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027Y1 -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027Y1
KR200203027Y1 KR2020000014096U KR20000014096U KR200203027Y1 KR 200203027 Y1 KR200203027 Y1 KR 200203027Y1 KR 2020000014096 U KR2020000014096 U KR 2020000014096U KR 20000014096 U KR20000014096 U KR 20000014096U KR 200203027 Y1 KR200203027 Y1 KR 200203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reinforcing
cap
upper plat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이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혁 filed Critical 이동혁
Priority to KR2020000014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185End caps, plugs or adapters
    • B65H75/187Reinforcing end cap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관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며, 체결력이 향상되면서 단턱이 전혀 없이 보강캡이 지관과 동일한 수평면으로 결합되고 지관에 감겨지는 원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보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지관(1)의 양측단에 각각 보강캡(2)을 결합하여 고정한 것에 있어서, 상판(3)과 삽입관(4)으로 형성된 보강캡(2)의 상판(3) 저면에 다수의 쐐기편(5)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관(1)의 측단에 보강캡(2)을 압입시키면 쐐기편(5)이 지관의 요홈면(6)에 박혀져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PAPER ROLLER}
본 고안은 신문원지나 다른 용도의 종이원지를 감아줄 때 심관으로 사용되는 지관을 형성함에 있어서 지관의 양측 단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지회사에서는 각종용도의 원지를 지관에 일정한 분량으로 감아서 인쇄업체에 운반 공급하는바, 지관은 종이를 말아서 관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양측단이 취약부로 작용하며, 이를 보강하기 위해서 지관의 양측단에 각각 금속 보강캡을 씌워서 지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사용하고 있다.
동일 목적의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개번호 96-8021)이 있으며 보강캡의 외부링을 지관의 측단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는 외부링을 지관의 측단에 결합시킬 때 타격을 가하여 강제적으로 압입시키기 때문에 지관과 외부링이 모두 손상되는 경우가 많고 그만큼 불량 발생률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은 지관의 측단에 결합된 보강캡의 체결력이 약하여 어느정도 사용하다보면 유동이 발생되고 분리 이탈되는 경우도 허다하여 구조적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서 고안된 본원 출원인의 선고안(실용원 99-23850호)이 있으며 보강캡의 삽입부 끝단을 톱날부로 형성하여 지관의 체결홈에 쐐기식으로 박히도록 하므로서 종래의 문제점인 보강캡의 유동을 방지하고 체결력도 보강하며 지관에 감기는 원지의 훼손도 방지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선고안의 보강캡은 외부링의 끝단에 형성한 톱날부에 의해서 다접점 체결방식으로 압입되어 강력한 체결력을 발휘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유동없이 견딜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것이나, 외부링의 끝단에 톱날부를 가공하는 작업이 난해하여 양산할 수 없고 완제품을 얻기까지는 여러 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단일 공정으로 간편히 제작할 수 있고 체결력도 크게 향상되는 새로운 구조의 지관 보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리단면도
도3은 보강캡을 지관에 결합한 상태도
도4는 보강캡의 삽입관을 펀칭하여 지관에 고정시킨 상태도
도5는 쐐기편의 배열상태를 보인 측면예시도
도6은 다수의 지관을 연결한 상태도
도7은 종래의 지관을 연결하여 틈새가 발생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지관 2: 보강캡 3: 상판
4: 삽입관 5: 쐐기편 6: 요홈면
지관(1)의 양측단에 각각 보강캡(2)을 결합하여 고정한 것에 있어서, 상판(3)과 삽입관(4)으로 형성된 보강캡(2)의 상판(3) 저면에 다수의 쐐기편(5)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관(1)의 측단에 보강캡(2)을 압입시키면 쐐기편(5)이 지관의 요홈면(6)에 박혀져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쐐기편(5)은 상판(3)을 펀칭하여 밑으로 타발(打發)시킨 직삼각형의 끝이 날카로운 칼날형이며, 도5와 같이 전체의 쐐기편(5)을 방사형으로 위치되게 가공하므로서 한번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체의 고정날이 동시에 삽입이 가능하고 체결력도 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지관(3)을 회전기구에 물려놓고 회전시키면서 커터 또는 기타 절삭기구를 이용하여 그 양단부에 요홈면(6)을 가공한 후 지관 양단에 각각 보강캡을 끼워서 고정시키고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판(3)을 타격하면 전체의 쐐기편(5)이 지관의 요홈면(6)에 동시에 박혀서 강한 체결력으로 고정되는 것이며, 이후에 종래와 같이 펀칭기구를 이용하여 삽입관(4)의 다수곳에 펀칭요홈(7)을 형성하므로서 도4와 같이 강한 체결력으로 고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체결구조에 의해서 지관의 양단부는 강한 보강구조를 가지면서 평활면을 유지할 수 있어 도6 및 도7과 같이 다수의 지관을 연결할 때 이음부의 틈새(A)가 발생되지 않게 연결하여 그 외면에 감겨지는 원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관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보강캡(2)의 상판에 쐐기편(5)을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지관의 측벽면에 결합시켰을 때 마치 여러개의 못을 박아서 보강판을 고정시킨 것처럼 강력하고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되고, 지관의 외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평활면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외면에 감겨지는 원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지관에 박히는 쐐기편(5)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보강캡이 좌우 유동이나 이탈의 우려 없이 고정되므로 종래의 덛씌우기식 구성에 비해서 체결력도 강하고 지관의 양측단도 평면화 되어 다수의 지관을 틈새 없이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관(1)의 양측단에 각각 보강캡(2)을 결합하여 고정한 것에 있어서, 상판 (3)과 삽입관(4)으로 형성된 보강캡(2)의 상판(3) 저면에 다수의 쐐기편(5)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관(1)의 측단에 보강캡(2)을 압입시키면 쐐기편(5)이 지관의 요홈면 (6)에 박혀져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
KR2020000014096U 2000-05-18 2000-05-18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 KR200203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96U KR200203027Y1 (ko) 2000-05-18 2000-05-18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96U KR200203027Y1 (ko) 2000-05-18 2000-05-18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027Y1 true KR200203027Y1 (ko) 2000-11-15

Family

ID=1965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096U KR200203027Y1 (ko) 2000-05-18 2000-05-18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0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354A (ko) 2016-12-15 2018-06-25 이봉진 원지 권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354A (ko) 2016-12-15 2018-06-25 이봉진 원지 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28768B2 (ja) 軟かい材質の加工物をつなぐ連結固定要素
AU2016279332B2 (en) Paper-made reel
JPS6024979Y2 (ja) 引抜き型盲リベット組立体
KR200203027Y1 (ko) 원지 권회용 지관의 보강구조
CN1149678A (zh) 金属板定位销
CA1226752A (en) Expansion shell
JP2532968Y2 (ja) チェーン継手構造
JP2011019400A (ja) 固定子鉄心及び固定子鉄心の製造方法
JP2012002057A (ja) 型枠解体補助具
CA2026119C (en) Tubular reinforcement element and a method of making same
KR20210054257A (ko) 철근용 안전캡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철근의 안전 관리 방법
CN2408907Y (zh) 一种哑铃
MXPA01005503A (es) Carrete de madera sujetado con un ensamble de tensor nuevo y metodo para ensamblar el mismo entre un par de troqueles.
JP2010053579A (ja) 貫通孔形成器具、外皮材保持部材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貫通孔形成方法
KR100584790B1 (ko) 파이프 연결구의 제조방법
KR200223646Y1 (ko) 지관의 보조보강링장치
JP2938002B1 (ja) 紙管の口金
JP2741331B2 (ja) 差筋アンカ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20100307209A1 (en) Key ring with tamper-evident closure member, kit for assembling a key ring, and method of using same
KR930002764Y1 (ko) 연사기용 실린더
KR0138200B1 (ko) 콘크리트 파일캡의 제작방법
JPS5849902Y2 (ja) ハンドルバ−ステム
JP2004236100A (ja) 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の製法
JP2631448B2 (ja) 抜け止め機能を有する単管足場用の単管ジョイントと固定型ベース金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19153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