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156Y1 - 폐전선 가열로 - Google Patents

폐전선 가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156Y1
KR200217156Y1 KR2019980022226U KR19980022226U KR200217156Y1 KR 200217156 Y1 KR200217156 Y1 KR 200217156Y1 KR 2019980022226 U KR2019980022226 U KR 2019980022226U KR 19980022226 U KR19980022226 U KR 19980022226U KR 200217156 Y1 KR200217156 Y1 KR 200217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artridge
wire
outer cylinder
hea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032U (ko
Inventor
백승율
성태주
Original Assignee
백승율
성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율, 성태주 filed Critical 백승율
Priority to KR2019980022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15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156Y1/ko

Links

Landscapes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전선 가열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통형상의 제 1연소실 및 제 1연소실로부터 공급된 연소기체를 재차 연소하는 제 2연소실을 갖는 폐기물 소각로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폐전선 가열로에 있어서, 제 2연소실과 연통되어 폐기물의 폐열을 폐기물 소각로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배관(3); 열방출배관(3) 내부의 소정구역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5); 통모양을 가지고 수용공간부(5)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열방출배관(3)을 통해 방출되는 폐열에 의해 외표면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폐전선을 내부에 수용하여 용융시키는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7); 카트리지(7)의 상부에 연통되어 기화하는 폐전선 가스를 외부로 송출하는 가스배출관(11); 및 카트리지(7)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카트리지(7)를 회전시키고, 내부에 용융상태의 폐전선 용액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용액배출로(8)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회전축(13)을 포함하여, 폐전선을 용융시키는 카트리지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융되는 폐전선이 분리 취출되어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전선 가열로
본 고안은 폐전선 가열로에 관한 것으로서, 개선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폐전선을 용융시키는 카트리지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융되는 폐전선의 분리 취출이 용이하고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폐전선 가열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전선 가열로는 폐기물을 소각시키는 폐기물 소각로와 연결되어, 폐기물을 소각하여 발생되는 열원을 이용하여 폐전선을 용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폐기물 소각로와 연결된 종래의 폐전선 가열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상의 2개소에 설치되는 폐기물 소각로는 통형상을 갖는 소각로외통(101), 소각로외통(101) 내에 설치되어 폐기물을 연소하는 제 1연소실 및 제 1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된 연소기체를 재차 연소하는 제 2연소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각로외통(101) 상부영역에는 폐기물을 소각로외통(101)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투입구에 인접한 영역에는 폐기물을 제 1연소실로 밀어넣는 푸싱장치(pushing devic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각로외통(101)에는 연소를 돕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노즐(air nozzle)이 설치되어 있고, 소각된 폐기물의 재를 외부로 방출하는 회출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각로외통(101)의 중앙영역에는 각 연소실에서 연소되고 있는 폐기물의 소각상태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구가 설치되어 있고, 소각로외통(101)에는 폐기물이 소각됨으로써 생성되는 폐열을 송열하는 열방출배관(103)이 연통되어 있다.
열방출배관(103)의 소정구역에는 소정규모의 수용공간부(105)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공간부(105) 내부에는 폐전선을 소각하는 통형상을 갖는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cartrige, 107)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폐전선을 소각할 때에는, 먼저 폐기물 소각로를 작동시켜 폐기물을 소각한 폐열이 열방출배관(103)을 통해 외부로 송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열방출배관(103) 내부에 있는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107)의 외표면은 송열되는 폐열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내부에 담겨져 있는 폐전선이 폐열에 의해 용융된다. 폐전선은 동선 및 동선 외표면을 덮는 피복재로 구성되어 있는 바, 폐전선이 가열됨에 따라, 이들 동선 및 피복재가 순차적으로 녹아서 용융상태로 변한다.
그런데,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107)는, 폐기물 소각로가 있는 측의 외표면의 일부분에서만 직접적으로 열을 받기 때문에, 내부에 담겨져 있는 폐전선을 단시간에 용융시킬 수 없어서 열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폐전선이 용융되면서 발생되는 냄새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지 않아서, 폐전선 가열시 냄새가 심하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융된 폐전선을 분리 취출하기가 번거롭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선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폐전선을 용융시키는 카트리지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융되는 폐전선의 분리 취출이 용이하고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폐전선 가열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폐기물 소각로와 연결된 종래의 폐전선 가열로의 정면도.
도 2 - 도 1의 평면도.
도 3 - 도 1의 측면도.
도 4 - 폐기물 소각로와 연결된 본 고안에 따른 폐전선 가열로의 정면도.
도 5 - 도 4의 평면도.
도 6 - 도 4의 측면도.
도 7 - 도 4의 폐전선 가열로의 분해사시도.
도 8 - 도 7의 조립단면도.
도 9 - 도 7의 가장자리 부분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각로외통 3 : 열방출배관
5 : 수용공간부 6 : 외통
7 : 카트리지 9 : 덮개용 캡
11 : 가스배출관 13 : 카트리지회전축
15 : 회전축베어링 17 : 커플링부
19 : 커플링결합부 21 : 외통플랜지
23 : 카트리지플랜지 25 : 볼베어링
27 : 단열패킹재 29 : 가이드홈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폐전선 가열로는,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통형상의 제 1연소실 및 제 1연소실로부터 공급된 연소기체를 재차 연소하는 제 2연소실을 갖는 폐기물 소각로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폐전선 가열로에 있어서, 제 2연소실과 연통되어 폐기물의 폐열을 폐기물 소각로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배관; 열방출배관 내부의 소정구역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 통모양을 가지고 수용공간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열방출배관을 통해 방출되는 폐열에 의해 외표면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폐전선을 내부에 수용하여 용융시키는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 카트리지의 상부에 연통되어 기화하는 폐전선 가스를 외부로 송출하는 가스배출관; 및 카트리지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카트리지를 회전시키고, 내부에 용융상태의 폐전선 용액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용액배출로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의 하부 외표면 상에는 카트리지 회전축과 커플링결합하는 커플링결합부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전선 가열로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외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통 및 카트리지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외통플랜지 및 카트리지플랜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외통플랜지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볼베어링이 장착되어 카트리지플랜지를 탄성적으로 회전지지하고 볼베어링에 인접한 외통플랜지의 상부면 내측에는 외통과 카트리지 사이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외통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패킹재가 외통플랜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부착되며, 카트리지플랜지의 하부면에는 카트리지플랜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볼베어링의 상단부가 안착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폐전선을 용융시키는 카트리지의 열효율이 향상되고 용융되는 폐전선을 분리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폐기물 소각로와 연결된 본 고안에 따른 폐전선 가열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소각로는 통형상을 갖는 소각로외통(1), 소각로외통(1) 내에 설치되어 폐기물을 연소하는 제 1연소실 및 제 1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된 연소기체를 재차 연소하는 제 2연소실 등으로 구성되어, 인접한 지점의 2개소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소각로외통(1) 상부영역에는 폐기물을 소각로외통(1)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투입구에 인접한 영역에는 폐기물을 제 1연소실로 밀어넣는 푸싱장치(pushing devic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각로외통(1)에는 연소를 돕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노즐(air nozzle)이 설치되어 있고, 소각된 폐기물의 재를 외부로 방출하는 회출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각로외통(1)의 중앙영역에는 각 연소실에서 연소되고 있는 폐기물의 소각상태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구가 설치되어 있고, 소각로외통(1)에는 폐기물이 소각됨으로써 생성되는 1000 ℃ 내지 1300 ℃의 폐열을 송열하는 열방출배관(3)이 연통되어 있다.
각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로외통(1)과 연통하는 각 열방출배관(3)은 분지접속되어 하나의 열방출배관(3)을 형성하게 되고, 분지접속된 열방출배관(3)의 소정구역에는 수용공간부(5)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간부(5) 내부에는 외통(6)이 설치되어 있고, 외통(6) 내부에는 동선 및 동선을 둘러싸는 피복재로 이루어진 폐전선을 소각하는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7)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덮개용 캡(9)이 덮혀져 볼트 체결되어 있다. 덮개용 캡(9)에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가스배출관(11)의 일측이 연통되어 있고 가스배출관(11)의 타측은 열방출배관(3)의 폐기물 소각로 측 후방으로 연통됨으로써, 카트리지(7) 내부의 고온의 기체가 열방출배관(3) 내부를 유동하는 폐열과 합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7)의 하부에는, 내부에 용융상태의 폐전선 용액을 카트리지(7)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용액배출로(8)가 형성되고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카트리지(7)를 회전시키는 카트리지회전축(13)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과 형상맞춤하게 가공된 회전축베어링(15)에 의해 회전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7)의 하부 외표면 상에는 카트리지회전축(13)의 단부에 장착되는 커플링부(coupling portion, 17)와 커플링결합하는 커플링결합부(coupling-combinating portion, 19)가 설치되어 있다.
외통(6) 및 카트리지(7)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플랜지(21) 및 카트리지플랜지(2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통플랜지(21)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볼베어링(25)이 장착되어 카트리지플랜지(23)를 탄성적으로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볼베어링(25)은 외통플랜지(21)에 형성된 홈부 내에 삽입되어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지지스프링은 홈부 하부에 있는 돌림판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돌림판은 드라이버 등에 의해 돌려져서 위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지지스프링부를 상부로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볼베어링(25)에 인접한 외통플랜지(21)의 상부면 내측에는, 외통(6)과 카트리지(7) 사이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외통(6)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패킹재(27)가 외통플랜지(2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부착되어 있다. 단열패킹재(27)는 1300 ℃ 정도의 고열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플랜지(23)의 하부면에는, 카트리지플랜지(23)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볼베어링(25)의 상단부가 안착되는 가이드홈부(29)가 형성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카트리지(7)를 회전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폐전선 가열로의 작동과 효과를 설명한다.
폐전선을 소각할 때에는, 먼저 카트리지(7)를 외통(6) 내부에 담아서 카트리지(7)의 커플링결합부(19)가 회전축의 커플링부(17)와 커플링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폐전선을 카트리지(7) 내부에 담아서 덮개용 캡(9)을 덮어서 봉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폐기물 소각로를 작동시키면 폐기물을 소각한 폐열이 열방출배관(3)을 통해 외부로 송열된다. 이때, 열방출배관(3) 내부에 있는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7)는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의 외표면 전 부위가 폐기물의 폐열에 의해 골고루 가열됨으로써, 카트리지(7)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폐전선이 신속하게 용융된다.
여기서, 폐전선은 동선과 동선을 둘러싸는 전선피 즉, P.V.C 전선피막으로 구성되는 바, 용융된 액상의 동선 및 전선피는 카트리지(7) 하부에 있는 카트리지회전축(13)의 용액배출로(8)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고, 고온 기체 상태의 폐전선 가스는 카트리지(7) 상부에 있는 가스배출관(11)을 통해 송출되어 열방출배관(3) 측으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폐열과 합류하게 된다.
가열되어 용융된 액상의 폐전선액은 용액배출로(8)를 통해 분리되어 재활용된다. 즉, 용융된 동선액에는 활성탄이 주입되어(흡착 활성탄소 과정) 냄새가 제거된 상태로 됨으로써, 재생된 동선은 산화가 안된 고체상태(solid phase)가 되며, 취출된 전선피는 냉각상태로 취출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용융된 동선액은 집진장치(미도시)를 통과하게 되어 있어, 집진장치에 내장된 로맥스 백(bag)을 통과하면서 먼지가 제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온의 폐전선 가스는 가스배출로를 통해 순환하면서 폐기물 소각로의 폐열과 합류하게 됨으로써 폐전선 가열로의 열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외통플랜지(21)와 카트리지플랜지(23)는 단열패킹재(27)에 의해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외통(6) 내부의 열기 뿐만아니라 냄새도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카트리지(7)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에 따른 폐전선 가열로는 이에 한하지 아니하고, 다수개의 카트리지(7)를 설치할 수 있슴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폐전선 가열로는, 폐전선의 단순 소각차원을 떠나,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폐열을 이용하여 비철금속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폐전선 가열로에 의하면, 개선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폐전선을 용융시키는 카트리지의 열효율이 향상되고 용융되는 폐전선이 분리 취출되어 재활용이 용이하게 되며 환경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통형상의 제 1연소실 및 상기 제 1연소실로부터 공급된 연소기체를 재차 연소하는 제 2연소실을 갖는 폐기물 소각로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폐전선 가열로에 있어서,
    상기 제 2연소실과 연통되어 상기 폐기물의 폐열을 상기 폐기물 소각로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배관;
    상기 열방출배관 내부의 소정구역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
    통모양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열방출배관을 통해 방출되는 폐열에 의해 외표면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폐전선을 내부에 수용하여 용융시키는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의 상부에 연통되어 기화하는 상기 폐전선 가스를 외부로 송출하는 가스배출관; 및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키고, 내부에 용융상태의 상기 폐전선 용액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용액배출로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가열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전선 용해용 카트리지의 하부 외표면 상에는 상기 카트리지 회전축과 커플링결합하는 커플링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가열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전선 가열로는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외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폐전선 가열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 및 상기 카트리지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외통플랜지 및 카트리지플랜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통플랜지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볼베어링이 장착되어 상기 카트리지플랜지를 탄성적으로 회전지지하고 상기 볼베어링에 인접한 상기 외통플랜지의 상부면 내측에는 상기 외통과 상기 카트리지 사이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상기 외통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패킹재가 상기 외통플랜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부착되며, 상기 카트리지플랜지의 하부면에는 상기 카트리지플랜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기 볼베어링의 상단부가 안착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가열로.
KR2019980022226U 1998-11-11 1998-11-11 폐전선 가열로 KR200217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226U KR200217156Y1 (ko) 1998-11-11 1998-11-11 폐전선 가열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226U KR200217156Y1 (ko) 1998-11-11 1998-11-11 폐전선 가열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032U KR19990008032U (ko) 1999-02-25
KR200217156Y1 true KR200217156Y1 (ko) 2001-04-02

Family

ID=6950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226U KR200217156Y1 (ko) 1998-11-11 1998-11-11 폐전선 가열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1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21B1 (ko) * 2008-10-13 2009-05-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폐전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21B1 (ko) * 2008-10-13 2009-05-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폐전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032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908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temperature disposal of hazardous waste material
US5136137A (en) Apparatus for high temperature disposal of hazardous waste materials
KR100888253B1 (ko)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KR200217156Y1 (ko) 폐전선 가열로
ES2269394T3 (es) Descomponedor termico de tipo con flujo intermitente.
US50054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temperature disposal of hazardous waste materials
KR101029867B1 (ko) 다기능 복합 연소산화 시스템
KR101547796B1 (ko) 소각 장치
KR100688324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294422B1 (ko) 소각 가스로
JP2745213B2 (ja) 廃棄物処理装置
KR100668464B1 (ko) 고형연료의 정량공급장치
JP3015866B2 (ja) 焼却装置
KR20060088540A (ko) 연소장치
CN210801198U (zh) 一种环保型固废处理装置用焚烧装置
JP3922975B2 (ja) 廃棄物の焼却装置
CA1239786A (en) Apparatus for drying metal turnings or scrap
JP4336393B2 (ja) 電気式溶融焼却炉
KR20010010694A (ko) 폐합성수지 연소장치
JPH0343511A (ja) 消雪装置
JP2004169976A (ja) ダイオキシン対応固形燃料ボイラー設備
KR100279225B1 (ko) 폐합성수지의 소각장치
JPH09123166A (ja) 廃プラスチック処理装置
CA2076651C (en) Dry distillation gasification combustion equipment, dry distillation gas generator, and combustion gas burner unit
JP2001132919A (ja) 焼却炉の排煙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