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181Y1 -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 Google Patents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181Y1
KR200217181Y1 KR2020000022643U KR20000022643U KR200217181Y1 KR 200217181 Y1 KR200217181 Y1 KR 200217181Y1 KR 2020000022643 U KR2020000022643 U KR 2020000022643U KR 20000022643 U KR20000022643 U KR 20000022643U KR 200217181 Y1 KR200217181 Y1 KR 200217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and
ship
carrie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서해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서해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서해개발
Priority to KR2020000022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181Y1/ko

Links

Landscapes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닷모래 채취선으로부터 모래운반선으로 모래를 선적하는데 사용되는 기존의 컨베이어선을 개선한 것으로, 모래채취선으로부터 모래를 선적하는 제 1 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컨베이어와 연결되느어 모래를 운반하는 제 2 컨베이어와; 상기 운반된 모래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모래선별기와; 상기 모래선별기에서 선별된 모래를 운반하는 제 3, 제 4 컨베이어와; 상기 운반되어진 모래를 모래운반선에 선적하기 위한 제 5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면, 채취선으로부터 모래를 선적하는 제 1 컨베이어는 상부에 다수의 모래수납호퍼와 포크레인 주차장을 가지고 있어 대량의 모래선적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선적된 모래는 제 2 컨베이어로 전달되며 제 2 컨베이어 끝단에 위치한 모래선별기를 통해 불순물을 선별한 후 제 3 컨베이어, 제 4 컨베이어를 통해 모래운반선으로의 선적을 위한 제 5 컨베이어로 이동된다. 제 5 컨베이어는 유압윈치를 사용하여 컨베이어의 상, 하 운동 폭을 크게하여 모래운반선으로의 선적이 더욱 용이하다. 그리고 컨베이어를 다단계로 설치하여 각 콘베이어의 상승각도가 낮아져서 이송의 안정성을 제고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Conveyer-ship for shipping sea sand}
본 고안은 컨베이어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에서 채취선에 의해 채취된 모래를 모래운반선으로 옮겨주는 컨베이어선에 관한 것이다.
채취선은 펌프를 통해 바닷속의 바닷모래(海沙)를 흡입하는 배로서, 통상 수심이 얕은 지역에서 채취 작업을 하고 있으므로, 장거리 운반을 위한 모선(母船) 즉, 모래운반선은 이러한 수심이 얕은 지역에 정박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채취선은 모래운반선이 정박한 위치까지 이동하고, 컨베이어선은 채취선으로부터 채취된 모래를 모래운반선에 선적하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선의 기본업무는 채취선으로부터 모래를 받는 작업과, 받은 모래를 모래운반선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되고, 이를 위하여 컨베이어선은 통상적으로 포크레인과 컨베이어를 싣고 다니며, 채취선이 접선하면, 포크레인이 채취선으로 건너가서 채취선의 모래저장고로부터의 모래를 상기 컨베이어로 옮기게 되고, 컨베이어는 이 모래를 모래운반선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1은 기존의 컨베이어선의 한 예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2 개의 1 단 컨베이어(51)(5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에 의해 모래운반선으로 모래가 이송됨에 따라 모래운반선에서의 모래저장위치를 바꾸게 되고, 이에 따라 각 컨베이어(51)(52)의 종점(51b)(52b)이 변화되도록 하고 있다. 이 종점의 변화에 따라 회전축(56)(57)을 중심으로 모래가 선적되는 컨베이어의 시점(51a)(52a)도 변화하게 된다.
한편, 이 컨베이어는 모두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적높이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고 있고, 이는 상기 회전축(56)(57)에 위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파이프(미도시) 의해 상,하 조절이 구현된다.
또한 이 컨베이어선의 경우 포크레인은 배의 적당한 위치에 있다가 채취선이 접선하게 되면 배의 난간을 넘어서 채취선으로 건너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설명한 종래의 컨베이어선의 경우, 컨베이어(51)(52)의 시점(51a)(52a)이 변화함으로 인하여, 채취선에 위치한 포크레인이 자주 옮겨다니거나 적어도 포크레인의 모래하역 위치를 수시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크레인이 이동함에 있어 컨베이어선의 배 바닥의 위치에서 채취선으로 넘어가게 되므로 포크레인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의 상, 하조절이 가능하지만, 그 조절범위가 유압파이프(미도시)의 작동거리내에 한정되므로 실제 작업시 모래운반선에 선적된 모래를 옮겨야 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는 모두 1 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경사각을 높게 설정할 수 밖에 없는 데, 이렇게 경사각이 높은 컨베이어를 통해 모래를 이송하는 경우, 모래가 흘러내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된다.
한편, 이렇게 모래운반선에 선적된 바닷모래는 산업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되는데, 바닷모래의 채취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에 의해 흡입하여 채취하므로 채취된 바닷모래는 크기가 고르지 않을 뿐아니라, 조개껍질 등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현장에서 선별기 등을 사용하여 모래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이렇게 개별사업장에서 선별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 선별을 위한 별도의 인력과, 선별장비 등이 개별사업장별로 필요하게 되어 건축단가와 건축공기(工期)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별적 사업장에서 바닷모래의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이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설비를 구비한 컨베이어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의 상, 하 조절 폭이 크면서도 전체 평균경사각을 낮출 수 있고, 채취선으로부터의 모래하차가 용이한 컨베이어시스템을 구비한 컨베이어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선내의 포크레인이 컨베이어선내에서 이동 및 채취선으로의 이동이 용이하고, 타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컨베이어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를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컨베이어선의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선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2의 개략 측면도
도 4는 도 2의 개략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래채취선 200 : 컨베이어선
300 : 모래운반선 210 : 제 1 컨베이어
220 : 제 2 컨베이어 230 : 제 3 컨베이어
240 : 제 4 컨베이어 250 : 제 5 컨베이어
10 : 수납호퍼 20 : 선별기
30 : 유압 윈치 40 : 포크레인 주차장
70 : 보조 컨베이어 80 : 회전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채취선으로부터 모래를 선적하는 제 1 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모래를 운반하는 제 2 컨베이어와; 상기 제 2 컨베이어에서 운반된 모래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모래선별기와; 상기 모래선별기에서 선별된 모래를 운반하는 제 3, 제 4 컨베이어와; 상기 운반되어진 모래를 모래운반선에 선적하기 위한 제 5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선(200)의 개략 평면도와 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컨베이어선(200)에는 다수개의 컨베이어와, 모래선별기(20), 포크레인 주차장(4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컨베이어 수는 모두 5개로서, 제 1 컨베이어(210)는 채취선(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면서 채취선(100)에 가까이 설치되어 있고, 경사각이 있을 수도 있으나, 시점과 종점사이의 높이차이가 거의 없는 컨베이어이고,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모래수납호퍼(10)가 위치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3군데의 위치에 각 1개의 모래수납호퍼(10)를 두고 있으나, 호퍼의 크기와 컨베이어의 이송용량을 고려하여 각 위치마다 모래수납호퍼(10)를 2개씩 구성할 수도 있고, 이는 컨베이어의 이송용량에 비해 사이즈가 큰 모래수납호퍼를 설치할 경우 모래가 너무 많이 한 곳에 투입되어 이송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제 1 컨베이어(210)가 이송방향으로 거의 수평하게 위치하고, 다수개의 수납호퍼를 가지고 있으므로, 채취선(100)의 포크레인(미도시)이 모래를 투입하기 위하여 위치를 설정함이 용이하게 되고, 이는 모래운반선과 연결된 컨베이어(250)가 좌,우로 위치변화를 하여도 수납호퍼(10)의 위치가 변동하지 않음으로 더욱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컨베이어(210)의 종점에는 제 2 컨베이어(220)가 연결되어 있는 바, 제 2 컨베이어(220)는 제 1 컨베이어(210)와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약간의 경사각을 두고 있다. 제 2 컨베이어(220)와 제 1 컨베이어(210)의 배치방향은 본 고안의 한정이 아니며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가능한 컨베이어선(200)의 공간활용을 유리하게 할 수 있으면 족하다.
상기 제 2 컨베이어(220)의 종점에는 선별기(20)가 위치하고 있는 바, 모래선별기(20)는 여러 가지 타입이 있고, 본 고안에서는 드럼스크린타입을 사용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송되는 모래의 이송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2 기를 설치하고 있다. 모래 선별기(20)에서 선별된 모래는 다시 낮은 위치로 배출되고, 불순물은 적당한 과정으로 처리된다.
상기 선별기(20)를 거쳐 선별된 바닷모래는 상기 낮은 위치에서 다시 제 3 컨베이어(230)와 연결되어 일정 경사각을 갖고 상부로 이송된다. 상기 선별기의 하부에는 상기 제 3 컨베이어(230)와 연결되기 위한 보조 컨베이어(70)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 제 3 컨베이어(230)는 공간활용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컨베이어(220)와 직각방향 즉, 상기 제 1 컨베이어(210)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3 컨베이어(230)는 제 4 컨베이어(240)와 연결되는 바, 제 4 컨베이어(240)는 상기 제 3 컨베이어(230)와 거의 비슷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종점이 컨베이어선(200)의 거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제 4 컨베이어(240)는 제 5 컨베이어(250)와 연결되는 바, 제 5 컨베이어(25)의 하부 적소에는 회전축(8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운전실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4 컨베이어(240)의 종점은 상기 회전축(8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5 컨베이어(250)의 좌,우 회전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에서 모래를 제 5 컨베이어(250)에 선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5 컨베이어(250)의 좌, 우 회전은 통상의 컨베이어 회전방식과 동일하며, 기본 배치방향은 접선되는 모래운반선(300)을 향하도록 한다.
또한, 제 5 컨베이어(250)의 상, 하 조절은 유압윈치(30)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유압윈치(30)는 와이어에 의해 종점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이루어지며, 작동원리는 통상의 유압윈치와 동일하고, 종래의 유압파이프식에 비하여 상,하 조절 폭이 커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크레인 주차장(40)을 적어도 한군데 구비하고 있는 바, 포크레인주자창(4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컨베이어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하여 제 1 컨베이어(210) 보다 높게, 접선되는 채취선(100)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3, 4 컨베이어를 하나의 컨베이어로 통일하는 방식이라던지, 또는 선별기를 다른 형식을 채택한다던지 등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컨베이어선으로 인하여, 개별적 사업장에서 바닷모래의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이 모래채취 및 이송과정에서 모래선별이 이루어지므로 개별사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인력 및 설비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유압윈치를 적용하여 컨베이어의 상, 하 조절 폭이 크게하는 이점이 있고, 컨베이어를 다단계로 하여 모래운반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체 평균경사각을 낮출 수 있어 운반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컨베이어의 좌, 우 이동에 관계없이, 채취선으로부터의 모래하차위치가 다수개로 고정되어 있어 포크레인의 작업성을 개선한 이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선내에 포크레인주차장을 설치함으로써, 포크레인이 컨베이어선내에서 이동 및 채취선으로의 이동이 용이하고, 이송작업과 같은 타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채취선으로부터 채취된 바닷모래를 모래운반선에 선적하기 위한 컨베이어선으로서,
    상기 채취선의 전후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바닷모래가 선적되는 제 1 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컨베이어와 연결된 제 2 컨베이어와;
    상기 제 2 컨베이어의 끝단에 위치한 모래선별기와;
    상기 모래선별기에서 선별된 모래를 운반하는 제 3 컨베이어와;
    상기 제 3 컨베이어로 운반된 모래를 모래운반선으로 선적하기 위한
    최종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어 상부에 위치한 적어도 3곳의 모래수납호퍼를 더욱 포함하는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컨베이어와 최종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한 제 4 컨베이어를 더욱 포함하는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 컨베이어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압윈치를 더욱 포함하는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KR2020000022643U 2000-08-09 2000-08-09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KR200217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43U KR200217181Y1 (ko) 2000-08-09 2000-08-09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43U KR200217181Y1 (ko) 2000-08-09 2000-08-09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181Y1 true KR200217181Y1 (ko) 2001-03-15

Family

ID=7305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43U KR200217181Y1 (ko) 2000-08-09 2000-08-09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18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055B1 (ko) 2005-10-28 2007-06-04 김태순 해상 선박에서의 골재 선적 및 하역시스템과 그에 적용되는작업선
WO2011059136A1 (ko) * 2009-11-10 2011-05-19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택시 포트 시스템
KR101037222B1 (ko) * 2010-09-30 2011-05-26 주식회사 천도 이송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의 야적물 선적시스템
KR101544752B1 (ko) * 2015-02-12 2015-08-17 이만재 내부식성이 향상된 유압식 컨베이어 바지선을 이용한 해조류 채취 및 부산물 처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055B1 (ko) 2005-10-28 2007-06-04 김태순 해상 선박에서의 골재 선적 및 하역시스템과 그에 적용되는작업선
WO2011059136A1 (ko) * 2009-11-10 2011-05-19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택시 포트 시스템
KR101037222B1 (ko) * 2010-09-30 2011-05-26 주식회사 천도 이송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의 야적물 선적시스템
KR101544752B1 (ko) * 2015-02-12 2015-08-17 이만재 내부식성이 향상된 유압식 컨베이어 바지선을 이용한 해조류 채취 및 부산물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3372B1 (en) A stockyard for bulk materials
KR200217181Y1 (ko)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CN112141763A (zh) 一种便于清除回料的建筑垃圾环保装船机
US4037735A (en) Reclaiming and stacking system
CN103662858A (zh) 一种散料无尘装卸料装置
CN103538939B (zh) 一种散状物料卸船方法及装置
CN205345973U (zh) 一种圆形料场
KR101424455B1 (ko) 트리퍼카용 이송물 제거장치
KR20220063561A (ko) 양방향 스태커 리클레이머
CN104828571A (zh) 臂式刮板堆取料机
CN205349336U (zh) 一种新型综掘机
CN112078738A (zh) 一种新型环保疏浚砂装驳船
CN208265347U (zh) 一种隧道内皮带运输机构与斗式提升机自动运输系统
CN209668327U (zh) 一种石料仓储系统
CN105935564A (zh) 一种污泥混料搅拌装置
JP5968845B2 (ja) 浚渫物の分級移送装置
CA1128456A (en) Mobile conveyor-flow equalizer
CN212423398U (zh) 一种新型环保疏浚砂装驳船
CN218740394U (zh) 一种基于隔膜泵的泥浆输送系统
CN216360194U (zh) 一种防掉落的石料运输带
US20180030795A1 (en) Fluid Processing System
CN215247887U (zh) 自动清除溜槽杂物的装置
CN218560469U (zh) 中小型散货码头用装船机
CN213771456U (zh) 一种煤矿矿井水沉沙处理系统
CN210134650U (zh) 一种建设用可伸缩变高度卸载运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