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561B1 -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 Google Patents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561B1
KR102621561B1 KR1020230092720A KR20230092720A KR102621561B1 KR 102621561 B1 KR102621561 B1 KR 102621561B1 KR 1020230092720 A KR1020230092720 A KR 1020230092720A KR 20230092720 A KR20230092720 A KR 20230092720A KR 102621561 B1 KR102621561 B1 KR 10262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upport
base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조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솔라
Priority to KR102023009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38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to be placed o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구조물의 지주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즉,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베이스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의 내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밀접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측면에 상기 제1베이스판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지주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베이스판과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제2베이스판으로 구성됨으로써, 지주의 하부와 밀착성이 향상되고,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주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절곡을 통해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시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Base for fixing facility support}
본 발명은 기초구조물의 지주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즉,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베이스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의 내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밀접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측면에 상기 제1베이스판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지주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베이스판과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제2베이스판으로 구성됨으로써, 지주의 하부와 밀착성이 향상되고,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주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절곡을 통해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시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초구조물은 난간 또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 미리 시공되는 것으로, 통상 수직형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설물의 일예로, 난간은 바닥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 복수 개의 베이스에 각각 조립되는 복수 개의 지주, 복수 개의 지주 중앙을 연결하는 가드레일 및 복수 개의 지주 상단을 연결하여 손으로 잡아 몸을 지탱하면서 걷거나 오르내리도록 안내하는 핸드레일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난간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34390호에는 기초볼트로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사각의 끼움홈이 형성된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끼움홈으로 상기 지주의 하단부 외면 절반이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제1 가이드월, 상기 제1 가이드월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서포트탭홀이 전면에 형성된 제1 서포트블록을 포함하는 고정베이스; 상기 고정베이스의 제1 가이드월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지주의 하단부 외면의 나머지 절반이 상기 끼움홈으로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월, 상기 제2 가이드월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탭홀에 연통되도록 제2 볼트홀이 형성된 제2 서포트블록을 포함하는 사이드가드; 상기 사이드가드를 상기 고정베이스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서포트블록의 제2 볼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서포트탭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난간 지주의 베이스부재를 개시하고 있다.
시설물의 다른 일예로, 태양광 발전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된 기초콘크리트에 태양광 발전모듈의 하부에 결합된 지주를 고정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주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통해 기초콘크리트에 고정하게 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에는 앵커볼트가 매립된 상태로 시공되며, 상기 앵커볼트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적용하여 지주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7408호에는 상단에 태양광 발전모듈이 고정된 지주의 하단을 수용하여 고정하고, 바닥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의 앵커볼트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된 태양광 발전모듈 지주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고정공들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일면과 상기 일면과 연접된 양측면의 일부를 수용하여 끼움결합하는 끼움홈을 가지는 고정브라켓들을 가지는 한 쌍의 조립블록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모듈 지주의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지주의 하부를 고정하는 베이스는 규격화된 지주의 하부는 견고하게 고정되나, 제조시 규격에 오차가 발생된 지주와 들뜨는 현상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한 쌍의 베이스를 이용하여도 볼트에 의해 지주와 밀접되는 브라켓의 정면과 후면 또는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밀착되어 마찬가지로 지주와 들뜨는 현상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34390호(2023.05.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7408호(2018.01.2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기초시설물의 지주를 고정하는 베이스는 규격화된 지주의 하부는 견고하게 고정하나, 제조시 규격에 오차가 발생된 지주와 들뜨는 현상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쌍의 베이스를 이용하여도 볼트에 의해 지주와 밀접되는 브라켓의 정면과 후면 또는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밀착되어 마찬가지로 지주와 들뜨는 현상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제1베이스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의 내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측면에 상기 제1베이스판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지주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구비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판과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제2베이스판으로 구성됨으로써, 지주의 하부와 밀착성이 향상되어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견고하게 지주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절곡을 통해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시설물의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10)를 고정하는 베이스에 있어서, "ㄱ" 형태의 제1베이스판(100);과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제2베이스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은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판(110)(210);과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10)와 결합되는 제2지지판(120)(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지지판(110)(210)은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의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120)(220)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절곡되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외측면 또는 제2지지판(120)(220)의 외측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의 상부면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브라켓(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는 내측면이 연장형성되도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30)(230);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지 않는 내측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대향면(140)(2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130)(230)의 내측면 또는 대향면(140)(240)은 상기 대향면(140)(240) 또는 상기 돌출부(130)(230)의 내측면과 대향되되,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돌출부(130)(230)는 내측면에 형성되고, 오른 암나사산 또는 왼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당김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향면(140)(240)은 상기 제1당김홈(132)과 대응되고, 왼 암나사산 또는 오른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당김홈(1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시설물 고정용 베이스는 상기 제1당김홈(132)과 제2당김홈(142)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양쪽나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제2지지판(120)(220)의 하부면에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는 제1베이스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과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제2베이스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과 제2베이스판 각각의 점대칭 되는 위치에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지주의 하부에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이 밀접되어 지주와의 들뜸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주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지주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프레스 절단기를 이용하여 제1베이스판 또는 제2베이스판을 제조함으로써,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지주를 고정한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a) 및 평면도(b).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베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제1,2베이스의 전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베이스의 지지판의 다양한 형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a) 및 평면도(b).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베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제1,2베이스의 전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a) 및 평면도(b).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베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의한 베이스를 나타낸 투영 평면도.
본 발명은 기초구조물의 지주(10)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즉,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초콘크리트 등의 지면(이하, '바닥'이라 통칭한다.)에 안착되어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제1베이스판(100)과,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제2베이스판(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 각각에 점대칭되는 위치에 제1지지판(110)(210)과 제2지지판(120)(220)이 형성되도록 하여 지주(10)의 하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주(10)와의 들뜸현상과 지주(10)의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상기 지주(1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지지판(110)(210)과 제2지지판(120)(220)을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시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는 시설물의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10)를 고정하는 베이스에 있어서, "ㄱ" 형태의 제1베이스판(100);과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제2베이스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은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판(110)(210);과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10)와 결합되는 제2지지판(120)(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지지판(110)(210)은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의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120)(220)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절곡되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외측면 또는 제2지지판(120)(220)의 외측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의 상부면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브라켓(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는 내측면이 연장형성되도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30)(230);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지 않는 내측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대향면(140)(2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130)(230)의 내측면 또는 대향면(140)(240)은 상기 대향면(140)(240) 또는 상기 돌출부(130)(230)의 내측면과 대향되되,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돌출부(130)(230)는 내측면에 형성되고, 오른 암나사산 또는 왼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당김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향면(140)(240)은 상기 제1당김홈(132)과 대응되고, 왼 암나사산 또는 오른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당김홈(1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시설물 고정용 베이스는 상기 제1당김홈(132)과 제2당김홈(142)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양쪽나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제2지지판(120)(220)의 하부면에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이하, '베이스'라 한다.)는 시설물의 기초구조물의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10)를 바닥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10)에 밀접되어 상기 지주(10)와 들뜸이 없어야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주(10)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1베이스판(100)은
"ㄱ"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에 복수 개의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장공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베이스판(10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지지판(110)이 내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제1베이스판(100)의 내측면은 도 5에 도시된 평면도를 기준으로 내측면 후방과 내측면 우측방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판(10)은 상기 제1베이스판(100)의 내측면 후방 또는 내측면 우측방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2베이스판(200)은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마찬가지로 바닥에 복수 개의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장공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베이스판(200)은 상기 제1베이스판(100)에 형성되는 제1지지판(110)과 점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내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제2베이스판(200)의 내측면은 도 5에 도시된 평면도를 기준으로 내측면 전방과 내측면 좌측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판(210)은 상기 제2베이스판(200)의 내측면 전방 또는 내측면 좌측방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은 후방 또는 전방에 위치한 내측면과 측방에 위치한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홈(150)(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격홈(150)(25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지 않은 내측면을 포함하는 후방 또는 전방 또는 측방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주(10)의 하부가 보다 유연하게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의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지 않은 내측면을 포함하는 후방 또는 전방 또는 측방을 상기 지주(10)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보다 견고하게 상기 지주(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지지판(110)(210)은 상기 제1베이스판(100)의 어느 하나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00)의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지주(10)의 하부 어느 하나의 측면과 밀접되어 상기 지주(10)의 하부가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지지판(110)(210)은 상기 제1베이스판(100)의 어느 하나의 내측면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시 프레스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과 일체화된 상태로 쉽게 제조된 후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지주(10)의 하부를 고정하는데 있어 불필요한 부위를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제2지지판(120)(220)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지주(10)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판(110)(2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지주(10)의 하부 어느 하나의 측면과 밀접되어 상기 지주(10)의 하부가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주(10)의 하부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판(120)(220)과 지주(10) 하부의 결합은 상기 지주(10)와 상기 제2지지판(120)(220)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결합볼트(도면 미표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주(10)는 하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홀(도면 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120)(220)은 상기 지주(10)의 결합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결합홀(도면 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홀과 고정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볼트가 설치됨에 따라 지주(10)와 제2지지판(120)(220)이 견고하게 밀접되며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제2지지판(120)(220)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절곡되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제1지지판(110)(210)과 함께 제조시 프레스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지지판(110)(210)과 일체화된 상태로 쉽게 제조된 후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지주(10)의 하부를 고정하는데 있어 불필요한 부위를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베이스는 제1지지판(110)(210)과 제2지지판(120)(220)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지주(10)의 하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주(10)와 견고하게 밀접되어 상기 지주(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제조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베이스는 상기 제2지지판(120)(220)이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보강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제2지지판(120)(220)의 하부면에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밀접되어 지지되는 보강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판(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형성되는 제2지지판(120)(220)의 하부가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지지판(120)(220)이 지주(10)의 하부 측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접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주(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2지지판(120)(220)의 길이는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을 벗어나지 않는 길이면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관통홀의 내측까지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의한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바닥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베이스는 제2지지판(120)(220) 뿐만 아니라 제1지지판(110)(210)도 지주(1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지주(10)는 복수 개의 결합홀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결합홀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즉, 상기 결합홀이 측방향으로 형성되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결합홀(도면 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판(110)(210)은 상기 지주(10)의 하부결합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고정결합홀(도면 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결합홀과 하부고정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볼트가 설치됨에 따라 지주(10)와 제1지지판(110)(210)이 견고하게 밀접되며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베이스는 상기 제1지지판(110)(210) 또는 제2지지판(120)(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지주(10)의 하부와 결합볼트를 통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베이스는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외측면 또는 제2지지판(120)(220)의 외측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의 상부면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브라켓(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브라켓(400)은 측단면이 "ㄴ"자 형태로 상부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외측면 또는 제2지지판(120)(220)의 외측면에 상부 외측면이 결합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판(110)(210) 또는 제2지지판(120)(220)에 의하여 지주(10)의 하부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베이스는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으로 구성된 한 쌍이 지주(10)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의 내측면이 밀접되는 경우 상기 지주(10)의 하부 외측면에 제1지지판(110)(210)과 제2지지판(120)(220)이 견고하게 밀접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의 내측면이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베이스는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으로 구성된 한 쌍이 지주(10)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을 상기 지주(10)의 내측방향으로 강하게 밀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는 내측면이 연장형성되도록 외측방향 즉, 상기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는 내측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30)(230)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지 않는 내측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대향면(140)(2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130)(230)의 내측면 또는 대향면(140)(240)은 상기 대향면(140)(240) 또는 상기 돌출부(130)(230)의 내측면과 대향되되,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시 말해 상기 제1베이스판(100)의 돌출부(130)(230)의 내측면은 상기 제2베이스판(200)의 대향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의 대향면(140)(240)은 상기 제2베이스판(200)의 돌출부(130)(23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돌출부(130)(230)는 내측면에 형성되고, 내경에 오른 암나사산 또는 왼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당김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향면(140)(240)은 상기 제1당김홈(132)과 대응되고, 왼 암나사산 또는 오른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당김홈(1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베이스는 상기 제1당김홈(132)과 제2당김홈(142)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양쪽나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양쪽나사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지주(10)의 내측방향으로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이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제1지지판(110)(210)과 제2지지판(120)(220)이 지주(10)에 보다 견고하게 밀접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베이스는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이 바닥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1지지판(110)(210)과 제2지지판(120)(220)이 지주(10)에 결합되면 상기 제2지지판(120)(220)의 하부와 제1베이스판(100)의 상부면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상부면과의 사이를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는 제조시 프레스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을 제조함과 동시에 제1지지판(110)(210)과 제2지지판(120)(220)을 함께 제조하고, 이후 상기 제1지지판(110)(210)과 제2지지판(120)(220)을 절곡하여 성형함으로써, 불필요한 면적을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지지판(110)(210)과 제2지지판(120)(220)을 각각 구비하는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이 점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시공이 용이하며 지주(10)의 하부 외측에 보다 견고하게 밀접되어 상기 지주(10)와의 사이가 들뜨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지주(10)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지주
100 : 제1베이스판
110, 210 : 제1지지판
120, 220 : 제2지지판
130, 230 : 돌출부
132 : 제1당김홈
140, 240 : 대향면
142 : 제2당김홈
150, 250 : 유격홈
200 : 제2베이스판
300 : 보강판
400 : 보강브라켓
500 : 양쪽나사

Claims (6)

  1. 시설물의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10)를 고정하는 베이스에 있어서,
    "ㄱ" 형태의 제1베이스판(100);과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점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제2베이스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은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판(110)(210);과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지주(10)와 결합되는 제2지지판(120)(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판(110)(210)은
    상기 제1베이스판(100)과 제2베이스판(200)의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120)(220)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절곡되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는 내측면이 연장형성되도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30)(230);와
    상기 제1지지판(110)(210)이 형성되지 않는 내측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대향면(140)(2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130)(230)의 내측면 또는 대향면(140)(240)은
    상기 대향면(140)(240) 또는 상기 돌출부(130)(230)의 내측면과 대향되되,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은
    후방 또는 전방에 위치한 내측면과 측방에 위치한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홈(150)(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는
    상기 제1지지판(110)(210)의 외측면 또는 제2지지판(120)(220)의 외측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00)의 상부면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브라켓(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0)(230)는
    내측면에 형성되고, 오른 암나사산 또는 왼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당김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향면(140)(240)은
    상기 제1당김홈(132)과 대응되고, 왼 암나사산 또는 오른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당김홈(1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는
    상기 제1당김홈(132)과 제2당김홈(142)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양쪽나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제2지지판(120)(220)의 하부면에 상기 제1베이스판(100) 또는 제2베이스판(2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1020230092720A 2023-07-17 2023-07-17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102621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720A KR102621561B1 (ko) 2023-07-17 2023-07-17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720A KR102621561B1 (ko) 2023-07-17 2023-07-17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561B1 true KR102621561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720A KR102621561B1 (ko) 2023-07-17 2023-07-17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5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640A (ja) * 2000-12-13 2006-11-09 Mizushima General Service Kk 金属管柱基部構造体
KR20180007408A (ko) 2016-07-13 2018-01-23 주식회사 미소에너지 태양광 발전모듈 지주의 고정장치
KR20190094891A (ko) *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솔라테크 포스트용 분할형 지지장치
KR102017846B1 (ko) * 2018-12-08 2019-09-03 채기원 태양광모듈의 지주 베이스 구조
KR102237448B1 (ko) * 2020-04-02 2021-04-07 주식회사 아하 분리형 가변식 지주 고정장치, 이를 구비한 지주 및 그 설치방법
KR102534390B1 (ko) 2022-07-07 2023-05-26 최창훈 난간 지주의 베이스부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640A (ja) * 2000-12-13 2006-11-09 Mizushima General Service Kk 金属管柱基部構造体
KR20180007408A (ko) 2016-07-13 2018-01-23 주식회사 미소에너지 태양광 발전모듈 지주의 고정장치
KR20190094891A (ko) *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솔라테크 포스트용 분할형 지지장치
KR102017846B1 (ko) * 2018-12-08 2019-09-03 채기원 태양광모듈의 지주 베이스 구조
KR102237448B1 (ko) * 2020-04-02 2021-04-07 주식회사 아하 분리형 가변식 지주 고정장치, 이를 구비한 지주 및 그 설치방법
KR102534390B1 (ko) 2022-07-07 2023-05-26 최창훈 난간 지주의 베이스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0538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зел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анелей крыши
KR200491809Y1 (ko) 교량 점검통로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2066660B1 (ko) 프레임의 호환성을 향상시킨 막 구조물
KR102621561B1 (ko)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JP3798420B1 (ja) 鉄骨・鉄筋補強型乾式ブロック組積工法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KR101978360B1 (ko) 개량형 난간의 결합구조
KR10255357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용 접합박스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52076B1 (ko) 천정 구조물용 트러스
CN212224685U (zh) 一种具有多重调距机构的阶梯式调平机构
CN114135031A (zh) 竖向隐索的拉索玻璃幕墙系统及其施工方法
CN211286749U (zh) 装配式建筑施工临边防护结构
JP6077241B2 (ja) 屋内階段および段板固定金具
CN111910858A (zh) 新型扶手后装式防护装置及方法
KR101060165B1 (ko) 교량난간용 지주앙카박스
KR200294360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JPS5820043Y2 (ja) フエンスのレ−ルと支柱の連結装置
CN218856781U (zh) 装配式拼装胎架
KR102178456B1 (ko) 알루미늄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CN214423579U (zh) 一种装配式建筑用新型连接结构
CN215977688U (zh) 阳光房梁柱连接结构
KR102594889B1 (ko)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CN211923001U (zh) 一种装配式建筑的组合连接模块及其组合板体结构
JP2001207693A (ja) 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