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625Y1 - 실린더용 장력유지구 - Google Patents

실린더용 장력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625Y1
KR200217625Y1 KR2020000027620U KR20000027620U KR200217625Y1 KR 200217625 Y1 KR200217625 Y1 KR 200217625Y1 KR 2020000027620 U KR2020000027620 U KR 2020000027620U KR 20000027620 U KR20000027620 U KR 20000027620U KR 200217625 Y1 KR200217625 Y1 KR 2002176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krill
tension
vertica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태
Original Assignee
임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태 filed Critical 임진태
Priority to KR2020000027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6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625Y1/ko

Links

Landscapes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크릴봉에 설치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으며, 또한 실린더캡에 형성된 볼트의 크기에 관계없이 텐션판을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용 장력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에 볼트(11)가 형성된 실린더캡(10), 볼트(11)에 끼워지는 볼트공(21)이 천공되고 외주연으로 다수의 텐션사(22)가 돌출된 텐션판(20), 볼트 (11)에 끼워지는 볼트공(31)이 형성된 캡덮개(30), 볼트(11)에 나사체결되는 너트 (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캡(10),텐션판(20),캡덮개(30)의 일측에 수직크릴봉(50)이 끼워지는 수직크릴공(12)(23)(32)을 각각 천공하여, 수직크릴공 (12)(23)(32)에 끼워진 수직크릴봉(50)의 외면과 실린더(60)의 내면이 일직선상에서 접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텐션판(20)의 볼트공(21) 외측에는 방사상으로 ∨홀 (24)을 절개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린더용 장력유지구{TENSION KEEPING DEVICE FOR CYLINDER}
본 고안은 실린더용 장력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직크릴봉에 설치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으며, 또한 실린더캡에 형성된 볼트의 크기에 관계없이 텐션판을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용 장력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용 장력유지구는 실린더의 플랜지에 끼워져 실린더로부터 풀려나가는 실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종래의 장력유지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중앙부에 볼트(1a)가 형성되어 실린더에 끼워지는 실린더캡(1), 상기 볼트(1a)에 끼워지는 볼트공(2a)이 중앙에 천공되고 그 외주연으로 다수개의 텐션사(2b)가 돌출된 텐션판(2), 상기 볼트(1a)에 끼워지는 볼트공 (3a)이 형성된 캡덮개(3), 상기 텐션판(2)과 캡덮개(3)의 볼트공(2a)(3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볼트(1a)에 나사체결되는 너트(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린더용 장력유지구는 볼트공(2a)을 통해 볼트(1a)에 끼워진 텐션판(2)이 흔들리면 불량이 발생하므로, 조립시 텐션판(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볼트(1a)에 부합되는 크기의 볼트공(2a)이 천공된 텐션판(2)을 조립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텐션판(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린더캡(1)의 볼트(1a)와 텐션판(2)의 볼트공(2a) 크기가 서로 동일하게 부합되어야 하지만, 실린더의 용량이나 제작회사에 따라 실린더캡(1)의 볼트(1a) 크기와 텐션판(2)의 볼트공(2a) 크기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고, 또한 종래에는 텐션판(2)의 볼트공(2a) 크기를 볼트(1a) 크기에 따라 가변(확개)시킬 수 없으므로 볼트공(2a)의 크기가 다른 여러개의 텐션판(2)을 각각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텐션판(2)에 천공된 볼트공(2a)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없으므로 실린더캡(1)의 볼트(1a) 크기에 관계없이 텐션판(2)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96-27133호(공개일자:1996.8.17)에서는 장력판의 중앙에 뚫린 통공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방사선 상의 절개부를 형성하므로서 다수의 절개편이 구성되게 하여된 해사용 장력유지구의 장력판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확개되면서 볼트에 접촉하는 절개편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분리시 장력판이 쉽게 빠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장력유지구를 수직크릴봉(5)에 설치할 경우 실린더캡(1)의 저면 양측으로 실린더(6) 내경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판스프링(1b)을 별도로 설치하고, 또한 실린더(6)의 내부에는 실린더(6)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조관(7)을 별도로 설치하여 실린더(6)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장력유지구는 수직크릴봉(5)에 설치시 판스프링(1b)과 보조관(7)을 별도로 설치하므로 인해 원가상승 및 설치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장력유지구 제거시 실린더(6)의 내경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판스프링(1b)에 의해 실린더(6)가 같이 빠져나오기 때문에 쉽게 분해되지 않아 분해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수직크릴봉에 설치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으며, 또한 실린더캡에 형성된 볼트의 크기에 관계없이 텐션판을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용 장력유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실린더캡,텐션판,캡덮개의 일측에 수직크릴봉이 끼워지는 수직크릴공을 각각 천공하고, 상기 텐션판의 볼트공에는 외측으로 절개되는 ∨홀을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볼트공의 확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실린더용 장력유지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장력유지구를 수직크릴봉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수직크릴봉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실린더캡 11 : 볼트
12 : 수직크릴공 13 : 안내돌기
20 : 텐션판 21 : 볼트공
22 : 텐션사 23 : 수직크릴공
24 : ∨홀 30 : 캡덮개
31 : 볼트공 32 : 수직크릴공
33 : 고정돌기 40 : 너트
50 : 수직크릴봉 60 : 실린더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린더용 장력유지구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에 볼트(11)가 형성된 실린더캡(10), 볼트(11)에 끼워지는 볼트공(21)이 천공되고 외주연으로 다수의 텐션사(22)가 돌출된 텐션판(20), 볼트(11)에 끼워지는 볼트공(31)이 형성된 캡덮개(30), 볼트(11)에 나사체결되는 너트(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캡(10),텐션판(20),캡덮개(30)의 일측에 수직크릴봉(50)이 끼워지는 수직크릴공(12)(23)(32)을 각각 천공하여, 수직크릴공(12)(23)(32)에 끼워진 수직크릴봉(50)의 외면과 실린더(60)의 내면이 일직선상에서 접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텐션판(20)의 볼트공(21) 외측에는 방사상으로 ∨홀(24)을 절개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캡(10)의 수직크릴공(12) 상부에 텐션판(20)의 수직크릴공(23)내로 끼워지는 안내돌기(13)를 형성하고, 상기 캡덮개(30)의 수직크릴공(12) 하부에는 안내돌기(13)의 외측으로 끼워지면서 텐션판(20)에 밀착되는 고정돌기 (33)를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캡(10)과 캡덮개(30)에 각각 돌출된 안내돌기(13) 및 고정돌기 (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텐션판(20)에 형성된 수직크릴공(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천공된다.
상기 텐션판(20)의 중앙에 천공된 볼트공(21)에는 외측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홀(24)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홀(24)들 사이에는 확개편 (25)이 구비된다. 이때, 텐션판(20)에 형성되는 볼트공(21)은 가장 작은 용량의 실린더에 사용되는 실린더캡의 볼트를 기준으로 하여 가장 작은 볼트와 동일한 크기로 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립시 실린더캡(10)의 볼트(11)에 텐션판(20)의 볼트공(21)을 일치시켜 끼우고, 실린더캡(10)의 안내돌기(13)에 텐션판(20)의 수직크릴공(23)을 일치시켜 끼우면 실린더캡(10)과 텐션판(20)에 각각 형성된 수직크릴공(12)(23)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수 있다.
실린더캡(10)에 텐션판(20)을 조립한 상태에서 텐션판(20)의 볼트공(21)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볼트(11)에 캡덮개(30)의 볼트공(31)을 일치시켜 끼우고, 실린더캡(10)의 안내돌기(13) 외측으로 캡덮개(30)의 고정돌기(33)를 일치시켜 끼우면 실린더캡(10)과 캡덮개(30)에 각각 형성된 수직크릴공(12)(32)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볼트공(21)(31)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볼트(11)에 너트(40)를 나사체결하면 장력유지구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돌기(33)가 텐션판(20)에 밀착되므로 텐션판(20)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텐션판(20)의 조립시 실린더캡(10)에 형성된 볼트(11)의 직경이 텐션판(20)의 볼트공(21)과 동일한 경우에는 볼트공(21)의 내경이 확개됨이 없이 그대로 볼트(11)에 끼워 사용할 수 있고, 이때 볼트(11)의 직경이 볼트공(21)의 내경보다 클 경우에는 볼트공(21)을 볼트(11)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텐션판(20)을 약간의 힘을 가해 아래로 누르면 볼트공(21)은 그 외측으로 절개된 ∨홀(24)들에 의해 확개편(25)이 탄력적으로 확개되면서 볼트(11)에 쉽게 끼워지므로, 볼트(11)의 크기에 관계없이 실린더캡(10)에 텐션판(20)을 손쉽게 끼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장력유지구를 수직크릴봉(50)에 설치할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먼저 실린더(60)를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조립된 실린더캡(10),텐션판(20),캡덮개(30)의 수직크릴공(12)(23)(32)을 수직크릴봉(50)에 끼우면 실린더(60)와 장력유지구가 일직선상으로 놓여져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장력유지구의 제거시에도 장력유지구만을 편리하게 빼낼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장력유지구는 수직크릴봉(50)에 설치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부품(판스프링,보조관)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실린더캡(10),텐션판(20),캡덮개(30)에 천공된 수직크릴공(12)(23)(32)을 수직크릴봉(50)에 끼워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분해시에도 편리하게 장력유지구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실린더캡(10)과 캡덮개(30)에 각각 형성된 안내돌기(13) 및 고정돌기(33)를 이용하여 조립시 실린더캡(10),텐션판(20),캡덮개(30)에 천공된 수직크릴공(12)(23)(32)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보다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텐션판(20)의 볼트공(21)이 그 외측으로 절개된 ∨홀(24)에 의해 확개가 가능하여 실린더캡(10)의 볼트(11) 크기에 관계없이 텐션판(20)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볼트공의 크기가 다른 여러개의 텐션판을 각각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한편 확개되면서 볼트(11)에 접촉하는 확개편(25)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분리시 텐션판(20)이 쉽게 빠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린더캡,텐션판,캡덮개에 수직크릴봉이 끼워지는 수직크릴공이 형성되므로 수직크릴봉에 설치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장력유지구를 편리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텐션판의 볼트공 확개가 가능하므로 실린더캡에 형성된 볼트의 크기에 관계없이 텐션판을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중앙에 볼트(11)가 형성된 실린더캡(10), 볼트(11)에 끼워지는 볼트공(21)이 천공되고 외주연으로 다수의 텐션사(22)가 돌출된 텐션판(20), 볼트(11)에 끼워지는 볼트공(31)이 형성된 캡덮개(30), 볼트(11)에 나사체결되는 너트(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캡(10),텐션판(20),캡덮개(30)의 일측에 수직크릴봉(50)이 끼워지는 수직크릴공(12)(23)(32)을 각각 천공하여, 수직크릴공(12)(23)(32)에 끼워진 수직크릴봉(50)의 외면과 실린더(60)의 내면이 일직선상에서 접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텐션판(20)의 볼트공(21) 외측에는 방사상으로 ∨홀(24)을 절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용 장력유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캡(10)의 수직크릴공(12) 상부에 텐션판(20)의 수직크릴공(23)내로 끼워지는 안내돌기(13)를 형성하고, 상기 캡덮개(30)의 수직크릴공(12) 하부에는 안내돌기(13)의 외측으로 끼워지면서 텐션판(20)에 밀착되는 고정돌기(3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용 장력유지구.
KR2020000027620U 2000-10-04 2000-10-04 실린더용 장력유지구 KR2002176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20U KR200217625Y1 (ko) 2000-10-04 2000-10-04 실린더용 장력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20U KR200217625Y1 (ko) 2000-10-04 2000-10-04 실린더용 장력유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625Y1 true KR200217625Y1 (ko) 2001-03-15

Family

ID=7308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620U KR200217625Y1 (ko) 2000-10-04 2000-10-04 실린더용 장력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6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821B1 (ko) 볼트 회전력에 의해 확장되는 앵커 부재를 갖는 앵커유니트
US6739572B2 (en) Timing lock device for a faucet
KR20080014621A (ko) 미싱용 실세움 도구
TW200641279A (en) Block fixing structure and accumulation valve
KR200217625Y1 (ko) 실린더용 장력유지구
KR200419782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볼트 어셈블리
JP2006516321A (ja) 調整時に機器を設置するための調整脚
KR100778028B1 (ko) 앵커볼트유닛
KR101925084B1 (ko)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KR101966705B1 (ko) 가림판 장착용 싱크대 다리
KR200482863Y1 (ko) 셋트 앙카 볼트
CN220248167U (zh) 一种分体式气门弹簧座
JP2010222832A (ja) 道路用標示体および押圧装置
KR101242716B1 (ko)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100535499B1 (ko) 엔진 커버의 결합 장치
KR200372037Y1 (ko) 복합 공작기계용 절삭공구 홀더
KR200229271Y1 (ko) 해사용 실린더캡
KR200343672Y1 (ko) 앵커볼트
KR200253754Y1 (ko) 앵커볼트 덮개
KR200261412Y1 (ko) 파이프 홀더
JPH0741386Y2 (ja) アジャスタ装置の取付構造
KR19990002072U (ko)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KR920000088Y1 (ko) 테이프카세트의 결속장치
KR200245070Y1 (ko) 잠금장치
KR0122465Y1 (ko) 해사용 장력유지구의 장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