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535Y1 -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535Y1
KR200224535Y1 KR2020000034902U KR20000034902U KR200224535Y1 KR 200224535 Y1 KR200224535 Y1 KR 200224535Y1 KR 2020000034902 U KR2020000034902 U KR 2020000034902U KR 20000034902 U KR20000034902 U KR 20000034902U KR 200224535 Y1 KR200224535 Y1 KR 200224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c cylinder
sampling
temperature
skimm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득식
장재량
허춘행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4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535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terials By Characteristic Method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슬래그의 배재 작업 실시후에 바로 측온 및 시료 채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석장치는, 설치된 실린더와 모터를 이용해서 수평, 수직 및 회전이 가능하고 거더 선단의 제거판으로 슬래그를 배재시키는 장치에서, 상기 거더에 고정되는 텔레스코픽 실린더와;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되는 시료 채취 디스크가 내장된 샘플링 봉과;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가 끝단에 부착된 측온 봉과; 상기 측온 봉과 연결되는 감지선이 감겨지고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되는 릴과; 상기 감지선과 연결되어 원격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Analytical apparatus set on skimmer}
본 고안은 제강공정시 용강의 성분을 분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온도 측정과 용감의 시료 채취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에서 용해된 강은 가공되기 전에 최종 제품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온도와 성분을 파악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전기로에서 용해된 강이 정련로에 투입될 때까지 통상 2번의 온도 측정과 시료 채취를 하고 있다.
도 5에서는 종래 시료 채취 작업과 측온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데크(2)에 모터(4)와 체인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대(6)에는 선택적으로 측온 봉(8)과 시료 채취 봉을 결합시켜 래들(10)의 용탕으로 투입한 후 용강의 온도 측정과 시료를 채취한다.
그러나, 전기로의 경우에는 용탕 중에 슬래그 함유량이 1회당 10 내지 20 톤(ton)씩 발생되어 슬래그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측온 및 시료 채취 작업시 정확한 측온이 어려운 뿐만 아니라 시료 채취가 불량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측온 및 시료 채취 작업 후 대략 10분 이내로 다음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나 측온 및 시료 채취 작업을 번갈아 가면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후공정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VOD(Vacuum Oxygen Decarbonization), 즉 용강조정반에서 작업상황을 살펴보면 이전 공정인 정련로에서 작업한 용강을 슬래그 배재작업후 측온 및 시료 채취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용탕의 표면에 형성된 슬래그층을 스키머로 배재시킨 후 스키머 설치 장소에서 측온 및 시료 채취 작업장까지 올라가서 측온 및 시료 채취 작업을 실시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작업의 번거로움과 작업자 이동시간 지연 등으로 인하여 후공정 작업 대기 시간이 발생되는 고질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수도 샘플 채취시 작업자가 고열에 노출되어 있어 화상 재해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생산성 및 안전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래그의 배재 작업 실시후에 바로 측온 및 시료 채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머의 분석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머의 분석장치가 펼져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석장치의 샘플링 봉과 측온 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샘플링작업과 측온 작업이 실시되는 작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L...래들 20...데크
24...모터실 26...유압탱크
28...전측 조정 실린더 30...승하강 실린더
32...거더(girder) 34...붐
36...제거판 38...텔레스코픽 실린더
40...측온 봉 42...시료 채취 봉
44...감지선 46...릴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석장치는, 설치된 실린더와 모터를 이용해서 수평, 수직 및 회전이 가능하고 거더 선단의 제거판으로 슬래그를 배재시키는 장치에서, 상기 거더에 고정되는 텔레스코픽 실린더와;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되는 시료 채취 디스크가 내장된 샘플링 봉과;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가 끝단에 부착된 측온 봉과; 상기 측온 봉과 연결되는 감지선이 감겨지고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되는 릴과; 상기 감지선과 연결되어 원격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분석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분석장치가 설치되는 스키머에 대해 설명한다.
스키머는 데크(20) 위에 설치된 베이스(22)에 스키머의 회전을 위한 모터가 내장된 모터실(24)이 구비되고, 모터실(24)의 옆에는 유압 발생을 위한 유압 탱크(26)가 설치되며, 전측 조정 실린더(28)와 승하강 실린더(30)에 의해 작동 범위가 정해지는 거더(32)가 설치된다.
특히 거더(32)에 설치되는 붐(34)은 모터와 체인에 의해 전후진된다.
이러한 붐(34)의 선단에는 제거판(36)이 설치되어 래들(L)의 용탕 표면에 형성된 슬래그층을 배재시킨다.
이와 같은 스키머의 거더(32)에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분석장치가 설치된다.
분석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실린더(telescopic cylinder)(38)의 선단에 수직으로 측온 봉(40)과 시료 채취 봉(42)을 함께 설치한다.
여기서 측온 봉(40)의 선단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 온도 센서(40a)가 내장된 온도 프로브(probe)(40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픽 실린더(38)의 상부 외측면에는 감지선(44)이 감겨진 릴 (46)이 고정된다.
상기 감지선(44)의 일단은 상술한 온도센서(40a)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어부 (48)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48)는 모터실(24), 유압탱크(26), 승하강 실린더(30), 전측 조정 실린더(28) 및 감지선(44)과 연결되어 원격으로 스키머 및 분석장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8)로 입력된 용강의 온도는 계기판에 표시되고 측온작업이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용강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비해 낮은 경우에는 산소를 취입하여 설정된 온도에 가깝게 승온작업을 실시하고, 높을 경우에는 용탕의 내부로 냉각제를 투입하여 온도를 낮추게 된다.
시료 채취 봉(42)의 선단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시료 채취 디스크(42a)가 내장되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용강을 공간의 내부로 빨려 들게 한다.
그런 다음, 시료 채취 디스크(42a)를 열고 굳은 용강을 분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분석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전측 조정 실린더(28), 승하강 실린더(30) 및 모터실(24)의 모터를 이용하여 붐(34)을 신장시킨 후 붐의 끝단에 설치된 제거판(36)로 용탕 표면의 슬래그층을 배제시킨다.
이어서 측온 및 시료 채취 작업을 위하여 스키머의 붐(34)은 거더(32)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실린더(38)를 작동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의 길이를 신장시킨다. 이때 릴(46)에 감겨진 감지선(44)은 풀리게 된다.
이어서, 스키머의 전측 조정 실린더(28)와 승하강 실린더(30)를 작동시켜 분석장치를 하강시키면 측온 봉(40)과 시료 채취 봉(42)은 슬래그층이 배재된 래들 (L)의 용탕 표면에 접촉된다.
그러면 측온 봉(40)의 선단에 설치된 온도 센서(40b)에서 감지된 온도는 감지선(44)을 통해 제어부(48)로 입력되고 계기판에는 측정된 온도가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온도 측정이 종료되었다는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온도 측정과 동시에 시료 채취 봉(42)의 시료 채취 디스크(42a)의 내부로는 용강이 채워진다.
이어서 스키머의 승하강 실린더(30), 전측 조정 실린더(28) 및 모터를 이용하여 텔레스코픽 실린더(38)를 원위치시킨다.
그리고, 시료 채취 디스크(42a)를 시료 채취 봉에서 분리하는 일련의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시료 채취 디스크(42a)의 내부에서 용강이 굳어진다.
굳어진 용강은 시료 채취 디스크(42a)를 분해하여 수거한 후 분석작업으로 넘겨진다.
이와 같이 측온작업과 시료 채취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슬래그를 배재시킨 상태에서 측온 작업 및 시료 채취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분석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측온 작업과 시료 채취 작업을 동시에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후공정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Claims (1)

  1. 설치된 실린더와 모터를 이용해서 수평, 수직 및 회전이 가능하고 거더 선단의 제거판으로 슬래그를 배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더에 고정되는 텔레스코픽 실린더와;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되는 시료 채취 디스크가 내장된 샘플링 봉과;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가 끝단에 부착된 측온 봉과;
    상기 측온 봉과 연결되는 감지선이 감겨지고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되는 릴과;
    상기 감지선과 연결되어 원격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키머.
KR2020000034902U 2000-12-13 2000-12-13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 KR200224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02U KR200224535Y1 (ko) 2000-12-13 2000-12-13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02U KR200224535Y1 (ko) 2000-12-13 2000-12-13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535Y1 true KR200224535Y1 (ko) 2001-05-15

Family

ID=7306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02U KR200224535Y1 (ko) 2000-12-13 2000-12-13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5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9800A (zh) * 2022-09-27 2022-12-16 临沂利信铝业有限公司 一种铝熔炼炉加工用扒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9800A (zh) * 2022-09-27 2022-12-16 临沂利信铝业有限公司 一种铝熔炼炉加工用扒渣装置
CN115479800B (zh) * 2022-09-27 2023-06-16 临沂利信铝业有限公司 一种铝熔炼炉加工用扒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7034A (en) Apparatus for immersing and withdrawing bath examination means into and from a molten bath
KR200224535Y1 (ko) 스키머에 설치된 분석장치
CN105784418A (zh) 一种冶金熔渣取样装置及该装置的使用方法
CN201138230Y (zh) 一种电炉渣铁液面测量装置
JP2019132767A (ja) 材料試験機
JP3675443B2 (ja) 溶融金属の流速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これに用いる検知棒
CN111380492A (zh) 一种测定120t转炉枪位的方法
CN205620303U (zh) 一种激光诱导击穿光谱检测固体试样的夹持装置
CN212443020U (zh) 一种五金制品的自动测量剪切设备
CN214361486U (zh) 一种高炉铁口深度的自动测量装置
CN212432568U (zh) 一种公路试验检测压实度取料装置
KR20010047250A (ko) 서브랜스를 이용한 전로 용강레벨 측정장치
CN215812571U (zh) 一种基于涡流的六面顶压机顶锤裂纹检测系统
CN206583635U (zh) 一种冶金熔渣取样装置
CN219335897U (zh) 一种适用于中间包的渣层厚度检测装置
CN205263009U (zh) 一种炉前钢种液固相线温度快速检测装置
JPH0384393A (ja) 取鍋側壁の肉厚測定装置
CN206430997U (zh) 蒸压加气混凝土砌块坯体初养塑性强度测试装置及系统
KR100868505B1 (ko) 노 내부 내화물 침식상태 확인장치
CN218646662U (zh) 一种铁水测温取样机器人
CN107121164A (zh) 一种钢水碳含量和温度检测系统
KR100908092B1 (ko) 래들의 용강시료 샘플링을 위한 랜스 침지방법
KR100848623B1 (ko) 용강중의 수소성분 채집분석 장치 및 그 방법
CN212807216U (zh) 铁水包测重装置
CN111910043B (zh) 一种用于测量lf精炼炉钢水温度的精炼定置测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