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084B1 -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084B1
KR101925084B1 KR1020170052278A KR20170052278A KR101925084B1 KR 101925084 B1 KR101925084 B1 KR 101925084B1 KR 1020170052278 A KR1020170052278 A KR 1020170052278A KR 20170052278 A KR20170052278 A KR 20170052278A KR 101925084 B1 KR101925084 B1 KR 101925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using
spring
fla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950A (ko
Inventor
박영성
Original Assignee
박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성 filed Critical 박영성
Priority to KR102017005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08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을 성형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상부 몰드 플랜지와 하부 몰드 플랜지를 서로 체결하는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몰드(300)의 플랜지(310)에 장착되는 볼트 어셈블리(100)와, 하부 몰드(400)의 플랜지(410)에 장착되는 너트 어셈블리(200)로 구성된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 어셈블리(100)는 볼트(110)가 헤드부(111)와 자루부(112)로 구성되고, 자루부(112)의 하단에 나선 체결부(113)가 형성되고, 자루부(112)의 중간 지점에 돌기링(114)이 형성된다. 하우징(12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20)에 중공부(121)가 형성되며, 하우징(120)의 중공부(121)에 스프링(130)이 인입되어 스프링(130)이 하우징(120)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122)에 지지된다. 하우징(120)의 중공부(121)에 볼트(110)의 자루부(111)가 끼워져, 볼트(110)의 돌기링(114)이 스프링(130)에 의해 지지되고, 하우징(120)의 외주면에 한 쌍의 핀구멍(123)이 천공되어 이 핀구멍(123)에 끼워진 핀(140)에 볼트(110)의 돌기링(114)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HOLDER FOR CONCRETE FILE MOLD}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을 성형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상부 몰드 플랜지와 하부 몰드 플랜지를 서로 체결하는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우징의 중공부에 스프링과 볼트의 자루부가 끼워져, 볼트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하우징에 끼워진 핀에 볼트의 걸림링이 걸려, 볼트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128784호(2012년 3월 14일, 등록)에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는 볼트의 헤드부와 바디부 사이에 와셔가 일체로 형성되고, 와셔에 형성된 원주홈에 스프링의 상단 결합부가 결합되어, 스프링이 볼트의 바디부 둘레에 배치되고, 스프링의 하단 결합부이 스프링 지지부재의 원주홈에 결합됨으로써, 볼트와 스프링 지지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고, 볼트의 바디부에 형성된 나선 체결부가 스프링 지지부재의 구멍, 상부 몰드의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 및 하부 몰드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너트와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는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스프링이 변형되고, 볼트에 스프링 지지부재가 일체화되어 있어, 볼트를 교체해야 할 때, 볼트, 스프링 및 스프링 지지부재를 모두 한번에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285623호(2013년 7월 8일, 등록)에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는 홀더가 고정부재와 스프링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고정부재가 상부 몰드의 상부 플랜지에 용접되며, 스프링 지지부재가 하부 원통부와 상부 원통부로 구성되고, 하부 원통부의 외주면 둘레에 원주홈이 형성되고, 상부 원통부의 외주면 하단에 제 1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되고, 고정부재의 중공부에 스프링 지지부재의 하부 원통부가 배치되고, 핀이 고정부재의 핀구멍에 끼워져, 핀이 스프링 지지부재의 원주홈에 걸림으로써, 스프링 지지부재가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볼트가 하단에 나선부가 형성된 바디와, 바디의 상단에 형성된 헤드로 구성되고, 바디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헤드와 걸림턱 사이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바디를 통해 와셔가 장착부에 배치되고, C링이 걸림턱에 걸리도록 장착부에 결합되어, 와셔가 C링에 의해 장착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지지되고, 와셔에 형성된 제 2 스프링 장착홈에 스프링의 상단 결합부가 결합되고, 스프링의 하단 결합부가 스프링 지지부재의 제 1 스프링 장착홈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또한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스프링이 변형되고, 볼트에 스프링 지지부재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볼트를 교체해야 할 때, 볼트, 스프링 및 스프링 지지부재를 모두 한번에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중공부에 스프링이 인입되어, 스프링이 가혹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아, 스프링의 탄성이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끼워진 핀을 분리하여, 볼트 뿐만 아니라 스프링, 와셔 등을 각각 하우징에 각각 분리할 수 있어, 각각의 구성요소를 단품으로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의 자루부에 돌기링이 형성되어, 볼트의 자루부가 하우징의 중공부에 끼워지면, 볼트의 돌기링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되고, 볼트의 하단부가 하우징의 단턱부의 구멍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볼트의 헤드부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자동화 조임 기계를 이용하여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는, 상부 몰드의 플랜지에 장착되는 볼트 어셈블리 및 하부 몰드의 플랜지에 장착되는 너트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 및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구성되고, 상기 볼트는 헤드부와 자루부로 구분되어 자루부의 하단에 나선 체결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자루부의 중간 지점에 돌기링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중공부를 가짐과 동시에 이 중공부 내에 스프링이 끼워넣어져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볼트의 자루부가 조립되어 돌기링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근접하여 한 쌍의 핀구멍이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천공됨과 동시에 이 핀구멍으로 핀이 끼워져 볼트의 돌기링을 걸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볼트의 자루부에 와셔가 끼워넣어져 볼트의 헤드부와 하우징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너트 어셈블리는 하부 몰드의 플랜지에 용접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이 홀더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너트 및 홀더에 형성된 핀구멍으로 끼워지는 핀에 의해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는 스프링이 가혹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아, 스프링의 탄성이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를 단품으로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볼트의 헤드부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자동화 조임 기계를 이용하여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가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의 플랜지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 3은 볼트가 너트에 체결되기 전 상태이고, 도 4는 볼트가 너트에 체결된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는 상부 몰드(300)의 플랜지(310)에 장착되는 볼트 어셈블리(100)와, 하부 몰드(400)의 플랜지(410)에 장착되는 너트 어셈블리(200)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 어셈블리(100)는 볼트(110)가 헤드부(111)와 자루부(112)로 구성되고, 자루부(112)의 하단에 나선 체결부(113)가 형성되고, 자루부(112)의 중간 지점에 돌기링(114)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20)에 중공부(121)가 형성되며, 하우징(120)의 중공부(121)에 스프링(130)이 인입되어 스프링(130)이 하우징(120)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122)에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120)의 중공부(121)에는 볼트(110)의 자루부(111)가 끼워져, 볼트(110)의 돌기링(114)이 스프링(130)에 의해 지지되고, 하우징(120)의 외주면에 한 쌍의 핀구멍(123)이 형성된다.
즉, 핀구멍(123)은 하우징(120)의 상단(124)에 근접하게 하우징(120)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천공되고, 핀구멍(123)에 끼워진 핀(140)에 볼트(110)의 돌기링(114)이 걸려 하우징(120)에서 볼트(11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는 상부 몰드(300)의 플랜지(310)와 하부 몰드(400)의 플랜지(410)가 밀착된 상태에서, 조임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볼트(110)를 조이면, 볼트(110)의 나선 체결부(113)가 플랜지(310, 410)의 구멍(311, 411)을 통해 너트 어셈블리(200)의 너트(220)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볼트 어셈블리(100)는 볼트(110)의 자루부(112)에 와셔(150)가 끼워져, 와셔(150)가 볼트(110)의 헤드부(111)와 하우징(120)의 상단(124)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조임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볼트(110)의 나선 체결부(113)가 너트(220)에 체결될 때, 와셔(150)가 볼트(110)이 헤드부(111)와 하우징(120)의 상단(124)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볼트(110)의 헤드부(111)가 하우징(120)의 상단(114)에 직접 닿아, 하우징(120)의 상단(124)이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하단부 둘레가 상부 몰드(300)의 플랜지(310)에 용접되어, 중공부(121)에 끼워진 볼트(110)의 자루부(112)가 단턱부(122)의 구멍(122a)과 플랜지(310)의 구멍((311)을 통해 너트 어셈블리(200)의 너트(220)에 체결된다.
상기 핀(140)은 도 1 및 도 2에 2개가 한 쌍을 이루는 일자형 핀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핀(140)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는 일자형 핀 또는 알파벳 유자형 핀(도시하지 않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너트 어셈블리(200)는 하부 몰드(400)의 플랜지(410)에 용접되는 홀더(210)와, 홀더(2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너트(220)와, 홀더(210)에서 너트(2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210)의 핀구멍(211)에 끼워지는 핀(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핀(230)은 홀더(210)의 핀구멍(211)에 끼워진 후 단부가 절곡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우징(120)의 중공부(130)에 스프링(130)이 배치됨으로써, 스프링(130)이 가혹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아, 스프링(130)의 탄성이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트(110)가 변형되거나 볼트(110)의 나선 체결부(113)가 마모됨에 따라 볼트(110)를 교체해야 할 경우에 핀(140)을 분리하여 볼트(110)를 하우징(12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110)만 교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볼트(110), 스프링(130), 핀(140) 및 와셔(150) 등을 각각 하우징(120)에 각각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구성요소를 단품으로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는 볼트(110)가 하우징(120)의 중공부(121)에 끼워지면, 볼트(110)의 돌기링(114)이 하우징(12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된다.
또, 볼트(110)의 하단부가 하우징(120)의 단턱부(122)의 구멍(122a) 둘레에 밀착되어 볼트(110)의 헤드부(111)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화 조임 기계를 이용하여 볼트(110)를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볼트 어셈블리 110 : 볼트
120 : 하우징 130 : 스프링
140 : 핀 150 : 와셔

Claims (3)

  1. 상부 몰드(300)의 플랜지(310)에 장착되는 볼트 어셈블리(100) 및 하부 몰드(400)의 플랜지(410)에 장착되는 너트 어셈블리(200)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 어셈블리(100)는 볼트(110) 및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져 구성되고,
    상기 볼트(110)는 헤드부(111)와 자루부(112)로 구분되어 자루부(112)의 하단에 나선 체결부(113)가 형성됨과 동시에 자루부(112)의 중간 지점에 돌기링(114)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중공부(121)를 가짐과 동시에 이 중공부(121) 내에 스프링(130)이 끼워넣어져 하우징(120)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12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120)의 중공부(121)에 볼트(110)의 자루부(112)가 조립되어 돌기링(114)이 스프링(1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120)의 상단(124)에 근접하여 한 쌍의 핀구멍(123)이 하우징(1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천공됨과 동시에 이 핀구멍(123)으로 핀(140)이 끼워져 볼트(110)의 돌기링(114)을 걸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볼트(110)의 자루부(112)에 와셔(150)가 끼워넣어져 볼트(110)의 헤드부(111)와 하우징(120)의 상단(124)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너트 어셈블리(200)는 하부 몰드(400)의 플랜지(410)에 용접되는 홀더(210)를 포함하여 이 홀더(2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너트(220) 및 홀더(210)에 형성된 핀구멍(211)으로 끼워지는 핀(230)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140)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는 일자형이나 유자형 핀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KR1020170052278A 2017-04-24 2017-04-24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KR101925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78A KR101925084B1 (ko) 2017-04-24 2017-04-24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78A KR101925084B1 (ko) 2017-04-24 2017-04-24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950A KR20180118950A (ko) 2018-11-01
KR101925084B1 true KR101925084B1 (ko) 2018-12-04

Family

ID=6439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278A KR101925084B1 (ko) 2017-04-24 2017-04-24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190B1 (ko) * 2020-06-03 2021-01-18 강동관 파일성형 몰드의 압입식 고정구조
KR102620577B1 (ko) 2022-12-05 2024-01-02 이영화 성형몰드 작업용 다중공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811Y1 (ko) * 2002-05-30 2002-09-19 주식회사 대창금속 파일 양생용 몰드 체결장치
JP3130660U (ja) 2007-01-22 2007-04-05 博 北村 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用型枠のフランジ締結構造およびナットホル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811Y1 (ko) * 2002-05-30 2002-09-19 주식회사 대창금속 파일 양생용 몰드 체결장치
JP3130660U (ja) 2007-01-22 2007-04-05 博 北村 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用型枠のフランジ締結構造およびナットホル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190B1 (ko) * 2020-06-03 2021-01-18 강동관 파일성형 몰드의 압입식 고정구조
KR102620577B1 (ko) 2022-12-05 2024-01-02 이영화 성형몰드 작업용 다중공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950A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756B1 (ko) 차량 루프 안테나 장착용 조립체
KR101925084B1 (ko)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WO2015049909A1 (ja) スタッド係止具
KR200419782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볼트 어셈블리
KR200232716Y1 (ko) 높이 조절형 하중 지지대
KR101925086B1 (ko)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JP4864845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とバッテリーとの支持構造
JP6384858B2 (ja) 締結部材の保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4076923B2 (ja) ランプソケット
KR101514888B1 (ko) 공차흡수 브래킷
KR100691205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KR101934506B1 (ko)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KR100668061B1 (ko) 볼조인트 체결구조
JP3215651U (ja) アスファルト混合物の供試体成形用モールド
US5443402A (en) Christmas lamp socket
KR200399897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731176B1 (ko) 자동차핸들용 혼플레이트
KR19990007175U (ko) 세탁기의 스크류체결장치
CN210066592U (zh) 一种用于铁马扣接的u形扣组件
KR200209657Y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940000417Y1 (ko) 동축형 스피커 지지구의 결합장치
KR101902850B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볼트 체결구조
JP2005207601A (ja) 防振マウント
KR20042104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체결구조
JP2024068041A (ja) ソケット保持フレームアッ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