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506Y1 - 건축용 바닥판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바닥판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4506Y1 KR200224506Y1 KR2020000034151U KR20000034151U KR200224506Y1 KR 200224506 Y1 KR200224506 Y1 KR 200224506Y1 KR 2020000034151 U KR2020000034151 U KR 2020000034151U KR 20000034151 U KR20000034151 U KR 20000034151U KR 200224506 Y1 KR200224506 Y1 KR 2002245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upport plate
- synthetic resin
- building
- moistur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격하여 설치되는 건축용 바닥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판재의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습기에 강하고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지지판(11)의 상, 하부에는 얇은 합성수지 상, 하부판(12)(13)들이 각각 부착되고, 지지판(11)의 외측면에는 하향 경사진 합성수지 테두리(14)가 일체로 사출성형된 바닥판재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테두리(14)의 형성시 별도의 접착제의 사용이 필요없고, 지지판(11)의 외측 전체가 합성수지 상,하부판(12)(13)과 테두리(14)에 의하여 커버되어 습기에 매우 강한 구성이므로 야외에 보관시키더라도 습기에 의하여 접착부가 떨어지거나 판재가 뒤틀려지는 등의 종래의 제반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소되는 것으로서 건축용 바닥판재(10)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 줄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하여 설치되는 건축용 바닥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판재의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습기에 강하고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용 사무실을 입주 대상으로 하는 건물에는 다양한 OA기기를 효과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에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들 위에 바닥판재를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바닥을 형성하고 바닥판재의 하부 공간부에는 OA 기기와 접속되는 각종 전선들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4각판재로 형성되어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나, 본 고안은 목판의 외부에 상, 하부판과 측면판이 부착된 형태의 바닥판재를 개선한 것이다.
종래에는 목판의 상, 하부에 합성수지 상판과 알루미늄 박판이 각각 부착되고, 그 외측에는 4장의 합성수지 측면판들이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바닥판재는 목판의 외부에 부착되는 상판, 알루미늄 박판 및 측면판들이 본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습기에 매우 약한 구성이므로 외부에 야적시켜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 함에 따라 상당한 보관비가 지출되는 보관용 창고에 보관시켜야 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특히, 목판으로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시키기 위해서는 값비싼 알루미늄 박판을 목판의 하부에 부착시켜야 하므로 전체적인 바닥판재의 제작비가 비싸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축용 바닥판재의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습기에 강하고 야적이 가능한 건축용 바닥판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정 두께를 갖는 지지판(11)의 상,하부에는 얇은 합성수지 상, 하부판(12)(13)들이 각각 부착되고, 지지판(11)의 외측면에는 하향 경사진 합성수지 테두리(14)가 일체로 사출성형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바닥판재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닥 2 : 지주
2a : 지지판 10 : 바닥판재
11 : 지지판 12 : 상부판
13 : 하부판 14 : 테두리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바닥판재(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체 지지판(11)과, 얇은 합성수지 판재로 이루어져 지지판(11)의 상,하부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하부판(12)(13)과, 지지판(11)의 외측면에 사출성형되는 합성수지 테두리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1)의 칩보드와 같은 목판재나 합성수지판재 또는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재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11)의 상,하부에는 얇은 합성수지판재로 이루어진 상부판(12)과 하부판(13)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하부판(13)이 부착된 지지판(11)을 사출용 금형의 내부에 장착시키고 지지판(11)의 외측면에 합성수지를 사출성형시키면 지지판(11)의 외측면에 테두리(14)가 일체로 성형된 바닥판재(10)가 완성되는 것으로서, 바닥판재(10)의 제작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별도의 알루미늄 박판을 부착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제작비가 절감되어 건축용 바닥판재(10)의 대외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테두리(14)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그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테두리(14)의 형성시 별도의 접착제의 사용이 필요 없고, 지지판(11)의 외측 전체가 합성수지 상,하부판(12)(13)과 테두리(14)에 의하여 커버되어 습기에 매우 강한 구성이므로 야외에 보관시키더라도 습기에 의하여 접착부가 떨어지거나 판재가 뒤틀려지는 등의 폐단이 방지되어 종래의 제반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소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판(11)은 바닥판재(10)의 전체적인 강도를 강하게 유지하고 목판재, 합성수지판재, 금속판재와 같이 비교적 저렴한 비용의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인 바닥판재(10)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건축용 바닥판재(10)에는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고 난연처리되어 과전류와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건축용 바닥판재(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1)에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2)들의 상부 지지판(2a)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이중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지지판(11)의 상,하부에는 얇은 합성수지 상,하부판(12)(13)들이 각각 부착되고, 지지판(11)의 외측면에는 하향 경사진 합성수지 테두리(14)가 일체로 사출성형된 바닥판재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테두리(14)의 형성시 별도의 접착제의 사용이 필요 없고, 지지판(11)의 외측 전체가 합성수지 상, 하부판(12)(13)과 테두리(14)에 의하여 커버되어 습기에 매우 강한 구성이므로 야외에 보관시키더라도 습기에 의하여 접착부가 떨어지거나 판재가 뒤틀려지는 등의 종래의 제반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소되는 것으로서 건축용 바닥판재(10)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 일정 두께를 갖는 지지판(11)의 상,하부에는 얇은 합성수지 상,하부판(12)(13)들이 각각 부착되고, 지지판(11)의 외측면에는 하향 경사진 합성수지 테두리(14)가 일체로 사출성형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은 목판재,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중 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4151U KR200224506Y1 (ko) | 2000-12-06 | 2000-12-06 | 건축용 바닥판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4151U KR200224506Y1 (ko) | 2000-12-06 | 2000-12-06 | 건축용 바닥판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4506Y1 true KR200224506Y1 (ko) | 2001-05-15 |
Family
ID=7308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4151U KR200224506Y1 (ko) | 2000-12-06 | 2000-12-06 | 건축용 바닥판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4506Y1 (ko) |
-
2000
- 2000-12-06 KR KR2020000034151U patent/KR2002245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97423B2 (en) | Panel veneer system with cage-type embedded rail | |
US6079177A (en) | Removable ceiling panel assembly | |
US9062463B2 (en) | Construction set for covering substrate, in particular floor substrate | |
KR200224506Y1 (ko) | 건축용 바닥판재 | |
KR200169805Y1 (ko) | 건축용 바닥판재 | |
US20060156643A1 (en) | Simple house structure | |
KR200196513Y1 (ko) | 건축용 바닥판재 | |
KR101162834B1 (ko) | 보강 몰딩을 이용한 건축용 내장 보드 제조방법 | |
EP3628793B1 (en) | Substrate and raised floor formed by using same | |
JP2835600B2 (ja) | 建築用壁下地構成材および壁下地構造並びに壁の工法 | |
JP3104035U (ja) | 土台用建築要素 | |
KR940007060Y1 (ko) | 마루판 | |
JP2008050778A (ja) | ラティス | |
WO2001079624A1 (en) | Architectural floor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S6040753Y2 (ja) | 手摺 | |
JPH0756436Y2 (ja) |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ー材 | |
JPH0133701Y2 (ko) | ||
KR20000002309U (ko) | 건축용 바닥판재 | |
KR200236491Y1 (ko) | 보조바닥판 | |
KR940003897Y1 (ko) | 장식용 벽돌 | |
JPH0541139Y2 (ko) | ||
JPH04347227A (ja) | 屋外用テラス床構造 | |
KR200236235Y1 (ko) | 천정판 | |
KR200397131Y1 (ko) | 건축용 바닥판재 | |
JPH0649731Y2 (ja) |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金属製床パネ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