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899Y1 -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899Y1
KR200222899Y1 KR2019980005371U KR19980005371U KR200222899Y1 KR 200222899 Y1 KR200222899 Y1 KR 200222899Y1 KR 2019980005371 U KR2019980005371 U KR 2019980005371U KR 19980005371 U KR19980005371 U KR 19980005371U KR 200222899 Y1 KR200222899 Y1 KR 200222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ight emitting
frame
display pan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231U (ko
Inventor
전대근
Original Assignee
전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근 filed Critical 전대근
Priority to KR2019980005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89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2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899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중 고장이 났을 경우에 후방 차량에 비상상태를 알리기 위한 비상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전극단자가 내장된 표시판을 장착하고, 그 일측면으로 발광다이오드가 돌출되게 배열 장착하고, 그 배열무늬와 일치되는 반사지를 부착하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손잡이를 연결하되, 손잡이 내측에 건전지 수장실을 형성하여 그 연결선을 스위치 및 점멸회로를 거쳐 전기한 전극단자와 연결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멸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중 고장이 났을 경우에 후방 차량에 비상상태를 알리기 위한 비상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주행중 정지하거나 돌발사태시에 후방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하여 추돌사골를 방지하기 위해 각종 비상표시구가 이용되고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 고장 자동차의 후방에 삼각표시판을 세워 놓고 차량을 유도하거나, 고장 차량후방의 비상램프를 점멸하여 후방 차량에게 비상 표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한 표시방법 중 삼각대와 같은 표시판의 경우는 주간에는 그 목적을 이룰 수 있으나, 야간에는 멀리서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차량에서 잘 보이지 않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없고, 자동차의 비상램프를 이용한 점멸표시 방법 역시 자동차 밧데리의 고장을 원인으로 발생된 고장시나 그 점멸등의 고장시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비상정지시에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별도의 건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발광다이오드(LED)가 점멸되게 한 비상표시구를 휴대할 수 있게 형성하여 자동창 정지등의 비상시에 이를 손으로 흔들어 표시하거나 자동차의 후방에 부착하여 주야간을 불문하고 자동차의 비상사태를 표시되게 하여 후방차량과의 충돌사고를 방지되게함에 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 표시판의 타실시예도
도 4 는 본 고안의 렌즈부착시 단면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프레임 2, 2' : 전극단자
3 : 표시판 4, 4' : 발광다이오드
5 : 반사지 6 : 연결부
7 : 손잡이 8 : 건전지 수장실
9 : 스위치 10 : 점멸회로
11 : 건전지 12 : 걸고리
13 : 영구자석 14 : 볼록렌즈
전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는 표시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착설하고 이를 손잡이에 구성된 밧데리와 연결하여 점멸되게 하므로서 후방의 차량에 시인성을 증대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에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비상표시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그 결합상태의 단면 설명도이다.
프레임(1)(1')의 내측 공간에 전극단자(2)(2')가 내장된 표시판(3)을 장착하고, 그 전극단자(2)(2')의 사이에 발광다이오드(4)(4')를 장착한다.
여기서 전극단자(2)(2')는 얇은 박막의 프레임상으로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그 끝단부(2a)만 표시판(3)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상하 프레임(1)(1')은 초음파 또는 열용착등으로 서로 접합한다.
표시판(3)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4)(4')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하되, 그 배열을 ″X″자 또는 ″O″자로 배설하여 이와 일치되는 ″X″자 또는 ″O″자의 반사지(5)를 부착하여 반사휘도를 높힌다.
접합된 프레임(1)(1')의 일측에 연결부(6)를 형성하여 손잡이(7)를 연결되게 하되, 손잡이(7)의 내측에 건전지 수장실(8)을 형성하여 그 건전지(11)를 스위치(9) 및 점멸회로(10)를 거쳐 전극단자(2)(2')와 연결되게 한다.
손잡이(7)의 단부에는 걸고리(12)가 형성되고, 영구자석(13)이 매착되어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표시판 프레임에 렌즈를 장착한 단면설명도이다.
표시판(3)의 양측면에 프레임(1)(1') 내측에 볼록렌즈(14)를 장착하고, 그 표면에 발광다이오드(4)(4')의 배열에 따라 반사지(5)를 부착하여 발광 광선의 각도를 확대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동차 주행중에 자동차가 고장으로 정지하거나 후방의 차량을 안내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본 고안의 비상표시판을 들고 스위치(9)를 ″ON″ 시키면 밧데리(11)의 전류가 점멸회로(10)와 전극단자(2)(2')를 거쳐 표시판(3)상의 발광다이오드(4)(4')를 점멸시켜 후방차량에 대하여 시인성을 높혀 이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비상표시구를 손에 들고 흔들어가며 수신호로 위험을 표시할 수도 있지만 도 5 의 도시와 같이 손잡이(7)의 끝단에 매착된 영구자석(13)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트렁크등에 부착하여 놓으면 자동차의 밧데리나 비상등과 같은 전장계가 고장난 경우에도 비상등 대신 점멸되므로서 후방의 주행차량에 경고를 보내게 되어 제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휴대가 가능한 자동차용 비상표시구를 형성하므로서 자동차가 주행 중 돌발사태로 인한 정지시에 후방차량의 안전할 운행을 유도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통안내원의 수신호용으로도 사용하여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프레임(1)(1')의 내측 공간에 전극단자(2)(2')가 내장된 표시판(3)을 장착하고, 그 일측면으로 발광다이오드(4)(4')가 돌출되게 배열 장착하고, 그 배열무늬와 일치되는 반사지(5)를 부착하며 프레임(1)(1')의 일측에 연결부(6)를 형성하여 손잡이(7)를 연결하되, 손잡이(7) 내측에 건전지 수장실(8)을 형성하여 그 연결선을 스위치(9) 및 점멸회로(10)를 거쳐 전기한 전극단자(2)(2')와 연결하여 발광다이오드(4)(4')를 점멸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2. 제1항에 있어서, 전극단자(2)(2')를 얇은 박막의 프레임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3. 제1항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4)(4')를 표시판(3)의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배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4. 제1항에 있어서, 표시판(3)의 양측면에 프레임(1)(1')의 내측에 볼록렌즈(14)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반사지(5)를 발광다이오드(4)(4')의 배열무늬와 일치되게끔 볼록렌즈(14)의 표면에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6.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7)의 선단에 영구자석(13)을 매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KR2019980005371U 1998-04-07 1998-04-07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KR200222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71U KR200222899Y1 (ko) 1998-04-07 1998-04-07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71U KR200222899Y1 (ko) 1998-04-07 1998-04-07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231U KR19990039231U (ko) 1999-11-05
KR200222899Y1 true KR200222899Y1 (ko) 2001-05-15

Family

ID=6951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371U KR200222899Y1 (ko) 1998-04-07 1998-04-07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8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231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1891A (en) Distance sensing device
US6663271B1 (en) Brake light for motor vehicles
US20020130773A1 (en) Method and apparatus used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 front windshield mounted vehicle brake light
KR101894723B1 (ko) 인플랫터블 타입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US20120313793A1 (en) Truck mounted stop light display
KR20160123582A (ko)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KR200222899Y1 (ko) 자동차용 비상표시구
US20050018444A1 (en) Illuminated hazard warning light
JPH1021499A (ja) 異常接近警告表示装置
US20170057407A1 (en) Courtesy Light
JP2762016B2 (ja) エンブレム
CN217259800U (zh) 一种新型自动驾驶状态标志灯及含有该标志灯的汽车
KR102178511B1 (ko) 차량 탑재형 비상표지 장치
CN215436204U (zh) 一种基于智能网联车机系统的电子智能控制装置
WO2005118338A1 (en) The flank indicator lamp and a rear guard lamp
GB2278584A (en) Rear-view mirror with light producing means
KR200355021Y1 (ko) 지면반사 제동등
KR101592126B1 (ko) 차량 폭 시현 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안개등
JP2005053460A (ja) 点滅方向指示灯付き自動車及び自動車用点滅方向指示灯装置
KR20210061481A (ko)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KR20090108939A (ko) 램프단선 알림장치
KR200300402Y1 (ko) 자동차용 보조 조명장치
JPH08198013A (ja) 自動車のルームミラー
KR19980039039A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방경고등
KR0133187Y1 (ko) 자동차용 안개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