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216Y1 -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216Y1
KR200221216Y1 KR2020000032854U KR20000032854U KR200221216Y1 KR 200221216 Y1 KR200221216 Y1 KR 200221216Y1 KR 2020000032854 U KR2020000032854 U KR 2020000032854U KR 20000032854 U KR20000032854 U KR 20000032854U KR 200221216 Y1 KR200221216 Y1 KR 200221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witch
dubbing
rewinding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2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216Y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빙 녹음시에 자동으로 테이프의 시작위치까지 되감은 후, 더빙을 수행하는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의 더빙동작요구시에, 더빙동작 수행전에 자동으로 테이프 되감기 동작을 우선 수행한 후, 더빙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테이프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동작상태와 더빙동작 요구상태를 판단해서 자동으로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더빙동작 명령만으로 자동으로 되감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cassette tape rewind circuit}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빙 녹음시에 자동으로 테이프의 시작위치까지 되감은 후, 더빙을 수행하는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더빙(dubbing) 녹음을 하기 위해서는 녹음될 데이타가 기록된 소오스 테이프와 상기 소오스 테이프의 데이터를 녹음하기 위한 공테이프의 현재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즉, 두 테이프의 상태가 거의 동일하거나 같아아만, 소오스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가 사용자 요구에 맞게 공테이프에 녹음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더빙 녹음시에, 소오스 테이프와 공테이프의 상태를 대충 눈대중으로 확인한 후, 테이프를 시작위치로 되감는 작업을 우선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더빙녹음동작과 되감기동작에 있어서, 종래는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은 제어회로에 의해서 제어가 이루어졌다.
즉, 마이크로컴퓨터(10)에 더빙녹음동작을 위한 스위치(SW2)와 되감기동작을 위한 스위치(SW1)를 연결시키고, 각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에서 인식되는 전압값을 다르게 설정하였다.
이러한 전압값의 설정은, 공급전원(Vcc)과 그라운드 전위 사이에 연결되고 있는 두개의 저항(R1,R2)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상기 더빙녹음동작을 위한 스위치(SW2)는 저항(R1,R2)의 분배에 의한 소정의 전압값을 발생시키고, 되감기동작을 위한 스위치(SW1)는 저항(R1)의 분배에 의한 소정의 전압값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오스 테이프와 공테이프의 상태를 확인한 후, 되감기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우선 되감기동작을 위한 스위치(SW1)를 선택한다. 이때의 동작으로 마이크로컴퓨터(10)는 저항(R1)에 의해 분배된 전압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검출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사용자가 되감기동작을 선택했음을 인식하고, 테이프의 되감기 동작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데크 메카니즘(30)에 장착된 테이프를 시작위치로 되감으라는 명령신호를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20)에 출력한다. 상기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20)는, 상기 되감기 명령신호에 의해서 데크 메카니즘(30)을 제어하여, 데크 메카니즘(30)에 장착된 테이프를 초기위치로 되감는다.
상기 동작에 의해서 테이프의 되감기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더빙녹음동작을 위한 스위치(SW2)를 선택한다. 이때의 동작으로 마이크로컴퓨터(10)는 저항(R1,R2)에 의해 분배된 전압을 감지한다. 그리고 검출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사용자가 더빙녹음동작을 선택했음을 인식하고,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20)에 더빙동작을 위한 명령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20)의 제어하에 데크 메카니즘(30)에 장착된 테이프의 더빙 녹음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종래의 제어회로는, 사용자가 더빙 녹음을 수행하고자 할때, 우선 테이프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해야만 한다. 그리고 소오스테이프 및 공테이프의 상태가 초기상태가 아닌 경우, 초기위치로 되감기 위한 되감기선택 동작을 수행해야만 한다. 이후, 테이프의 되감기동작이 완료되면, 더빙녹음을 위한 더빙녹음동작을 선택해야한다.
따라서 종래의 제어회로는, 테이프의 더빙 녹음시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더빙녹음을 선택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테이프의 되감기 동작이 이루어지는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의 되감기 제어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0 : 마이크로컴퓨터 20,60 :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
30,70 : 데크 메카니즘 SW1~SW14 : 스위치
R1~R14 : 저항 C1~C12 : 캐패시터
T1,T11 : 수정발진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는, 테이프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스위치와; 더빙동작을 선택하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동작상태로부터 테이프가 장착되었다고 판단되고, 제 2 스위치의 동작상태로부터 더빙동작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될때, 자동적으로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 후, 더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자동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는 제 3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3 스위치가 자동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고 있을때, 제 2 스위치에 따른 더빙동작이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도이다.
본 고안의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는, 데크 메카니즘(70)의 테이프 유,무를 감지하는 스위치(SW14)를 이용해서, 장착된 테이프의 자동 되감기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크 메카니즘(70)에는 테이프의 장착 유무를 감지하는 스위치(SW14)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SW14)는 테이프가 장착되었을때는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서 온 상태로 제어된다. 그리고 테이프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프 상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스위치(SW14)의 동작상태에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50)의 입력단자(A3)는 하이논리신호 또는 로우논리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회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스위치(SW14)와 연결되고 있는 전원라인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의 입력단자(A3)가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는 입력단자(A3)의 입력값으로 테이프의 장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에 더빙녹음동작을 위한 스위치(SW12)와 되감기동작을 위한 스위치(SW11)를 연결시키고, 각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에서 인식되는 전압값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전압값의 설정은, 공급전원(Vcc)과 그라운드 전위 사이에 연결되고 있는 두개의 저항(R11,R12)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상기 더빙녹음동작을 위한 스위치(SW12)는 저항(R11,R12)의 분배에 의한 소정의 전압값을 발생시키고, 되감기동작을 위한 스위치(SW11)는 저항(R11)의 분배에 의한 소정의 전압값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고 있는 부호 60은, 종래와 같은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이다. 그리고 캐패시터(C11,C12)와 수정발진자(T11)의 구성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의 기준 클럭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발진기의 구성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 되감기 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마이크로컴퓨터(50)는, 상기 데크 메카니즘(70)에 장착된 스위치(SW14)의 동작상태로부터 테이프의 장착 여부를 인식한다. 테이프가 장착된 경우에는 공급전원(Vcc)이 온 상태의 스위치(SW14)를 통해 그라운드 전위로 흐르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의 입력단자(A3)는 로우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나 테이프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는 스위치(SW14)가 오프상태가 되기 때문에, 공급전원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의 입력단자(A3)로 인가되어 하이신호를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가 입력단자(A3)로 로우신호를 입력했을때, 마이크로컴퓨터(50)는 입력단자(A1)의 입력전압값을 검출한다.
사용자가 더빙녹음동작을 선택했을때, 스위치(SW12)가 온 상태가 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50)의 입력단자(A1)는 저항(R11,R12)에 의해 분압된 전압값을 입력한다. 즉, 입력단자(A1)의 전압이 저항(R11,R12)에 의해 분압된 값이 검출되면, 마이크로컴퓨터(50)는 더빙녹음동작 요구임을 인식하고,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60)에 신호를 출력해서 데크 메카니즘(70)에 장착되고 있는 테이프를 시작위치로 되감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동작으로 되감기 동작이 완료되면, 마이크로컴퓨터(50)는 테이프의 더빙 녹음을 위한 신호를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60)에 출력한다. 즉,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데크 메카니즘(70)에 테이프가 장착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더빙동작이 요구되면 우선적으로 되감기 동작을 수행한 후, 더빙 녹음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는, 데크 메카니즘(70) 내의 스위치(SW14)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동작을 우선 수행하고, 그리고 더빙녹음 선택 여부에 따른 스위치(SW12)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도 3은 본 고안의 카세트 테이프 되감기 제어회로에 있어서, 자동 되감기 스위치를 구비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마이크로컴퓨터(50)의 또 하나의 입력단자(A2)에 연결된 자동 되감기 선택 스위치(SW13)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더빙 녹음시 자동으로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던지 또는 선택적으로 되감기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자동 되감기 선택스위치(SW13)가 선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선택에 의한 더빙녹음 요구신호(SW12)가 입력되면, 마이크로컴퓨터(50)는 데크 메카니즘(70)에 구비된 스위치(SW14)의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입력단자(A3)로 테이프가 장착되었음을 인식하는 로우신호가 입력될때, 마이크로컴퓨터(50)는 우선, 테이프의 되감기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60)에 출력한다. 그리고 테이프의 되감기 동작이 완료되면, 테이프의 더빙녹음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데크 메카니즘 제어회로(60)에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자동 되감기 선택스위치(SW13)가 선택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50)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되감기신호(SW11)가 입력되어야 되감기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자동 되감기 선택스위치(AW13)가 선택되고 있든, 선택되지 않았던지 간에, 데크 메카니즘(70)의 스위치(SW14) 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입력단자(A3)의 입력신호가 하이상태인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 요청에 의한 되감기동작, 더빙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의 더빙동작요구시에, 더빙동작 수행전에 자동으로 테이프 되감기 동작을 우선 수행한 후, 더빙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는, 더빙동작을 수행할때, 사용자에게 테이프의 상태를 확인하고, 되감기 동작 명령을 입력한 후, 더빙동작 명령을 입력하도록 했던 종래와 비교해서, 단순하게 더빙동작 명령만으로 자동으로 되감기가 이루어져서 더빙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작상의 번거로움을 피하면서 사용의 간편함을 줄 수 있다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테이프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스위치와;
    더빙동작을 선택하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동작상태로부터 테이프가 장착되었다고 판단되고, 제 2 스위치의 동작상태로부터 더빙동작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될때, 자동적으로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 후, 더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는 제 3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3 스위치가 자동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고 있을때, 제 2 스위치에 따른 더빙동작이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
KR2020000032854U 2000-11-23 2000-11-23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 KR200221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54U KR200221216Y1 (ko) 2000-11-23 2000-11-23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54U KR200221216Y1 (ko) 2000-11-23 2000-11-23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216Y1 true KR200221216Y1 (ko) 2001-04-16

Family

ID=7306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854U KR200221216Y1 (ko) 2000-11-23 2000-11-23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2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1216Y1 (ko) 카세트 테이프의 자동되감기 제어회로
US440595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357511B2 (ko)
JP2001322515A (ja) 車両用暗電流低減方法および装置
JPS5855591B2 (ja) バブルメモリ・ユニット用電源装置
US7225088B2 (en) Programmable power supply and brownout detector for electronic equipment
JP6066872B2 (ja) ディスク装置
KR920001207Y1 (ko) Vtr의 더빙 제어회로
JPH0981524A (ja) 携帯型電子機器
KR910001306Y1 (ko) 예약 녹화 기능을 이용한 자동 경보회로
KR0176447B1 (ko) 카운터모드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JPH0351764Y2 (ko)
JPS6312415Y2 (ko)
KR950005084Y1 (ko) 오디오 더빙 회로
JP3246045B2 (ja) タイマー記録装置
KR900004186Y1 (ko) Vcr의 파우어 스위칭 회로
JPS6316030Y2 (ko)
JPS6316029Y2 (ko)
JP3551325B2 (ja) 音響装置
JP2565018B2 (ja) 突入電流防止回路
KR940011084B1 (ko) 예약 녹화 시점 탐색 방법
KR870002317Y1 (ko) 전자식 구동 카세트 데크에서의 오동작 방지회로
JP2991605B2 (ja) 照明器具
JPH0351783Y2 (ko)
KR970007171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종단 검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