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054Y1 -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054Y1
KR200225054Y1 KR2019990003375U KR19990003375U KR200225054Y1 KR 200225054 Y1 KR200225054 Y1 KR 200225054Y1 KR 2019990003375 U KR2019990003375 U KR 2019990003375U KR 19990003375 U KR19990003375 U KR 19990003375U KR 200225054 Y1 KR200225054 Y1 KR 200225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ide
connection pin
pin fix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753U (ko
Inventor
신동희
Original Assignee
신동희
주식회사엘리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희, 주식회사엘리코파워 filed Critical 신동희
Priority to KR2019990003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0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054Y1/ko

Link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방전에 있어서, 장착 배터리의 다양한 규격에 맞추어 조정되고, 전원 케이블이 배터리에 안정적으로 탄력 밀착 지지되도록 신축적으로 대응하며, 안전하게 리튬 배터리의 충.방전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탄력으로 배터리(B)의 양극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전원접속핀(100)과; 상기 전원접속핀(100)의 +,- 극 중 어느 한 극을 지지하기 위한 일측의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에 대향하여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프레임(230)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정수단(30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조정수단(300)을 지지하기 위한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을 상면 양단에 고정 설치하는 베이스 프레임(27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의 양측으로 병렬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더(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임.

Description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LITHIUM BATTERY JIG FOR CHARGE &DISCHARGE }
본 고안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방전을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의 충.방전 시험에 있어서, 장착 배터리의 규격에 맞추어 조정되고, 전원 케이블이 배터리에 탄력 밀착 지지되도록 배터리의 다양한 규격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며, 안전하게 충.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종래의 수은전지와 달리, 전력을 충전시켜 에너지원으로 장전사용하고, 방전이 다 되면 재충전하여 거듭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수은전지에 대체될, 환경보호에 대한 기대효과가 대단히 큰 무선 에너지공급수단으로서, 이러한 리튬 배터리의 연구개발은 배터리의 수요가 확대일로에 있는 현시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며, 앞으로도 많은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리튬배터리의 충.방전을 위하여, 배터리 양극에 전원케이블을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접속 지지하여야 하고, 특히 충.방전 시험을 위하여는 다양한 배터리의 규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배터리 충.방전 지그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와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이 포함된 전원접속핀(100)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구성은, 감지핀(110)이 전류핀(120) 속에서 습동되도록 하고, 스프링(130)에 의하여 접속물체에 탄력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감지핀(110)의 감지와 더불어 통전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전원접속핀(100)만으로서는, 배터리의 규격에 따른 대응이 불가능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이 불안정하고 비능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배터리와 전원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밀착접속 지지되고, 또한, 다수의 리튬 배터리 충전 또는 방전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되, 규격이 다양한 배터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충,방전용 지그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배터리의 충전 시험중 발생될 수도 있는 배터리의 파열로부터 시험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부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의 충.방전용 지그가 리튬 배터리의 충.방전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튬 배터리 양극에 전원케이블의 접점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되, 다양한 배터리의 규격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리튬 배터리를 충.방전 시험을 실시함에 있어서, 다수의 배터리를 용이하게 장전시키고, 별도의 방폭용 박스에 내장시켜 시험중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의 파열로부터 시험 관찰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이는 일부 절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6은 전원접속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100: 전원접속핀 210: 접속핀 고정프레임
211: 통공 230: 슬라이드 프레임
231: 통공 233: 너트공
250: 조정수단 지지프레임 270: 베이스 프레임
300: 슬라이드 조정수단 310: 나사봉
311: 나사단 320: 베어링
330: 로크너트 350: 핸들
400: 가이더 410: 스토퍼
500: 눈금자 600: 방폭용 상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는,
탄력으로 배터리(B)의 양극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전원접속핀과;
상기 전원접속핀의 +,- 극 중 어느 한 극을 지지하기 위한 일측의 접속핀 고정프레임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에 대향하여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전원접속핀의 나머지 한 극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과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정수단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조정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조정수단 지지프레임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을 상면 양단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 병렬 구비되고,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조정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에 너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너트공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과 슬라이드 조정수단 지지프레임에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되며, 연장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나사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단의 단부에 나사봉과 일체로 고정되는 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과 슬라이드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자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 베이스 프레임 또는 슬라이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는, 상기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를 내부공간에 수용하여, 배터리의 파열로부터 시험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폭용 상자를 추가로 부여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1)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1)는
탄력으로 배터리(B)의 양극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전원접속핀(100)과;
상기 전원접속핀(100)의 +,- 극 중 어느 한 극을 지지하기 위한 일측의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에 대향하여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전원접속핀(100)의 나머지 한 극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프레임(230)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정수단(30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조정수단(300)을 지지하기 위한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을 상면 양단에 고정 설치하는 베이스 프레임(270)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평행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더(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30)은, 상부에 상기 전원접속핀(100)을 지지하기 위한 통공(211)을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며,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조정수단(300)과 가이더(400)가 지지 및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은, 상기 슬라이드 조정수단(300)의 나사봉(310)과 결합되어, 나사봉(310)의 제자리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기 위한 너트공(233)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의 통공(211)에 대응하는 접속핀 통공(231)을 다수 형성하며, 양측에 가이더 통공(235)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더 통공(235)에는 가이더(400)와의 습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미끄럼 부싱(237)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 조정수단(300)은,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에 형성된 너트공(233)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슬라이드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에 양단부가 베어링(320)지지되며, 연장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 외부로 노출되어 핸들과 연결되기 위한 나사단(311)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나사봉(310)과;
상기 나사단(311)의 단부에 나사봉(310)과 일체로 고정되는 핸들(350)로 이루어지며,
나사봉(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 프레임(230)이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나사봉(310)의 고정수단으로서 나사봉(310)의 나사단(311)에 체결되어 나사봉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너트(330)를 구비하되,
상기 로크너트(330)는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과의 밀착체결 및 풀림방지를 위하여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과의 접속부에 패킹부재(331)를 부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350)은 나사봉(310)과 일체화하기 위해 통상의 셋 스크류(351) 또는 키(미도시)를 부여하고,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과의 접속부에는 나사봉(310)의 회전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볼베어링(320)이 부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7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슬라이드 프레임(230) 사이의 간격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자(500)가 부설되되,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도록, 베이스 프레임(270) 상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삽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더(400)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이 평행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의 양측으로 병렬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미끄럼 부싱(237)을 관통하여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에 양단이 고정된다.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 베이스 프레임(270), 또는 슬라이드 프레임(23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10)가 부여되며,
바람직하기는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에 고정되고, 가이더(400)에 끼워지는 소정길이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70)과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체결볼트(201) 등으로 조립하여 일체화하여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1)를 별도의 방폭용 상자(600)에 내장시킨 평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1)는, 상기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배터리 충.방전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B)의 파열로부터 시험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폭용 상자(600)를 추가로 부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폭용 상자(600)는 외부관찰이 용이하도록 상면에 투명 아크릴창(미도시)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살펴본다.
리튬이온 배터리(B) 다수개를 동시에 충전 또는 방전함에 있어서,
먼저, 로크너트(330)를 핸들쪽으로 풀어, 나사봉(31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해준 후, 나사봉(310)과 일체로 움직이는 핸들(350)을 돌림으로써 나사봉(310)을 제자리 회전시키고, 상기 나사봉(310)과 나사 결합된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위치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조정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 양측을 관통하여 구비된 가이더(400)는 슬라이드 프레임(230)이 균형을 유지하며 평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기 스토퍼(410)는 슬라이드 프레임(230)이 소정범위를 넘어가서 대향 설치되는 배터리 케이블 접속핀(100)끼리 충돌되지 않도록 이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70) 상면에 구비된 눈금자(500)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규격에 맞추어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위치가 설정되면, 로크너트(330)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측으로 체결하여 나사봉(310)을 고정시키고 따라서 슬라이드 프레임(230)도 고정된다.
상기 전원접속핀(100)은 배터리의 양극에 스프링(120)의 탄력을 받으며 케이블(C)이 밀착되도록 하여,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조정에 약간의 오차가 있거나, 배터리(B)의 크기가 조금 다를지라도 용이하게 접속된다.
한편 본 고안의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1)를 별도의 방폭용 상자(600)에 내장시키면, 충전시험중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파열로부터 시험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시험환경공간도 보호하도록 한다.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을 리튬배터리의 충.방전용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타의 배터리 충전용 지그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는, 리튬 배터리 양극에 전원케이블의 접점이 안정적으로 밀착 접속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정확한 충.방전시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임의로 슬라이드 프레임을 조정함으로써, 하나의 지그로서 다양한 배터리의 규격에 신축적으로 용이하게 대응하도록 한다.
또한 다수의 리튬 배터리를 동시에 용이하게 장착 시험할 수 있어, 시간적, 공간적으로, 보다 능률적이며, 별도의 방폭용 박스에 내장시켜 시험중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의 파열로부터 시험자와 주변환경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는 등 리튬 배터리의 충.방전 시험을 능률적이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리튬 배터리의 다량생산을 위한 지그로서는 물론이고, 연구 개발을 위한 시험용 도구로서 대단히 유익한 기술이다.

Claims (6)

  1. 탄력으로 배터리(B)의 양극에 밀착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전원접속핀(100)과;
    상기 전원접속핀(100)의 +,- 극 중 어느 한 극을 지지하기 위한 일측의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에 대향하여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전원접속핀(100)의 나머지 한 극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프레임(230)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정수단(30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조정수단(300)을 지지하기 위한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을 상면 양단에 고정 설치하는 베이스 프레임(270)과;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의 양측으로 병렬구비되고,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더(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조정수단(300)은,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에 너트공(233)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너트공(233)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슬라이드 조정수단 지지프레임(250)에 양단부가 베어링(320)지지되며, 연장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나사단(311)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나사봉(310)과;
    상기 나사단(311)의 단부에 나사봉(310)과 일체로 고정되는 핸들(3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7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과 슬라이드 프레임(230) 사이의 간격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자(500)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 고정프레임(210), 베이스 프레임(270), 또는 슬라이드 프레임(23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2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10)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는, 상기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를 수용하여 배터리(B)의 파열로부터 시험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폭용 상자(600)를 추가로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310)의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나사단(311)에 체결되어 나사봉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너트(33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KR2019990003375U 1999-03-04 1999-03-04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KR200225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75U KR200225054Y1 (ko) 1999-03-04 1999-03-04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75U KR200225054Y1 (ko) 1999-03-04 1999-03-04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53U KR20000017753U (ko) 2000-10-05
KR200225054Y1 true KR200225054Y1 (ko) 2001-05-15

Family

ID=5476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375U KR200225054Y1 (ko) 1999-03-04 1999-03-04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05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42B1 (ko) 2008-08-18 2010-10-18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리튬폴리머전지의 충,방전 지그
KR101082292B1 (ko) 2010-06-16 2011-1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용 이차전지 셀 고정장치 및 그를 구비한 지그
KR101487209B1 (ko) * 2012-05-31 2015-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충방전 장치
KR101728102B1 (ko) 2014-12-04 2017-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충방전 지그 시스템
KR200491850Y1 (ko) * 2019-03-14 2020-06-18 대승전자 주식회사 냄비를 고정 및 회전시키는 기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19B1 (ko) * 2007-01-19 2011-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이를 포함하는 충방전용 장치 및 상기 충방전용 장치를 이용하는 이차전지의 성능 테스트 방법
KR101442904B1 (ko) * 2012-05-21 2014-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연결지그
CN107894312B (zh) * 2017-12-25 2024-03-29 河北工业大学 一种圆柱形锂电池压力连续调整固定保护机构
CN108258324B (zh) * 2018-03-13 2024-02-06 广州朗天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化成夹具
KR20200075046A (ko) 2018-11-29 2020-06-26 (주)중한문산 자동차 운행 시 후행 차량에 차선변경 정보표시 및 감사 메시지 표시 시스템
KR20210043370A (ko) *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운반 장치
KR102316702B1 (ko) * 2020-01-15 2021-10-2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실린더형 배터리 셀 지그
CN113777472B (zh) * 2021-09-13 2024-04-16 安徽岱梭微电子有限公司 一种锂电池保护板的高效率生产测试装置
KR102383403B1 (ko) 2021-09-17 2022-04-25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CN117031321B (zh) * 2023-08-11 2024-04-19 湖南盛远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锂电池的防爆针刺测试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42B1 (ko) 2008-08-18 2010-10-18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리튬폴리머전지의 충,방전 지그
KR101082292B1 (ko) 2010-06-16 2011-1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용 이차전지 셀 고정장치 및 그를 구비한 지그
KR101487209B1 (ko) * 2012-05-31 2015-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충방전 장치
KR101728102B1 (ko) 2014-12-04 2017-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충방전 지그 시스템
KR200491850Y1 (ko) * 2019-03-14 2020-06-18 대승전자 주식회사 냄비를 고정 및 회전시키는 기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53U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5054Y1 (ko)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CN210347755U (zh) 免破线测电装置
EP4129573A1 (en) Bolting device
KR101783921B1 (ko) 전지 평가 장치
CN210578423U (zh) 光伏电池检测夹具
CN208780373U (zh) 检测设备
CN110867756A (zh) 一种可储存配电工具的户外控制柜
CN111912362B (zh) 用于实现回转体元件定向的调节装置及调节方法
CN217542368U (zh) 截割试验组件和截割试验设备
CN110174529B (zh) 一种加速度计离心测试工装
CN1307469C (zh) 背光模组测试工具
CN211206634U (zh) 电离辐射检测装置
CN207502654U (zh) 便携式直流接地故障查找仪
CN212932810U (zh) 充电器测试辅助装置
CN219416094U (zh) 一种三坐标测量机检测装置
CN218298377U (zh) 一种绝缘电阻自动测试装置
CN113328183A (zh) 一种电池模组首串调节装置
CN220188284U (zh) 一种数显式混凝土回弹仪
CN220292305U (zh) 一种轨道交通站台门控制装置
CN112881031B (zh) 车辆测试装置及车辆测试设备
CN209247075U (zh) 一种电梯井湿度固定式检测箱
CN213274668U (zh) 测试装置
CN217034199U (zh) 一种电池模组内模块充放电测试装置
WO2023113179A1 (ko) 접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성 측정기
CN216350817U (zh) 一种继电保护试验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