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481A -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 Google Patents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481A
KR20210061481A KR1020190148209A KR20190148209A KR20210061481A KR 20210061481 A KR20210061481 A KR 20210061481A KR 1020190148209 A KR1020190148209 A KR 1020190148209A KR 20190148209 A KR20190148209 A KR 20190148209A KR 20210061481 A KR20210061481 A KR 2021006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lighting
vehicle
light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손예린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14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1481A/ko
Publication of KR2021006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8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wipers or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91Additional elements being fixed on wipers or parts of wip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vers, antennae o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8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와이퍼 보디에 조명을 장착하여 비상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명등의 장착 위치가 높아 식별력을 높일 수 있고, 와이어의 좌우 요동 운동을 통해 움직임을 더해 식별력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를 제공한다. 특히, 조명을 와이퍼 보디에서 블레이드를 장착하지 않은 각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장착함으로써, 시인성을 더욱더 높여 사고 후 2차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를 제공한다. 또한, LED나 광케이블 조명을 이용하되, 특히 광케이블 조명을 이용함으로, 조명이 빗물 등에 노출되도 감전사고를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비상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WIPER FOR TRANSPORTATION USABLE AS HAZARD LIGHTS}
본 발명은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보디에 조명을 장착하고 비상 상황에서 점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와이퍼를 비상등으로 사용하여 차량 위치를 쉽게 알릴 수 있게 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후속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명으로 LED와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을 사용하되, 특히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을 통해 빗물 등에도 감전사고를 일으키지 않게 하여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 장착한 비상등은 주행할 때나 잠시 주정차할 때 주변에 위험을 알리기 위한 램프로, 좌우의 램프를 모두 반복해서 점멸하게 하여 대향차나 후속차에 대해 위험을 알린다. 이러한 비상등은,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제어 방법과 기능을 갖게 구성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9073호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 차량의 후방 등화 장치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부 영상을 전송받아 다양한 빛 방울 형태의 이미지로 추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처리부로부터 다양한 빛 방울 형태의 이미지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분류하는 영상분석부와, 영상분석부에서 전송되는 빛 방울 이미지 패턴으로 전방 차량의 비상등이 점멸 상태인지를 판단한 후에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비상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비상등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방 차량의 비상등이 점멸되는 것을 검출하여 자기 차량의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멸함으로써, 후방 차량으로 전방의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어 후미 차량에 의한 연쇄 추돌이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실용 제20-0484734호
차량 비상등 제어 장치로서, 차량 추돌 등의 비상 상황 시에 차량의 비상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비상등 자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후미에 마련된 비상등; 주행 중인 차량의 주행 상태인 차량 주행 상태를 파악하는 차량 주행 상태 파악 센서; 및 상기 차량 주행 상태가 미리 설정된 비상등 점멸 기준에 부합하면 상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차량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827426호
차 실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수납되었다가 유사시 차량 후방의 노면에 거치하여 발광 및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야간에 후방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의 이상 상황을 보다 확실하게 경고할 수 있고, 차 실내의 오디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음향 발생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포터블 스피커로도 활용 가능한 차량용 안전 비상등을 개시한다. 전술한 차량용 안전 비상등은 차 실내에 거치되는 팽창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 발생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음향 발생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발광부와 상기 음향 발생부의 작동 조절을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하지만, 기존의 비상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통상 기존의 비상등은 차체의 각 모서리에 장착하여 비상 상황을 표시할 수 있게 장착함으로 가시성이 떨어진다.
(2) 특히, 야간에 주변이 어느 정도 밝은 곳에 자동차를 세우고 비상등을 켜더라도 주변 불빛과 비상등의 불빛이 섞이거나 비슷하여 대향차나 후속차의 운전자는 이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3) 또한, 기존의 비상등은 안개가 낀 날과 같이 주변의 가시거리가 짧을 때는 가까이서도 정차한 차량을 쉽게 발견할 수 없다.
(4) 이처럼 비상등을 점멸하는 차량을 쉽게 발견하지 못함에 따라 그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는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못해 충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5) 특히, 가시거리가 짧을 때는 더욱더 비상등의 점멸을 식별하기 어려워 충돌 사고가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후 다른 차량에 의한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9073호 (공개일: 2016.12.27) 한국등록실용 제20-0484734호 (등록일: 2017.10.12) 한국등록특허 제10-1827426호 (등록일: 2018.02.0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와이퍼 보디에 조명을 장착하고, 이 조명을 비상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명등의 장착 위치가 높아 식별력을 높일 수 있고, 게다가 와이어의 좌우 요동 운동을 통해 움직임을 더해 식별력을 더욱더 높일 수 있게 한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조명을 와이퍼 보디에서 블레이드를 장착하지 않은 각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장착함으로써, 시인성을 더욱더 높여 사고 후 2차 사고를 줄일 수 있게 한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나 광케이블을 이용하되, 특히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을 이용함으로써, 조명이 빗물 등에 노출되더라도 감전사고를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비상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는, 자동차 유리(G)를 닦아주는 운송수단용 와이퍼에서, 블레이드(110)를 장착하는 와이퍼 보디(100)에는, 상기 블레이드(110)를 장착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에 조명(120)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조명(120)은, 상기 블레이드(110)를 장착한 면과 대응하는 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120)은, LED, 또는 광케이블을 조명으로 사용하는 광케이블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120)은, 운송수단의 비상등 스위치를 점등하면 함께 작동하게 하거나, 상기 조명(120) 점멸용 전용 스위치로 점멸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운송수단용 와이퍼는, 앞유리용 와이퍼, 뒷유리용 와이퍼, 또는 후사경용 와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와이어에 비상등 기능을 하는 조명을 장착함으로, 멀리서도 비상등의 점멸 상태를 인식할 수 있어 사고 예방, 특히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2) 특히, 와이퍼는 유리를 닦는 용도이므로, 높은 곳에 설치하게 되어 멀리서도 쉽게 비상등의 점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게다가, 와이퍼는 좌우로 요동 운동할 수 있게 장착함으로, 비상등으로 사용할 때 와이퍼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제어함으로써, 비상등의 점멸 효과를 높여 비상 상태임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4) 이미 운송수단에 필수 구성요소로 설치하는 와이퍼에 조명을 추가하여 비상등으로 활용함으로써, 별도로 추가하는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사고 예방을 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경제적이다.
(5) 한편, 비상등은 LED나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을 이용함으로, 멀리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은 전기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광을 이용하여 발광함으로 빗물 등이 닿더라도 누전이나 감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6) 이러한 조명은 운송수단에 여러 개의 와이퍼를 장착했을 때는 여러 방향에서 와이퍼 비상등을 볼 수 있게 되어 사고 발생 상황 등을 그 주변에서 쉽게 알 수 있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를 장착한 자동차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를 장착한 자동차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에서 조명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 장착하고 블레이드(110)를 장착하여 빗물이나 이물 등을 제거하는 와이퍼 보디(1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와이퍼 보디(100)에는 조명(120)을 장착하고,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주정차한 상태에서 상기 조명(120)을 점멸함으로써 비상등으로 활용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면서도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예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명(120)은 블레이드(110)를 장착하지 않은 와이퍼 보디(100) 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장착함으로써, 여러 방면에서도 조명(120)이 점멸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하여 비상 상황인 것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120)은 LED나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을 사용함으로써, 가시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이때 광케이블 조명은 빛을 이용하여 발광함으로 빗물 등이 닿더라도 감전사고나 누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본 발명에 따라 조명(120)을 설치하는 와이퍼는 앞유리용 와이퍼, 뒷유리용 와이퍼, 또는 후사경용 와이퍼 등 운송수단에 장착한 모든 와이어에 적용할 수 있음으로, 여러 방향에서도 긴급 상태인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인식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G"는 와이퍼를 장착하는 유리를 나타낸다. 또한, 운송수단은 자동차, 버스, 트럭, 농기계, 그리고 건설장비와 같이 운송과 운반 그리고 작업에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의 앞유리에 장착한 와이퍼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 와이퍼 보디
와이퍼 보디(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유리(G)에 장착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 유리(G)에 묻은 이물이나 먼지 등을 세척하거나 빗물 등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블레이드(110)를 갖춘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상기 와이퍼 보디(100)에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조명(120)을 장착하여 비상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나. 조명
조명(12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와이퍼 보디(100) 면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조명(120)은 와이퍼 보디(100) 면이면 어디든지 장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110)를 장착한 면을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레이드(110)를 장착한 면에 조명(120)을 설치하면, 와이퍼 작동으로 블레이드(110)가 유리(G)를 닦을 때 먼지가 이물 그리고 빗물이 이 조명(120)에 끼거나 묻게 되어 조명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조명(120)은 블레이드(110)를 장착한 면이라면 어디든지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120)은 블레이드(110)를 장착한 면과 대응하는 면에 장착함으로써, 실내에서는 조명(120)이 보이지 않게 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120)은 블레이드(110)를 장착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에서 적어도 한 면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120)은 발광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상기 조명(120)은 LED나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LED는 사용 전력이 많지 않으면서도 직진성이 좋아 멀리서도 쉽게 비상등의 점멸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광케이블 조명은 빛을 이용하여 발광하게 작동함으로 광케이블 조명이 비에 젖거나 빗물이 스며들더라도 누전사고나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조명(120)은 운송수단에 장착한 비상등 스위치와 함께 작동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운송수단의 비상등과는 별도의 스위치로 작동하게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행할 때는 운송수단의 비상등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조명(120)이 함께 작동하여 가시성을 높일 수도 있으나, 주행 중 본 발명의 조명(120)을 점멸하면 운전자가 안전운행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이에, 운송수단의 비상등과 별도로 점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응급상황이나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자동차를 세웠을 때처럼 필요한 때만 본 발명에 따른 조명(120)을 점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120)은 운송수단에 미리 장착한 모든 와이퍼, 예를 들어서, 앞유리용 와이퍼, 뒷유리용 와이퍼, 그리고 후사경용 와이퍼에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와이퍼에 조명을 장착함으로써, 비상상황이나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와이퍼 작동과 더불어서 조명을 함께 점멸하여 멀리서도 쉽게 이러한 상황을 알 수 있게 하여 안전운행을 하게 하면서도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와이퍼 보디
110: 블레이드
120: 조명
G: 유리

Claims (5)

  1. 자동차 유리(G)를 닦아주는 운송수단용 와이퍼에서,
    블레이드(110)를 장착하는 와이퍼 보디(100)에는,
    상기 블레이드(110)를 장착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에 조명(120)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2. 제1항에서,
    상기 조명(120)은,
    상기 블레이드(110)를 장착한 면과 대응하는 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3. 제1항에서,
    상기 조명(120)은,
    LED, 또는 광케이블을 조명으로 사용하는 광케이블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조명(120)은,
    운송수단의 비상등 스위치를 점등하면 함께 작동하게 하거나, 상기 조명(120) 점멸용 전용 스위치로 점멸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5. 제1항에서,
    상기 운송수단용 와이퍼는,
    앞유리용 와이퍼, 뒷유리용 와이퍼, 또는 후사경용 와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KR1020190148209A 2019-11-19 2019-11-19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KR20210061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09A KR20210061481A (ko) 2019-11-19 2019-11-19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09A KR20210061481A (ko) 2019-11-19 2019-11-19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481A true KR20210061481A (ko) 2021-05-28

Family

ID=7614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209A KR20210061481A (ko) 2019-11-19 2019-11-19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148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073A (ko)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200484734Y1 (ko) 2017-06-20 2017-11-15 남상수 차량비상등 자동 제어 장치
KR101827426B1 (ko) 2016-11-29 2018-0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안전 비상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073A (ko)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101827426B1 (ko) 2016-11-29 2018-0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안전 비상등
KR200484734Y1 (ko) 2017-06-20 2017-11-15 남상수 차량비상등 자동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1496B2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US10625666B2 (en) System for detecting surrounding conditions of moving body
KR100935737B1 (ko) 하나 이상의 측방 및 후방 주위 환경 탐지 유닛을 구비한차량용 위험 인지 시스템
US6515584B2 (en) Distinctive hazard flash patterns for motor vehicles and for portable emergency warning devices with pulse generators to produce such patterns
CN106696819B (zh) 警示车辆车门开启的系统和方法
JP4566121B2 (ja) 車両用照明装置
US6663271B1 (en) Brake light for motor vehicles
KR102144772B1 (ko) 가변구간 설치용 차선 변환시스템
CN112601059A (zh) 用于车辆的图像投影装置及车辆
EP2474447A1 (en) Safety signal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US20210188163A1 (en) U-turn signal indicator
KR20210061481A (ko)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KR20140010804A (ko) 차문의 손잡이 모듈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엘이디를 갖는 근접 경보장치
KR20150092539A (ko) 반사경 차량 감지기
KR101596322B1 (ko) 차량 측면 라이트 장치
ITBO20070181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i fari retronebbia dei veicoli
RU11642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ндикации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0481741Y1 (ko) 차량의 방향지시등에 연동하여 특수 인식 영역에 led 반사광을 형성하기 위한 노면 광조사 장치
KR200421686Y1 (ko) 후방등을 겸비한 측면 깜박이
KR20080000402U (ko) 리어 미러 부착형 보조 조명 장치
KR0138075Y1 (ko) 차량의 후방조명장치
US10894512B2 (en) Side-facing side view mirror brake lights
KR200281503Y1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KR20150069369A (ko) 차량의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
KR101592126B1 (ko) 차량 폭 시현 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안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