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904B1 - 배터리 연결지그 - Google Patents
배터리 연결지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2904B1 KR101442904B1 KR1020120053502A KR20120053502A KR101442904B1 KR 101442904 B1 KR101442904 B1 KR 101442904B1 KR 1020120053502 A KR1020120053502 A KR 1020120053502A KR 20120053502 A KR20120053502 A KR 20120053502A KR 101442904 B1 KR101442904 B1 KR 1014429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fixing plate
- battery
- pin fixing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8—End of discharge regulating meas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또는 방전시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상부핀; 및 일측이 상기 상부핀과 연결되고, 그 타측이 배터리단자와 접촉하는 하부핀; 상기 상부핀 및 하부핀을 고정하는 핀고정판을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단자와 외부의 부하, 충전장치 등과 연결 및 단락이 용이하고, 연결시 접촉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체형 연결구조에 비해 배터리단자와 외부의 부하 충전장치 등과의 연결 및 단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단자와 배터리 연결지그 간 접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단자와 외부의 부하, 충전장치 등과 연결 및 단락이 용이하고, 연결시 접촉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체형 연결구조에 비해 배터리단자와 외부의 부하 충전장치 등과의 연결 및 단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단자와 배터리 연결지그 간 접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연결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연결지그의 성능을 개선한 배터리 연결지그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전극과 연결되어 외부로 전력을 방전하거나 충전하기 위한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단자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은 외부의 충전장치, 전력원과 연결되어 배터리에 충전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외부 부하와 연결되고, 배터리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방출하여 외부 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처럼 배터리는 반복적, 계속적으로 충전과 방전을 행하므로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케이블의 연결부위는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전극단자와 케이블의 연결부위는 상기 전극단자와 접촉하는 핀형상의 리드가 형성되고 상기 리드와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전극단자와 리드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접촉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일체형으로 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접촉형 연결구조는 별도의 가압지지장치가 없다면 상기 전극단자와 리드 간 접촉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일체형 연결구조는 배터리에 돌출된 리드를 형성해야 하므로 배터리의 제작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일체형 연결구조는 상기 전극단자와 리드를 연결 또는 단락상태로 변환활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이를 원하는 데로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단자와 외부의 부하, 충전장치 등과 연결 및 단락이 용이하고, 연결시 접촉성이 향상된 배터리 연결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충전 또는 방전시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상부핀; 및 일측이 상기 상부핀과 연결되고, 그 타측이 배터리단자와 접촉하는 하부핀; 상기 상부핀 및 하부핀을 고정하는 핀고정판을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핀은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핀은 상기 상부핀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핀고정판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하부핀이 배터리와 연결되거나 단락되도록 하는 연결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핀고정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핀고정판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마련되고, 상기 핀고정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레버기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버기구는, 수동조작으로 회전하는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중심축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가압부와, 상기 회전가압부와 접촉하고 상기 핀고정판과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핀고정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핀고정판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가압부와 핀고정판이송부는, 그 접촉부에서 서로 마찰접촉하고 축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지는 마찰접촉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핀의 배터리단자와의 접촉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단자와 외부의 부하, 충전장치 등과 연결 및 단락이 용이하고, 연결시 접촉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체형 연결구조에 비해 배터리단자와 외부의 부하 충전장치 등과의 연결 및 단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단자와 배터리 연결지그 간 접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의 일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의 일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의 구성요소인 핀고정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의 일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의 구성요소인 핀고정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결지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핀(20), 하부핀(30) 및 핀고정판(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핀(20)은 케이블단자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케이블과 연결되어 배터리가 충전 또는 방전된다.
상기 하부핀(30)은 상기 일측이 상기 상부핀(20)과 연결되고, 그 타측은 배터리단자(도 5에서 11)와 접촉한다.
상기 고정판은 상기 상부핀(20) 및 하부핀(30)이 이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단자, 하부핀(30), 상부핀(20)이 연결된 부분으로 전력이 충전되거나 방전된다.
또한 상기 상부핀(20) 및 하부핀(30)은 상기 핀고정판(40)의 핀고정홀(도 3에서 42)에서 상기 핀고정판(4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상부핀(20)은 다수의 케이블과 동시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핀(20)의 개수는 상기 배터리단자의 개수와 일치하도록 구성함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하부핀(30)의 개수도 상기 상부핀(20)의 개수에 일치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배터리는 직류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상기 상부핀(20) 및 하부핀(30)은 상기 핀고정판(40)을 중심으로 음극측과 양극측으로 나누어 형성된다.
도 3에는 상기 핀고정판(40)의 평면도가 도시되었다.
상기 핀고정판(40)은 하기에 설명되는 핀고정판 이송부가 관통하는 중앙홀(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핀과 하부핀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핀고정홀(42)이 형성된다.
상기 핀고정홀(42)은 상기 상부핀과 하부핀의 개수와 일치되게 형성되는데 도 3에는 음극측 상기 상,하부핀이 관통하는 11개와 양극측 상기 상,하부핀이 관통하는 11개가 형성되었다.
상기 핀고정홀(42)의 개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배터리단자의 수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연결지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과 레버기구(200)로 구성되는 연결장치(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장치(50)는 상기 핀고정판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하부핀이 배터리와 연결되거나 단락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장치(50)의 구성과 작동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기 핀고정판과 상기 레버기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배터리(10)에 고정되고 지지대역할을 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되고, 하측 수평프레임은 상기 핀고정판을 고정하며, 상측 수평프레임은 회전레버(210)를 고정한다.
상기 레버기구는 회전레버(210), 회전가압부(220) 및 핀고정판이송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레버(210)는 상기 상측 수평프레임 중앙부에 고정되고 수동조작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가압부(220)는 상기 회전레버(210)의 중심축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레버(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를 가압한다.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는 상기 중앙홀(도 3에서 41)을 관통하여 상기 핀고정판(30)을 고정하고, 그 하측은 배터리(10)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핀고정판(30)의 하측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미도시)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는 상기 회전가압부(220)와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가 상승하면 상기 핀고정판(30)도 상승하고,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가 하강하면 상기 핀고정판도(30) 하강한다.
상기 배터리 연결지그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부핀(30)이 상기 배터리단자(11)와 단락된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경우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탄성체에 의해 상승된 상태이므로 상기 하부핀(30)과 상기 배터리단자(11)는 단락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핀(30)이 상기 배터리단자(11)와 연결된 경우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경우 상기 회전레버(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가압부(220)는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는 하강하여 상기 핀고정판(40)에 고정된 상기 하부핀(20)은 상기 배터리단자(11)와 접촉하게되고, 이때 배터리(10)는 외부의 부하, 충전장치 등과 통전된다.
상기 회전가압부(22)와 핀고정판이송부(230)는 서로 간 접촉부위에 마찰접촉부(221, 231)가 존재한다.
상기 마찰접촉부(221, 231)는 상기 회전가압부(220)와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 각각에 존재하고 서로 마찰접촉하며 축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진 절개된 오목홈의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가압부(220)가 회전하면 상기 마찰접촉부(221, 231)의 형상에 의해 상기 핀고정판이송부(230)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부핀(30)도 하강하여 상기 배터리단자(11)와 접촉하여 배터리(10)는 외부의 부하, 충전장치 등과 통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핀의 배터리단자와의 접촉면에 요철을 형성하면 상기 하부핀과 배터리단자의 접촉성이 향상된다.
상기 하부핀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 20: 상부핀
30: 하부핀 40: 핀고정판
50: 연결장치 100: 지지프레임
200: 레버기구
30: 하부핀 40: 핀고정판
50: 연결장치 100: 지지프레임
200: 레버기구
Claims (7)
- 충전 또는 방전시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상부핀; 및
일측이 상기 상부핀과 연결되고, 그 타측이 배터리단자와 접촉하는 하부핀;
상기 상부핀 및 하부핀을 고정하는 핀고정판; 및
상기 핀고정판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하부핀이 배터리와 연결되거나 단락되도록 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핀고정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핀고정판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마련되고, 상기 핀고정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레버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기구는,
수동조작으로 회전하는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중심축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가압부와, 상기 회전가압부와 접촉하고 상기 핀고정판과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핀고정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핀고정판이송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핀은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핀은 상기 상부핀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결지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압부와 핀고정판이송부는, 그 접촉부에서 서로 마찰접촉하고 축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지는 마찰접촉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결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핀의 배터리단자와의 접촉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결지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502A KR101442904B1 (ko) | 2012-05-21 | 2012-05-21 | 배터리 연결지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502A KR101442904B1 (ko) | 2012-05-21 | 2012-05-21 | 배터리 연결지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9542A KR20130129542A (ko) | 2013-11-29 |
KR101442904B1 true KR101442904B1 (ko) | 2014-09-23 |
Family
ID=4985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3502A KR101442904B1 (ko) | 2012-05-21 | 2012-05-21 | 배터리 연결지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29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6182A (ko) | 2019-05-27 | 2020-12-07 | (주)비트앤와트 | 배터리 양산용 일체형 지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6005B1 (ko) * | 2021-04-05 | 2023-07-14 | 비나텍주식회사 | 파우치형 전지셀 충방전용 가압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7753U (ko) * | 1999-03-04 | 2000-10-05 | 신동희 |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
KR20070092833A (ko) * | 2006-03-09 | 2007-09-14 |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 대용량 바테리 및 캐패시터의 충,방전용 지그 |
KR20070092831A (ko) * | 2006-03-09 | 2007-09-14 |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 소용량 바테리 및 캐패시터의 충,방전용 지그 |
KR20110054676A (ko) * | 2009-11-18 | 2011-05-25 | 엔테크주식회사 | 배터리 충·방전기용 지그장치 |
-
2012
- 2012-05-21 KR KR1020120053502A patent/KR1014429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7753U (ko) * | 1999-03-04 | 2000-10-05 | 신동희 | 리튬이온 배터리 충.방전용 지그 |
KR20070092833A (ko) * | 2006-03-09 | 2007-09-14 |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 대용량 바테리 및 캐패시터의 충,방전용 지그 |
KR20070092831A (ko) * | 2006-03-09 | 2007-09-14 |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 소용량 바테리 및 캐패시터의 충,방전용 지그 |
KR20110054676A (ko) * | 2009-11-18 | 2011-05-25 | 엔테크주식회사 | 배터리 충·방전기용 지그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6182A (ko) | 2019-05-27 | 2020-12-07 | (주)비트앤와트 | 배터리 양산용 일체형 지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9542A (ko) | 2013-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3182B1 (ko) | 이차 전지 고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 |
JP2012109149A (ja) |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 |
US20120071040A1 (en) | Terminal contacting part included in a jig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 secondary battery and the jig including the same | |
KR101468034B1 (ko) | 전지 충방전용 핀 | |
US9966717B2 (en) | Conductive device and electrical socket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 |
US7731544B2 (en) | U-shaped electrical connector spring devices and methods | |
KR101442904B1 (ko) | 배터리 연결지그 | |
CN111092311A (zh) | 一种开关插座的接线装置 | |
US20070287035A1 (en) | Attachable Battery For Attachment To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or | |
CN210298206U (zh) | 一种低电压补偿电路 | |
CN212062725U (zh) | 一种开关插座的接线装置 | |
KR101685746B1 (ko) | 이차전지용 충방전기 | |
CN202308601U (zh) | 电连接器组合 | |
US7517227B2 (en) | Electronic device | |
US20220216709A1 (en) |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foot seat thereof | |
CN108418024A (zh) | 分离弹压接触式通电连接器 | |
US8172598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base plate to support cam | |
CN203787629U (zh) | 电池座 | |
KR101304927B1 (ko) | 전지 충방전용 프로브 | |
CN200976368Y (zh) | 电性导通结构 | |
CN201312048Y (zh) | 插座连接器 | |
CN209344062U (zh) | 一种GaN-mode功率器件结构 | |
KR101707708B1 (ko) | 이차전지용 충방전기 | |
US20240006792A1 (en) | Power device | |
CN216057687U (zh) | 一种可拼接的双层复合电路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