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791B1 -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791B1
KR101670791B1 KR1020160066745A KR20160066745A KR101670791B1 KR 101670791 B1 KR101670791 B1 KR 101670791B1 KR 1020160066745 A KR1020160066745 A KR 1020160066745A KR 20160066745 A KR20160066745 A KR 20160066745A KR 101670791 B1 KR101670791 B1 KR 10167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column
fixing
rail
balc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Priority to KR102016006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85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 E04F2011/1887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mainly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에 관한 것으로, 목재 난간을 발코니에 견고하게 설치함은 물론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목재 기둥에 공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며, 목재와 긴장재의 조합을 통해 시야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은, 발코니(1)의 가장자리부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앵커링으로 고정되는 하부 고정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에 세워져 고정되는 목재 기둥(20)과; 상기 목재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캡(30)과; 상기 목재 기둥들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상부 캡에 연결되는 목재 레일(40)과; 상기 목재 기둥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선되는 긴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는, 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코니에 앵커링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 본체(11),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저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 상기 목재 기둥의 저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2a)이 구비된 기둥 안착부(12), 상기 기둥 안착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면서 상호 간에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목재 기둥의 저부를 양측에서 감싸면서 고정하는 제1,2기둥 고정블록(13,14),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의 저부에 돌출되어 상기 기둥 안착부에 형성된 제1,2가이드레일을 관통하는 가이드봉(13c,14c)에 체결되어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을 상기 기둥 안착부에 고정하는 제1,2고정핀(15,16),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의 양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을 고정하는 제1,2고정볼트(17,18)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은 곡선형 지지면(13a,14a) 및 직선형 지지면(13b,14b)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목재 기둥의 외형에 맞춰 상기 곡선형 지지면과 직선형 지지면 중 어느 1면이 상기 목재 기둥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목재 기둥을 밀착 지지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WOOD GUARD RAIL FOR BALCONY IN APARTMENT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발코니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난간을 발코니에 견고하게 설치함은 물론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목재 기둥에 공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등 공동 주택에는 일정 공간을 갖는 발코니가 제공되며, 발코니는 거주자의 추락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난간이 설치된다.
공동 주택용 난간은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발코니의 가장자리에 세워져 고정되는 기둥, 상기 기둥들을 연결하는 횡방향의 레일로 구성된다.
대개 난간의 기둥과 레일은 철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반과 시공성이 좋지 못하고, 발코니를 친환경적으로 조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목재(천연 목재, 인공 목재)를 이용한 목재 난간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등록실용신안 제20-0441895호)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지는 철재 재질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전면측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되어지는 기둥목과, 상기 기둥목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수평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과 지주프레임을 연결하여 주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전면측에서 체결볼트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레일목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종래 목재 난간은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기둥목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지 않아 일률적인 형태의 기둥목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단조로운 단점이 있고, 발코니와 목재간의 오차 발생시 이 오차를 해결하는 것이 어려우며, 기둥들의 간격이 좁아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18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목재 난간을 발코니에 견고하게 설치함은 물론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목재 기둥에 공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며, 목재와 긴장재의 조합을 통해 시야도 용이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은, 발코니의 둘레부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앵커링으로 고정되는 하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에 세워져 고정되는 목재 기둥과; 상기 목재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캡과; 상기 목재 기둥들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상부 캡에 연결되는 목재 레일과; 상기 목재 기둥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선되는 긴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는, 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코니에 앵커링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저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 상기 목재 기둥의 저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된 기둥 안착부, 상기 기둥 안착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면서 상호 간에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목재 기둥의 저부를 양측에서 감싸면서 고정하는 제1,2기둥 고정블록,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의 저부에 돌출되어 상기 기둥 안착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관통하는 가이드봉에 체결되어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을 상기 기둥 안착부에 고정하는 제1,2고정핀,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의 양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을 고정하는 제1,2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은 곡선형 지지면 및 직선형 지지면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목재 기둥의 외형에 맞춰 상기 곡선형 지지면과 직선형 지지면 중 어느 1면이 상기 목재 기둥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목재 기둥을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에 의하면, 하부 고정플레이트의 제1,2기둥 고정블록이 목재 기둥의 형상에 맞는 곡선형 지지면과 직선형 지지면을 확보하여 다양한 형상의 목재 기둥을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제1,2기둥 고정블록들의 거리 조절을 통해 목재 기둥의 다양한 크기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즉 하나의 자재로 복수의 목재 기둥에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복수 이상의 자재를 생산하고 취급하는데 따른 단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목재 레일이 상부 캡에 쐐기식으로 연결되어 목재 레일의 흔들림으로 인한 불안감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긴장재가 목재 기둥들 사이의 공간을 막아 목재 기둥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아울러, 목재 기둥과 목재 레일 등을 일체로 합성하여 전체적으로 큰 강성의 목재 난간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거주자의 안전성을 향상하며 시야 확보에 따른 거주성과 쾌적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에 적용된 하부 고정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에 적용된 하부 고정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에 적용된 하부 고정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에 적용된 제1,2기둥 고정블록의 사용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에 적용된 상부 캡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에 적용된 상부 캡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은, 발코니(1)의 가장자리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앵커링으로 고정되는 하부 고정플레이트(10), 하부 고정플레이트(10)에 세워져 고정되는 목재 기둥(20), 목재 기둥(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캡(30), 목재 기둥(20)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부 캡(30)에 결합되는 목재 레일(40), 목재 기둥(20)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선되어 목재 기둥(20)들 사이를 막아 거주자를 보호하고 하부 고정플레이트(10)와 상부 캡(30)을 일체로 합성하는 제1,2긴장재(50,6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부 고정플레이트(10)는, 발코니(1)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본체(11), 플레이트 본체(11)에 형성되며 목재 기둥(20)의 저부가 안착되는 기둥 안착부(12), 기둥 안착부(12)의 상부에 설치되며 목재 기둥(20)의 둘레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1,2기둥 고정블록(13,14),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을 기둥 안착부(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1,2고정핀(15,16),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을 서로 고정하는 제1,2고정볼트(17,18)로 구성된다.
플레이트 본체(11)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이며 모서리부에 앵커홀이 각각 형성되어 발코니(1)에 매설된 앵커(2)가 관통된 후 너트(3)를 통해 설치된다.
기둥 안착부(12)는 플레이트 본체(11)에 플레이트 본체(11)보다 작은 단면적으로서 플레이트 본체(11)의 상부로 사각형으로 돌출 형성[플레이트 본체(11)와 일체]되며 저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1,2고정핀(15,16)이 수용되도록 한다.
기둥 안착부(12)는 바닥면에 목재 기둥(20)의 저부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12a)이 구비된다. 안착홈(12a)은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안착홈(12a)의 바닥면에 중앙부에는 목재 기둥(20)의 저부에 박혀 목재 기둥(20)의 안정적인 직립을 도와주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12b)가 구성될 수 있다.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은 육면체 형태로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곡선형 지지면(13a,14a)과 직선형 지지면(13b,14b)이 형성된다.
즉, 목재 기둥(20)의 외형에 맞춰 어느 하나의 지지면을 선택하여 지지면이 목재 기둥(20)의 둘레부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써 목재 기둥(20)의 직립성을 증대하는 것이다.
도 5는 목재 기둥(20)이 원형의 외형인 경우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의 곡선형 지지면(13a,14a)이 목재 기둥(20)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목재 기둥(20)을 지지하는 것이며, 도 6은 목재 기둥(20)이 사각형의 외형인 경우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의 직선형 지지면(13b,14b)이 목재 기둥(20)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목재 기둥(20)을 지지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따라서,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은 서로 다른 지지면을 통해 목재 기둥(20)을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고, 즉, 제1기둥 고정블록(13)의 곡선형 지지면(13a)과 제2기둥 고정블록(14)의 직선형 지지면(14b)에 의해 목재 기둥(20)을 밀착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반대인 것도 가능한 것이다.
제1,2기둥 고정블록(3,14)은 기둥 안착부(12)에 장착되는데, 곡선형 지지면(13a,13b)과 직선형 지지면(14a,14b)의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기둥 안착부(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기둥 안착부(12)에는 각각 제1,2가이드레일(12c,12d)이 형성되고,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의 저부에는 제1,2가이드레일(12c,12d)을 관통하여 기둥 안착부(12)의 저부로 돌출되는 제1,2가이드봉(13c,14c)이 구성된다.
제1,2가이드봉(13c,14c)은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즉,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을 기둥 안착부(12)에서 분리하지 않고 제1,2고정핀(15,16)을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곡선형 지지면과 직선형 지지면의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제1,2고정핀(15,16)은 제1,2가이드봉(13c,14c)에 각각 체결되는 핀, 볼트 등이 가능하고, 제1,2가이드레일(12c,12d)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이 기둥 안착부(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1,2고정볼트(17,18)은 장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을 서로 결합하여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이 목재 기둥(20)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하부 고정플레이트(10)는 스틸이 바람직하고, 단 목재 난간의 전체적인 조화를 위하여 표면에 인공의 목재 시트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 기둥(20)은 저부가 하부 고정플레이트(10)에 고정[스파이크(12b)에 의한 고정,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에 의한 고정]되어 세워진다.
도 7과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부 캡(30)은, 목재 기둥(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본체(31), 캡 본체(31)의 둘레부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목재 레일(40)이 삽입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32), 레일 고정부(32)의 상부에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형성되는 쐐기홀(33), 쐐기홀(33)을 통해 레일 고정부(32) 내부에 삽입되어 목재 레일을 지지하는 쐐기편(34)으로 구성된다.
캡 본체(31)는 내부에 저부가 개방되는 홈이 구비된 캡 구조로서 내부에 목재 기둥(20)의 상부가 삽입되어 목재 기둥(20)의 상부에 고정되며, 목재 기둥(20)의 내부에 삽입 정착되는 정착구(35)가 부가될 수 있다.
캡 본체(31)는 내부 공간이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 가능하다.
캡 본체(31)는 목재 기둥(20)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횡방향으로 고정구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구는 횡방향으로서 캡 본체(31)와 이 내부의 목재 기둥(20)에 관통 내지 삽입 정착되어 캡 본체(31)가 회전 및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레일 고정부(32)는 캡 본체(31)의 둘레부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있는 구조이고, 이 공간에 목재 레일(40)의 길이방향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쐐기홀(33)은 레일 고정부(32)의 상부에 내부와 외부가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다.
쐐기편(34)은 쐐기홀(33)에 관통 삽입되어 목재 레일(40)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저부로 가면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단면이다.
쐐기편(34)은 목재 레일(40)의 좌우 양측 단면에 지지되어 목재 레일(40)을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목재 레일(4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쐐기홈(41)이 형성되고, 쐐기편(34)은 쐐기홀(33)과 쐐기홈(41)에 쐐기식으로 끼워짐으로써 목재 레일(40)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쐐기편(34)이 레일 고정부(3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쐐기편(34)에는 상하 종방향의 장홀(34a)이 형성되는 한편 캡 본체(31)의 둘레면에는 너트(31a)가 형성되고 장홀(34a)을 관통하여 너트(31a)에는 볼트형의 이탈방지구(36)가 체결된다.
장홀(34a)은 쐐기편(34)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감안하여 이탈방지구(36)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하며, 따라서, 쐐기편(34)이 장홀(34a)의 폭만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지만, 이탈방지구(36)가 쐐기편(34)이 이탈되는 것을 막는 효과는 가능하다.
목재 레일(40)은 목재 기둥(20)과 같은 목재이며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부 캡(30)의 레일 고정부(32) 안에 삽입되어 쐐기편(34)으로 고정됨으로써 설치된다.
제1,2긴장재(50,60)는 목재 기둥(20)들 사이의 공간을 막아 거주자의 추락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부 캡(30)과 하부 고정플레이트(10)를 서로 결속하여 하부 고정플레이트(10)와 목재 기둥(20)과 상부 캡(30) 및 목재 레일(40) 모두를 일체로 합성하여 목재 난간의 쓰러짐을 막고 거주자의 충돌시 거주자의 추락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제1,2긴장재(50,60)는 하부 고정플레이트(10)와 상부 캡(20)에 각각 형성되는 배선홀을 통해 방향이 전환되면서 하부 고정플레이트(10)와 상부 캡(20)을 교대로 하여 통과하는 것이며, 아울러, 제1,2긴장재(50,60)는 목재 기둥(20)들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선된다.
즉, 제1긴장재(50)는 상부 캡(30)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부 고정플레이트(10) - 상부 캡(30) - 하부 고정플레이트(10)의 순서로 배선되고, 제2긴장재(60)는 하부 고정플레이트(10)로부터 시작하여 상부 캡(30) - 하부 고정플레이트(10) - 상부 캡(30)의 순서로 배선되는 것이다.
제1,2긴장재(50,60)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는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2긴장재(50,60)가 교차되는 부분에는 제1,2긴장재(50,60)를 함께 결선하는 크로스형 결속구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2긴장재(50,60)는 목재 기둥(20)과 목재 레일(40)을 일체화하여 목재 난간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목재 기둥(20)들의 수량을 줄여 시야 확보가 용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2긴장재(50,60)는 이웃하는 한 쌍의 목재 기둥(20)들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3개 이상의 목재 기둥(20)들에 걸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하부 고정플레이트 설치.
발코니(1)에 앵커(2)를 미리 설치하여 하부 고정플레이트(10)의 설치 위치를 마련하며, 이 앵커(2)에 하부 고정플레이트(10)를 설치한다.
하부 고정플레이트(10)의 플레이트 본체(11)의 모서리에 형성된 앵커홀에 앵커(2)를 맞춰 끼우면서 하부 고정플레이트(10)를 발코니(1)의 바닥에 내려 놓고, 너트(3)를 앵커(2)에 체결하여 하부 고정플레이트(10)를 설치한다.
2. 목재 기둥 설치.
목재 기둥(20)의 외형에 맞춰 하부 고정플레이트(10)의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의 곡선형 지지면(13a,14a)과 직선형 지지면(13b,14b) 중 어느 일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지면이 목재 기둥(20)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은 목재 기둥(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목재 기둥(20)보다 큰 거리를 두고 배치되도록 한다.
목재 기둥(20)의 저부를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의 사이에 삽입하고 제1,2고정볼트(17,18)를 각각 체결하면 제1,2기둥 고정블록(13,14)이 제1,2가이드레일을 따라 서로 모아지면서 목재 기둥(20)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목재 기둥(20)을 지지한다.
3. 상부 캡 설치.
목재 기둥(20)의 상부에 상부 캡(30)을 설치한다.
상부 캡(30)의 캡 본체(31) 안에 목재 기둥(2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서로 조립하고, 고정구를 설치하여 상부 캡(30)을 보다 견고하게 목재 기둥(20)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4. 목재 레일 설치.
상부 캡(30)의 레일 고정부(32) 안에 목재 레일(4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각각 삽입하고, 쐐기편(34)을 쐐기홀(33) 안에 삽입하여 목재 레일(4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한다.
이탈방지구(35)를 쐐기편(34)을 관통 및 너트에 체결하여 쐐기펴(34)을 고정한다.
5. 제1,2긴장재 설치.
제1,2긴장재(50,60)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선 및 길이방향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여 설치하며, 따라서, 목재 기둥(20)들 사이에 제1,2긴장재(50,60)가 교차되어 목재 기둥(20)들 사이의 공간을 막게 되고 제1,2긴장재(50,60)는 목재 기둥(20)과 목재 레일(40)보다 작은 단면적이기 때문에 목재 기둥(20)과 목재 레일(40) 사이에서 넓은 시야의 확보가 가능하다.
1 : 발코니, 2 : 앵커
3 : 너트, 10 : 하부 고정플레이트
11 : 플레이트 본체, 12 : 기둥 안착부
13,14 : 제1,2기둥 고정블록, 15,16 : 제1,2고정핀
17,18 : 제1,2고정볼트, 20 : 목재 기둥
30 : 상부 캡, 31 : 캡 본체
32 : 레일 고정부, 33 : 쐐기홀
34 : 쐐기편, 35 : 정착구
40 : 목재 레일,

Claims (3)

  1. 발코니(1)의 가장자리부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앵커링으로 고정되는 하부 고정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에 세워져 고정되는 목재 기둥(20)과;
    상기 목재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캡(30)과;
    상기 목재 기둥들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상부 캡에 연결되는 목재 레일(40)과;
    상기 목재 기둥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선되는 긴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는, 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코니에 앵커링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 본체(11),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저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 상기 목재 기둥의 저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2a)이 구비된 기둥 안착부(12), 상기 기둥 안착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면서 상호 간에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목재 기둥의 저부를 양측에서 감싸면서 고정하는 제1,2기둥 고정블록(13,14),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의 저부에 돌출되어 상기 기둥 안착부에 형성된 제1,2가이드레일을 관통하는 가이드봉(13c,14c)에 체결되어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을 상기 기둥 안착부에 고정하는 제1,2고정핀(15,16),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의 양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을 고정하는 제1,2고정볼트(17,18)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기둥 고정블록은 곡선형 지지면(13a,14a) 및 직선형 지지면(13b,14b)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목재 기둥의 외형에 맞춰 상기 곡선형 지지면과 직선형 지지면 중 어느 1면이 상기 목재 기둥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목재 기둥을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상기 목재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본체(31), 상기 캡 본체의 둘레부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목재 레일이 삽입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32), 상기 레일 고정부의 상부에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형성되는 쐐기홀(33), 상기 쐐기홀을 통해 상기 레일 고정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목재 레일을 지지하는 쐐기편(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는 상기 상부 캡과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는 상하부측 긴장재 배선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캡과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1,2긴장재(50,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긴장재는 상기 목재 기둥을 따라 가면서 상기 상부측 긴장재 배선부와 하부측 긴장재 배선부에 교대로 배선되어 상기 목재 기둥들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KR1020160066745A 2016-05-30 2016-05-30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KR101670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45A KR101670791B1 (ko) 2016-05-30 2016-05-30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45A KR101670791B1 (ko) 2016-05-30 2016-05-30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791B1 true KR101670791B1 (ko) 2016-10-31

Family

ID=5744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45A KR101670791B1 (ko) 2016-05-30 2016-05-30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7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954Y1 (ko) 2008-11-27 2009-06-18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휀스
KR200474154Y1 (ko) 2014-05-15 2014-08-27 (주)우림휀스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지 관리가 편리한 체육시설용 안전 펜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954Y1 (ko) 2008-11-27 2009-06-18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휀스
KR200474154Y1 (ko) 2014-05-15 2014-08-27 (주)우림휀스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지 관리가 편리한 체육시설용 안전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5325B1 (en) Anchor device for a wooden post
US4930752A (en) Highway fencing
KR101176188B1 (ko) 데크로드 구조물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1605007B1 (ko) 난간 구조물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US20040050010A1 (en) Modular transportable floor decking system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952924B1 (ko) 난간 연결장치
US20140332745A1 (en) Railing member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KR101670791B1 (ko)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KR101178814B1 (ko)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CN203742205U (zh) 临时看台
KR101426640B1 (ko) 친환경 장식 및 조립결합력을 향상시킨 난간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1681084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시스템
FI92427B (fi) Laite elementtien yhdistämiseksi yksiköksi kokoontumis- ja liikennetiloissa
US3150742A (en) Adjustable walkway structure for use as a bridge, stairs, ramp, or the like
KR100554474B1 (ko) 도로 비탈면 전면부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2596698B1 (ko)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구조
KR102554569B1 (ko) 거푸집 설치용 기둥 고정 밴드
US20220282500A1 (en) Sidewalk sh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