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646Y1 -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 Google Patents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646Y1
KR200223646Y1 KR2020000031225U KR20000031225U KR200223646Y1 KR 200223646 Y1 KR200223646 Y1 KR 200223646Y1 KR 2020000031225 U KR2020000031225 U KR 2020000031225U KR 20000031225 U KR20000031225 U KR 20000031225U KR 200223646 Y1 KR200223646 Y1 KR 200223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ranch pipe
reinforcing
reinforcing ring
auxiliary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2020000031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646Y1/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지공정에서 원지가 롤상으로 감기는 지관에 관한 것으로, 원지의 권취 하중으로 인해 지관의 양측단부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원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원형상의 내외측슬리브(11)(12)가 형성된 보강캡(10)(10a)을 지관(1)의 양측단부에 체결 설치하는 지관(1)의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관(1)의 양측단부에 체결 설치되어 회전장치(100)의 테이퍼면과 가압 밀착되는 보강캡(10)(10a)의 내측슬리브(11) 절곡부의 외주연에 원형상의 보조보강링(20)(20a)(20b)을 설치하여 보강캡(10)(10a)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Paper pipe assistance reinforce the ring device}
본 고안은 제지공정에서 원지가 롤상으로 감기는 지관에 관한 것으로, 원지의 권취 하중으로 인해 지관의 양측단부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원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지 생산업체는 각종 용도의 원지를 생산하여 일정한 분량으로 지관에 감아서 인쇄업체에 운반 공급하고 있으며, 여기서 원지가 감기는 지관은 종이를 말아 관체로 성형한 것이므로 관체의 양측단부가 원지의 권취 하중으로 인해 파손의 우려가 높기 마련이다.
기존 제지공정을 거쳐 제조된 원지는 도면의 도 1 과 같이 양측단부가 회전장치(100)에 끼워진 지관(1)에 원지롤(2)상으로 권취되어 원지를 필요로 하는 인쇄업체등으로 공급되며, 인쇄업체에선 원지를 다시 풀어서 인쇄에 사용하고 있다.
원지가 권취되는 기존의 지관(1)은 도면의 도 2 내지 도 4 와 같이 양측단부의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고자 양측단부에 보강캡(10)을 끼워 설치하고 있으며, 여기서 일반화된 보강캡(10)은 원형상으로 일측 단면이 'ㄷ'자 형상과 'ㄴ'자 형상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내측슬리브(11)와 외측슬리브(12)로 구성된 'ㄷ'자 형상의 보강캡(10)은 지관(1)의 중앙공(3)에 내측슬리브(11)가 끼워지고 외측슬리브(12)는 양측단부의 외주연을 감싸게 설치되거나, 또는 외측슬리브(12)가 양측단부의 홈에 끼워져 설치된다.
또한 플렌지 형태를 갖는 'ㄴ'자 형상의 보강캡(10a)은 내측슬리브(11)가 중앙공(3)에 끼워지고 플렌지부(13)가 양측단부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존의 보강캡은 지관 양측단부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주므로써 원지의 권취 하중으로 인한 지관의 파손과 변형을 줄여주어 원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기존 지관의 양측단부에 설치된 보강캡은 회전장치의 테이퍼면과 밀착되는 내측슬리브의 절곡부위가 원지의 권취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집중되는 하중에 의해 파손 및 변형되므로써 지관과 원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보강캡은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되므로 보강력을 높히기 위해 보다 두꺼운 철판을 사용하게 되면 프레스 성형작업이 난해하고 기계설비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한편 제작 원가가 증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 지관 보강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전장치의 테이퍼면과 가압 밀착되는 내측슬리브 절곡부의 외주연에 보조보강링을 설치하여 보강캡의 지지력을 보강하므로써 원지의 권취 하중으로 인한 보강캡의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여 지관 및 원지의 손상을 막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원지가 감긴 지관의 사용상태도
도 2 내지 도 4 는 기존 지관 보강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설치상태도
도 11 과 도 12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설치상태도
도 13 과 도 14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관 2.원지롤 3.중앙공
10,10a.보강캡 11.내측슬리브 12.외측슬리브
13.플렌지부 20,20a,20b.보조보강링
본 고안은 보강캡에 보조보강링을 설치하여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5 내지 도 14 에서 자세히 보이고 있다.
본 고안은 원형상의 내외측슬리브(11)(12)가 형성된 보강캡(10)(10a)을 지관(1)의 양측단부에 체결 설치하는 지관(1)의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관(1)의 양측단부에 체결 설치되어 회전장치(100)의 테이퍼면과 가압 밀착되는 보강캡(10)(10a)의 내측슬리브(11) 절곡부의 외주연에 보조보강링 (20)(20a)(20b)을 설치하여 보강캡(10)(10a)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지관(1)의 양측단부에 체결되는 보강캡(10)은 직경이 작은 내측슬리브(11)가 지관(1)의 중앙공(3)에 억지끼움 되고, 직경이 큰 외측슬리브(12)는 양측단부 외주연을 감싸거나 또는 양측단부의 홈에 끼워지며, 플렌지 형태를 갖는 보강캡(10a)은 플렌지부(13)가 지관(1)의 양측단부에 밀착되는 구조로 체결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캡(10)(10a)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조보강링 (20)(20a)(20b)은 회전장치(100)의 테이퍼면과 가압 밀착되는 내측슬리브(11)의 절곡부 외주연에 끼워져 설치되며, 원형상을 갖는 일측단면이 '│' 형상과 '┌' 형상과 '─'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같이 '│' 형상과 '┌' 형상과 '─' 형상의 실시예로 구성된 본 고안의 보조보강링(20)(20a)(20b)은 보강캡(10)(10a)의 내외측슬리브(11)(12)사이에서 내측슬리브(11)의 절곡부 외주연에 끼워져 밀착된다.
상기 실시예로 구성된 보조보강링(20)(20a)(20b)을 보강캡(10)(10a)에 장착해 지관(1)의 양측단부에 체결시 보조보강링(20)(20a)(20b)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을 지관(1)의 양측단부에 형성하여 보강캡(10)(10a)이 지관(1)의 끝단부에서 돌출되지 않고 보강캡(10)(10a)의 외측단과 동일면을 갖도록 체결 설치할 수 있다.
보조보강링(20)(20a)(20b)은 보강캡(10)(10a)을 지관(1)에 체결시 각기 개별로 보강캡(10)(10a)에 끼워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보조보강링(20)(20a)(20b)을 내측슬리브(11)의 절곡부 외주연에 끼운후 이를 스폿용접하여 사용함이 강도나 작업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지관(1)의 양측단부에 보조보강링(20)(20a)(20b)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지 않고 보강캡(10)(10a)의 내측슬리브(11) 외주연에 보조보강링(20)(20a)(20b)을 장착한 상태에서 보강캡(10)(10a)을 지관(1)의 중앙공(3)에 억지끼움 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보조보강링(20)(20a)(20b)은 일측 단면이 'ㄷ'자 형상과 또는 'ㄴ'자 형상을 갖는 일반화된 보강캡(10)(10a)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형상의 보조보강링(20)(20a)(20b)이 내측슬리브(11)의 절곡부 외주연에 설치됨에 따라 회전장치(100)의 테이퍼면과 밀착되는 내측슬리브(11)의 강도와 지지력을 높혀 원지의 권취 하중으로 인한 보강캡(10)(10a)의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보조보강링(20)(20a)(20b)은 보강캡(10)(10a)과 동일한 두께의 철판을 사용하여 제작하거나 또는 보다 얇은 철판을 사용해 제작하므로 프레스의 성형작업이 양호하고 제작비를 최소로 줄이게 된다.
본 고안은 원지를 감고 풀어주는 회전장치와 가압 밀착되는 보강캡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므로써 지관과 원지의 손상 및 원지의 절단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며, 작업성이 양호해 기계설비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제작비를 저렴화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원형상의 내외측슬리브(11)(12)가 형성된 보강캡(10)(10a)을 지관(1)의 양측단부에 체결 설치하는 지관(1)의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관(1)의 양측단부에 체결 설치되어 회전장치(100)의 테이퍼면과 가압 밀착되는 보강캡(10)(10a)의 내측슬리브(11) 절곡부의 외주연에 원형상의 보조보강링(20)(20a)(20b)을 설치하여 보강캡(10)(10a)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의 보조보강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보강링(20)(20a)(20b)은 일측 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의 보조보강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보강링(20)(20a)(20b)은 일측 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의 보조보강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보강링(20)(20a)(20b)은 일측 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의 보조보강링 장치.
KR2020000031225U 2000-11-08 2000-11-08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KR200223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25U KR200223646Y1 (ko) 2000-11-08 2000-11-08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25U KR200223646Y1 (ko) 2000-11-08 2000-11-08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646Y1 true KR200223646Y1 (ko) 2001-05-15

Family

ID=7306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225U KR200223646Y1 (ko) 2000-11-08 2000-11-08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6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166A (ko) 2019-04-26 2020-11-04 이규휘 지관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166A (ko) 2019-04-26 2020-11-04 이규휘 지관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411B2 (en) Tubular core assemblies for rolls of paper or other sheet material
KR200223646Y1 (ko)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US20070036922A1 (en) Adaptation sleeve, corresponding assembly and method for mounting
CN212744750U (zh) 一种轮轴涨套连接结构
KR200215345Y1 (ko)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RU2301190C9 (ru) Гильза бобины
CA2082369A1 (en) Roll with separate shell and roll core
JP4403526B2 (ja) 巻芯支持軸
KR200203027Y1 (ko)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
CN219545573U (zh) 一种纤维回收设备用捆扎带
KR200191463Y1 (ko) 호스권취기용 호스지지원판의 보강구조
JPH041163Y2 (ko)
CN220302492U (zh) 一种用于外表面为圆柱体侧面的固定连接件
CN220220257U (zh) 辐条及具有其的轮毂和自行车
CA2526352C (en) Tubular core assemblies for rolls of paper or other sheet material
KR200329047Y1 (ko) 핀 언코일러용 홀더 장치
CN201552204U (zh) 一种卷取机卷轴的轴端支承装置
JPH081864Y2 (ja) 刷版巻込軸
CN217293865U (zh) 一种新型版辊
JPH078519Y2 (ja) 巻取機のボビン保持装置
CN210937859U (zh) 瓦斯抽放机滚筒轮毂的兼顾拼装及焊接的工装
KR200171832Y1 (ko) 지관의 보강구
JPS609505Y2 (ja) 管継手
KR200171833Y1 (ko) 직조원단용 지관의 보강구
CN207154721U (zh) 一种分体式铸铝假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