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103Y1 - 크레인 팬터그래프 접촉판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팬터그래프 접촉판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103Y1
KR200218103Y1 KR2020000023281U KR20000023281U KR200218103Y1 KR 200218103 Y1 KR200218103 Y1 KR 200218103Y1 KR 2020000023281 U KR2020000023281 U KR 2020000023281U KR 20000023281 U KR20000023281 U KR 20000023281U KR 200218103 Y1 KR200218103 Y1 KR 200218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pantograph
spring
conta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김형근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3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103Y1/ko

Links

Landscapes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 팬터그래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팬터그래프의 접촉판의 수명을 늘릴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회전가능한 접촉판을 사용한 팬터그래프에 관한 것으로 접촉단자(10)와 접촉단자판(11)과 접촉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윤활재(12)와 팬터그래프가 트롤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가이드(13)로 구성되는 팬터그래프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10)의 중앙에 윤활재(11)가 삽입되고 접촉단자(10)의 각 꼭지점 부위에 4개의 이탈방지가이드(13)가 설치되며, 상기 접촉단자판(11)의 후면에는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끝단에 스프링(20)의 일단이 체결되는 스프링 걸이(21)와 4개의 모서리부근에 돌기홈(22)이 형성되며, 상기의 돌기홈(22)에 삽입되는 4개의 고정돌기(30)와 중심부에는 스프링(20)이 삽입되는 일단이 막힌 고정파이프(3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파이프(31)의 폐단 내측에는 스프링(20)의 다른 일단이 체결되는 스프링 걸이(21)가 형성된 체결판(32)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접촉단자판(1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팬터그래프 접촉판 회전장치{Rotational contact plate of crane pantograph}
본 고안은 크레인 팬터그래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팬터그래프의 접촉판의 수명을 늘릴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회전가능한 접촉판을 사용한 팬터그래프에 관한 것이다.
철강재의 생산 과정중 이송작업은 크게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소재를 이송하는 작업고 생산된 제품을 이송하는 작업으로 나눌 수 있다.
철강재는 소재 및 생산제품 모두 중량물로서 이 중량물의 이송, 적치, 운반과정 및 생산제품의 출하작업등에서 크레인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통상의 생산공장에서는 주로 천정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송하고 있다.
도1과 도2는 일반적인 크레인 팬터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 천정 크레인은 주로 공장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기초빔(4)위에 주행 레일을 설치하여 주행 레일 상부에 주행 휠(3)이 설치된 새들을 얻고 거더(2)를 설치하여 거더 상부에 권상장치(1)가 얻혀지면서 기초빔위에 설치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주행 운동과 거더위를 타고 이동하는 횡행 작업으로 구성되는데 크래인을이동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동력을 얻기위하여 모터가 사용되며 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초빔을 따라 나란히 수평으로 설치된 트롤리(5)에 전기를 공급하고 이 크롤리에 팬터그래프라는 접촉장치를 연속적으로 접촉시켜 전원을 얻게 된다.
그러나 팬터그래프는 크래인이 주행작업을 실시함과 동시에 트롤리 선에 좁촉되어 이동되므로 마찰에 의한 마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모가 일정이상 발생하면 접촉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스파크에 의한 트롤리 손상 및 전기장치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원의 차단현상으로 생산 중단 및 설비사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어 이를 정기적으로 교체하여 주고있다.
종래의 트롤리 접촉방법은 접촉단자(일반적으로 구리)와 접촉단자사이에 윤활재(일반적으로 흑연)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구리로 된 접촉단자는 접촉시 전원이 쉽게 전달될 수 있으며 윤활재는 흑연성분으로 이동시 윤활재 역할을 하여 접촉단자의 마로를 최소화 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즉 접촉단자의 수명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종래의 접촉방법은 트롤리와 접촉단자 및 윤활재가 계속하여 동일한 부분이 계속 접촉되어 접촉부분이 일정량 이상의 마모가 발생하면 팬터그래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교체 작업 시간이 비교적 장시간 소요되므로 생산라인 정지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팬터그래프의 접촉단자를 1회 사용후 교체하던 것을 접촉성능의 저하가 없이 손쉽게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팬터그래프의 교체주기를 최대한으로 유지하여 주어 단자의 수명을 100% 증가시키고 접촉단자 마모발생으로 교체시 팬타그래프 전체를 교체하던 작업을 접촉판만을 쉽고 짧은 시간에 교체할 수 있는 팬터그래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도1은 종래의 크레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2는 종래의 팬터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팬터그래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팬터그래프가 부착된 크레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팬터그래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에 대한 설명]
1 …권상장치, 2 …거더,
3 …주행휠, 4 …기초빔,
5 …트롤리, 10 …접촉단자,
11 …접촉단자판, 12 …윤활재,
13 …이탈방지가이드, 20 …스프링,
21 …스프링 걸이, 22 …돌기홈,
30 …고정돌기, 31 …고정파이프,
32 …체결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접촉단자(10)와 접촉단자판(11)과 접촉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윤활재(12)와 팬터그래프가 트롤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가이드(13)로 구성되는 팬터그래프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10)의 중앙에 윤활재(11)가 삽입되고 접촉단자(10)의 각 꼭지점 부위에 4개의 이탈방지가이드(13)가 설치되며, 상기 접촉단자판(11)의 후면에는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끝단에 스프링(20)의 일단이 체결되는 스프링 걸이(21)와 4개의 모서리부근에 돌기홈(22)이 형성되며, 상기의 돌기홈(22)에 삽입되는 4개의 고정돌기(30)와 중심부에는 스프링(20)이 삽입되는 일단이 막힌 고정파이프(3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파이프(31)의 폐단 내측에는 스프링(20)의 다른 일단이 체결되는 스프링 걸이(21)가 형성된 체결판(32)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접촉단자판(1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팬터그래프의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접촉단자(10)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윤활재(12)를 삽입하기 위한 빈 공간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속단자판(11)이 회전된 후에도 트롤리(5)와 동일한 조건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의 접촉단자(10)는 정사각형인 것이 좋다. 상기의 윤활재(12)가 삽입되는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적이 다른 두개의 사각기둥이 붙어있는 형상인 것이 좋은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삽입된 윤활재(12)가 접촉단자(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윤활재의 형상은 그 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접촉단자판(11)이 회전후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트롤리(5)와 접촉하며 표면을 윤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것이다.
상기의 이탈방지가이드(13)는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10)의 4개의 꼭지점부근에 설치되며 이렇게 이탈방지가이드(13)를 분리된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접촉단자판(11)이 회전후에도 이탈방지가이드(13)가 트롤리(5)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팬터그래프장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접촉단자판(11)의 후면에는 중앙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그 끝단에 스프링(20)을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 걸이(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20)은 후술할 체결판(32)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21)에 다른 끝단이 고정되며 두개의 스프링 걸이(21)간의 간격은 스프링(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이 두개의 스프링 걸이(21) 사이에 체결된 경우 인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접촉단자판(11)과 체결판(32)이 서로 접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접촉단자판(11)의 후면에는 또한 상기 체결판(32)상에 형성된 고정돌기(30)가 삽입되는 돌기홈(22)이 형성되는데 고정돌기(30)가 삽입되어 접촉단자판(11)이 작동중에 회전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접촉단자판(11)을 회전시켜 재사용시에 접촉단자판(11)이 체결판(32)과 올바른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갖는다.
그러므로 돌기홈(22)은 접촉단자판(11)이 회전후에도 고정돌기(30)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 걸이(21)를 중심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각 꼭지점상에 존재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서 고정돌기(30)의 위치도 이와 동일하여야 한다.
다음에 체결판(32)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접촉단자판(11)을 마주하는 면에 고정돌기(30)를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의 스프링(20)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파이프(31)를 갖는다. 상기의 고정파이프(31)는 접촉단자판(11)을 마주하는 일단은 개방되어 있으나 다른 일단은 막혀있고 이 폐단(閉斷)에는 상술한 스프링 걸이(21)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의 작동으로 일정량 이상의 마모가 접촉단자에 발생하면 트롤리(5)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접촉단자판(11)을 앞으로 당기게 되면 스프링(20)이 늘어나명서 체결판(32)의 각 사면에 돌출되어 있던 고정돌기(30)는 접촉단자판(11)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홈(22)에서 벗어나게 되어 회전이 불가능했던 접촉단자판(11)이 회전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접촉단자판(11)을 90도 회전시켜 고정돌기(30)와 돌기홈(22)이 일치시켜 놓으면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하여 고정돌기가 돌기홈으로 삽입되면서 접촉단자판(11)과 체결판(32)이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접촉단자(10)의 마모된 부위는 트롤리(5)와 직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접촉단자(10)의 마모되지 않은 부분이 트롤리와 접촉하게 되며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만일 회전후 사용이 계속되어 다시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접촉단자판(11)을 당긴 후에 스프링(20)을 스프링 걸이(21)에서 빼낸 후에 새로운 접촉단자판(11)을 삽입하여 교체할 수 있다.
접촉단자를 90도 회전시켜 마모되지 않은 부분의 접촉단자 및 윤활재가 접촉되도록 하여주어 접촉단자의 수명을 100% 증가시키고 접촉단자 마모발생으로 교체시 팬터그래프 전체를 교환하던 작업을 접촉단자판만을 쉽고 짧은 시간에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비를 절감시키고 교체작업에 따른 생산시간의 중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접촉단자(10)와 접촉단자판(11)과 접촉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윤활재(12)와 팬터그래프가 트롤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가이드(13)로 구성되는 팬터그래프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10)의 중앙에 윤활재(11)가 삽입되고 접촉단자(10)의 각 꼭지점 부위에 4개의 이탈방지가이드(13)가 설치되며, 상기 접촉단자판(11)의 후면에는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끝단에 스프링(20)의 일단이 체결되는 스프링 걸이(21)와 4개의 모서리부근에 돌기홈(22)이 형성되며, 상기의 돌기홈(22)에 삽입되는 4개의 고정돌기(30)와 중심부에는 스프링(20)이 삽입되는 일단이 막힌 고정파이프(3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파이프(31)의 폐단 내측에는 스프링(20)의 다른 일단이 체결되는 스프링 걸이(21)가 형성된 체결판(32)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접촉단자판(1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
KR2020000023281U 2000-08-17 2000-08-17 크레인 팬터그래프 접촉판 회전장치 KR200218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281U KR200218103Y1 (ko) 2000-08-17 2000-08-17 크레인 팬터그래프 접촉판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281U KR200218103Y1 (ko) 2000-08-17 2000-08-17 크레인 팬터그래프 접촉판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103Y1 true KR200218103Y1 (ko) 2001-03-15

Family

ID=7305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281U KR200218103Y1 (ko) 2000-08-17 2000-08-17 크레인 팬터그래프 접촉판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1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26512A (ja) 牽引ケーブル組立体の懸架要素
JP4789370B2 (ja) 作業機械の下部構造のためのローラー組立体
EP0151641B1 (en) Overhead travelling crane
KR200218103Y1 (ko) 크레인 팬터그래프 접촉판 회전장치
JP2000153987A (ja) 橋形クレ―ン
KR102468203B1 (ko) 벨트 도르래 및 임프린팅 방법
CN102328808A (zh) 线摩擦制动带式输送机
KR101543957B1 (ko) 휠 교체형 궤도차 차륜
CA20525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aightening crane rails
CN216888484U (zh) 一种新型废料运输皮带保护装置及废料运输装置
CN202089543U (zh) 线摩擦制动带式输送机
KR20160124617A (ko) 바닥용 트롤리
KR20090110396A (ko) 대차운반용 셔틀레일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1732694U (zh) 一种从动驱动机构、驱动系统及拐弯穿梭车行走系统
JP6721997B2 (ja) 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用治具及び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方法
KR101309731B1 (ko) 크레인 차륜용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KR200218112Y1 (ko) 크레인의 집전부 장력조절장치
US2512034A (en) Nonshimmying trolley
KR20000014376U (ko) 레일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6943346U (zh) 一种底盘装置及自移动运输机器人
KR101657780B1 (ko) 궤도차 차륜
CN217434351U (zh) 滚轮组、传送链和轨道组件
KR100335989B1 (ko) 엘리베이터의 분리형 도어 가이드구조
KR200171716Y1 (ko) 판타그라프 집전기
CN218025023U (zh) 一种圆柱销传动单轨吊车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