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825B1 -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25B1
KR101546825B1 KR1020130064542A KR20130064542A KR101546825B1 KR 101546825 B1 KR101546825 B1 KR 101546825B1 KR 1020130064542 A KR1020130064542 A KR 1020130064542A KR 20130064542 A KR20130064542 A KR 20130064542A KR 101546825 B1 KR101546825 B1 KR 10154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solid waste
combustion
combustible solid
ga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869A (ko
Inventor
이재두
Original Assignee
이재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두 filed Critical 이재두
Priority to KR102013006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연료로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화로가 구비된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저장량을 조절하는 물료투입밸브를 구비한 폐기물 공급부; 하측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화로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공급받아 고온으로 가열 및 건조시켜 기체산물과 기화잔재를 생성하는 제 1 연소실; 상기 제 1 연소실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탑 형상의 화격자; 상기 기화로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연소실로부터 생성된 기화잔재를 수밀봉하는 잔재제거장치; 상기 제 1 연소실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소실에서 처리된 물질 중 기체산물을 연소시키는 제 2 연소실; 및 상기 제 2 연소실과 기체산물 출입구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소실에서 연소된 기체산물을 재연소시켜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제 3 연소실을 포함하는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Combus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lammable solid waste}
본 발명은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연성 고형 폐기물을 연소하여 고온연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열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생산과 생활 활동 중에서 버려지는 고체와 오니상태의 물질을 고형페기물이라고 약칭한다. 일반적으로 고형폐기물은 도시생활쓰레기, 폐플라스틱, 농림생물질폐기물이나, 고형연료(Refuse Derived Fuel, RDF), 석탄슬러지 등과 같은 고형폐기물연료제품이 이에 해당된다.
한편, 산업사회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상기한 고형폐기물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 및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고형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매립은 매립지 선정이 어려우며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므로 소각 처리하게 되는데, 고형폐기물의 단순한 소각처리는 엄청난 열량을 갖는 가연성 물질들을 돈을 들여 태워 없애는 매우 불합리하고, 비 경제적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단순 소각 후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심각한 대기 및 수질오염등과 같은 2차 공해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현재에는 고형폐기물을 고형 연료화 시켜 재생 및 자원화 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상용화되어 있는 고형폐기물 소각장치는 고형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부, 고형폐기물을 연소 및 분해시키는 열 분해로, 열 분해로에서 배출되는 고온가스를 회수 및 가열하여 다시 연소시키는 연소로, 연소로에서 발생하는 고온배출가스와 난방용수를 열 교환시키는 온수보일러 및 온수보일러를 통해 배출되는 저온기체의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집진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고형폐기물 소각장치는 1차 및 2차연소를 각기 다른 로체에서 진행해야 하므로, 설비구조가 복잡함과 동시에 발열량이 낮은 고형폐기물에는 사용이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8991호(2013.01.23.)
본 발명은,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기화, 연소, 정화가 하나의 기화로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연료로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화로가 구비된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저장량을 조절하는 물료투입밸브를 구비한 폐기물 공급부; 하측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화로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공급받아 고온으로 가열 및 건조시켜 기체산물과 기화잔재를 생성하는 제 1 연소실; 상기 제 1 연소실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탑 형상의 화격자; 상기 기화로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연소실로부터 생성된 기화잔재를 수밀봉하는 잔재제거장치; 상기 제 1 연소실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소실에서 처리된 물질 중 기체산물을 연소시키는 제 2 연소실 및 상기 제 2 연소실과 기체산물 출입구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소실에서 연소된 기체산물을 재연소시켜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제 3 연소실을 포함하는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연료로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이 폐기물 공급부에 공급되어 기화로 내에 수송되는 수송단계; 상기 수송단계에서 수송된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제 1 연소실에서 고온으로 가열 및 건조시켜 기체산물과 기화잔재를 생성하는 제 1 연소단계; 상기 제 1 연소단계에서 생성된 기체산물을 제 2 연소실에서 연소시키는 제 2 연소단계; 및 상기 제 2 연소단계에서 연소된 기체산물을 재연소시켜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제 3 연소단계를 포함하는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은,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기화, 연소, 정화 과정이 하나의 기화로 내에 통합되어 있어 설비구조가 과학적이며 작동이 간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E-E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3 연소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표시된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E-E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3 연소실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10)는 가연성 고형 폐기물을 연료로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화로(100)가 구비된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폐기물 공급부(200), 제 1 연소실(110), 화격자(130), 제 2 연소실(150), 제 3 연소실(170), 및 잔재제거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폐기물 공급부(200)는 기화로(100) 상측에 배치되어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기화로(100)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공급부(200)는 호퍼(21) 및 물료투입밸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21)는 가연성 고형폐기물(A)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호퍼(21)는 하측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물료투입밸브(220)는 호퍼(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물료투입밸브(220)는 기화로(100)내에 공급되는 가연성 고형폐기물(A)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물료투입밸브(220)를 회전시켜 호퍼(21)의 하부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기화로(100)내에 공급되는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 1 연소실(110)은 기화로(10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연소실(110)은 폐기물 공급부(200)로부터 가연성 고형폐기물(A)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연소실(110)은 하측에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연소실(110)은 하단부가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제 1 연소실(110)에서 연소된 가연성 고형폐기물(A)이 후술할 화격자(130)에 의해 걸러질시, 가연성 고형폐기물(A)이 화격자(130)로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연소실(110)은 폐기물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은 가연성 고형폐기물(A)을 고온으로 가열 및 건조시켜 기체산물(B)과 기화잔재(C)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연소실(110) 하부에는 십자형상의 제 1 공기진입로(111)가 형성될 수 있다(도 2참고). 따라서 제 1 연소실(110)에는 제 1 공기진입로(11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즉, 제 1 공기진입로(1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제 1 연소실(110)내 가연성 고형폐기물(A)의 연소가 촉진될 수 있다.
한편, 기화로(100) 중하부에는 복수개의 유도판(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도판(120)은 기화로(100) 중하부에 형성되어 제 1 연소실(110)에서 생성된 기체산물(B)이 후술할 제 2 연소실(150)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유도판(120)은 수평면과 30~70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1 연소실(110)에서 생성된 기체산물(B)이 후술할 제 2 연소실(150)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유도판(12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체산물(B)의 이송을 유도함으로써, 기체산물(B)이 제 2 연소실(150)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도판(120)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된 거리와 유도판(120)의 길이비는 1/5 ~ 1/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체산물(B) 중 고입자의 불순물들을 걸러내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복수개의 유도판(12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갭(gap)이 형성되어 상기 고입자의 불순물들이 상기 갭으로 걸러지는 것이다.
또한, 유도판(120)의 상단에는 연소 노즐(121)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판(120)을 통과한 기체산물(B)은 연소 노즐(121)을 통하여 제 2 연소실(15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제 1 연소실(110)의 하측에는 화격자(13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격자(130)는 탑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격자(130)는 기화잔재(C)를 잔재제거장치(14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연소실(110)의 하측에 배치된 화격자(130)가 회전됨으로써 제 1 연소실(110)에서 생성된 기화잔재(C)를 후술할 잔재제거장치(140)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잔재제거장치(140)는 기화로(100)내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잔재제거장치(140)는 제 1 연소실(110)에서 생성된 기화잔재(C)를 수밀봉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잔재제거장치(140)는 기화잔재(C)에 물을 유입시켜 기화잔재(C)가 외부 공기에 의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잔재제거장치(140)의 하측에는 컨베이어벨트(14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잔재제거장치(140)에서 수밀봉된 기화잔재(C)는 컨베이어벨트(141)를 통해 기화로(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 2 연소실(150)은 제 1 연소실(110)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 2 연소실(150)은 1 연소실(110)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연소실(150)은 제 1 연소실(110)에서 생성된 기체산물(B)을 연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연소실(150)의 일측에는 제 2 공기진입로(151)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공기진입로(151)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기체산물(B)의 연소를 촉진할 수 있다. 이때, 제 2 공기진입로(151)는 전술한 연소 노즐(121)보다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 1 연소실(110)에서 생성된 기체산물(B)이 연소 노즐(121)을 통과하여 제 2 연소실(150)로 이송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기체산물(B)이 연소 노즐(121)을 통과하여 제 2 연소실(150)에서 연소될 시, 연소 노즐(121)보다 상측에 배치된 제 2 공기진입로(15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기체산물(B)의 연소가 촉진되는 것이다.
또한, 제 2 연소실(150)의 직경과 제 1 연소실(110)의 직경 비는 1.1~1.5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체 유동 저항력을 낮추기 위함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가연성 고형폐기물(A)이 제 1 연소실(110)에서 가열 및 건조될 시, 기화작용으로 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제 2 연소실(150)의 체적을 제 1 연소실(110)의 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 2 연소실(150)로 투입되는 기체산물(B)의 기체유속을 적당하게 유지시키고 기체 유동의 저항력을 줄어들게 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연소실(150)의 일측에는 기체산물 출입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연소실(150)에서 연소된 기체산물(B)이 기체산물 출입구(160)를 통하여 후술할 제 3 연소실(17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기체산물 출입구(160)의 상측에는 제 3 공기진입로(16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3 연소실(170)은 제 2 연소실(150)에서 연소된 기체산물(B)을 재연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 3 연소실(170)은 제 3 공기진입로(161)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기체산물(B)의 재연소가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제 3 연소실(170)은 상측에 연기 출구(17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연소실(170)은 하측에 잔재 배출구(17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연소실(170)에서 기체산물(B)이 완전하게 연소되어 연기 출구(171)로 배출되어 열 에너지로 변환되고, 기체산물(B)의 재연소로 인해 생성된 기화잔재(C)는 잔재 배출구(172)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를 이용한 연소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방법은 수송단계(S100), 촉매 투입 단계(S110) 제 1 연소단계(S200), 제 2 연소단계(S300) 및 제 3 연소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송단계(S100)에서는 가연성 고형폐기물(A)이 폐기물 공급부(200)에 공급된다. 가연성 고형폐기물이 폐기물 공급부(200)에 공급되면, 사용자는 물료투입밸브(220)를 조절하여 기화로(100)내에 가연성 고형폐기물(A)을 수송시킨다. 이때, 가연성 고형폐기물(A)이 폐플라스틱일 경우, 기화로(100)내에 산화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을 투입시킨다(촉매 투입 단계(S110)). 이는, 상기 산화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이 흡착제 및 촉매역할을 하여 폐플라스틱의 연소시 발생하는 염소산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기화로(100)내에 수송된 가연성 고형폐기물(A)은 제 1 연소실(110)에서 고온으로 가열 및 건조된다(제 1 연소단계(S200)). 이때, 제 1 연소실(110)내의 가연성 고형폐기물(A)은 제 1 공기진입로(11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연소가 촉진된다. 제 1 연소실(110)에서 가열 및 건조된 가연성 고형폐기물(A)은 기체산물(B)과 기화잔재(C)로 변형된다.
제 1 연소실(110)에서 생성된 기화잔재(C)는 제 1 연소실(110) 하측에 구비된 잔재제거장치(140)에 의해 수밀봉된다. 이때, 수밀봉된 기화잔재(C)는 컨베이어벨트(141)를 따라 기화로(10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 1 연소실(110)에서 생성된 기체산물(B)은 유도판(120)에 설치된 연소 노즐(121)을 통해 제 2 연소실(150)로 이송된다. 이때, 기체산물(B) 중 고입자의 불순물은 유도판(120)에 의해 잔재제거장치(140)로 이송된다.
한편, 연소비는 기체산물(B)의 완전연소에 대한 연소치를 뜻하는 것으로, 제 2 연소실(150)로 이송된 기체산물(B)은 제 2 공기진입로(151)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작용하에 0.60~0.80의 연소비로 연소된다(제 2 연소단계(S300)).
제 2 연소실(150)에서 연소된 기체산물(B)은 기체산물 출입구(160)를 통과하여 제 3 연소실(170)로 이송된다. 제 3 연소실(170)로 이송된 기체산물(B)은 제 3 공기진입로(161)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작용하에 0.20~0.40의 연소비로 완전하게 연소된다(제 3 연소단계(S400)).
제 3 연소실(170)에서 완전하게 연소된 기체산물(B)은 열 에너지로 변형되고, 연소시 생성된 기화잔재(C)는 제 3 연소실(170) 하측에 형성된 잔재 배출구(172)로 배출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은, 가연성 고형폐기물(A)의 기화, 연소, 정화 과정이 하나의 기화로(100) 내에 통합되어 있어 설비구조가 과학적이며 운전이 간편할 수 있다.
또한, 가연성 고형폐기물(A)의 열량을 충분히 이용하며 제 2 연소실(150)의 연소 열량을 기화로(100) 건조단에 전도시킴으로써, 제 2 연소실(150)과 건조단의 온도를 현저히 제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위용적 처리량이 크고,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낮은 고형폐기물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유도판(120)과 제 3 연소실(1700)에 의해 가연성 고형폐기물(A)의 탈회가 이루어지고 산화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을 투입시킴으로써 산성기체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100: 기화로 110: 제 1 연소실
111: 제 1 공기진입로 120: 유도판
121: 연소 노즐 130: 화격자
140: 잔재제거장치 141: 컨베이어벨트
150: 제 2 연소실 151: 제 2 공기진입로
160: 기체산물 출입구 161: 제 3 공기진입로
170: 제 3 연소실 171: 연기 출구
172: 잔재 배출구 200: 폐기물 공급부
210: 호퍼 220: 물료투입밸브
S100: 수송단계 S110: 촉매 투입 단계
S200: 제 1 연소단계 S300: 제 2 연소단계
S400: 제 3 연소단계 A: 가연성 고형폐기물
B: 기체산물 C: 기화잔재

Claims (11)

  1. 가연성 고형폐기물(A)을 연료로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화로(100)가 구비된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A)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21)와, 상기 호퍼(2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A)의 저장량을 조절하는 물료투입밸브(220)를 구비한 폐기물 공급부(200);
    하측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화로(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공급부(200)로부터 상기 가연성 고형폐기물(A)을 공급받아 고온으로 가열 및 건조시켜 기체산물(B)과 기화잔재(C)를 생성하는 제 1 연소실(110);
    상기 제 1 연소실(110)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화격자(130);
    상기 기화로(100)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연소실(110)로부터 생성된 기화잔재(C)를 수밀봉하는 잔재제거장치(140);
    상기 제 1 연소실(110)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소실(110)에서 처리된 물질 중 기체산물(B)을 연소시키는 제 2 연소실(150); 및
    상기 제 2 연소실(150)과 기체산물 출입구(160)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소실(150)에서 연소된 기체산물(B)을 재연소시켜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제 3 연소실(170);을 포함하는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화로(100)의 중하부에는 복수개의 유도판(120)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각은 수평면과 30~70도 사이를 이루도록 형성된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유도판(120)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도판(120) 상단에는 연소 노즐(121)이 구비되는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소실(110) 일측에는, 상기 제 1 연소실(11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1 공기진입로(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기진입로(111) 상측에는, 상기 제 2 연소실(11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2 공기진입로(151)이 형성되는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진입로(151)는 연소 노즐(121)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소실(110)의 직경에 대한 제 2 연소실(150)의 직경 비는 1.1~1.5의 사이를 이루도록 형성된 가연성 고형 폐기물의 연소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산물 출입구(160)는 상측에 제 3 공기진입로(161)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공기진입로(161)는 제 3 연소실(17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64542A 2013-06-05 2013-06-05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KR10154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542A KR101546825B1 (ko) 2013-06-05 2013-06-05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542A KR101546825B1 (ko) 2013-06-05 2013-06-05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869A KR20140142869A (ko) 2014-12-15
KR101546825B1 true KR101546825B1 (ko) 2015-08-27

Family

ID=5246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542A KR101546825B1 (ko) 2013-06-05 2013-06-05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53B1 (ko) 2015-06-25 2017-06-08 지유 주식회사 고형 폐기물 자동 처리장치
CN106979521A (zh) * 2016-01-18 2017-07-25 同方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辊式炉排的立式垃圾焚烧炉
CN109780548B (zh) * 2019-03-12 2019-12-24 重庆管利实业有限公司 一种热解气化炉
CN112094670A (zh) * 2020-09-27 2020-12-18 汤先忠 一种生物质燃料气化炉
CN112628754B (zh) * 2020-12-16 2023-06-13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废弃物气化熔融处理系统及废弃物气化熔融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237A (ja) 1999-10-15 2001-04-27 Joyo Engineering Kk 植物系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801504B1 (ko) * 2007-05-18 2008-02-12 관보전력개발(주) 고상 폐기물 열분해 건류 가스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237A (ja) 1999-10-15 2001-04-27 Joyo Engineering Kk 植物系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801504B1 (ko) * 2007-05-18 2008-02-12 관보전력개발(주) 고상 폐기물 열분해 건류 가스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869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825B1 (ko)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KR101309000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이용하는 가열로와 열교환기를 연계한 에너지 절약형의 친환경 폐기물 자원화 장치
RU2359011C1 (ru) Способ конверсии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201103031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olid wastes
JP4626875B2 (ja) 低公害焼却処理装置
RU240067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отходов
KR101415450B1 (ko) 고형 폐기물의 연소설비
TWM615047U (zh) 一種物體氣化與廢氣處理的裝置
RU270061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коммунальных отходов методом пиролиза
KR101613968B1 (ko)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JP2021169882A (ja) 燃焼装置
KR100775568B1 (ko) 슬러지의 건조 장치 및 셀 제조 방법
RU144018U1 (ru) Установка термохимической генерации энергетических газов из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варианты)
RU11802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го уничтожения твердых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KR100339484B1 (ko)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RU128286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го уничтожения твердых отходов, содержащих органику
CN211475945U (zh) 一种利用含碳滤饼的危险废物焚烧装置
JP2004085118A (ja) 熱分解処理装置
CN100523612C (zh) 废弃物的热分解处理装置和热分解处理装置的控制方法
RU2688990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твердых углеводородных отходов (в том числе медицинских 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20084856A (ko) 펠릿 연소 보일러
WO2011014094A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тилизации влажных отходов, содержащих органические материалы
KR101283569B1 (ko) 바이오 매스 및 폐기물 연료를 이용하는 연소기의 선회 유동 연소 장치
TWI762399B (zh) 環保生質燃料之燃燒爐
RU263172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отходов с получением горючего га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