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498Y1 - 도로용 차선분리대 - Google Patents

도로용 차선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498Y1
KR200220498Y1 KR2020000031316U KR20000031316U KR200220498Y1 KR 200220498 Y1 KR200220498 Y1 KR 200220498Y1 KR 2020000031316 U KR2020000031316 U KR 2020000031316U KR 20000031316 U KR20000031316 U KR 20000031316U KR 200220498 Y1 KR200220498 Y1 KR 200220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jaw
road
lane
upper ha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상우
Original Assignee
현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상우 filed Critical 현상우
Priority to KR2020000031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498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표시봉을 탄성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차량에 의해 표시봉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흔들림에 의한 충격완화로 파손이 거의 없고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쉬워서 사후관리가 용이한 도로용 차선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되게 한 차선분리대에 있어서, 차선분리대는 통상의 결합공(11)이 양측에 뚫리고 중심의 원형턱(13) 상하방에 공간부(14) 및 걸림공간부(15)를 형성한 수직공(12)을 가지는 고정판(1)과; 상단부가 막힌 원통형 상반부의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상의 요입홈(21)에 위로부터 끼워서 그 내면 상,하단부의 요입턱(23a)이 요입홈(21) 사이사이에 접합된 반사지(22)의 상,하단부를 누르게 하는 탄성링(23)과 하단부에 중심을 가로지르는 체결공(24)은 양측으로 뚫은 표시봉(2)과; 상기 고정판(1)의 하방에서 수직공(12)에 고정봉(32)을 끼워 걸림환턱(31)을 접착제로써 걸림공간부(15)내에 고정하고 상반부를 상기 표시봉(2)의 하단부에 끼워서 체결공(24)과 횡공(33)을 일치시킨 후 보울트-너트(25)로 체결하는 탄성부재(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도로용 차선분리대{Divisional Strip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상의 차선을 따라 설치하는 차선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표시봉을 탄성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차량에 의해 표시봉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흔들림에 의한 충격완화로 파손이 거의 없고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쉬워서 사후관리가 용이한 도로용 차선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차선분리대는 도로의 중앙선이나 안전지대 등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차량의 운행을 유도함으로써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지금까지 여러가지의 유형이 사용되고 있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차선분리대는 차선을 따라 도로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 중심에 상방으로 표시봉을 수직상으로 세워서 고정하고, 표시봉의 외주면에는 멀리서도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반사지를 등간격으로 접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차선분리대는 고정판상에 표시봉이 고정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 등에 의한 미미한 접촉이나 기타의 약한 충격에도 그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차선분리대를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자재비나 인건비 등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사후관리에 많은 경비가 들었다.
또한, 차선분리대의 파손이나 마모 등으로 인해 수리가 불가피할 경우에도 표시봉 등의 관련부품을 부분적으로는 교체할 수가 없기 때문에 사후관리의 측면에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선분리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을 흡수토록 함으로써 파손이 없어 사용수명을 길고, 파손이나 마모 등이 발생되더라도 부분적으로 교체 또는 수리를 가능하게 한 도로용 차선분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도로용 차선분리대는 도로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 중심의 상방에 수직으로 세우는 표시봉을 탄성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탄성부재의 흔들림에 의한 충격의 흡수로 파손을 방지하고, 일부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부분적으로 교체 또는 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선분리대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분리대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판 2 : 표시봉
3 : 탄성부재 12 : 수직공
13 : 원형턱 14 : 경사진 공간부
15 : 걸림공간부 23 : 탄성링
23a : 요입턱 24 : 체결공
31 : 걸림환턱 32 : 고정봉
33 : 횡공
도 1 및 도 2에서, 본 고안에 의한 차선분리대(10)는 도로면(20)에 고정되는 고정판(1)과 이 고정판(1) 중심의 상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표시봉(2) 및 상기 고정판(1)과 표시봉(2)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로 구성된다.
고정판(1)은 합성수지재 성형품으로써 양측에는 도로면(20)에 매립되는 기초보울트(30)를 끼우는 수직상의 결합공(11)이 뚫려 있다.
상기 결합공(11)은 고정판(1)을 도로상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통상적인 것과 같이 도로면(20)에 매립되는 기초보울트(30)를 결합공(11)에 끼워서 위로 빠져나온 선단에 너트(30a)를 조여서 고정한다.
또한, 고정판(1)의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수직공(12)이 뚫려 있으며, 이 수직공(12)은 대략 중간의 원형턱(13)을 기준으로 상방에는 내주면이 경사진 공간부(14)와 하방에는 상기 원형턱(13)보다 직경이 큰 이후에 설명할 탄성부재(3)가 걸리는 걸림공간부(15)를 가진다.
표시봉(2)은 상단부가 막힌 원통형의 합성수지재 성형품으로써 상반부에는 등간격으로 요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21) 사이사이의 외주면에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통상의 형광물질이 도포된 반사지(22)가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봉(2)의 위로부터 신축가능한 탄성링(23)을 벌려서 끼운 후 요입홈(21)의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이 경우 도 3에서 보듯이, 탄성링(23)은 그 내면 상,하단부의 요입턱(23a)이 요입홈(21)을 벗어나게 하여 반사지(22)의 상,하단부를 누르게 되어 오랜 사용에도 접합상태를 유지하여 표시봉(2)에서 반사지(22)가 이탈되지 않는다.
또, 표시봉(2)의 직경이 다소 큰 하단부에는 중심을 가로지르는 체결공(24)이 양측으로 뚫린다.
이 체결공(24)은 보울트-너트(25)로서 고정판(1)의 걸림공간부(15)에 하단이 고정되는 이후 설명할 탄성부재(3)의 상반부와의 고정수단으로 사용된다.
탄성부재(3)는 걸림환턱(31)과 이 걸림환턱(31)의 상면 중심에서 위로 솟은 고정봉(32)으로 이루어져 있고, 고정봉(32)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봉(2)의 하단에서 고정봉(32)을 끼울 때 표시봉(2)의 양측으로 뚫린 체결공(24)과 일치되는 횡공(33)이 관통되도록 뚫려 있다.
상기 고정판(1)과 표시봉(2)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는 탄성과 복원력이 양호한 고무재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0은 수직형 반사지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차선분리대는 통상의 것과 같이, 도로의 중앙선이나 안전지대, 위험지대 등의 차선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게 된다.
먼저, 차선분리대를 조립할 때는 고정판(1)의 하방에서 중심의 수직공(12)으로 탄성부재(3) 중심의 위로 솟은 고정봉(32)을 억지끼움으로 어지끼우게 되는데, 이때 걸림환턱(31)의 상면 및 외주면에는 미리 접착제를 발라서 끼운다.
이렇게 고정판(1)의 수직공(12)상으로 탄성부재(3)의 고정봉(32)을 억지끼움으로 끼우게 되면 걸림환턱(31)의 상면이 수직공(12)상의 원형턱(13)에 걸리게 되고, 이 상태로 시간이 지나면서 걸림환턱(31)의 상면 및 외주면에 바른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걸림환턱(31)은 걸림공간부(15)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에 탄성부재(3)의 고정봉(32)에 뚫린 횡공(33)의 방향은 표시봉(2)과 연결할 때를 고려하여 표시봉(2) 하단부의 체결공(24)의 방향과 일치되도록 하여 끼워서 고정시킨다.
그런 후에 표시봉(2)의 하단부를 상기 탄성부재(3)의 고정봉(32)의 위로 끼워서 체결공(24)과 횡공(33)을 일치시킨 후 보울트-너트(25)로 체결함으로써 조립을 완료되고, 이같이 조립된 후에는 표시봉(2)의 하단선과 고정판(1)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약 5~10㎜의 간격(L)이 생기게 된다.
이 간격(L)은 표시봉(2)이 충격을 받아 흔들릴 때 표시봉(2)의 하단이 고정판(1)의 상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려한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차선분리대(10)는 도로면(20)에 매립시킨 기초보울트(30)상에 고정판(1)의 양측 결합공(11)을 끼운 후, 위로 빠져나온 선단에 너트(30a)를 조여 붙여서 설치한다.
도로면(20)에 설치된 차선분리대(10)는 평상시는 표시봉(2)의 하단부가 고정판(1)과 탄성부재(3)에 의해 연결된 채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외주면상의 반사지(22) 및 탄성링(23)은 차선을 따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충실한 차선유도 표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로의 상황에 따라 중앙선이나 안전지대 등에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설치됨으로써 차량 운전자는 주,야간에 관계없이 멀리서도 차선분리대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차선분리대의 표시봉(2)은 차선을 벗어난 차량이 부딪치면서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표시봉(2)은 탄성부재(3)의 탄성에 의해 흔들리면서 충격을 흡수한 후에 수직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봉(2)이 흔들릴 때 하단부는 고정판(1)의 경사진 공간부(14)내에 원활하게 흔들려 고정봉(32)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표시봉(2)은 충격이 가해지는 힘만큼 탄성부재(3)의 탄성에 의해 그 반대편으로 쓰러짐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이 해소되는 순간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도로용 차선분리대는 고정판과 표시봉간을 탄성과 복원력이 양호한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차량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아닌 어떠한 충격으로 인하여 부품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노후되었을 경우에도 관련부품만을 쉽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으므로 사후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도로의 중앙선이나 안전지대 등에 설치하여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되게 한 차선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차선분리대는 도로면(20)과의 결속을 위한 통상의 결합공(11)이 양측에 뚫리고 중심에 원형턱(13)과 이 원형턱(13)의 상하방에 경사진 공간부(14) 및 걸림공간부(15)를 형성한 수직공(12)을 가지는 고정판(1)과;
    상단부가 막힌 원통형 상반부의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상의 요입홈(21)에 위로부터 끼워서 그 내면 상,하단부의 요입턱(23a)이 요입홈(21) 사이사이에 접합된 반사지(22)의 상,하단부를 누르게 하는 탄성링(23)과 하단부에 중심을 가로지르는 체결공(24)은 양측으로 뚫은 표시봉(2)과;
    상기 고정판(1)의 하방에서 수직공(12)에 고정봉(32)을 끼워 걸림환턱(31)을 접착제로써 걸림공간부(15)내에 고정하고 상반부를 상기 표시봉(2)의 하단부에 끼워서 체결공(24)과 횡공(33)을 일치시킨 후 보울트-너트(25)로 체결하는 탄성부재(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차선분리대.
KR2020000031316U 2000-11-09 2000-11-09 도로용 차선분리대 KR200220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16U KR200220498Y1 (ko) 2000-11-09 2000-11-09 도로용 차선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16U KR200220498Y1 (ko) 2000-11-09 2000-11-09 도로용 차선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498Y1 true KR200220498Y1 (ko) 2001-04-16

Family

ID=7306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316U KR200220498Y1 (ko) 2000-11-09 2000-11-09 도로용 차선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531B1 (ko) 2015-03-27 2016-09-21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차선 분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531B1 (ko) 2015-03-27 2016-09-21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차선 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546B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US20190257044A1 (en) Traffic control marker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EP0112804B1 (en) Anticollision road marker
JPH11140832A (ja) 道路標識柱
KR200220498Y1 (ko) 도로용 차선분리대
US20080019771A1 (en) Bumping post block and anchor holder and hole cap used for the same and bumping post
KR101812163B1 (ko) 도로표지병
KR100756544B1 (ko) 차선 규제봉
KR200197080Y1 (ko) 도로용 차선분리대
KR200208819Y1 (ko) 재활용 가능한 도로표지병
KR200394516Y1 (ko) 차선규제봉
KR101316747B1 (ko) 가드레일 고정용 델리네이터
KR200345530Y1 (ko) 차선규제봉
KR200223964Y1 (ko) 도로 표지병
KR200376037Y1 (ko) 도로 표지병
KR200188376Y1 (ko) 가이드레일용 델리네이터
KR200260056Y1 (ko) 도로 차선 규제봉
KR100608493B1 (ko) 도로용 가드레일의 델리네이트
KR200293183Y1 (ko) 도로용 오뚝이 표지병
KR20030025403A (ko) 차선용 안전 규제봉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KR200428177Y1 (ko) 도로표지병
KR101631239B1 (ko)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KR200228524Y1 (ko) 파손방지형도로차선표지병
KR200218348Y1 (ko) 횡단보도용 안전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