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230Y1 -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 - Google Patents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230Y1
KR200222230Y1 KR2020000032177U KR20000032177U KR200222230Y1 KR 200222230 Y1 KR200222230 Y1 KR 200222230Y1 KR 2020000032177 U KR2020000032177 U KR 2020000032177U KR 20000032177 U KR20000032177 U KR 20000032177U KR 200222230 Y1 KR200222230 Y1 KR 200222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ans
ventilator
windproof
cloth
mesh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재
Original Assignee
이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재 filed Critical 이덕재
Priority to KR2020000032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230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청바지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이 통기공을 망사천으로 커버하여 피부를 보호하도록 함에 있어 망사천을 미싱자수 또는 기계자수를 통해 청바지에 일체로 형성하여 외부적인 미려함을 도모하고 세탁에 의해서도 그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되 통기공의 내측에는 다양한 색상의 방풍천을 전체 착탈식 또는 부분 착탈식으로 부착되게 하여 기본적으로는 방풍효과를 도모하면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방풍천이 외부로 비쳐지게 하여 심미감을 조성하도록 하기 위한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는 단순히 망사천이 부착된 것이어서 다양한 색상을 원하는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청바지 제조공정중의 샌드워싱과 같은 공정에 의해 망사천이 떨어져 나갈 우려가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망사천의 테두리부를 따라 미싱자수로 통기공의 외면과 박음질하여 구성하되 청바지의 통기공 주위에는 통기공의 문양과 연관되는 문양을 자수로 구성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높이며, 청바지의 내부 통기공 부위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4개의 방풍천을 부착수단에 의해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차가운 바람의 유입을 막아줌과 동시에 통기공과 인접한 방풍천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Blue jean having air pass hole}
본 고안은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바지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이 통기공을 망사천으로 커버하여 피부를 보호하도록 함에 있어 망사천을 미싱자수 또는 기계자수를 통해 청바지에 일체로 형성하여 외부적인 미려함을 도모하고 세탁에 의해서도 그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되 통기공의 내측에는 다양한 색상의 방풍천을 전체 착탈식 또는 부분 착탈식으로 부착되게 하여 기본적으로는 방풍효과를 도모하면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방풍천이 외부로 비쳐지게 하여 심미감을 조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청바지는 입기에 편안하고 천이 질겨 잘 찢어지지 않는 특성이 있어 주로 작업복으로 애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청바지 자체의 특성에 전체 탈색하거나 부분 탈색하는 등의 미적감각을 가미하여 전국민이 애용하는 주요 의복이 되고 있다.
의식의 변화는 패션의 변화와 연관되고, 이러한 패션의 변화에 힘입어 청바지의 패션도 변화되었으며, 청바지의 가장 큰 변화는 물빠진 청바지, 찢어진 청바지로 대변되고 있다.
그런데, 찢어진 청바지를 입을 경우에는 피부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외력발생시 피부 손상의 우려가 있으며, 당사자의 경우는 무의식적으로 입을 수 있으나 타인이 보았을 때 혐오감을 줄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3856 호에서 별, 용, 하트 등의 문양을 가진 통기공을 형성하되 통기공에는 망사천을 단추 또는 벨크로 매직 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으로 착탈할 수 있게 구비한 청바지를 개시하였던 바, 이는 찢어진 청바지와 같은 멋스러움 및 공기 통풍의 효과를 도모하면서 피부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게 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3856 호에 개시된 청바지의 경우 단순히 통기공의 내부측에 망사천을 착탈식으로 구비한 것이므로 외관상 미려함이 떨어지고 청바지의 제조공정 중 센딩워싱과 같은 공정을 수행할 때 망사천이 떨어져 나갈 확률이 많아 실제 청바지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망사천을 통해 맨살이 들어나게 되므로 다양한 색상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피부보호의 목적을 완벽하게 달성할 수 없었으며, 동절기의 경우 통기공을 통해 차가운 바람이 들어오게 되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청바지에 다양한 문양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이 통기공에 망사천을 부착함에 있어 망사천의 테두리부를 따라 미싱자수 또는 기계자수를 통하여 청바지에 망사천을 미려하면서도 완벽하게 봉재하여 구성하되 그 내부측에는 다양한 색상의 방풍천을 전체 착탈식 또는 부분 착탈식으로 부착되게 하여 기본적으로는 방풍효과를 도모하면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방풍천을 외부로 비쳐지게 하여 심미감을 조성하는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의 내부 구성도로서,
(a)는 방풍천 부착전 상태.
(b)는 방풍천 부착 상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청바지 2 : 통기공
3 : 망사천 4 : 미싱자수부위
5 : 방풍천 6 : 벨크로 매직 테이프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을 구비한 청바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바지(1)의 외부면에 꽃, 하트, 별, 용 등 다양한 문양의 통기공(2)을 형성하고 이 통기공(2)에 망사천(3)을 봉재함에 있어 망사천(3)의 테두리부를 따라 미싱자수(4) 또는 기계자수로 통기공(2)의 외면과 박음질하여 구성하되 청바지(1)의 통기공(2) 주위에는 통기공(2)의 문양과 연관되는 문양을 자수로 구성하며, 청바지(1)의 내부 통기공 부위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4개의 방풍천(5)을 단추 또는 벨크로 매직 테이프(6)와 같은 부착수단에 의해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차가운 바람의 유입을 막아줌과 동시에 통기공(2)과 인접한 방풍천(5)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상에는 꽃 형상의 통기공과, 꽃과 연관되는 줄기 및 잎을 통기공의 주위에 자수로 놓아 구성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때, 각 방풍천(5)은 전체 착탈식 또는 부분 착탈식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부분 착탈식으로 구성할 경우 도 3과 같이 각 방풍천(5)은 그 일측변을 청바지(1)에 박음질하고 타측변은 부착수단에 의해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되 각 방풍천(5)의 박음질부위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4방향에 각각 박음질하며, 단추 또는 벨크로 매직 테이프(6)와 같은 부착수단은 각 방풍천(5)의 타측단부와, 청바지(1)의 내부 바닥면과, 각 방풍천(5)의 상면 박음질부위측에 각각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을 구비한 청바지는 하절기 및 동절기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하절기에는 통기공(2)을 개방하여 착용하면 되고, 동절기에는 방풍천(5)을 부착한 상태로 착용하면 된다.
이때, 통기공(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꽃, 하트, 별, 용과 같은 다양한 문양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통기공(2)에는 망사천(3)이 미싱자수(4) 또는 기계자수에 의해 견고히 부착되어 있고, 청바지(1)의 통기공(2) 주위에는 통기공(2)의 문양과 연관되는 문양이 자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통기공(2)의 형상이 꽃이라면 통기공(2) 주위의 자수는 꽃의 줄기, 잎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통기공(2) 및 그 주위의 자수 모양만으로도 외관상 미려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바지(1)와 망사천(3)이 그 통기공(2) 테두리를 따라 미싱자수(4) 또는 기계자수로 부착되므로 그 자수의 형상이 미려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하여 청바지 제조공정중의 샌드워싱과 같은 공정을 거치게 되더라도 그 형상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어 청바지(1)에 망사천(2)을 적용하는 데 적합하게 된다.
한편, 동절기의 경우에는 통기공(2)을 통하여 차가운 바람이 스며들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를 동절기에 사용할 때에는 통기공(2)의 내측으로 방풍천(5)을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면 방풍천(5)이 바람을 막아줄 수 있어 동절기에 착용하기에 적합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통기공(2)의 내측에 방풍천(5)을 구비할 경우에는 통기공(2)을 통해 내부의 방풍천(5) 색상이 자연적으로 비쳐질 수밖에 없으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높일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색상을 가진 4개의 방풍천(5)을 구비하고 전체면에 단추 또는 벨크로 매직 테이프(6)와 같은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전체 착탈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일측은 청바지(1)에 박음질하고 타측은 부착수단을 구비한 부분 착탈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부분 착탈식으로 구성할 경우 각 방풍천(5) 일측변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4방향에 각각 박음질하며, 단추 또는 벨크로 매직 테이프(6)와 같은 부착수단을 각 방풍천(5)의 타측단부와, 청바지(1)의 내부 바닥면과, 각 방풍천(5)의 상면 박음질부위측에 각각 구비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어떤 방풍천(5)이든 그 순서를 마음대로 위치시킬 수 있어 청바지(1)를 입는 당사자가 당시의 기분 또는 기호에 따라 원하는 색상의 방풍천(5)을 통기공(2)의 망사천(3)과 인접하게 위치시켜 통기공(2)의 망사천(3)을 통해 외부로 다양한 색상을 비쳐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는 청바지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이 통기공에 망사천을 부착한 것이지만 청바지에 망사천을 미싱자수 또는 기계자수를 통해 미려하고 견고하게 부착함은 물론 통기공 주위에는 통기공의 문양과 연관있는 문양을 자수를 놓아 구성하게 되므로 미려함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통기공의 내측에 전체 착탈식 또는 부분 착탈식의 방풍천을 구비하여 동절기와 같은 계절에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각기 다른 색상을 가진 4개의 방풍천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외부로 비쳐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심미감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청바지에 다양한 문양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공에 망사천을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망사천의 테두리부를 따라 미싱자수로 상기 통기공의 외면과 박음질하여 구성하되 상기 청바지의 통기공 주위에는 상기 통기공의 문양과 연관되는 문양을 자수로 구성하며, 상기 청바지의 내부 통기공 부위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4개의 방풍천을 부착수단에 의해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상기 통기공과 인접한 방풍천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이 구비된 청바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풍천은 그 일측변을 상기 청바지에 박음질하고 타측변은 부착수단에 의해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각 방풍천의 박음질부위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4방향에 각각 박음질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각 방풍천의 타측단부와, 상기 청바지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각 방풍천의 상면 박음질부위측에 각각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이 구비된 청바지.
KR2020000032177U 2000-11-17 2000-11-17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 KR200222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77U KR200222230Y1 (ko) 2000-11-17 2000-11-17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77U KR200222230Y1 (ko) 2000-11-17 2000-11-17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230Y1 true KR200222230Y1 (ko) 2001-05-02

Family

ID=7309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177U KR200222230Y1 (ko) 2000-11-17 2000-11-17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2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47B1 (ko) * 2001-12-01 2004-03-11 전유헌 청바지 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청바지
GB2553999B (en) * 2015-05-22 2021-03-17 Soo Kim Yang Down-blow swing practice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47B1 (ko) * 2001-12-01 2004-03-11 전유헌 청바지 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청바지
GB2553999B (en) * 2015-05-22 2021-03-17 Soo Kim Yang Down-blow swing practic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99404A1 (en) Jacket and coat construction with interchangable components
US7628675B2 (en) Garment with internal bra
US20100199399A1 (en) Skirt and pants construction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20070294806A1 (en) Garment Decoration
US5797144A (en) Neck towel and adjustable clasp
CN204930451U (zh) 警用拼色反光防水防护服
KR200462092Y1 (ko) 반바지
KR200222230Y1 (ko) 통기공이 형성된 청바지
US8266721B1 (en) Head wear specifically but not exclusively for people experiencing hair loss
KR101121007B1 (ko) 다용도 스카프
JP5383165B2 (ja) アクセサリーの着脱自在な被服
KR100885364B1 (ko) 의류용 후드
KR200324785Y1 (ko) 착탈식 차양 모자
KR200420940Y1 (ko) 이중 원단 챙을 빈티지 처리한 모자
JP3006130U (ja) 両面使用型アートマスク
JP3207837U (ja) 水中ウォーキング用帽子
JP3124351U (ja) 装飾着物
JP4609956B1 (ja) 和服用肌着
KR102299075B1 (ko)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JPH04126806A (ja) 女性用日除け腕スリーブ
JP4556211B2 (ja) 女性用和装・洋装兼用着
KR200222229Y1 (ko) 장식용 보석이 부착된 의류
KR200346498Y1 (ko) 브래지어
JP3089168U (ja) マスク
JP3094109U (ja) 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