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324B1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324B1
KR100688324B1 KR1020050026522A KR20050026522A KR100688324B1 KR 100688324 B1 KR100688324 B1 KR 100688324B1 KR 1020050026522 A KR1020050026522 A KR 1020050026522A KR 20050026522 A KR20050026522 A KR 20050026522A KR 100688324 B1 KR100688324 B1 KR 10068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pipe
boiler
synthetic resin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390A (ko
Inventor
황순창
김인호
Original Assignee
황순창
김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창, 김인호 filed Critical 황순창
Priority to KR102005002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32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 D03C5/06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operated by cam devices other than rotating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폐고무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된 폐합성수지입자를 이송하여 연료로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에 이송하여 열수를 얻고, 배기가스는 집진기(400) 및 응축기로 보내어 분진 및 공해물질을 처리한 다음, 진공펌프순환탱크(900)에 연결된 진공펌프(951)에 탈취탑(600)으로 이송시켜 처리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 배기가스 처리장치. 집진기, 탈취탑. 응축기.

Description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Embankment block}
도1은 본 발명의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전체도
도2는 본 발명의 액상분사형 보일러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분말분사형 보일러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집진기, 응축기 및 강알카리공급탱크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탈취탑 상세도
도7은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 상세도
<도면부호의 설명>
분쇄기(100),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연료투입조질기(201,301),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202,302), 원심분리기구동모터(203), 풀리 벨트 (204), 원심분리기(205), 배출망(206), 안내관(207), 냉각수유입관(208,308), 스팀 및 열수배출관(209,309), 온수 및 스팀 분배기(210,310), 점화보조버너(211,311), 배기가스통로(214,314,414,514), 가열실(215,315), 에어공급관(216), 로타리조인트(217), 분말분사형 보일러(300), 송풍기(303), 에어분배기(304), 연료분사관(305), 에어분사관(306), 에어분사노즐(307), 보조버너(311), 점화관(312), 집진기(400), 집진유도관(401), 집진기냉각코일관(402), 집진여과기(440), 필터(441), 집진순환펌프(450), 집진수순환관(451), 응축기(500), 응축유도관(501), 응축기냉각코일관(502), 탈취탑(600), 활성탄층(601), 아연입자층(602), 배출구(610), 고상가성소다층(611), 냉각장치(700), 냉각수보충탱크(710), 냉동기(740), 냉각수순환펌프(750), 냉매배출관(760), 냉매회수관(770), 강알카리교반탱크(800), 강알카리공급관(810), 강알카리회수관(811), 강알카리순환펌프(850), 강알카리공급탱크(851), 진공펌프순환탱크(900), 필터(901), 진공펌프(951), 모터(952).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폐고무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된 폐합성수지입자를 이송하여 연료로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에 이송하여 열수를 얻고, 배기가스는 집진기(400) 및 응축기로 보내어 분진 및 공해물질을 처리한 다음, 진공펌프순환탱크(900)에 연결된 진공펌프(951)에 탈취탑(600)으로 이송시켜 처리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합성수지, 폐고무등과 같은 가연성폐기물은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환경과 건강상 위해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의 관리와 소각, 매립 등의 최종 처리를 위한 연구와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 중 매립이나 밀폐 용기 등으로의 보관은 근본적인 처리방법이 될 수 없다. 소각에 의한 처리는 불완전연소와 저온 연소로 인해 그 부산물로 각종 유해물질을 대기 중으로 방출하게 되어 다 이옥신 등의 2차 오염을 유발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 이러한 근본적 해결을 위하여 소각기술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특히, 다이옥신 다량함유 물질인 PVC 계통에 폐합성수지는 종래에 소각기술로는 처리할 수 없으며 환경법에서도 PVC 계통에 폐합성수지는 소각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종전에 기술은 폐합성수지류에 소각에 있어 PVC 류에 폐합성수지는 아예 소각을 금지하도록 법으로 규제한바와 같이 소각 후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처리방법이 마땅치 않았습니다.
기존에 배기가스 처리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952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15149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10716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20-0234781호에서 보시는 바와같이 폐기물에 소각 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습직집진, 싸이클론집진, 백필터집진 등 서로 병행하는 방법 및 이와 유사한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가소제 첨가물질의 PVC 계통에 폐합성수지의 소각 시 발생되는 배기가스 내에 다이옥신 및 염소성분을 제거할 수 없으며, 또한 위에 기존에 배기가스 처리방법은 PE 및 PP에 선별적 소각은 가능하나 현실을 소각물질에서 PVC 종류을 선별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현대에 플라스틱의 모든 재질을 고급화하면서 가소제 첨가물질의 플라스틱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폐합성수지을 연료로 하는 기존에 소각로 및 보일러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95291호에는 폐타이어, 폐고무등의 폐합성수지가 장전되고, 여기에 점화되어 잔류된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로와, 벽체는 단열연와로 단열처리되고, 그 내부의 연소가스가 고온집중상태에서 생성되는 가스발생수단과, 상기 가스발생로와 연결되는 1차연소로와, 1차연소로와 연결된 2차연소로로 구성된 폐합성수지 소각장치와 이를 이용한 대체연료형 산업용보일러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151491호에는 연소기의 상판중앙에 설치한 연통의 하단부를 연소실 내부로 하향돌출되게 형성한 배기부와, 외부로부터 여통을 통해서 연소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공급관 하단에 다열다층의 하향와류형 분기관을 형성하여 연소실 내에 공기를 하향 화류형으로 공급하게 한 공기공급장치와, 외부로부터 공기공급관을 통해서 연소실 내부로 유입된 액체연료공급관 하단의 분사노즐을 통해서 연료를 분사하게 한 액체연료공급장치와, 고체연소물 투입장치와, 분진배출구 및 배출통로 분진수집유도관을 통해서 집진 탱크로 수집되게 한 분진배출장치와,
연소장치로 구성된 가연성 고체연소물 및 액체연료겸용 연소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107168호에는 고형연료를 활용한 연속식 소각보일러에 있어서, 원통형 외통과 중간공기 차단내통, 상부2차연소실, 내통, 하부1차연소실 내통 사이에 일정간격의 이격된 공간을 두어 연소공기 급기구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를 공급시켜 일차 연소실 내부에 구성된 타공된 연소실 공기급기구로 하부 1차연소실의 고형연로의 연소를 극대화시키며 연소된 배가스는 상부 2차 연소실 내면에 설치된 연소가스 체류지연판에서 2차 연소가 이루어지고 재연소 급기구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미연소된 배가스를 완전연소 되는 고형연료전용 연속 식 소각보일러가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20-239781호에는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로의 연소가스와, 상기 연소가스에 의하여 가열되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다수의 용해로를 가열하고, 상기 용해로에 용융 가능한 합성수지 및 고무류를 용융 및 연소하여 용융자원을 이용하는 폐기물 소각시스템인 보일러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보일러로 사용시 폐합성수지를 완전히 소각하지 못하여, 열효율이 떨어지며, 폐합성수지처리과정에서 생성되는 유해배기가스를 완전히 처리하지 못한 채 배출하여 대기오염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폐고무류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연소시켜서 발생된 열을 단열 처리된 연소로 속에서 외부 방열이 차단된 상태로 처리함으로써 실질적인 완전연소를 확보하여 다이옥신 등의 2차 오염물질 발생을 예방함과 함께, 고온화된 열을 열교환기를 이용해서 보일러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폐고무등의 가 연성 폐기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된 폐합성수지입자를 이송하여 연료로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에 이송하여 열수를 얻고, 배기가스는 집진기(400) 및 응축기로 보내어 분진 및 공해물질을 처리한 다음, 저압에 잔여가스를 진공펌프순환탱크(900)에 연결된 진공펌프(951)을 통하여 탈취탑(600)으로 이송시켜 처리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분사형보일러(200)은 폐합성수지, 폐고무 등을 (이하 연료라고 하겠습니다) 분쇄하여 보일러에 원심분리기(205)에 투입하면 보일러 내부 가열실에 500 ~ 700℃의 고온에 의해 투입됨과 동시 점화 및 액상화 되고, (이 때 RPM 1150의 원심분리기의 회전에 의해 액상화된 연료가) 가열실내의 점화관 쪽으로 비산 되면서 연소되며, 분말분사형보일러(300)은 연료을 분말화 하여 에어와 함께 분사시켜 점화보조장치 예열버너(311), 점화관(312)을 통하여 가열실에서 연소된다.
본 발명은 액상화 및 미세입자 분사로 불안전 연소율을 최소화하여 배기가스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열수와 스팀은 산업용 및 난방에 원료로 사용되고 소형 발전용으로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액상분사형보일러(200)의 원심분리기(205)는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충전된 분쇄(분말)입자를 회전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서서히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진공펌프는 수봉식으로서, 수봉식이라 함은 이젝트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면, 분사되는 주위가 진공상태가 되어, 주위의 액체 및 기체가 고압 분사되는 물과 함께 강력한 흡입력 발생되는 원리 를 이용한 것으로서,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체, 배기가스를 집진기, 응축기를 최소에 저항으로 통과시켜 탈취탑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내보내는 일종의 기체의 흐름을 강제로 유도하여 최초가스발생지(보일러 화실)에서 완전연소 효과를 내는 것이다.
상기 탈취탑에 내장되는 활성탄층(601), 아연입자층(602), 배출구(610), 고상가성소다층(611)은 카트리지식으로 측면에서 플랜지의 볼트 및 너트를 풀어 서랍식으로 꺼내어 교체한 후에 다시역순으로 개폐하는 방법이며, 이때 플랜지에 패킹을 추가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이송통로 및 이송관에는 다수개의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는 자동밸브로 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강알카리수는 99% 가성소다를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며, 최소한도 1N가성소다 이상의 농도로 사용한다.
강알카리수는 고상가성소다 98%을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고 집진기(400) 응축기(500) 수동식진공펌프(950) 진공펌프순환수탱크(900)에 사용되는 강알카리수는 상온에서 자연 증발되는 양과 사용중 알카리 농도가 옅어지는 비율과 비슷한 점을 감안할 때 고상 98%가성소다을 사용하면 알카리수가 늘어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집진기, 응축기, 진공펌프에서 사용 중 탁도 및 농도가 일정치 이상 및 이하가 되면 강알카리공급펌프(850)를 통하여 강알카리회수관(811)로 강알카리교반탱크(800)에 회수되어 교반하고, 상기 강알카리 교반탱크(800)에서 교반된 강알카리를 강알카리공급탱크(851)로 이송하여 강알카리공급관(810)을 통하여 집진기(400) 응축기(500) 수동식진공펌프(950) 진공펌프순환수탱크(900)로 공급한다.
냉동기(740)에서 냉매(에치텐그리콜)가 냉매순환펌프(760) 통하여 집진기 냉각코일(402)와 응축기 냉각코일(502)로 순환시켜 강알카리수가 배기가스를 포집하는데 적정온도를 유지하도록한다.
냉각장치는 통상의 냉동기와, 냉각수보충탱크와 냉각수순환펌프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서술은 하지 않기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공정(액상분사형 보일러)
폐합성수지, 폐고무를 수거하여, 건조한 뒤, 통상의 분쇄장치(볼밀등)가 내장된 분쇄기(100)로 분쇄하여 분쇄시킨 후에, 콘베아에 의해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이송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액상분사형 보일러(200)의 투입구에 투입됨과 동시에,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202)를 구동시켜, 상기 투입구 중간 일측에 설치된 (통상의 디스크형 등의) 연료투입조절기(201)에 의해 분쇄된 폐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가열실(215)에 설치된 원심분리기(205)에 유입시킨 후, 원심분리기(205)의 후면에 구비된 에어공급관(216)을 통해 에어가 가열실(215)로 공급되며,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전면 상하부 일측에 설치된 두 개의 점화보조버너(211)가 작동되어(내부온도 500~700℃) 원심분리기(205)를 통과하는 동안 폐합성수지는 RPM 1150의 원심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원심분리기(205) 내에 투입되어 원심분리기(205)의 내측에 설치된 나사선에 의해 앞쪽으로 전진되면서, 액상화 되어, 원심분리기(205)의 외부에 설치된 배출망(206)을 통해 배출되어 연소되기 시작하며, 연소시 발생하는 화염은 점화관(207)을 따라 전방으로 분출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냉각수유입관(208) 통하여 유입된 물은 보일러 내부에 수관을 통과하면서 스팀 및 열수로 가열되어 스팀 및 열수배출관(209)을 통하여 외부의 온수 및 스팀 분배기(210)로 공급되어 사용하고,
배출가스는 가열실의 일측에 설치되며 집진기(400)와 연결된 배기가스통로(214)를 따라 배출되며,
제2공정(분말분사형 보일러)
폐합성수지, 폐고무를 수거하여, 건조한 뒤, 통상의 분쇄장치(볼밀등)가 내장된 분쇄기(100)로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후에, 콘베아에 의해 분쇄된 폐합성수지입자를 이송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액상분사형 보일러(300)의 투입구에 투입됨과 동시에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302)를 구동시켜, 상기 투입구 중간 일측에 설치된 (통상의 디스크형등의) 연료투입조절기(301)에 의해 분말화된 폐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면서, 하부로 투입되면, (하부는 일측이 송풍기(303)에 연결되며 에어분배기(304)의 다른 일측이 두 개의 연료분사관(305)과, 에어분사관(306)에 연결되는 구 조를 갖는 장치중) 연료분사관(305)의 중간 일 측에 투입되어 에어와 함께 전방에 있는 가열실(315)로 분사됨과 동시에 하부에 설치된 (일 측은 에어분배기(304)와, 다른 일 측은 가열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너스형상으로 일 측에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307)이 구비된 에어분사관(306)에서 에어가 분사됨과 동시에, 가열실(315) 하부일측에 설치된 점화보조버너(311)가 작동되어 점화되기 시작하여, 폐합성수지 분말과 에어가 상부로 화염(내부온도 500~700℃)으로 변하면서 점화관(307)을 따라 상부로 분출되기 시작하면, 상부에는 냉각수유입관(308)과 연결된 가열관(320)이 가열되어 냉각수가 열수가 되어 일 측 끝단부에 설치된 열수배출관(309)을 통해 열수를 외부의 온수 및 스팀 분배기(310)로 공급하여 보일러수로 사용하고,
배출가스는 가열실의 일측에 설치되며 집진기(400)와 연결된 배기가스통로(314)를 따라 배출되며,
제3공정(집진공정)
상기 제1공정 또는 제2공정에서 배기가스통로(214,314)를 따라 이송된 배출가스는 중앙상부에 설치된 집진기 하부까지 연장된 집진유도관(401)을 따라 이동되며, 내장된 알카리수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되면서, 미세분진 및 불순물이 세척되며, 내부에는 강알카리공급펌프(850)에 강알카리공급탱크(851)의 강알카리수를 공급하며, 내부에 내장된 집진냉각코일관(402) (일 측은 냉매배출관(760)과 연결되며, 다른 일 측은 냉매회수관(770)과 연결되며, 상기 냉매배출관(760)과 냉각매회수관(770)은 냉각장치와 연결됨)가 설치되어 냉각시키고,
상기 공급된 알카리수를 통하여 분진 및 타르등 불순물은 하부로 침전되고, 배출가스는 상부 일 측에 설치된 배기가스이동통로(414)를 통해 측면에 설치된 응축기(500)로 이송시키며,
이때, 집진기에서 분진 등을 처리한 알카리수는 하부 일 측에 설치된 집진순환펌프(450)에 의해 내부에 필터(441)가 구비된 집진여과기(440)를 통과시켜 상부와 연결된 집진회수관(451)을 통해 집진기로 순환시켜, 알카리수를 여과하고,
제4공정(응축공정)
제3공정에서 배출가스이송통로(414)를 통해 유입된 배출가스는 응축기 하부까지 연장된 응축유도관(501)을 따라 이동되며, 내장된 알카리수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되면서, 염소성분, 미세분진 및 불순물이 세척되며,
내부에는 강알카리공급펌프(850)에 강알카리공급탱크(851)의 강알카리수를 공급하며, 내부에 내장된 응축기냉각코일관(502) (일측은 냉매배출관(760)과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냉매회수관(770)과 연결됨)가 설치되어 냉각시키고,
상기 공급된 알카리수를 통하여 분진 및 불순물을 세척한 배출가스는 상부 일 측에 설치된 배기가스이동통로(514)를 통해 측면에 설치된 탈취탑(600)으로 이송시키며,
제5공정(진공펌프공정 및 탈취공정)
상기 제4공정의 응축기(500)의 배기가스이송통로(514)를 통해 이송된 배기가 스는 진공 흡입하는 수봉식 진공펌프(951)에 의해 진공펌프순환탱크(900)를 거쳐 배기가스이송통로(614)를 통해 탈취탑(600)으로 이송되며,이때 진공펌프의 흡입력은 보일러(200) 보일러(300)에 화실에까지 영향이 미쳐 최초 발생되는 보일러 가열실(215,315)내에 배기가스까지도 강제로 흡입하며, 유입된 배기가스는 하부에 배기가스이송통로(614)와 연결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 충전되어 형성된 고상가성소다층(611)과, 상기 고상가성소다층(611)의 제1공간부와, 아연입자층(602)과, 상기 아연입자층(602)의 상부에 형성된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 충전되어 형성된 활성탄층(601)과, 상기 활성탄층(6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공간부를 통과하여, 탈취되어 상부의 배출구(610)를 통해 처리된 배출가스를 배출하여 처리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전체도, 도2는 본 발명의 액상분사형 보일러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분말분사형 보일러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1차집진기, 응축기 및 강알카리공급탱크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탈취탑 상세도, 도7은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분쇄기(100),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연료투입조질기(201,301),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202,302), 원심분리기구동모터(203), 풀리 벨트(204), 원심분리기(205), 배출망(206), 안내관(207), 냉각수유입관(208,308), 스팀 및 열수배출관(209,309), 온수 및 스팀 분배기(210,310), 점화보 조버너(211,311), 배기가스통로(214,314,414,514), 가열실(215,315), 에어공급관(216), 로타리조인트(217), 분말분사형 보일러(300), 송풍기(303), 에어분배기(304), 연료분사관(305), 에어분사관(306), 에어분사노즐(307), 보조버너(311), 점화관(312), 집진기(400), 집진유도관(401), 집진기냉각코일관(402), 집진여과기(440), 필터(441), 집진순환펌프(450), 집진수순환관(451), 응축기(500), 응축유도관(501), 응축기냉각코일관(502), 탈취탑(600), 활성탄층(601), 아연입자층(602), 배출구(610), 고상가성소다층(611), 냉각장치(700), 냉각수보충탱크(710), 냉동기(740), 냉각수순환펌프(750), 냉매배출관(760), 냉매회수관(770), 강알카리교반탱크(800), 강알카리공급관(810), 강알카리회수관(811), 강알카리순환펌프(850), 강알카리공급탱크(851), 진공펌프순환탱크(900), 필터(901), 진공펌프(951), 모터(952)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성을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폐합성수지를 분쇄하는 통상의 분쇄장치가 내장된 분쇄기(100)와;
상기 분쇄기(100)에 의해 콘베아에 의해 분쇄된 폐합성수지입자를 이송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와;
상기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를 배기가스통로(214,314)에 의해 이송되어 분진 등을 집진하는 집진기(400)와;
상기 집진기(400)에 하부 일 측에 설치되며, 상하부에 연결되어 내장된 알카 리수를 여과후 순환시키는 집진여과기(440)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집진순환펌프(450)와;
상기 집진기(400)에서 1차 처리된 배기가스를 집진회수관(451)을 통해 이송시켜 미세한 분진 및 불순물질을 강알카리(99% 가성소다)수에 응축시키는 응축기(500)와;
상기 집진기(400) 및 응축기(500)에 내부에 설치되며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집진기냉각코일관(402) 및 응축기냉각코일관(502)과;
상기 집진기(400) 및 응축기(500)에 연결되어 강알카리수를 공급하는 강알카리공급탱크(851) 및 강알카리교반탱크(800)에 연결된 강알카리순환펌프(850)와;
상기 응축기(50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를 배기가스통로(514)를 통해 진공흡입시키는 진공펌프순환탱크(900)에 연결된 진공펌프(951)에 의해 이송되어 처리하는 탈취탑(600)으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구조인 것이다.
상기 액상분사형 보일러(200)는 도2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버는 단열재로 구비되며,
상부 일 측에는 분쇄기(100)와 연결되어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일정량으로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된 가열실와, 상기 가열실 전면에 설치된 원심분리기(205)와,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내벽에 설치된 나사선과,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중간부 외부 일측에 회전되며 내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원심분리기(205)를 안내하는 안내롤러(250)와, 액상분사형보일러의 일 측 양쪽에 설치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통로(214)와, 액상분사형 보일러의 후면중간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가열관(22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유입관(208)과, 액상분사형보일러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되며 내부 가열관(220)과 연결되어 가열된 열수를 외부로 (온수 및 스팀 분사기(210)) 공급하는 열수배출관(209)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 중간 일 측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분쇄된 폐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는 연료투입조절기(201)와, 상기 연료투입조절기(201)의 일 측에 설치되어 연료투입조절기(201)를 구동하는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202)와,
투입구 하부에 설치되며, 액상분사형보일러의 전면 중앙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전방으로 압출하며 외부에 배출망(206)이 구비된 원심분리기(205)의 전면 외측에 설치되어 원심분리기(205)를 구동시키는 체인 또는 풀리(204)가 구비된 스크류구동모터(203)와,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후면에 설치된 에어공급관(216)과,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전면 상하부 일측에 설치된 두 개의 보조버너(211)와, 상기 원심분리기(205)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출되는 액상의 폐합성수지를 안내하는 원통형의 안내관(207)으로 구성된 구조이며,
상기 분말분사형 보일러(3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장치와, 상기 투입장치에 연결된 가열실와, 상기 가열실의 하부에 연결된 연소장치와, 상기 가열실의 상부에 연결된 배기가스 및 열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 일측에는 분쇄기(100)와 연결되어 분말화된 폐합성수지를 일정량으로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중간 일측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분말화된 폐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는 연료투입조절기(301)와, 상기 연료투입조절기(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료투입조절기(301)를 구동하는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302)와,
상기 투입구 하부에 설치되며, 일 측에 에어분배기(304)와 다른 일 측은 가열실 내부 하부 일 측에 설치된 연료분사관(305)과, 상기 에어분배기(304)의 후면일측에 설치된 콤퓨레샤(303)와, 상기 에어분배기(304)에 연결되며 연료분사관(305)의 하부에 설치된 에어 분사관(306)과, 상기 에어분사관(306)의 다른 일 측은 가열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너스형상으로 일 측에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30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실 하부 일 측에 설치된 보조버너(311)와, 상기 가열실내부에 삽입된 도넛 형상의 에어분사관(306)과 연료분사관(305)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점화관(307)과,
가열실 중간 일측에 연결되어 내부에 냉각수를 유입시키는 냉각수유입관(308)과, 가열실의 상부 끝단부 일 측에 연결되어 가열된 열수를 외부로(보일러조절장치(310)등) 공급하는 열수배출관(309)과, 상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 키는 배출가스유통로(31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집진기(400) 및 응축기(5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를 배기가스통로(214,314)에 의해 이송되어 배기가스에 함유된 분진 및 불순물을 집진 및 응축시키는 장치로서, 내부에 강알카리수가 내장되며, 냉각코일이 구비된 동일한 형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다만 집진기(400)에는 집진여과기(440)와 연결된 집진순환펌프(450)에 의해 순환시키는 구조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임을 알 수 있으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집진기(400)는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를 배기가스통로(214,314)에 의해 내측 상부에 설치된 집진유도관(401)의 상부에 연결되며,
집진기(400) 내부에는 냉각장치(700)와 연결되어 내부를 냉각시키는 집진기냉각코일관(402)과, 상기 집진냉각코일관(402)의 일 측은 집진기의 중간상부일측에는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냉매배출관(760)과 연결되며, 다른 일 측은 집진기의 하부 일 측에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냉매회수관(770)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와 상부 일 측에는 강알카리펌프(850)에 연결된 강알카리공급관(810)이 연결되어 내부에 강알카리수가 내장되며, 상기 강알카리펌프(850)은 강알카리교반탱크(800) 및 강알카리공급탱크(851)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일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필터(441)가 구비된 집진여과기(440)와, 상기 집진여과기(440)와 일 측이 연결되며 다른 일 측에는 집진회수관(451)과 연결된 집진순환펌프(450)와, 상기 집진회수관(451)은 일 측은 집진순환펌프(450)와 다른 일 측은 집진기(400)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집진기(400)의 상부 일측에는 집진된 배기가스를 응축기(500)로 이송시키는 배기가스이송통로(414)로 구성된 구조이다.
상기 응축기(500)는 상부에 설치되며 집진기(400)의 배기가스이송통로(414)와 연결된 하부까지 연장된 응축유도관(501)과, 내부에는 냉각장치(700)와 연결되어 내부를 냉각시키는 응축기냉각코일관(502)과, 상기 집진냉각코일관(502)의 일 측은 응축기의 중간상부일측에는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냉매배출관(760)과 연결되며, 다른 일 측은 집진기의 하부 일 측에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냉매회수관(770)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와 상부 일 측에는 강알카리펌프(850)에 연결된 강알카리공급관(810)이 연결되어 내부에 강알카리수가 내장되며, 상기 강알카리펌프(850)은 강알카리교반탱크(800) 및 강알카리공급탱크(851)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500)의 상부 일 측에는 응축된 배기가스를 탈취탑(600)으로 이송시키는 배기가스이송통로(514)로 구성된 구조이다.
상기 탈취탑(6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500)의 배기가스이송통로(514)를 통해 이송된 배기가스를 진공 흡입하는 수봉식 진공펌프(951)와, 상기 진공펌프(951)와 연결되어 구동시키는 모터(952)와, 진공 흡입된 강알카리수 와 배기가스를 흡배출시키는 진공펌프순환탱크(900)와, 상기 진공펌프순환탱크(9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탈취탑(600)으로 이송시키는 배기가스이송통로(614)와,
하부에 배기가스이송통로(614)와 연결된 하부공간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충전되며 카트리지식 케이스에 안치된 고상가성소다층(611)과, 상기 고상가성소다층(611)의상부에 형성된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 충전되어 형성되며 카트리지식 케이스에 안치된 아연입자층(602)과, 상기 아연입자층(602)의 상부에 형성된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 충전되어 형성된 카트리지식케이스에 안치된 활성탄층(601)과, 상기 활성탄층(6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공간부와, 상기 상부공간부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배출구(610)로 구성된 구조인 것이다.
상기 냉각장치(7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기(740)와, 상기 냉동기(740)와 연결된 냉각수보충탱크(710)와, 상기 냉동기(740) 및 냉각수보충탱크(710)에 연결된 냉각수순환펌프(750)와, 상기 냉각수순환펌프(750)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집진기(400) 및 응축기(500)로 배출하는 냉각수배출관(760)과, 상기 냉각수보충탱크(710) 및 냉동기(740)와 연결되며 냉각수를 집진기(400) 및 응축기(500)에서 회수하는 냉각수회수관(770)으로 구성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폐고무류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연 소시켜서 발생된 열을 단열 처리된 연소로 속에서 외부 방열이 차단된 상태로 처리함으로써 실질적인 완전연소를 확보하여 다이옥신 등의 2차 오염물질 발생을 예방함과 함께, 고온화된 열을 열교환기를 이용해서 보일러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폐합성수지를 분쇄하는 통상의 분쇄장치가 내장된 분쇄기(100)와;
    상기 분쇄기(100)에 의해 콘베아에 의해 분쇄된 폐합성수지입자를 이송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와;
    상기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를 배기가스통로(214,314)에 의해 이송되어 분진 등을 집진하는 집진기(400)와;
    상기 집진기(400)에 하부 일 측에 설치되며, 상하부에 연결되어 내장된 알카리수를 여과후 순환시키는 집진여과기(440)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집진순환펌프(450)와;
    상기 집진기(400)에서 1차 처리된 배기가스를 집진회수관(451)을 통해 이송시켜 미세한 분진 및 불순물질을 강알카리(99% 가성소다)수에 응축시키는 응축기(500)와;
    상기 집진기(400) 및 응축기(500)에 내부에 설치되며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집진기냉각코일관(402) 및 응축기냉각코일관(502)과;
    상기 집진기(400) 및 응축기(500)에 연결되어 강알카리수를 공급하는 강알카리공급탱크(851) 및 강알카리교반탱크(800)에 연결된 강알카리순환펌프(850)와;
    상기 응축기(50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를 배기가스통로(514)를 통해 진공흡 입시키는 진공펌프순환탱크(900)에 연결된 진공펌프(951)에 의해 이송되어 처리하는 탈취탑(6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상분사형 보일러(200)는 외부커버는 단열재로 구비되며,
    상부 일 측에는 분쇄기(100)와 연결되어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일정량으로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된 가열실와, 상기 가열실 전면에 설치된 원심분리기(205)와,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내벽에 설치된 나사선과,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중간부 외부 일측에 회전되는 원심분리기(205)를 안내하는 안내롤러(250)와, 액상분사형보일러의 일 측 양쪽에 설치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통로(214)와, 액상분사형 보일러의 후면중간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가열관(22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유입관(208)과, 액상분사형보일러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되며 내부 가열관(220)과 연결되어 가열된 열수를 외부로(온수 및 스팀 분사기(210)) 공급하는 열수배출관(209)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 중간 일 측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분쇄된 폐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는 연료투입조절기(201)와, 상기 연료투입조절기(201)의 일 측에 설치되어 연료투입조절기(201)를 구동하는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202)와,
    투입구 하부에 설치되며, 액상분사형보일러의 전면 중앙일측에 설치되어 유 입된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전방으로 압출하며 외부에 배출망(206)이 구비된 원심분리기(205)의 전면 외측에 설치되어 원심분리기(205)를 구동시키는 체인 또는 풀리(204)가 구비된 스크류구동모터(203)와,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후면에 설치된 에어공급관(216)과,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전면 상하부 일측에 설치된 두 개의 보조버너(211)와, 상기 원심분리기(205)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출되는 액상의 폐합성수지를 안내하는 원통형의 안내관(20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말분사형 보일러(300)는 투입장치와, 상기 투입장치에 연결된 가열실와, 상기 가열실의 하부에 연결된 연소장치와, 상기 가열실의 상부에 연결된 배기가스 및 열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분쇄기(100)와 연결되어 분말화된 폐합성수지를 일정량으로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중간 일측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분말화된 폐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는 연료투입조절기(301)와, 상기 연료투입조절기(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료투입조절기(301)를 구동하는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302)와,
    상기 투입구 하부에 설치되며, 일 측에 에어분배기(304)와 다른 일 측은 가열실 내부 하부 일 측에 설치된 연료분사관(305)과, 상기 에어분배기(304)의 후면일측에 설치된 콤퓨레샤(303)와, 상기 에어분배기(304)에 연결되며 연료분사관 (305)의 하부에 설치된 에어 분사관(306)과, 상기 에어분사관(306)의 다른 일 측은 가열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너스형상으로 일 측에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30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실 하부 일 측에 설치된 보조버너(311)와, 상기 가열실내부에 삽입된 도넛 형상의 에어분사관(306)과 연료분사관(305)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점화관(307)과,
    가열실 중간 일 측에 연결되어 내부에 냉각수를 유입시키는 냉각수유입관(308)과, 가열실의 상부 끝단부 일 측에 연결되어 가열된 열수를 외부로(보일러조절장치(310)등) 공급하는 열수배출관(309)과, 상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가스유통로(3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400)는 액상분사형 보일러(200) 및 분말분사형 보일러(300)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를 배기가스통로(214,314)에 의해 내측 상부에 설치된 집진유도관(401)의 상부에 연결되며,
    집진기(400) 내부에는 냉각장치(700)와 연결되어 내부를 냉각시키는 집진기냉각코일관(402)과, 상기 집진냉각코일관(402)의 일 측은 집진기의 중간상부일측에는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냉매배출관(760)과 연결되며, 다른 일 측은 집진기의 하부 일 측에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냉매회수관(770)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와 상부 일 측에는 강알카리펌프(850)에 연결된 강알카리공급관(810)이 연결되어 내부에 강알카리수가 내장되며, 상기 강알카리펌프(850)은 강알카리교반탱크(800) 및 강알카리공급탱크(851)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일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필터(441)가 구비된 집진여과기(440)와, 상기 집진여과기(440)와 일 측이 연결되며 다른 일 측에는 집진회수관(451)과 연결된 집진순환펌프(450)와, 상기 집진회수관(451)은 일 측은 집진순환펌프(450)와 다른 일 측은 집진기(400)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집진기(400)의 상부 일측에는 집진된 배기가스를 응축기(500)로 이송시키는 배기가스이송통로(4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500)는 상부에 설치되며 집진기(400)의 배기가스이송통로(414)와 연결된 하부까지 연장된 응축유도관(501)과, 내부에는 냉각장치(700)와 연결되어 내부를 냉각시키는 응축기냉각코일관(502)과, 상기 집진냉각코일관(502)의 일 측은 응축기의 중간상부일측에는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냉매배출관(760)과 연결되며, 다른 일 측은 집진기의 하부 일 측에 냉각장치(700)와 연결된 냉매회수관(770)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와 상부 일 측에는 강알카리펌프(850)에 연결된 강알카리공급관(810)이 연결되어 내부에 강알카리수가 내장되며, 상기 강알카리펌프(850)은 강알카리교반탱크(800) 및 강알카리공급탱크(851)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500)의 상부 일 측에는 응축된 배기가스를 탈취탑(600)으로 이 송시키는 배기가스이송통로(5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취탑(600)은 응축기(500)의 배기가스이송통로(514)를 통해 이송된 배기가스를 진공 흡입하는 수봉식 진공펌프(951)와, 상기 진공펌프(951)와 연결되어 구동시키는 모터(952)와, 진공 흡입된 강알카리수와 배기가스를 흡배출시키는 진공펌프순환탱크(900)와, 상기 진공펌프순환탱크(9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탈취탑(600)으로 이송시키는 배기가스이송통로(614)와,
    하부에 배기가스이송통로(614)와 연결된 하부공간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충전되며 카트리지식 케이스에 안치된 고상가성소다층(611)과, 상기 고상가성소다층(611)의상부에 형성된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 충전되어 형성되며 카트리지식 케이스에 안치된 아연입자층(602)과, 상기 아연입자층(602)의 상부에 형성된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 충전되어 형성된 카트리지식케이스에 안치된 활성탄층(601)과, 상기 활성탄층(6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공간부와, 상기 상부공간부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배출구(6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7.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제1공정(액상분사형 보일러)
    폐합성수지, 폐고무를 수거하여, 건조한 뒤, 통상의 분쇄장치(볼밀등)가 내장된 분쇄기(100)로 분쇄하여 분쇄시킨 후에, 콘베아에 의해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이송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액상분사형 보일러(200)의 투입구에 투입됨과 동시에,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202)를 구동시켜, 상기 투입구 중간 일측에 설치된 (통상의 디스크형 등의) 연료투입조절기(201)에 의해 분쇄된 폐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가열실(215)에 설치된 원심분리기(205)에 유입시킨 후, 원심분리기(205)의 후면에 구비된 에어공급관(216)을 통해 에어가 가열실(215)로 공급되며, 상기 원심분리기(205)의 전면 상하부 일측에 설치된 두 개의 점화보조버너(211)가 작동되어(내부온도 500~700℃) 원심분리기(205)를 통과하는 동안 폐합성수지는 RPM 1150의 원심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원심분리기(205) 내에 투입되어 원심분리기(205)의 내측에 설치된 나사선에 의해 앞쪽으로 전진되면서, 액상화 되어, 원심분리기(205)의 외부에 설치된 배출망(206)을 통해 배출되어 연소되기 시작하며, 연소시 발생하는 화염은 점화관(207)을 따라 전방으로 분출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냉각수유입관(208) 통하여 유입된 물은 보일러 내부에 수관을 통과하면서 스팀 및 열수로 가열되어 스팀 및 열수배출관(209)을 통하여 외부의 온수 및 스팀 분배기(210)로 공급되어 사용하고,
    배출가스는 가열실의 일측에 설치되며 집진기(400)와 연결된 배기가스통로(214)를 따라 배출되며,
    제2공정(분말분사형 보일러)
    폐합성수지, 폐고무를 수거하여, 건조한 뒤, 통상의 분쇄장치(볼밀등)가 내장된 분쇄기(100)로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후에, 콘베아에 의해 분쇄된 폐합성수지입자를 이송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액상분사형 보일러(300)의 투입구에 투입됨과 동시에 연료투입조절구동장치(302)를 구동시켜, 상기 투입구 중간 일측에 설치된 (통상의 디스크형등의) 연료투입조절기(301)에 의해 분말화된 폐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면서, 하부로 투입되면, (하부는 일측이 송풍기(303)에 연결되며 에어분배기(304)의 다른 일측이 두 개의 연료분사관(305)과, 에어분사관(306)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장치중) 연료분사관(305)의 중간 일 측에 투입되어 에어와 함께 전방에 있는 가열실(315)로 분사됨과 동시에 하부에 설치된 (일 측은 에어분배기(304)와, 다른 일 측은 가열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너스형상으로 일 측에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307)이 구비된 에어분사관(306)에서 에어가 분사됨과 동시에, 가열실(315) 하부일측에 설치된 점화보조버너(311)가 작동되어 점화되기 시작하여, 폐합성수지 분말과 에어가 상부로 화염(내부온도 500~700℃)으로 변하면서 점화관(307)을 따라 상부로 분출되기 시작하면, 상부에는 냉각수유입관(308)과 연결된 가열관(320)이 가열되어 냉각수가 열수가 되어 일 측 끝단부에 설치된 열수배출관(309)을 통해 열수를 외부의 온수 및 스팀 분배기(310)로 공급하여 보일러수로 사용하고,
    배출가스는 가열실의 일측에 설치되며 집진기(400)와 연결된 배기가스통로(314)를 따라 배출되며,
    제3공정(집진공정)
    상기 제1공정 또는 제2공정에서 배기가스통로(214,314)를 따라 이송된 배출가스는 중앙상부에 설치된 집진기 하부까지 연장된 집진유도관(401)을 따라 이동되며, 내장된 알카리수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되면서, 미세분진 및 불순물이 세척되며, 내부에는 강알카리공급펌프(850)에 강알카리공급탱크(851)의 강알카리수를 공급하며, 내부에 내장된 집진냉각코일관(402) (일 측은 냉매배출관(760)과 연결되며, 다른 일 측은 냉매회수관(770)과 연결되며, 상기 냉매배출관(760)과 냉각매회수관(770)은 냉각장치와 연결됨)가 설치되어 냉각시키고,
    상기 공급된 알카리수를 통하여 분진 및 타르등 불순물은 하부로 침전되고, 배출가스는 상부 일 측에 설치된 배기가스이동통로(414)를 통해 측면에 설치된 응축기(500)로 이송시키며,
    이때, 집진기에서 분진 등을 처리한 알카리수는 하부 일 측에 설치된 집진순환펌프(450)에 의해 내부에 필터(441)가 구비된 집진여과기(440)를 통과시켜 상부와 연결된 집진회수관(451)을 통해 집진기로 순환시켜, 알카리수를 여과하고,
    제4공정(응축공정)
    제3공정에서 배출가스이송통로(414)를 통해 유입된 배출가스는 응축기 하부까지 연장된 응축유도관(501)을 따라 이동되며, 내장된 알카리수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되면서, 염소성분, 미세분진 및 불순물이 세척되며,
    내부에는 강알카리공급펌프(850)에 강알카리공급탱크(851)의 강알카리수를 공급하며, 내부에 내장된 응축기냉각코일관(502) (일 측은 냉매배출관(760)과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냉매회수관(770)과 연결됨)가 설치되어 냉각시키고,
    상기 공급된 알카리수를 통하여 분진 및 불순물을 세척한 배출가스는 상부 일 측에 설치된 배기가스이동통로(514)를 통해 측면에 설치된 탈취탑(600)으로 이송시키며,
    제5공정(진공펌프공정 및 탈취공정)
    상기 제4공정의 응축기(500)의 배기가스이송통로(514)를 통해 이송된 배기가스는 진공 흡입하는 수봉식 진공펌프(951)에 의해 진공펌프순환탱크(900)를 거쳐 배기가스이송통로(614)를 통해 탈취탑(600)으로 이송되며,이때 진공펌프의 흡입력은 보일러(200) 보일러(300)에 화실에까지 영향이 미쳐 최초 발생되는 보일러 가열실(215,315)내에 배기가스까지도 강제로 흡입하며, 유입된 배기가스는 하부에 배기가스이송통로(614)와 연결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 충전되어 형성된 고상가성소다층(611)과, 상기 고상가성소다층(611)의 제1공간부와, 아연입자층(602)과, 상기 아연입자층(602)의 상부에 형성된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상부에 일정간격 충전되어 형성된 활성탄층(601)과, 상기 활성탄층(6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공간부를 통과하여, 탈취되어 상부의 배출구(610)를 통해 처리된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사용방법.
KR1020050026522A 2005-03-30 2005-03-30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688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522A KR100688324B1 (ko) 2005-03-30 2005-03-30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522A KR100688324B1 (ko) 2005-03-30 2005-03-30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390A KR20060104390A (ko) 2006-10-09
KR100688324B1 true KR100688324B1 (ko) 2007-03-02

Family

ID=3763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522A KR100688324B1 (ko) 2005-03-30 2005-03-30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265A (ko)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폐수지 유화 플랜트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정화시스템 및 정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6951A1 (en) * 2007-04-17 2008-10-23 J-Han Global Co., Ltd. Synthetic resin waste disposal apparatus with gas feed-back hole
KR102558162B1 (ko) * 2021-04-26 2023-07-24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배출가스 정화가 가능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265A (ko)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폐수지 유화 플랜트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정화시스템 및 정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390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0938A (ko) 보일러 시스템
KR101309000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이용하는 가열로와 열교환기를 연계한 에너지 절약형의 친환경 폐기물 자원화 장치
KR101237761B1 (ko) 비산재 분리 기능을 갖는 원심형 연속 연소장치
CN206966309U (zh) 一种垃圾焚烧发电厂的飞灰处理装置
KR100688324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CN111928263A (zh) 一种利用回转窑焚烧炉处理危险废物的系统
CN110686245A (zh) 一种长寿命高温等离子体火炬医疗废弃物无害化处理系统
KR101546825B1 (ko)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CN107655010B (zh) 工业废物干馏气化热解处置系统
CN110043909A (zh) 一种化工污泥焚烧工艺
KR102074716B1 (ko) 배기가스 재 순환 방식 소각로 시스템
CN111256147A (zh) 生活垃圾热解气化焚烧炉排炉及其处理系统
CN106765123B (zh) 大容量垃圾高温气化喷燃系统
JP5802061B2 (ja) スラグ溶融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流動床式ガス化溶融設備
KR20110041170A (ko) 바이오매스 발전 장치
CN110715299B (zh) 一种等离子体火炬医疗废弃物处理系统及其应用方法
KR100893389B1 (ko) 연소장치를 구비한 열회수시스템
KR101269966B1 (ko) 보일러
KR101093408B1 (ko)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연소장치
KR100514663B1 (ko) 복합폐기물 소각 및 건조장치
KR101079853B1 (ko) 소각로
JPH10185135A (ja) 塩化水素とダイオキシン類を発生する難燃性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焼却処理法並びに焼却炉
CN212108415U (zh) 生活垃圾热解气化焚烧炉排炉及其处理系统
KR200178489Y1 (ko) 슬러지 소각 장치
KR102607367B1 (ko) 굴뚝 없는 쓰레기 순산소 플라즈마 소각 발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