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823Y1 - 자동차 주차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차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823Y1
KR200225823Y1 KR2020000036534U KR20000036534U KR200225823Y1 KR 200225823 Y1 KR200225823 Y1 KR 200225823Y1 KR 2020000036534 U KR2020000036534 U KR 2020000036534U KR 20000036534 U KR20000036534 U KR 20000036534U KR 200225823 Y1 KR200225823 Y1 KR 200225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block
parking
car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순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6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823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를 주차시킬때 자동차가 벽 또는 타 자동차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주차블럭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주차되는 차량의 바퀴를 접촉지지하여 그 차량의 진행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주차블럭 몸체와, 주차블럭 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반사수단과, 차량의 바퀴에 눌려지는 지지플레이트가 주차블럭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 주차블럭을 설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종래에 비해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접착제와 자동차의 자체하중만으로 자동차 주차블럭을 고정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단기간에 앙카 볼트가 흔들리거나 뽑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을 주차 빌딩 등에 사용할 경우, 앙카볼트 설치용 장착홀을 뚤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빌딩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주차블럭{Parking block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 주차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주차시킬때 자동차가 벽 또는 타 자동차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주차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빌딩이나 대형백화점 주차장 등에는 한정된 주차공간 내에서 보다 많은 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장 바닥면에 주차구획선이 그어져 있다.
이때, 주차구획선 후미에는 자동차가 주차될 때 주차구획선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주차블럭이 주차장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종래 자동차 주차블럭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자동차 주차블럭(100)은 주차장 바닥면에 고정되는 주차블럭 몸체(110), 주차블럭 몸체(110)에 부착되는 반사판(130), 주차블럭 몸체(1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차블럭 몸체(110)는 자동차가 주차될 때 자동차를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주차블럭 몸체(1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직경의 삽입홀(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반사판(130)은 자동차가 주차될 때,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차블럭 몸체(110)의 일면에 스크류(135)에 의해 장착된다.
또한, 고정수단은 주차블럭 몸체(110)를 주차장 바닥면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앙카볼트(150), 체결 너트(160), 덮개(12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앙카볼트(150)는 일측 단부가 주차블럭 몸체(110)에 형성된 삽입홀(115)을 관통하여 주차장 바닥면에 깊숙히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주차블럭 몸체(110)의 삽입홀(115)에 소정 만큼 돌출된다. 이때, 체결 너트(160)는 돌출된 앙카볼트에 체결되어 주차블럭 몸체와 앙카볼트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덮개는 앙카볼트(150)에 체결 너트(160)가 결합되면 주차블럭 몸체(110)에 형성된 삽입홀(115)에 끼워져 앙카볼트(150)와 체결 너트(160)를 덮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 주차블럭(1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차장 바닥면에 앙카볼트 설치용 장착홀을 뚫어야 하며, 이 장착홀을 뚫은 후에는 주차블럭 몸체(110)를 장착홀이 뚫린 위치에 운반한 다음, 앙카볼트(150)를 장착홀에 결합함으로써, 주차블럭 몸체(110)는 주차장 바닥면에 고정되고, 자동차 주차블럭(100) 설치는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 주차블럭(100)을 설치하려면,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주차 빌딩같은 곳에 설치하면 앙카볼트 설치용 장착홀 때문에 빌딩의 수명이 단축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 주차블럭(100)을 아스콘으로된 주차장에 설치할 경우, 아스콘 자체의 두께가 얇은 관계로 단기간 내에 앙카볼트(150)가 흔들리거나 뽑히는 등 제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장 바닥면에 앙카볼트 설치용 장착홀을 뚫지 않고 자동차의 자체 하중과 접착제 만으로 자동차를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하는 자동차 주차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주차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차 주차블럭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자동차 주차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자동차 주차블럭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자동차 주차블럭의 C-C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자동차 주차블럭의 사용상태도.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차되는 차량의 바퀴를 접촉지지하여 그 차량의 진행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주차블럭 몸체와, 주차블럭 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반사수단과, 차량의 바퀴에 눌려지는 지지플레이트가 주차블럭 몸체와 일체로 형성됨에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자동차 주차블럭(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자동차 주차블럭(200)은 자동차 바퀴(도 6의 350)가 걸리게 하는 주차블럭 몸체(210)와 자동차 바퀴(350)에 눌리는 부분인 지지플레이트(2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차블럭 몸체(210)는 밑면이 넓고 윗면으로 올라오면서 단면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자동차(도 6의 300)가 주차될 때, 자동차 바퀴(350)에 걸려 자동차(300)를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주차블럭 몸체(210) 내부에는 자동차 바퀴(350)가 주차블럭 몸체(210)에 걸렸을 때, 주차블럭 몸체(210)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강 리브(215)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보강 리브(215)는 주차블럭 몸체(210)의 상하를 지지하도록 하며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차블럭 몸체(2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인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 리브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차블럭 몸체(210)가 주차장 바닥면과 접촉하는 주차블럭 몸체(210)의 밑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반원 형상의 관통홀(213)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213)은 고온까지 상승하는 아스팔트 등에 자동차 주차블럭(200)이 설치되었을 때, 주차블럭 몸체(210)의 밑면에서 발생되는 아스팔트의 복사열을 좌우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차블럭 몸체(210)의 일면에는 자동차(300)가 주차될 때, 운전자가 자동차 주차블럭(200)을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반사수단(230)이 장착된다. 이때, 반사수단(230)은 자동차(300) 등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빛을 반사하는 반사지 및 반사체 등이 모두 장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반사지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차블럭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50)는 사각 평판형상으로 자동차(300)가 주차될 때, 자동차 바퀴(350)에 의해 지지되는 역할을 하며, 주차장 바닥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250)의 밑면에는 요철(255)이 형성되며, 이 요철(255)은 지지플레이트(250)가 주차장 바닥면에 접착될 때 보다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시예인 자동차 주차블럭(2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시예인 자동차 주차블럭(200)은 주차장 바닥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후, 주차하기 위해 이동하는 자동차(300)는 서서히 주차구획선을 따라 이동하다 자동차 주차블럭(200)에 걸렸을 때, 이동을 멈추고 정지하게 된다.
이때, 자동차 바퀴(350)는 직육면체 형상의 주차블럭 몸체(210)에 걸리기 전, 주차블럭 몸체(210)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50)를 누르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자동차 주차블럭(200)은 지지플레이트(250)를 누르는 자동차(300) 자체하중과 지지 플레이트(250)가 주차장 바닥면에 접착된 접착력으로 자동차(30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 자동차 주차블럭(200)을 주차 빌딩에 사용할 경우, 주차장 바닥면에 잉카볼트 설치용 장착홀을 뚫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빌딩의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주차블럭(200)을 설치하는데 종래 보다 많은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자동차 주차블럭(200)을 아스콘에 설치할 경우, 종래 아스콘에 설치된 앙카 볼트가 단기간에 흔들리거나 뽑히는 등의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 주차블럭을 설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종래에 비해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접착제와 자동차의 자체하중만으로 자동차 주차블럭을 고정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단기간에 앙카 볼트가 흔들리거나 뽑히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을 주차 빌딩 등에 사용할 경우, 앙카볼트 설치용 장착홀을 뚤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빌딩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주차되는 차량의 바퀴를 접촉지지하여 그 차량의 진행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주차블럭 몸체와;
    상기 차량의 바퀴에 눌려지는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주차블럭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블럭 몸체에는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반사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블럭 몸체에는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보강 리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블럭 몸체의 밑면에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반원형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밑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주차장 바닥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블럭.
KR2020000036534U 2000-12-27 2000-12-27 자동차 주차블럭 KR200225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34U KR200225823Y1 (ko) 2000-12-27 2000-12-27 자동차 주차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34U KR200225823Y1 (ko) 2000-12-27 2000-12-27 자동차 주차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823Y1 true KR200225823Y1 (ko) 2001-06-01

Family

ID=7306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534U KR200225823Y1 (ko) 2000-12-27 2000-12-27 자동차 주차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8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87B1 (ko) * 2016-03-31 2017-02-14 오철규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
KR20220134256A (ko) 2021-03-26 2022-10-05 (주)클랑 주차용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87B1 (ko) * 2016-03-31 2017-02-14 오철규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
KR20220134256A (ko) 2021-03-26 2022-10-05 (주)클랑 주차용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5823Y1 (ko) 자동차 주차블럭
KR20120059789A (ko) 차량 중량을 이용한 주차 스톱퍼
KR200395998Y1 (ko) 도로표지병
KR0134761Y1 (ko)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KR200396005Y1 (ko) 주차블럭
KR200169742Y1 (ko) 차량 멈춤턱
JP3073778U (ja) 道路用視線誘導標
JP3079133U (ja) 車両用車輪止め
KR200318147Y1 (ko) 방음벽 설치용 지지프레임의 고정구조
JP3075399U (ja) 緩衝具
JPH11210259A (ja) 車止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369000B1 (ko) 자동차의 매트 장착구조
CN109854036A (zh) 宽幅波浪式载车机构
JPH0339324Y2 (ko)
JP3899235B2 (ja) 遮音壁
KR200260064Y1 (ko) 주차 블럭
KR200149540Y1 (ko)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KR200161451Y1 (ko) 저상버스의 파워스티어링 유닛 마운팅 구조
KR200273484Y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JPS5844170Y2 (ja) 補助組立建物における支柱下端の取付け装置
JPH09202127A (ja) 空調用ダクト
KR200150886Y1 (ko) 루프 랙 고정장치
KR100388169B1 (ko) 트렁크 내부의 전원 출력부 취부구조
KR0118735Y1 (ko) 자동차용 브라켓트 취부구조
JPH1193121A (ja) 壁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