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85Y1 - 도기냄비 - Google Patents

도기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85Y1
KR200222385Y1 KR2020000032285U KR20000032285U KR200222385Y1 KR 200222385 Y1 KR200222385 Y1 KR 200222385Y1 KR 2020000032285 U KR2020000032285 U KR 2020000032285U KR 20000032285 U KR20000032285 U KR 20000032285U KR 200222385 Y1 KR200222385 Y1 KR 200222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container
food
presen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열
Original Assignee
송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열 filed Critical 송태열
Priority to KR2020000032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85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기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도기냄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어서 조리시 소요되는 연료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일한 음식을 여럿이 먹는 경우에도 각자 개인접시에 음식을 덜어 먹지 않아도 위생적으로 먹을 수 있어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점토 등을 빚어서 제작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외관도 미려한 새로운 구조의 도기냄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기냄비{china pot}
본 고안은 도기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도기냄비에 관한 것이다.
찌개나 전골, 국 등을 조리할 때에 하나의 조리용기에 한 종류의 음식밖에는 조리할 수 없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음식을 조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들을 별도로 조리하여야 하므로 조리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연료도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대부분 여러 명이 찌개나 전골 등을 먹을 때에는 위생상의 문제로 각자 개인접시에 음식을 덜어서 먹는다. 따라서 사용되는 그릇의 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설거지의 양도 늘어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음식을 먹을 때 사용되는 그릇의 수가 많아지면, 밥상이나 식탁에 많은 수의 그릇을 올려 놓아야 하므로 밥상이나 식탁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고 복잡해지므로 준비된 음식들을 밥상에 제대로 올려놓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내부가 격벽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금속제 냄비(공개실용신안 제85-6402호)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 실용신안공보 제85-6402호와 같은 금속제 냄비는 프레스로 드로잉하여 성형제작되기 때문에 불량률이 상당히 높았다. 또한, 이외에도 격벽을 냄비본체와 일체로 주물제작하거나 별도로 제작된 격벽을 냄비 내부에 용접 또는 리벳팅하여 제작되는 냄비(공개실용신안 제 87-7964호)가 되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을 냄비본체와 주물제작한 경우에는 냄비가 상당히 무거워져서 다루기가 불편하였으며 냄비에 이물질이 잘 부착되어 녹이 스는 등 위생상 좋지 않았다. 또한, 별도의 격벽을 용접 또는 리벳팅하여 제작한 경우에는 격벽의 연결부위가 노출되어 보이므로 외관상 좋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격벽의 연결부위에 음식물이 등이 끼이게 되어 비위생적이였고, 제작공정도 번거로웠다. 따라서 종래 용기내부가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금속제 냄비는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어서 조리시 소요되는 연료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일한 음식을 여럿이 먹는 경우에도 각자 개인접시에 음식을 덜어 먹지 않아도 위생적으로 먹을 수 있어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점토 등을 빚어서 제작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외관도 미려한 새로운 구조의 도기냄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 12. 격벽
16. 오목홈 20. 뚜껑
22. 돌출턱 30. 공간부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10)와 뚜껑(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기냄비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는 격벽(12)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부(30)로 구획되어, 각각의 공간부(3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용기(10)의 저면과 외측면에는 상기 격벽(12)과 용기(20)가 연결되는 연결부(13)를 따라 띠형상의 오목홈(16)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3)의 두께가 용기(10)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냄비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찌개나 전골용 도기냄비로서, 용기의 외측면에는 손잡이(11)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격벽(12)이 구비되어 용기(10) 내부가 두개의 공간부(30)로 구획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토 등과 같은 흙을 빚어서 만드는 도기제품은 제품의 두께가 고르지 않으면, 성형과정 특히, 건조과정에서 제품이 갈라져서 불량이 초래된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 상기 격벽(12)과 용기(10)가 연결되는 연결부(13)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두꺼워지게 되므로, 용기(10)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용기가 갈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용기(10)의 저면과 외측면에 상기 연결부(13)를 따라 띠형상의 오목홈(16)을 형성하여 연결부(13)가 다른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각 공간부에는 각각 별도의 뚜껑(20)이 구비되는데, 뚜껑(20)의 상면에는 손잡이(21)와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공(24)이 형성된다. 이러한 뚜껑(20)의 저면에는 각 공간부(30)의 상단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띠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턱(22)이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20)을 덮으면 상기 돌출턱(22)에 의해 각 공간부(30)가 효과적으로 커버되어 조리시 각 공간부(30)에 담겨진 음식이 끓어 넘쳐서 서로 섞이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용기(10)에 하나의 뚜껑(20)을 형성한 것으로, 하나의 뚜껑(20)이 각 공간부(30)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것이다. 이때에는 뚜껑(20)의 저면에 용기부(10)의 격벽(12)에 대응되는 상부격벽(25)을 형성하고, 이 상부격벽(25)과 연결되어 각 공간부(30)에 대응되는 돌출턱(22)을 형성하여 각 공간부(30)에 담겨진 음식물이 끓어 넘쳐서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격벽(25)과 뚜껑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따라 뚜껑(20)의 상면에도 띠형상의 오목홈(26)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용기(10)와 뚜껑(20)의 성형시 점토에 황토을 혼합하는데, 황토 외에도 옥,게르마늄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용기의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페트라이트나 규성, 장석 등을 혼합한다. 이와 같은 본고안은 점토에 부재료를 혼합하여 빚어서 제작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용기(10)의 내부가 좌우 2개의 공간부(30)로 구획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용기(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용기(10) 내부를 여러개의 공간부(30)로 구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어서 조리시 소요되는 연료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일한 음식을 여럿이 먹는 경우에도 각자 개인접시에 음식을 덜어 먹지 않아도 위생적으로 먹을 수 있어서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도기냄비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점토를 빚어서 제작되는 도기제품이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제 냄비에 비해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외측면에 형성된 오목홈에 의해 성형시 갈라짐이 방지되어 제품의 불량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점토에 황토나 옥 등과 같은 원적외선방사물질을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써, 원적외선에 의한 건강증진효과를 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오목홈에 의해 종래의 전골냄비와는 차별화되는 독특한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소비자들의 호기심과 소비심리를 자극하여 제품의 구매를 촉진할 수 있다.

Claims (1)

  1. 용기(10)와 뚜껑(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기냄비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는 격벽(12)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부(30)로 구획되어, 각각의 공간부(3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용기(10)의 저면과 외측면에는 상기 격벽(12)과 용기(20)가 연결되는 연결부(13)를 따라 띠형상의 오목홈(16)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3)의 두께가 용기(10)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냄비.
KR2020000032285U 2000-11-18 2000-11-18 도기냄비 KR200222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85U KR200222385Y1 (ko) 2000-11-18 2000-11-18 도기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85U KR200222385Y1 (ko) 2000-11-18 2000-11-18 도기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385Y1 true KR200222385Y1 (ko) 2001-05-02

Family

ID=7309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285U KR200222385Y1 (ko) 2000-11-18 2000-11-18 도기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7326B2 (en) A container with a cover for food products
KR200222385Y1 (ko) 도기냄비
US4117948A (en) Insulated server with cooperating pans
KR200473758Y1 (ko)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KR200323743Y1 (ko) 복수의 조리공간을 갖는 조리용기
JPH02116985U (ko)
KR20070074471A (ko) 내벽이 코팅된 식용 가능한 누룽지 그릇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벽이 코팅된 식용 가능한 누룽지그릇
JP3053669U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
US20220396389A1 (en) Infant food tray
CN211354935U (zh) 火锅
CN218791643U (zh) 一种多功能餐具
KR200298123Y1 (ko) 전자레인지용 구이팬
CN209807871U (zh) 一种硅胶多功能烘培碗
KR200259355Y1 (ko) 전자레인지용 1회용 편의 식품용기
CN210299380U (zh) 一种蛋饺及蛋制品多功能机
JPH0240905Y2 (ko)
JPH0246310Y2 (ko)
KR200353795Y1 (ko) 그릇기능을 갖는 라면냄비뚜껑
KR200385671Y1 (ko) 뚝배기
JPH0615203Y2 (ja) 電子レンジ用乾燥スパゲティ入り容器
KR200171349Y1 (ko) 공기 층이 있는 이중 바닥 도자기
KR200236588Y1 (ko) 용기걸이 일체형 주방기구
JPH0234955Y2 (ko)
KR200407229Y1 (ko) 내벽이 코팅된 누룽지 그릇
KR200308599Y1 (ko) 황토구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