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112Y1 -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112Y1
KR200221112Y1 KR2020000034118U KR20000034118U KR200221112Y1 KR 200221112 Y1 KR200221112 Y1 KR 200221112Y1 KR 2020000034118 U KR2020000034118 U KR 2020000034118U KR 20000034118 U KR20000034118 U KR 20000034118U KR 200221112 Y1 KR200221112 Y1 KR 200221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rame
cylinder
base frame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섭
Original Assignee
윤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길섭 filed Critical 윤길섭
Priority to KR2020000034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112Y1/ko

Links

Landscapes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는 빈 트레이(T)들이 다단 순차적으로 적재된 적재함(10)과;
이 적재함(10) 및 각종 기구들이 견고히 지지하도록 세워 고정시키는 베이스후레임과(20)과;
상기 베이스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슬라이드실린더(31)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됨과 아울러 승강실린더(32)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후크(33)에 걸려진 트레이(T)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0)와;
상기 이동부재(30)에 의해 소정의 수납 위치로 이동된 트레이(T)의 상부에 위치에서 프레임(F)을 착탈하는 죠오(41)와, 이 죠오(41)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42)에 의해 프레임(F)을 트레이(T)에 순차적으로 공급시키는 로봇유닛(40)과;
상기 트레이(T)를 받쳐지게 한 상태에서 일 피치씩 이동시켜 빈 위치로 프레임(F)들이 수납되도록 구동하는 콘베이어벨트(50)와;
상기 베이스후레임(20)의 갈라진 레일홈(21) 위치로 스프링(64)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핀(63)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F)들이 완전하게 트레이(T)의 일측 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실린더(61)의 전진 동작으로 완료작업대(11)의 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는 밀대(60)와;
상기 베이스 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어 트레이(T)의 이송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71)(72)(73)들이 구비되어, 그 두께가 매우 얇고 정밀성을 요하는 콘덴서 프레임을 손상 없이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트레이에 자동 수납할 수 있다.
또, 인력의 낭비 없이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코스트 저하로 인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tray reception device of condensor frame}
본 고안은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탈탄콘덴서들이 배열되어 있는 프레임들을 각종 테스트장치로 공급하기 위해 트레이로 자동 수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주로 그 크기가 매우 작은 탈탄콘덴서들은 극성불량이나 용량 등을 테스트하기 위해 절취 분할되기 직전 단위 크기의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로 트레이에 수납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종래 프레임을 트레이에 수납하기 위한 공정은 대부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그 공정이 단순한데도 불구하고 많은 인력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얇은 프레임이 작업자의 불균일한 수작업에 의해 휘거나 파손되어 불량이 양산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그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인력의 낭비로 생산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그 두께가 매우 얇고 정밀성을 요하는 콘덴서 프레임을 손상 없이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트레이에 자동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력의 낭비없이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코스트 저하로 인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구성을 보인 작동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트레이에 프레임 적재동작을 완료시킨 후 이송시키는 과정을 보인 요부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로봇유닛에 프레임이 공급되는 과정을 보인 요부 작동상태정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로 복동실린더가 이용되는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적재함 20 - 베이스 후레임
30 - 이동부재 31 - 슬라이드실린더
32 - 승강실린더 33 - 후크
40 - 로봇유닛 41 - 죠오
50 - 콘베이어벨트 60 - 밀대
61 - 실린더 70,71,72,73 - 감지센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에는 빈 트레이(T)들이 다단 순차적으로 적재된 적재함(10)과;
이 적재함(10) 및 각종 기구들이 견고히 지지하도록 세워 고정시키는 베이스후레임(20)과;
상기 베이스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슬라이드실린더(31)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됨과 아울러 승강실린더(32)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후크(33)에 걸려진 트레이(T)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0)와;
상기 이동부재(30)에 의해 소정의 수납 위치로 이동된 트레이(T)의 상부에 위치에서 프레임(F)을 착탈하는 죠오(41)와, 이 죠오(41)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 (42)에 의해 프레임(F)을 트레이(T)에 순차적으로 공급시키는 로봇유닛(40)과;
상기 트레이(T)를 받쳐지게 한 상태에서 일 피치씩 이동시켜 빈 위치로 프레임(F)들이 수납되도록 구동하는 콘베이어벨트(50)와;
상기 베이스후레임(20)의 갈라진 레일홈(21) 위치로 스프링(64)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핀(63)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F)들이 완전하게 트레이(T)의 일측 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실린더(61)의 전진 동작으로 완료작업대(11)의 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는 밀대(60)와;
상기 베이스 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어 트레이(T)의 이송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71)(72)(73)들이 구비되어서 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두께가 매우 얇고 정밀성을 요하는 콘덴서 프레임을 손상없이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트레이에 자동 수납할 수 있고, 인력의 낭비없이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코스트 저하로 인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
또,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베이스 후레임(20)의 우측에는 트레이 적재함(10)이 위치되고 중앙 상부에는 로봇유닛(40)이 설치된 상태를 볼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장치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트레이(T)를 적재함(10)으로부터 인출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이동부재(10)와 일정 피치로 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50) 및 프레임 수납이 완료된 트레이(T)를 정리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밀대(60)들의 설치상태를 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트레이(T)를 이송시키는 작동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트레이(T)에 프레임 적재동작을 완료시킨 후 밀대(60)에 의해 이송시키는 과정을 요부 작동상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로봇유닛(40)의 작동으로 프레임이 공급되는 과정을 요부작동상태 정면도로 도시하고,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로 밀대(60)로 트레이(T)의 이동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동실린더가 이용되는 구성을 평면도로 예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후레임(20)은 각종 기구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에 적재함(10)이 위치되고 그 타측에는 완료작업대(11)가 위치된다.
적재함(10)은 빈 트레이(T)들이 다단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것으로 도시하지않은 승강수단에 의해 트레이(T)의 설치 높이에 맞추어 한칸씩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승강수단으로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한 적재함(10)의 나사 진행방향 이동구조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빈 트레이(T)를 적재함으로부터 인출시켜 프레임(F)의 수납 동작이 완료되면 적재함(10)이 한칸 상승, 내지 하강하는 것에 의해 다음 위치의 빈 트레이(T)가 프레임(F) 수납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트레이(T)를 적재함(10)으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은 이동부재(3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베이스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슬라이드실린더(31)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됨과 아울러 승강실린더(32)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그 선단에 위치된 후크(33)에 걸려진 상태로 트레이(T)를 적재함으로부터 로봇유닛(40)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빈 트레이(T)를 인출시키기 위해서 슬라이드실린더(31)가 작동되어 이동부재(30)가 이동될 때는 승강실린더(32)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후크(33)가 빈 트레이(T)의 가장 선단측 홀에 위치된 후 슬라이드실린더(31)의 이동을 멈춘 후 승강실린더(32)가 작동되어 이동부재(30)를 하강시키면 후크(33)에 트레이(T)가 걸려진다.
그리고, 다시 전진 이동되었던 슬라이드실린더(31)가 후퇴되면 빈 트레이(T)는 후크(33)에 걸려진 상태로 로봇유닛(40)에 의한 프레임(F) 공급위치까지 이동되것이며, 이때 인출완료 감지센서(70)의 감지신호로 슬라이드실린더(31)의 이동 작동은 멈추게 된다.
이어서 다시 승강실린더(32)의 작동으로 후크(33)가 걸림을 해제할 정도의 높이로 이동부재(30)가 약간 상승하게 되는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 트레이(T)는 마치 빗살과 같이 일정간격 반복하여 홈들이 길게 종방향으로 반복 성형되어 이 홈들 위치로 탈탄콘덴서들이 양측에 리드핀들을 일체로 부착시킨 상태의 단위 프레임(F)들이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프레임(F)들이 수납된 트레이(T)는 콘덴서의 전극불량이나 용량 등을 측정하기 위한 공정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동부재(30)에 의해 이동된 트레이(T)는 로봇유닛(40)의 반복 작동위치중 가장 최선단에 트레이(T)의 첫 홈이 위치되도록 하는데, 그 위치제어는 트레이 인출완료 감지센서(7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로봇유닛(40)은 프레임(F)을 상대로봇(45)으로부터 받은 다음 180도 회전하여 트레이(T)의 빈 홈위치에서 낙하시켜 트레이(T)로 공급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대로봇(45)은 도 5에서와 같이 탈탄콘덴서가 아직 프레임(F)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공정에서 일정 단위 길이로 절단된 것을 취부하여 로봇유닛(40)의 죠오(41)가 벌어진 상태에서 공급하게 된다.
로봇유닛(40)은 죠오(41)와 회전기구(4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수납 위치로 이동된 트레이(T)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프레임(F)을 상대로봇(45)으로부터 공급받아 죠오(41)가 홀딩한 상태로 회전기구(42)에 의해 약 180도 회전시켜 트레이(T)에 파여진 홈위치에 프레임(F)이 위치되도록하고, 죠오(41)의 물림을 해제시켜 자유 낙하에 의해 프레임(F)이 트레이(T)에 순차적으로 공급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 프레임(F)을 빈 홈에 수납시키기 위한 공정을 위해 트레이(T)를 일 피치 이동시키게 된다.
이 트레이(T)의 피치 이동은 콘베이어벨트(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트레이(T)가 이동부재(30)에 의해 강제 이동될 때 베이스 후레임(20)의 상부면 양측에 나란히 설치된 콘베이어벨트(50)에 얹혀진 상태로 놓여진다. 따라서, 트레이(T)를 받쳐지게 한 상태에서 로봇유닛(40)의 일행정, 즉 프레임(F)의 공급공정이 완료되면 트레이(T)에 파여진 홈들의 간격에 해당되는 일 피치씩 콘베이어벨트(50)가 이동되어 프레임(F)이 순차적으로 빈 공간에 수납되도록 구동하는 것이다.
이때, 콘베이어벨트(50)의 정확한 피치 이송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트레이피치이송 감지센서(71)가 설치되어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로봇유닛(40)의 프레임(F) 공급과정과 트레이(T)의 일 피치 이송으로 단위 트레이(T)내에 완전하게 프레임(F)들이 수납되면 트레이가 유무감지센서(72)의 위치를 지나게 되므로, 프레임 수납과정 완료 여부를 파악할 수가있는 것이며, 이때는 밀대(60)를 전진시키기 위한 실린더(61)가 작동되어 완료작업대(11)의 위치까지 트레이(T)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밀대(60)는 베이스후레임(20)의 갈라진 레일홈(21) 위치로 스프링(64)에 의해 탄력 설치된 밀대(60)가 트레이(T)와 어긋난 위치에서는 상부로 노출가능 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T)에 프레임(F)이 적재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밀대(60)는 트레이(T)의 하부에 눌려져 상승 노출되기를 기다리게 되는데, 프레임(F)의 수납과정이 완료되며 완전하게 일측으로 콘베이어벨트(50)를 따라 이동되는 순간 스프링(64)의 탄력으로 갈라진 레일홈(21)의 위치에서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바와같이 트레이(T)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자동 노출된다.
이때, 상기 밀대(60)는 핀(63)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자유롭다.
그리고, 트레이유무 감지센서(72)의 감지로 그 신호에 의해 밀대(60)에 연결된 실린더(61)의 전진 동작으로 트레이(T)의 측면(도면에서는 우측면)을 밀어내게되므로써 트레이(T)는 완료작업대(11)의 상부로 얹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완전하게 실린더(61)가 전진되어 트레이(T)를 이송시킨 후에는 원위치되는데, 이때 밀대(60)는 상부로 노출된 상태를 갖게 되나, 새 트레이(T)가 이동부재(30)에 의해 강제 인출되는 과정에서 트레이(T)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스프링(64)의 탄력을 강제로 누르고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완전히 트레이(T)가 밀대(60)의 위치에서 어긋나게 진행된 후 다시 상승되어 상기에서와 같이 실린더(61)의 전진 작동으로 트레이(T)를 완료작업대(11)로 강제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완료작업대(11)는 빈 테이블 상태로 프레임(F)이 수납된 트레이(T)가 단지 이동될 수 있는 작업대 기능만 갖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상기한 빈 트레이(T)들이 다단 적재된 적재함(10)을 위치시켜 프레임(F)들이 수납된 트레이(T)들이 다시 적재함(10) 속으로 다단 적재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밀대(60)를 전진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실린더(61)는 트레이(T)의 길이를 감안하여 프레임(F) 수납을 위해 이동되는 트레이(T)와 수납완료된 트레이(T)간의 간격과 시차를 충분히 유지하기 위해 보다 그 이동행정 길이가 긴 이단실린더(62)-이중 행정을 갖는 기구-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함을 밝혀둔다.
한펴, 밀대(60)가 실린더(61)의 전진으로 완전하게 베이스 후레임(20)의 상부면에서부터 제거되면 취출완료 감지센서(73)가 그 여부를 파악하여 새로운 트레이(T)의 인출을 위한 이동부재(30)의 가동 지시를 내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신호의 지시나 검지 및 시차제어 등은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러에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그 두께가 매우 얇고 정밀성을 요하는 콘덴서 프레임을 손상 없이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트레이에 자동 수납할 수 있다.
또, 인력의 낭비없이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코스트 저하로 인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일측에는 빈 트레이(T)들이 다단 순차적으로 적재된 적재함(10)과;
    이 적재함(10) 및 각종 기구들이 견고히 지지하도록 세워 고정시키는 베이스후레임(20)과;
    상기 베이스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슬라이드실린더(31)에 의해 좌우슬라이드됨과 아울러 승강실린더(32)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후크(33)에 걸려진 트레이(T)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0)와;
    상기 이동부재(30)에 의해 소정의 수납 위치로 이동된 트레이(T)의 상부에 위치에서 프레임(F)을 착탈하는 죠오(41)와, 이 죠오(41)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42)에 의해 프레임(F)을 트레이(T)에 순차적으로 공급시키는 로봇유닛(40)과;
    상기 트레이(T)를 받쳐지게 한 상태에서 일 피치씩 이동시켜 빈 위치로 프레임(F)들이 수납되도록 구동하는 콘베이어벨트(50)와;
    상기 베이스후레임(20)의 갈라진 레일홈(21) 위치로 스프링(64)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핀(63)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F)들이 완전하게 트레이(T)의 일측 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실린더(61)의 전진 동작으로 완료작업대(11)의 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는 밀대(60)와;
    상기 베이스 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어 트레이(T)의 이송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71)(72)(73)들이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71)(72)(73)들은 트레이(T)의인출완료여부 감지와, 피치이동 감지와, 유무체크 감지와 취출완료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60)의 전진 구동용 실린더는 복동실린더(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KR2020000034118U 2000-12-05 2000-12-05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KR200221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118U KR200221112Y1 (ko) 2000-12-05 2000-12-05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118U KR200221112Y1 (ko) 2000-12-05 2000-12-05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112Y1 true KR200221112Y1 (ko) 2001-04-16

Family

ID=7306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118U KR200221112Y1 (ko) 2000-12-05 2000-12-05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1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401B1 (ko) * 2000-12-26 2002-12-05 삼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콘덴서 리드프레임부재의 셋트박스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401B1 (ko) * 2000-12-26 2002-12-05 삼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콘덴서 리드프레임부재의 셋트박스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06021B (zh) 一种上下料装置
CN106362873B (zh) 离心分离装置以及离心分离方法
CN105621071A (zh) 自动备料系统
US4813659A (en) System for feeding stacks of sheet material on to a user machine
JPH11220291A (ja) プリント回路基板のパックを積み重ねる方法、および加工機用のパック装荷取り外し装置
CN114814552A (zh) 一种用于温湿度传感器电路板的全自动检测装置
JPS6033734B2 (ja) ワ−ク供給収納装置
KR200221112Y1 (ko) 콘덴서 프레임의 트레이 수납장치
CN117566430A (zh) 一种上下料装置及芯片测试自动分选设备
CN206493084U (zh) 一种自动供料装置
CN112782415A (zh) 测试前处理装置、医用设备及检测方法
CN201010368Y (zh) Ic全自动托盘式检测编带机的托盘分离装置
TWI548026B (zh) Electronic components handling uni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US5829942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ircuit boards along a conveyor system
JPH10218120A (ja) 果菜類の移載装置
CN215905395U (zh) 自动上下料设备与Tray盘芯片料自动上料系统
KR100363401B1 (ko) 콘덴서 리드프레임부재의 셋트박스 공급장치
CN112974276A (zh) 一种移液头智能生产线系统的剔补料控制方法
JP2892928B2 (ja) 部品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100217397B1 (ko) 리튬전지의 이재공급씨스템
CN110733688A (zh) 一种器件包装设备
KR200194726Y1 (ko) 자동 카드 연속 기록, 적재 및 인출장치
CN116475087B (zh) 一种自动小电容全尺寸检测机
JPH0576959A (ja) 金型自動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金型選択方法
KR100267926B1 (ko) 부품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