; 및
    상기 보요소 브라켓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단위 패널들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하며,
    상기 페데스탈은,
    상기 보요소 브라켓의 상부에 안착되고, 제1수용 홀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 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수용 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며,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제1수용 홀과 상기 제2수용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보요소 또는 상기 제2보요소에 결착되는 페데스탈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며, 높이 조절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보요소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보요소에 결합되어 상기 페데스탈, 상기 보요소 브라켓 및 상기 제1보요소를 연결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17. 삭제
KR1020190101938A 2019-08-20 2019-08-20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634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938A KR102634717B1 (ko) 2019-08-20 2019-08-20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US16/660,610 US10570626B1 (en) 2019-08-20 2019-10-22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suppor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938A KR102634717B1 (ko) 2019-08-20 2019-08-20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20A KR20210022820A (ko) 2021-03-04
KR102634717B1 true KR102634717B1 (ko) 2024-02-13

Family

ID=6959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938A KR102634717B1 (ko) 2019-08-20 2019-08-20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70626B1 (ko)
KR (1) KR102634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1350B1 (en) * 2019-02-18 2020-08-04 Yongzhi Yang Paver lockdown systems against wind uplift that work with regular pedestals
US10815654B2 (en) * 2019-03-26 2020-10-27 Tate Access Floors, Inc. Supplemental support structure for hot aisle/cold aisl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supplemental support for hot aisle/cold aisle forming apparatus
US11725413B2 (en) 2020-07-17 2023-08-15 Granite Industries, Inc. Elevated flooring system for clearspan tent
US11428015B2 (en) * 2020-09-03 2022-08-30 Wearwell, Llc Modular platform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TWI725922B (zh) * 2020-10-08 2021-04-21 陳鴻椿 地板架
CN114382250A (zh) * 2020-10-22 2022-04-22 陈鸿椿 一种地板架
KR102560760B1 (ko) 2022-11-21 2023-07-27 김선태 클린룸의 프레임 연결용 조인트 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39Y1 (ko) * 2001-01-06 2001-06-15 치엔 테 후앙 강 유닛용 기저부
KR200378489Y1 (ko) * 2004-12-07 2005-03-11 주식회사 해광 클린룸 바닥면의 개량형 지지로드
JP2011528095A (ja) * 2008-07-14 2011-11-10 ユーエスジー インテリア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格子t字部材の制御継手用の地震用クリップ
KR101945223B1 (ko) * 2017-02-10 2019-02-07 주식회사 해광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0460A (en) * 1960-09-16 1965-04-27 Liskey Aluminum Floor panel for elevated flooring
US4630417A (en) * 1984-02-13 1986-12-23 Collier William R Modular combination floor support and electrical isolation system for use in building structures
US5477649A (en) * 1993-04-30 1995-12-26 Airtite Contractors Inc. Raised floor cable trough system
US5791096A (en) * 1997-03-07 1998-08-11 Chen; Kingbow Raised floor supporting structure
DE10100399A1 (de) * 2001-01-05 2002-07-11 Chien-Teh Huang Stahltragwerk
KR20100135991A (ko) 2009-06-18 2010-12-28 김상훈 클린룸의 바닥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의 억세스 플로어의 설치방법
KR101620044B1 (ko) * 2014-07-16 2016-05-12 주식회사 해광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39Y1 (ko) * 2001-01-06 2001-06-15 치엔 테 후앙 강 유닛용 기저부
KR200378489Y1 (ko) * 2004-12-07 2005-03-11 주식회사 해광 클린룸 바닥면의 개량형 지지로드
JP2011528095A (ja) * 2008-07-14 2011-11-10 ユーエスジー インテリア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格子t字部材の制御継手用の地震用クリップ
KR101945223B1 (ko) * 2017-02-10 2019-02-07 주식회사 해광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70626B1 (en) 2020-02-25
KR20210022820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717B1 (ko)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0923637B1 (ko)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
KR20210069777A (ko)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180040609A (ko) 모듈러 빌딩용 커넥터
US10047528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ccess floor panel
US10920430B1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support structure
JP5912099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KR101833293B1 (ko)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포스트
KR102314464B1 (ko)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JP2016138426A (ja) 高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ドア装置
KR102007622B1 (ko) 고하중 면진 이중마루
KR101689183B1 (ko) 가변 경사에 적응적인 하이브리드 난간 구조물,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KR20140119572A (ko) 울타리
CN104947868B (zh) 一种悬挑片装式栏杆立柱的底座
CN211257890U (zh) 一种插接式组合防护栏
KR20070010089A (ko)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JP2000128457A (ja) 階段昇降機用レールの取付構造
KR102621561B1 (ko)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JP5133184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CN110761461A (zh) 一种可调平的横梁连接结构
KR102442982B1 (ko) 안정성이 확보된 내진형 조립식 지붕 트러스 연결장치
CN219241191U (zh) 一种装配式架空地板安装结构
KR20180003026U (ko) 파티션 체결 장치
CN214090783U (zh) 一种新型架空地板支撑装置
KR20210091467A (ko) 내진형 이중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