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910Y1 -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910Y1
KR200226910Y1 KR2020000035792U KR20000035792U KR200226910Y1 KR 200226910 Y1 KR200226910 Y1 KR 200226910Y1 KR 2020000035792 U KR2020000035792 U KR 2020000035792U KR 20000035792 U KR20000035792 U KR 20000035792U KR 200226910 Y1 KR200226910 Y1 KR 200226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x
splice connector
automotive
splice
so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래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910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퓨즈 박스의 스프라이스 커넥터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 별도로 취부할 수 있는 장착구조를 가지며, 단자 고정용 사이드 핀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생산시의 테이핑절연작업 또는 레진타입 튜브작업 등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접속불량 등의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가 부분적으로 굵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며, 퓨즈 박스 본체의 사출 시에도 단자(terminal)를 고정시키는 란스(lance)부위를 안정적으로 성형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Separated splice connector mounted in fusebox for automotive}
본 고안은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회로 중에 고압회로 및 시동회로를 제외한 다른 회로는 대단히 회로가 많으며 이 와이어링 하네스를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 원할히 조립될 수 있는 형태로 조립하여 만든 것을 와이어링 하네스라 부른다. 이 와이어링 하네스는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단자를 부착하여 정해진 형태로 배열하고 그 위를 비닐 테이프등으로 집속한 것이며, 전선은 자동차용 저압전선, 자동차용 박육 저압전선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 엔진룸내의 고온화에 대처하여 자동차용 내열저압전선도 사용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자동차용 전자화에 대응하여 꼬인전선, 절연전선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단자류로서는 자동차용 전선단자, 자동차용 다극 커넥터의 표준품외에 각종의 단자,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전선다발의 집속에는 비닐 테이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외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기계적 보호용으로서 비닐 테이프 튜브, 코르게이트 튜브, 유리섬유조직튜브, 수지성형 프로텍터 등이 사용된다. 또한, 와이어링 하네스가 복잡하게되고 회로가 증가하면 증가할 수록 차량구조에 최적인 회로를 추구할 필요가 있으며, 회로의 안전성, 조립성, 서비스성, 표준화, 공용화 등의 제반요구를 만족시키는 와이어링 하네스 시스템은 중요하다. 또한, 와이어링 하네스의 생산은 수작업에 의한 부분이 많고 와이어링 하네스의 복잡화에 따라 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와이어링 하네스의 조인트회로의 존재는 극도로 생산성을 저해하고 있다. 상기 두가지의 관점에서 퓨즈 박스(fuse box), 릴레이 박스(relay box)내에서 금속바에 의한 분기 결선 방식의 새로운 사고 방식인 정션 박스(junction box)가 채용되고 거기에다 이 정션 박스에 전자 유닛(unit) 등을 조립한 것도 채용되어 가고 있다.
현재, 와이어링 하네스의 조인트회로는 주로 스프라이스 조인트(splice joint) 또는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 1은 스프라이스 조인트를 나타내고 있으며, 스프라이스 조인트의 경우 전선(11)과 전선을 스프라이스(12) 압착에 의하여 직접 조인트시키는 방식으로서 하나의 회로에 하나의 회로를 조인트시키는 1 : 2 조인트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도 2는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커넥터의 내부에 연결 금속바(metal bus bar)구조를 가지는 스프라이스 커넥터(joint connector)의 메일하우징(male housing)(21)과 조인트하고자 하는 회로가 삽입된 스프라이스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female housing)(22)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회로에 두회로 이상을 조인트시키는 경우는 압착작업 및 품질문제 등으로 인하여 문제가 있으며, 스프라이스 조인트의 경우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생산뿐만 아니라 완성차에 조립된 이후에도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하여 접속불량의 품질문제를 야기시키는 경우가 많고, 스프라이스 조인트 후에 처리하는 테이핑절연작업 또는 레진타입 튜브작업 등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와이어링 하네스가 부분적으로 굵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라이스 커넥터방식은 연결하고자 하는 회로수에 한계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5~6회로 이상의 조인트는 어렵고, 별개의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여러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완성차에서의 취부 등에 있어서 공간적인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 퓨즈 박스에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스프라이스 커넥터는 조립작업 시에 어려움이 있으며 퓨즈 박스 본체의 사출 시에도 단자(terminal)를 고정시키는 란스(lance)부위를 안정적으로 성형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퓨즈 박스내에서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스프라이스를 적용함으로서 생산시의 테이핑절연작업 또는 레진타입 튜브작업 등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접속불량 등의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가 부분적으로 굵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며, 퓨즈 박스 본체의 사출 시에도 단자(terminal)를 고정시키는 란스(lance)부위를 안정적으로 성형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스프라이스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전선
12 : 스프라이스(splice)
21 : 스프라이스 커넥터의 메일하우징(male housing)
22 : 스프라이스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female housing)
31 : 퓨즈 박스 본체
32 :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33 : 사이드 핀
본 고안의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스프라이스 커넥터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 별도로 취부할 수 있는 장착구조를 가지며, 단자 고정용 사이드 핀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자동차용 퓨즈 박스 본체(31)는 PP 또는 PBT 등의 프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이 되며, 스프라이스 커넥터(32)를 별도로 취부할 수 있는 하우징 록킹(housing locking)장착구조를 가지며,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32)는 PP 또는 PBT 등의 프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이 되며 상기 퓨즈 박스 본체(31)에 결합이 되어질 수 있는 상대적 하우징 록킹(housing locking)장착구조를 가지고, 단자를 고정하기 위하여 단자 고정용 사이드 핀을 삽입할 수 있는 사이드 홀(side hole)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고정용 사이드 핀(33)은 PP 또는 PBT 등의 프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이 되며 상기 스프라이스 커넥터(32)에 결합이 되어질 수 있는 핀 타입 장착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의하면, 퓨즈 박스내에서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스프라이스를 적용함으로서 생산시의 테이핑절연작업 또는 레진타입 튜브작업 등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접속불량 등의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가 부분적으로 굵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며, 퓨즈 박스 본체의 사출 시에도 단자(terminal)를 고정시키는 란스(lance)부위를 안정적으로 성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퓨즈 박스에 별도로 취부할 수 있는 하우징 록킹(housing locking)장착구조를 가지며, 단자 고정용 사이드 핀을 삽입할 수 있는 사이드 홀(side hole)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고정용 사이드 핀은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측면에서 삽입할 수 있는 핀 타입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KR2020000035792U 2000-12-20 2000-12-20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KR200226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792U KR200226910Y1 (ko) 2000-12-20 2000-12-20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792U KR200226910Y1 (ko) 2000-12-20 2000-12-20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910Y1 true KR200226910Y1 (ko) 2001-06-15

Family

ID=7309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792U KR200226910Y1 (ko) 2000-12-20 2000-12-20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9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7080B1 (en) Harness connection member
EP0650226B1 (en) A molded circuit component unit for connecting lead wir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883361B2 (en) Connection member and harness connection body using the connection member
JPH08185921A (ja) 電気接続箱
US20090009977A1 (en) Three-Dimensional Wiring Body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US8708715B2 (en) Circuit structure and electric junction box
JP2516089B2 (ja) コネクタの結線構造とその方法
EP1115191B1 (en) Connection assembly particularly for the windings of a stator of an electric motor
KR200226910Y1 (ko)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WO2009142273A1 (ja) 接続部材
KR200223696Y1 (ko) Pcb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인트 박스
JP2010140872A (ja) 電気接続箱用の電線付き端子接続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に収容される端子金具と電気的に接続可能なl字形端子
KR100496691B1 (ko) 자동차용 쌍압착단자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
JP4885705B2 (ja) ハーネス接続体
KR100731292B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커넥터용 지그
JPH0915338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JP200516640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980009800U (ko) 자동차용 전기 접속구
KR200243612Y1 (ko) 자동차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퓨즈 및 릴레이 박스용 단자
KR200155108Y1 (ko)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JP200929594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と一体化された電子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MXPA01002982A (es) Caja de tomacorriente hibrido, asi como el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KR200445725Y1 (ko) 와이어용 캡
KR200413713Y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커넥터용 지그
JP3978318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