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464B1 -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464B1
KR102314464B1 KR1020190118362A KR20190118362A KR102314464B1 KR 102314464 B1 KR102314464 B1 KR 102314464B1 KR 1020190118362 A KR1020190118362 A KR 1020190118362A KR 20190118362 A KR20190118362 A KR 20190118362A KR 102314464 B1 KR102314464 B1 KR 10231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element
pedestal
base
support structur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453A (ko
Inventor
김면수
김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19011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4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플로어 패널이 안착되는 지지 구조물이 개시된다. 지지 구조물은,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제1보요소와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및 포스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SUPPORT STRUCTURE FOR SUPPRO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THE SUPPORTING STRUCTURE}
본 개시는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바닥 시스템에서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중 바닥(access floor) 시스템은 기초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마루(플로어)를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기초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플로어 패널 및 상기 플로어 패널을 기초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중 바닥 시스템은 고도의 정밀도와 집적도를 요구받는 반도체의 제조를 위한 반도체 제조실, 의약품 연구실, 유전자공학 연구실 등과 같은 클린룸에 이용되며, 플로어 패널과 기초 바닥 사이의 공간에는 각종 장비 또는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서 플로어 패널과 기초 바닥 사이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페데스탈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플로어 패널이 안착되는 지지 구조물은,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제1보요소와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및 포스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플로어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은, 상기 플로어 패널은 복수의 단위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제1보요소와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및 포스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페데스탈을 포함하므로, 지지 구조물과 플로어 패널 사이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은 보요소들 상에 페데스탈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가공하지 않더라도 쉽게 페데스탈을 보요소들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상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베이스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과 보요소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이동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바닥 시스템(10)은 플로어 패널(100) 및 지지 구조물(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100)은 클린룸 또는 전산실 등에 사용되는 바닥재를 의미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200)에 의해 기초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은 복수의 단위 패널들(11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단위 패널들(110)은 지지 구조물(200) 상에 격자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이중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200)은 지지 구조물(200) 상에 안착된 플로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200)은 기초 바닥 상에 설치되어 플로어 패널(100)을 상기 기초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일정 간격은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110)의 한 변의 길이를 초과할 수 잇다.
지지 구조물(200)은 제1보요소(210), 제2보요소(220) 및 포스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서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 개의 제1보요소(210)가 제1방향(D1)으로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보요소(220)가 제2방향(D2)으로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이 때, 제1보요소(210)들의 배치 간격과 제2보요소(220)들의 배치 간격은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110)의 길이(또는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요소(210)의 상면과 제2보요소(220)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에 속할 수 있다.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알루미늄 압출 방식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단면 형상에 대한 제약이 적으며, 이에 따라 보요소들(210 및 220)의 무게가 경량화되고 및 제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는 H형강, L형강 및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형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스트(230)는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와 결합되어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스트(230)는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교차 부분의 아래에서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스트(230)의 높이는 플로어 패널(100)의 설계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플로어 패널(100)이 제거된 상태의 지지 구조물(200)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지지 구조물(200)은 페데스탈(240) 및 스트링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데스탈(240)은 포스트(230) 상에 안착되고, 플로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은 페데스탈(24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110)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될 때, 페데스탈(240)은 단위 패널들(110)의 교차점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4개의 단위 패널들(110)은 하나의 페데스탈(240)상에 안착될 수 있다.
페데스탈(240)은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이 조절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데스탈(240)에 의해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 사이의 뒤틀림이 감소하고,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 사이의 결속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스트링거(250)는 페데스탈(240)과 연결되어 플로어 패널(100)을 페데스탈(240)과 함께 지지함으로써, 페데스탈(240)의 수평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스트링거(250)는 제1보요소(210)와 동일한 방향(즉, 제1방향(D1)) 및 제2보요소(220)와 동일한 방향(즉, 제2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고, 플로어 패널(100)은 스트링거(2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링거(250)는 인접한 페데스탈(240)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페데스탈(240)의 수평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보요소(210)는 제1몸체부(211) 및 제1날개부(21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보요소(220)는 제2몸체부(221) 및 제2날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부(211)는 제1상부 홀(215)과 제1홈(217)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상부 홀(215)과 제1홈(217)은 제1몸체부(211)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상부 홀(215)은 제1몸체부(2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상부 홀(215)은 제1몸체부(211)의 상면의 중심선(예컨대, 제1방향으로의 중심선) 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홈(217)은 제1몸체부(2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217)은 제1보요소(2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홈(217)은 제1몸체부(211)의 상면의 중심선(예컨대, 제1방향으로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날개부(213)는 제1몸체부(211)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1몸체부(211) 하부에서 제1몸체부(211)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날개부(213)는 제1몸체부(211)의 폭 방향을 따라 제1몸체부(211)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날개부(213)는 제1하부 홀(2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 홀(219)은 제1날개부(2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하부 홀(219)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제1하부 홀(219)들은 제1몸체부(211)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날개부(213)가 2개의 제1하부 홀(219)들을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제1하부 홀(219)들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는 제1몸체부(211)를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2몸체부(221)는 제2상부 홀(225)과 제2홈(227)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상부 홀(225)과 제2홈(227)은 제2몸체부(221)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상부 홀(225)은 제2몸체부(22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상부 홀(225)은 제2몸체부(221)의 상면의 중심선(예컨대, 제2방향으로의 중심선) 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홈(227)은 제2몸체부(22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27)은 제2보요소(22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홈(227)은 제2몸체부(221)의 상면의 중심선(예컨대, 제2방향으로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날개부(223)는 제2몸체부(221)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2몸체부(221) 하부에서 제2몸체부(221)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날개부(223)는 제2몸체부(221)의 폭 방향을 따라 제2몸체부(221)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날개부(223)는 제2하부 홀(2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부 홀(229)은 제2날개부(22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하부 홀(229)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제2하부 홀(229)들은 제2몸체부(221)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날개부(223)가 2개의 제1하부 홀(229)들을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제2하부 홀(229)들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는 제2몸체부(221)를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1보요소(210)와 제2보요소(220)는 하부 홀들(219 및 229)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하부 홀(219) 및 제2하부 홀(229)을 기준으로 제1보요소(210)의 제1날개부(213) 상에 제2보요소(220)의 제2날개부(223)가 안착되고, 보요소 연결 부재가 제1하부 홀(219) 및 제2하부 홀(229)을 관통하여 포스트(230)에 결합됨으로써 제1보요소(210)와 제2보요소(2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요소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요소들(210 및 220)의 상면 중 상부 홀들(215 및 225)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보요소들(210 및 220)은 중앙부와 주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앙부의 두께는 상기 주변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즉, 보요소들(210 및 220)의 상면은 중앙부가 주변부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두께의 차이로 인해,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 상부 홀들(215 및 225)이 형성되더라도 보요소들(210 및 220)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보요소들(210 및 220)은 내벽들(L1 및 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벽(L1)은 제1보요소(21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내벽(L2)은 제2보요소(22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내벽들(L1 및 L2) 각각은 보요소들(210 및 220) 각각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벽들(L1 및 L2)은 보요소들(210 및 220)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보요소들(210 및 2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내벽들(L1 및 L2)은 보요소들(210 및 220)이 압출 방식에 따라 제조될 때, 상기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축 및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제1보요소(210)의 제1날개부(213) 상에 제2보요소(220)의 제2날개부(223)가 안착되어 결합되므로, 제1보요소(210)의 높이(H11)는 제2보요소(220)의 높이(H21)보다 클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보요소(210)의 제1높이(H11)는 제1몸체부(211)의 높이(H12)와 제1날개부(213)의 높이(H13)의 합일 수 있고, 제2보요소(220)의 높이(H21)는 제1보요소(210)의 제1몸체부(211)의 높이(H12)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요소(210) 상에 제2보요소(220)가 안착되어 결합되더라도 제1보요소(210)의 상면과 제2보요소(220)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포함되고 이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페데스탈(240)은 헤드부(241), 연결부(243) 및 베이스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41)는 페데스탈(240) 상부에 배치되어, 플로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들(110)이 안착되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부(241a)가 헤드부(24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 가이드부(241a)는 십자 방향으로 헤드부(241)상에 형성되어 헤드부(241) 상면을 4개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구획된 4개의 구역 각각에는 단위 패널들(110)이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 가이드부(241a)는 헤드부(241) 상에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플로어 패널(100)의 단위 패널들(110)은 돌출된 안착 가이드부(24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헤드부(241)는 스트링거(250)와 페데스탈(240)을 연결하기 위한 스트링거 연결부(241b)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스트링거(250)는 스트링거 연결부(241b)를 통해 페데스탈(240)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링거 연결부(241b)는 헤드부(241)로부터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243)는 헤드부(241)와 베이스부(245)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연결부(243)는 헤드부(241) 및 베이스부(245)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높이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243)는 헤드부(241) 및 베이스부(245)에 삽입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45)는 페데스탈(240)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베이스부(245)는 포스트(230) 상에 안착되어 페데스탈(24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상면을 나타내고,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베이스부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베이스 너트들(247a)이 베이스부(24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베이스 너트들(247a)은 베이스부(245) 상에 형성된 개구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너트들(247a)은 베이스부(245)의 하면을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개구일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 볼트들(247b)은 복수의 베이스 너트들(247a)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베이스 볼트들(247b)은 회전 결합을 통해 베이스 너트들(247a)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너트들(247a) 및 베이스 볼트들(247b) 각각은 나사산을 포함하고, 베이스 볼트들(247b)은 z축(예컨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과 수직인 방향)방향으로 360도 회전하여 베이스 너트들(247a)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너트들(247a) 및 베이스 볼트들(247b)은 원형일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너트(247a) 및 베이스 볼트(247b) 한 쌍은 베이스 결합체(247)로 지칭될 수 있다. 베이스 결합체(247)는 보요소들(210 및 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4개의 베이스 결합체(247)들이 베이스부(245) 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베이스 결합체(247)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4개의 베이스 결합체(247)가 베이스부(245) 상에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베이스부(245) 상에 제1방향(D1)을 따라 2개의 슬롯 결합체가 연결부(243)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제2방향(D2)을 따라 2개의 슬롯 결합체가 연결부(243)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결합체(247)를 통해 페데스탈(240)의 베이스부(245)와 보요소들(210 및 220)이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베이스 결합체(247)는 보요소들(210 및 220)의 상면에 안착되어 보요소들(210 및 220)과 페데스탈(24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슬롯(249)은 베이스 볼트(247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슬롯(249)은 베이스 볼트(247b) 상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슬롯(249)은 베이스 볼트(247b) 상에 형성된 타원형의 장공일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너트(247a)와 베이스 볼트(247b)가 회전 결합 가능한 경우, 슬롯(249)은 베이스 볼트(247b)가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볼트(247b)가 원형일 때, 슬롯(249)은 베이스 볼트(247b)의 지름을 중심으로 대칭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과 보요소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보요소(210)의 제1날개부(213) 상에 제2보요소(220)의 제2날개부(223)가 안착된다. 이 때, 제1하부 홀(219) 및 제2하부 홀(229)이 정렬되도록 제1날개부(213) 상에 제2날개부(223)가 안착된다. 보요소 결합 볼트를 제1하부 홀(219) 및 제2하부 홀(229)에 관통시켜 제1날개부(213)와 제2날개부(223)를 결합한다. 제1날개부(213)와 제2날개부(223)가 결합되면,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상면의 높이는 동일해진다.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상면에 페데스탈(240)을 안착시킨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페데스탈(240)의 베이스 결합체(247) 각각이 보요소들(210 및 220) 각각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페데스탈(240)이 안착될 수 있다. 페데스탈(240)이 제1보요소(210) 및 제2보요소(220)의 상면에 안착될 때, 베이스 너트(247a)와 베이스 볼트(247b)는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베이스 결합체(247)의 베이스 너트(247a)의 개구 내에 상부 홀들(215 및 225)가 위치하도록 페데스탈(240)이 보요소들(210 및 2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슬롯(249)과 상부 홀들(215 및 225)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페데스탈(240)이 보요소들(210 및 2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보요소들(210 및 220)과 페데스탈(240)은 페데스탈 연결부(27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페데스탈(240)을 관통하여 보요소들(210 및 2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페데스탈(240)의 슬롯(249)을 관통하고, 보요소(210 및 220)의 상부 홀(215 또는 225)에 결착될 수 있다.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슬롯(249)을 관통하여 상부 홀(215 또는 225)에 결착될 수 있는 임의의 부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페데스탈(240)의 슬롯(249)을 통해 페데스탈 연결부(270)가 삽입됨으로써 페데스탈(240)과 보요소들(210 및 220)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로어 패널(100)의 중력방향 하중에 따른 보요소들(210 및 220)의 변형 및 뒤틀림이 저감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페데스탈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슬롯(249) 및 상부 홀(215 또는 225)에 수용될 수 있다. 비록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지 않았으나,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상부 홀(215 또는 225)에 삽입되어 보요소(210 및 220)에 고정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슬롯(249)과 상부 홀(215 또는 225)을 관통하여 보요소(210 또는 220)에 결합될 수 있다.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슬롯(249)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슬롯(249)에 수용될 수 있고, 상부 홀들(215 및 225)과는 고정되어 이동 불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페데스탈(240)은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서 슬롯(249)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슬롯(249)은 베이스 볼트(247b) 상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상기 개구를 따라 슬롯(249)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상부 홀들(215 및 225)에 삽입되어 상부 홀들(215 및 225)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부 홀들(215 및 225)과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이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되나, 슬롯(249)은 상기 개구의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페데스탈(240)은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페데스탈(240)은 슬롯(249)에 형성된 개구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페데스탈 연결부(270)가 페데스탈(240)과 상부 홀들(215 및 225)을 관통하여 보요소들(210 및 220)에 결착된 후에도, 페데스탈(240)은 슬롯(249)의 길이 방향을따라 슬롯(249)의 범위를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페데스탈(240)의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서의 이동 범위는 슬롯(249)에 형성된 개구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슬롯(249)의 개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페데스탈(240)의 이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슬롯(249)은 베이스 볼트(247b) 상에 형성되며, 베이스 볼트(247b)가 회전 가능하므로, 슬롯(249) 또한 베이스 볼트(247b)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슬롯(249)이 회전됨에 따라 페데스탈(240)의 이동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예컨대, 슬롯(249)이 90도 회전하는 경우, 페데스탈(240)의 이동 방향 또한 90도 회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페데스탈(240)은 보요소들(210 및 220)의 상면 상에서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페데스탈(240)과 보요소들(210 및 220)의 상호 결합 안정성이 확보되면서 동시에 페데스탈(240)의 이동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홀들(215 및 225)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페데스탈(240)의 수평 변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페데스탈 연결부(270)가 베이스 볼트(247b) 또는 슬롯(249)의 중심에 위치할 때의 페데스탈(240)의 위치를 기준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준 위치에서 페데스탈(240)의 중심점과 보요소들(210 및 220)의 교차점이 일치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페데스탈(240)은 도시된 기준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슬롯(249)의 중심으로부터 제2방향(D2)으로 이동된 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데스탈(240)은 제2방향(D2)과 반대방향, 즉, 도 9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볼트(247b)는 도 9의 베이스 볼트(247b)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슬롯(249)의 중심으로부터 제1방향(D1)으로 이동된 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페데스탈(240)은 제2방향(D2)과 반대방향, 즉, 도 10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볼트(247b)는 도 9의 베이스 볼트(247b)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미만 만큼(예컨대, 45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슬롯(249)의 중심으로부터 제3방향(D3)으로 이동된 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데스탈(240)은 제3방향(D3)과 반대방향, 즉, 도 11을 기준으로 우상향으로 이동되어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2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페데스탈(240)을 포함하므로, 지지 구조물(200)과 플로어 패널(100) 사이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데스탈(240)과 보요소들(210 및 220)을 연결시키는 페데스탈 연결부(270)의 이동에 따라, 페데스탈(240)이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서 모든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설치 누적공차 또는 기타 시공상의 사유로 단위 패널들(110)의 교차점에 페데스탈(240)의 중앙이 위치하지 못하게되더라도, 페데스탈(240)의 위치를 쉽고 다양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데스탈(240)을 페데스탈 연결부(270)를 이용하여 보요소들(210 및 220)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지지 구조물(200)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구조물 없이 페데스탈 연결부(270)를 이용하여 페데스탈(240)과 보요소들(210 및 2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페데스탈(240)을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 쉽게 안착시킬 수 있어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페데스탈 연결부(270)는 페데스탈(240)의 베이스 볼트(247b)에 형성된 슬롯(249)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 페데스탈 연결부(270)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가공하지 않더라도 쉽게 페데스탈(240)을 보요소들(210 및 220)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플로어 패널 110: 단위 패널
200: 지지 구조물 210: 제1보요소
220: 제2보요소 230: 포스트

Claims (16)

  1. 플로어 패널이 안착되는 지지 구조물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하고,
    상기 페데스탈은,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며, 높이 조절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고 개구를 포함하는 베이스 너트; 및
    상기 베이스 너트와 회전 결합되는 베이스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볼트는 상기 베이스 볼트 상에 형성되는 장공 형태의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페데스탈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슬롯, 상기 베이스 너트 및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를 연결하는,
    지지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요소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요소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 중 나머지 하나 상에 안착되는,
    지지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는 제1하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날개부는 제2하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는 상기 제1하부 홀과 상기 제2하부 홀에 삽입되는 보요소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지지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요소는 제1상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요소는 제2상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슬롯, 상기 베이스 너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1상부 홀 및 상기 제2상부 홀로 삽입되는,
    지지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베이스 볼트 상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페데스탈이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슬롯의 개구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에 수용되는,
    지지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 상에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페데스탈과 연결되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링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거는 상기 페데스탈과 함께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11. 플로어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은 복수의 단위 패널들을 포함하고,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요소;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요소;
    상기 제1보요소와 상기 제2보요소를 지지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페데스탈을 포함하고,
    상기 페데스탈은,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며, 높이 조절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고, 개구를 포함하는 베이스 너트; 및
    상기 베이스 너트와 회전 결합되는 베이스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볼트는,
    상기 베이스 볼트 상에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페데스탈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슬롯, 상기 베이스 너트 및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를 연결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요소는 제1상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요소는 제2상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슬롯, 상기 베이스 너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1상부 홀 및 상기 제2상부 홀로 삽입되는,
    이중 바닥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베이스 볼트 상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페데스탈 연결부는, 상기 페데스탈이 상기 제1보요소 및 상기 제2보요소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슬롯의 개구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에 수용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0190118362A 2019-09-25 2019-09-25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31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62A KR102314464B1 (ko) 2019-09-25 2019-09-25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62A KR102314464B1 (ko) 2019-09-25 2019-09-25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453A KR20210036453A (ko) 2021-04-05
KR102314464B1 true KR102314464B1 (ko) 2021-10-20

Family

ID=7546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362A KR102314464B1 (ko) 2019-09-25 2019-09-25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4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39Y1 (ko) * 2001-01-06 2001-06-15 치엔 테 후앙 강 유닛용 기저부
KR200378489Y1 (ko) * 2004-12-07 2005-03-11 주식회사 해광 클린룸 바닥면의 개량형 지지로드
KR200443525Y1 (ko) * 2006-11-30 2009-02-23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 바닥판넬용 패드 고정구조를 갖는 포스트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115A (ko) * 2008-07-22 2010-02-01 (주)해주석재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100135991A (ko) * 2009-06-18 2010-12-28 김상훈 클린룸의 바닥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의 억세스 플로어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39Y1 (ko) * 2001-01-06 2001-06-15 치엔 테 후앙 강 유닛용 기저부
KR200378489Y1 (ko) * 2004-12-07 2005-03-11 주식회사 해광 클린룸 바닥면의 개량형 지지로드
KR200443525Y1 (ko) * 2006-11-30 2009-02-23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 바닥판넬용 패드 고정구조를 갖는 포스트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453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0626B1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support structure
US10047528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ccess floor panel
US11105093B2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support structure
BR112018014509B1 (pt) Forma horizontal
US10920430B1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support structure
KR101421824B1 (ko) 원심성형 기둥용 철골보 및 기둥 동시 접합구조
KR102314464B1 (ko)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1833293B1 (ko)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포스트
US20110252729A1 (en) Adjustable wall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2007622B1 (ko) 고하중 면진 이중마루
KR200268196Y1 (ko) 크린룸 바닥 판넬 설치용 지지블럭 유니트
KR101628092B1 (ko)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KR102382182B1 (ko) 이중 마루용 레벨링 포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설치 구조
KR102115733B1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931989B1 (ko) 자세 조정이 용이한 지지형 외팔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JP6782144B2 (ja) 野縁固定部材、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天井構造の構築方法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JP2001288894A (ja) コンクリート打設装置
JP2006207340A (ja) パネル組み立て式パーティション
JP7382442B2 (ja) 柱部材、梁部材、及び建物
KR102318982B1 (ko) 멀티락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체결 시스템
KR102512134B1 (ko) 조립식 트러스
KR102596698B1 (ko)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KR101742538B1 (ko) 거더 지지 그릴빔을 이용한 클린룸 골조
JP7193417B2 (ja) 柱調整体、柱および外構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