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698B1 -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698B1
KR102596698B1 KR1020220075734A KR20220075734A KR102596698B1 KR 102596698 B1 KR102596698 B1 KR 102596698B1 KR 1020220075734 A KR1020220075734 A KR 1020220075734A KR 20220075734 A KR20220075734 A KR 20220075734A KR 102596698 B1 KR102596698 B1 KR 102596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panel assemblies
plates
panel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조항구
노성환
안민수
변기락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성지알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지알펙스 filed Critical (주)성지알펙스
Priority to KR102022007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 개의 기둥들을 연결하는 가로 보들과, 상기 기둥들 및 상기 가로 보들을 연결하는 세로 보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는,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제1 패널들 및 상기 제1 패널들의 일측 단부에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2 패널로 이루어지는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이 상기 제2 패널이 서로 마주 보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이 상기 제2 패널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Layout for panel assemblies}
본 발명은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의 형성을 위해 패널 조립체들을 구조적으로 안정하도록 배치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축조할 때에는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기둥과 이 기둥을 서로 연결하는 보를 형성하고, 천장을 형성하여 건물의 층을 구성한다.
상기 건물의 보를 형성하기 위해 패널 하부에 멍에재를 대고 서포트로 받쳐 패널 조립체를 설치한다. 상기 패널 조립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상기 보를 형성한다.
상기 패널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패널과 상기 멍에재를 조립해야 하므로 상기 패널 조립체를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를 상기 멍에재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서포트가 상기 멍에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나, 상기 서포트를 상기 멍에재에 고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서포트가 상기 멍에재를 단순히 받치는 경우, 상기 서포트의 설치는 간단하지만 상기 서포트가 상기 멍에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패널 조립체를 해체하고, 다른 층의 보 형성을 위해 운반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상기 보 형성을 위해 상기 패널 조립체들을 단순히 배열하는 경우, 상기 패널 조립체들 중 하나의 구조가 불안정한 경우 상기 패널 조립체들 전체가 안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의 형성을 위해 패널 조립체들을 구조적으로 안정하도록 배치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네 개의 기둥들을 연결하는 가로 보들과, 상기 기둥들 및 상기 가로 보들을 연결하는 세로 보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는,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제1 패널들 및 상기 제1 패널들의 일측 단부에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2 패널로 이루어지는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이 상기 제2 패널이 서로 마주 보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이 상기 제2 패널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상기 패널들이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상기 패널들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패널들과 상기 제2 패널의 길이 차이로 인해 상기 제1 패널들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과 상기 제2 패널의 양측면들이 걸림턱들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들을 연결하는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들의 상기 걸림턱들에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들의 상기 제1 패널들의 모서리가 걸리고, 상기 가로 보들을 연결하는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들의 상기 걸림턱들에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들의 상기 제2 패널들의 모서리들이 동시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된 후 잭 서포트들이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을 지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널들을 작업자의 발판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패널들이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패널들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들을 지지하는 멍에재; 및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서 상기 멍에재를 감싸면서 상기 패널들의 측면에 형성된 핀 홀들을 통해 상기 패널들에 고정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멍에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멍에재의 양측면들을 각각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들; 및 상기 패널들의 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된 핀홀들에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을 상기 패널들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고정 유닛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 유닛을 지지하는 서포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서포터의 상단 플랜지의 상부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제1 수평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상단 플랜지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들; 상기 가이드 플레이들의 양단부들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에 대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플레이트들;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일단부에서 중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마주보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을 향해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단 플랜지의 하부면과 면접촉하여 고정하는 고정 위치 및 상기 고정 위치와 이격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지지 플레이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 사이의 수직 간격은 상기 상단 플랜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양단부들 연결하도록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과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이동을 정지시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정지 플레이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이 상기 상단 플랜지의 하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을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폭 또는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상단 플랜지가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패널의 상기 핀홀들을 통해 상기 패널들의 측면에 고정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을 장착하기 위한 난간 장착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에 따르면,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상기 패널들이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상기 패널들과 맞물려 접촉하면서 서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를 통해 상기 패널 조립체들이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을 지지하기 위한 잭 서포트들을 쉽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패널들이 비대칭되도록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들에서 편심된 상기 일 방향을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발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도시된 고정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 도시된 고정 유닛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난간 장착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들을 보를 형성하기 위해 배치한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도시된 고정 유닛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 도시된 고정 유닛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난간 장착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패널 조립체(100)은 패널들(110), 멍에재들(120), 고정 유닛들(130), 서포트들(140), 보강재들(150) 및 난간 장착대들(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패널들(110)은 보나 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 패널들(110)의 크기는 다양하며, 규격화되어 있다.
상기 각 패널들(110)은 평판(111) 및 상기 평판(111)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측면 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112)에는 복수의 핀 홀들(113)이 구비된다. 상기 핀 홀들(113)에 핀 부재들(미도시)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패널들(1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들(110)을 원하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패널들(110)은 상기 평판(111)을 가로질러 상기 측면 프레임(112)과 연결되는 보강 부재들(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들(114)을 이용하여 상기 각 패널들(11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패널들(110)은 알루미늄 재질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폼일 수 있다. 상기 패널들(110)이 상기 알루미늄 폼인 경우, 상기 패널들(110)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들(110)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멍에재들(120)은 상기 패널들(110)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들(110)을 지지한다.
상기 멍에재들(120)을 상기 패널들(11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패널들(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각 멍에재들(120)의 단면은 대략 상하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각 멍에재들(120)의 내부는 빈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멍에재들(120)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멍에재들(120)은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보강판(12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멍에재들(12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각 서포트들(140)은 상기 고정 유닛(1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멍에재들(12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유닛(130)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각 서포트들(140)은 상기 패널들(110) 및 상기 멍에재들(120)의 하중을 지탱한다.
상기 각 서포트들(14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봉(141), 상기 봉(141)의 하단에 구비되며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단 플랜지(142) 및 상기 봉(141)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 플랜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141)의 상기 수직 방향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각 서포트들(140)이 상기 멍에재들(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141)은 내부가 빈 중공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들(14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각 고정 유닛들(130)은 상기 각 멍에재들(120)의 하부에서 상기 각 멍에재들(120)를 감싸면서 상기 패널들(1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각 고정 유닛들(130)은 상기 각 서포트들(140)의 상기 상단 플랜지(143)를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고정 유닛들(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31),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들(132), 한 쌍의 이동 플레이트들(133),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들(134), 한 쌍의 정지 플레이트들(135), 네 개의 고정 플레이트들(136) 및 체결 부재들(1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각 멍에재들(120)과 상기 각 서포트들(140)의 상기 상단 플랜지(14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대략 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각 멍에재들(120)의 하부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상부면과 면접촉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136)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네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한다. 이때,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136)은 상기 멍에재들(120)의 양측면들과 접촉하면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136)은 상기 멍에재들(120)의 양측면들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 부재들(138)은 상기 패널들(110)의 상기 핀 홀들(113)에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136)과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136)을 상기 패널들(110)에 고정한다.
일 예로, 상기 각 체결 부재들(138)은 인접한 두 개의 패널들(110)의 상기 핀 홀들(113)에 끼워지는 봉, 상기 봉의 양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두 개의 체결 부재들(138)을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볼트들 및 상기 볼트들과 각각 체결되는 너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각 체결 부재들(138)은 인접한 두 개의 패널들(110)의 상기 핀 홀들(113)에 끼워지며 양단부가 상기 두 개의 체결 부재들(138)을 각각 관통하는 U자 모양의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상가 양단부와 체결되는 너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상기 각 멍에재들(120)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연장된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136)을 상기 체결 부재들(138)이 상기 패널들(110)에 고정하므로, 상기 고정 유닛들(130)은 상기 패널들(110) 및 상기 멍에재들(12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들(110), 상기 멍에재들(120) 및 상기 고정 유닛들(130)을 같이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고정 플레이트들(136)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들(13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137)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네 모서리들에 배치되므로, 상기 상단 플랜지(143)가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 플랜지(143)가 상기 고정 유닛(1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수평 방향은 상기 멍에재들(13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 수평 방향은 상기 멍에재들(13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132)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132)은 상기 상단 플랜지(143)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 플랜지(143)가 상기 고정 유닛(130)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132)의 양단부들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132)에 대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은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봉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134)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의 일단부(133a)에서 중단부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들(134)은 가이드 플레이트들(132) 중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의 상기 일단부(133a)에 위치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32)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134)은 마주보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을 향해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장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하부면과 면접촉하여 고정하는 고정 위치 및 상기 고정 위치와 이격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면접촉하고,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상기 하부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134)과 면접촉하므로, 상기 고정 유닛들(130)이 상기 상단 플랜지(143)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4 참조)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134) 사이의 수직 간격은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유닛들(130)이 상기 상단 플랜지(143)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면접촉하지만,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상기 하부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134)과 면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고정 유닛들(130)이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 참조)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은 상기 일단부(133a)에서 타단부(133b)로 갈수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의 폭 또는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은 상기 일단부(133a)의 폭 또는 단면적(d1)이 상기 타단부(133b)의 폭 또는 단면적(d2)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132)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의 크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134)이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들(134)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와 대응하는 부위의 폭 또는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132)의 상기 관통홀들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이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134)이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하부면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134)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132)의 상기 관통홀들의 크기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들(134)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와 대응하는 부위의 폭 또는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134)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정지 플레이트들(135)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의 양단부들을 연결하도록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정지 플레이트들(135)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132)과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의 이동을 정지시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의 이동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13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의 양단부들 또는 상기 정지 플레이트들(135)을 망치와 같은 부재로 충격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133)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재들(150)은 상기 서포트들(140)을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유닛들(130)이 상기 상단 플랜지(143)의 고정을 해제하더라도 상기 서포트들(140)이 넘어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들(150)이 상기 서포트들(140)을 연결하므로, 서로 연결된 서포트들(140)을 한번에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들(150)를 지지하여 상기 서포트들(140)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들(140)의 이동이 편리하며, 상기 서포트들(140)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난간 장착대들(160)은 상기 패널들(110)의 측면에 고정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미도시)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각 난간 장착대들(160)은 고정 부재(161) 및 장착 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61)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패널들(110)의 상기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부재(161)의 상하 폭은 상기 패널들(110)의 상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61)는 관통 홀들이 구비되고,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 수단이 상기 관통 홀들과 상기 패널들(110)의 상기 핀 홀들(113)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161)가 상기 패널들(1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161)를 쉽고 안정적으로 상기 패널들(11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부재(162)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태이며, 상기 고정 부재(161)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장착 부재(162)에는 상기 난간이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간은 수직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수평 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 부재가 상기 장착 부재(16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난간 장착대들(160)을 이용하여 상기 난간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은 상기 고정 유닛들(130)을 이용하여 상기 서포터들(140)의 상기 상단 플랜지(143)를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들(140)의 고정 및 해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들(130)이 상기 서포터들(140)의 상기 상단 플랜지(143)를 고정하므로, 상기 서포트들(140)이 안정적으로 상기 고정 유닛들(13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유닛들(130)이 상기 멍에재들(120)을 지지하면서 상기 패널들(110)에 고정되므로, 상기 패널들(110), 상기 멍에재들(120) 및 상기 고정 유닛들(130)을 같이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들(140)이 상기 보강재들(150)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기 서포트들(140)을 한꺼번에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조립체(100)를 해체하여 다른 층으로 운반하고, 다시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들을 보를 형성하기 위해 배치한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네 개의 기둥들(10)을 연결하는 보(20)를 형성하기 위해 패널 조립체들(100)은 상기 기둥들(1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보(20)는 상기 기둥들(10)을 가로로 연결하는 가로 보들(21) 및 상기 기둥들(10) 및 상기 가로 보들(21)을 세로로 연결하는 세로 보들(2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조립체들(110)은 상기 가로 보들(21) 및 상기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패널 조립체(10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100)의 패널들(11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제1 패널들(110a) 및 상기 제1 패널들(110a)의 일측 단부에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2 패널(1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들(110a)과 상기 제2 패널(110b)의 길이 차이로 인해 상기 제1 패널들(110a)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과 상기 제2 패널(110b)의 양측면들이 걸림턱들(110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들(110)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패널들(110a)이 본체 영역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패널(110b)이 본체 영역부에서 돌출된 돌출 영역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 영역부와 상기 돌출 영역부 사이에 상기 걸림턱들(110c)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패널들(110)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을 배치할 때 특정 패널 조립체(100)를 구분할 필요 없으므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배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패널들(110)은 형상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가로 보들(21)이 형성될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100)이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제2 패널들(110b)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에도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100)이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제2 패널들(110b)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제1 패널들(110a)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패널들(110)이 상기 가로 보들(21)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패널들(110)과 맞물려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들(10)을 세로로 연결하는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제2 패널들(110b)은 상기 가로 보들(21)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제1 패널들(110a)과 접촉한다. 즉, 상기 기둥들(10)을 세로로 연결하는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걸림턱들(110c)에 상기 가로 보들(21)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제1 패널들(110a)의 모서리가 걸릴 수 있다.
상기 가로 보들(21)을 세로로 연결하는 세로 보(22)가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제2 패널들(110b)은 상기 가로 보들(21)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제1 패널들(110a)과 동시에 접촉하며, 상기 제2 패널들(110b)과도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 보들(21)을 세로로 연결하는 세로 보(22)가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걸림턱들(110c)에 상기 가로 보들(21)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제2 패널(110b)의 모서리가 동시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패널들(110)이 상기 가로 보들(21)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패널들(110)과 접촉하여 서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이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 보들(21)이 형성될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100)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100)도 서로 이격된다.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는 잭 서포트들(미도시)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서포트들(140)이 위치하지 않으므로, 상기 잭 서포트들을 쉽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잭 서포트들은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가로 보들(21) 및 상기 세로 보들(22)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되는 패널들(미도시)을 지지하거나, 상기 가로 보들(21) 및 상기 세로 보들(22)이 형성된 후 상기 가로 보들(21) 및 상기 세로 보들(22)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패널들(110)은 상기 기둥들(10)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기둥들(10)과 상기 패널들(110) 사이의 공간에 벽 또는 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수직 패널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은 상기 가로 보들(21) 및 상기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패널들(110)이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 참조)
이와 달리,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은 상기 가로 보들(21) 및 상기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패널들(110)이 비대칭되도록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1 참조)
이때,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100)의 상기 패널들(110)은 상기 가로 보들(21)이 형성된 위치 또는 상기 세로 보들(22)이 형성될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심될 수도 있다.
상기 패널들(100)이 편심되면, 상기 각 보들(2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패널들(100)에서 편심된 일 방향의 폭이 다른 방향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다. 따라서, 상기 패널들(100)에서 편심된 상기 일 방향을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발판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패널 조립체들(100)에서 작업자의 이동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난간 거치대들(160)은 상기 패널들(100)에서 편심된 상기 일 방향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간 거치대들(160)에 난간을 장착하여 작업자들이 이동하는 도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이동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패널 조립체 110 : 패널
110a : 제1 패널 110b : 제2 패널
110c : 걸림턱 111 : 평판
112 : 측면 프레임 113 : 핀 홀
114 : 보강 부재 120 : 멍에재
121 : 보강판 130 : 고정 유닛
131 : 베이스 플레이트 132 : 가이드 플레이트
133 : 이동 플레이트 134 : 지지 플레이트
135 : 정지 플레이트 136 : 고정 플레이트
137 : 돌출부 138 : 체결 부재
140 : 서포트 141 : 봉
142 : 하단 플랜지 143 : 상단 플랜지
150 : 보강재 160 : 난간 장착대
161 : 고정 부재 162 : 장착 부재
10 : 기둥 20 : 보
21 : 가로 보 22 : 세로 보

Claims (13)

  1. 네 개의 기둥들을 연결하는 가로 보들과, 상기 기둥들 및 상기 가로 보들을 연결하는 세로 보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제1 패널들 및 상기 제1 패널들의 일측 단부에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2 패널로 이루어지는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이 상기 제2 패널이 서로 마주 보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이 상기 제2 패널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상기 패널들이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 조립체들의 상기 패널들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들과 상기 제2 패널의 길이 차이로 인해 상기 제1 패널들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과 상기 제2 패널의 양측면들이 걸림턱들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들을 연결하는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들의 상기 걸림턱들에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들의 상기 제1 패널들의 모서리가 걸리고,
    상기 가로 보들을 연결하는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들의 상기 걸림턱들에 상기 가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된 상기 패널들의 상기 제2 패널들의 모서리들이 동시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된 후 잭 서포트들이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을 지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 조립체들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을 작업자의 발판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가로 보들 및 상기 세로 보들이 형성될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패널들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패널들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들을 지지하는 멍에재; 및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서 상기 멍에재를 감싸면서 상기 패널들의 측면에 형성된 핀 홀들을 통해 상기 패널들에 고정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멍에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멍에재의 양측면들을 각각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들; 및
    상기 패널들의 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된 핀홀들에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을 상기 패널들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고정 유닛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 유닛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서포트의 상단 플랜지의 상부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제1 수평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상단 플랜지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들;
    상기 가이드 플레이들의 양단부들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에 대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플레이트들;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일단부에서 중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마주보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을 향해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단 플랜지의 하부면과 면접촉하여 고정하는 고정 위치 및 상기 고정 위치와 이격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지지 플레이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 사이의 수직 간격은 상기 상단 플랜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양단부들 연결하도록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과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이동을 정지시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정지 플레이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이 상기 상단 플랜지의 하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을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폭 또는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상단 플랜지가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 조립체들은, 상기 패널의 상기 핀홀들을 통해 상기 패널들의 측면에 고정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을 장착하기 위한 난간 장착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KR1020220075734A 2022-06-21 2022-06-21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KR102596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734A KR102596698B1 (ko) 2022-06-21 2022-06-21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734A KR102596698B1 (ko) 2022-06-21 2022-06-21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698B1 true KR102596698B1 (ko) 2023-11-02

Family

ID=8874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734A KR102596698B1 (ko) 2022-06-21 2022-06-21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6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412A (ko) * 2013-03-15 2014-10-01 이석 포스트텐션이 적용된 피씨 플랫 슬래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플랫 슬래브 시공방법
KR20220074010A (ko) * 2020-11-27 2022-06-0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원통형 설비 내벽에 근접하여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착탈식 거치대가 구비된 탈황설비용 비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412A (ko) * 2013-03-15 2014-10-01 이석 포스트텐션이 적용된 피씨 플랫 슬래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플랫 슬래브 시공방법
KR20220074010A (ko) * 2020-11-27 2022-06-0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원통형 설비 내벽에 근접하여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착탈식 거치대가 구비된 탈황설비용 비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061B1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2596698B1 (ko)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US10280619B2 (en) Adjustable dap assembly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KR102532462B1 (ko) 서포트 고정 유닛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2542421B1 (ko) 패널 조립체
KR101947431B1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102218166B1 (ko) 철근받침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84525A (ko) 거푸집 지지용 트러스빔 설치구조
KR200201589Y1 (ko) 슬래브용 스프링 서포터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US3088562A (en) Extensible and contractible joist
KR102216897B1 (ko) 플라스틱 폼을 사용한 일방향 장선슬래브 시스템 및 일방향 장선슬래브 시공방법
KR102554569B1 (ko) 거푸집 설치용 기둥 고정 밴드
JP7299793B2 (ja) ユニット建物
KR20190024172A (ko) 보 유로폼 간극 마감용 길이가변형 바닥 유로폼
JP3394846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場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
JP7229070B2 (ja) 間仕切りにおける縦支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JP2017193946A (ja) 重機支持機構
KR101670791B1 (ko)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KR200488141Y1 (ko) 소피트 거푸집
JP2023118559A (ja) 間仕切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