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253B1 -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253B1
KR100888253B1 KR1020080048070A KR20080048070A KR100888253B1 KR 100888253 B1 KR100888253 B1 KR 100888253B1 KR 1020080048070 A KR1020080048070 A KR 1020080048070A KR 20080048070 A KR20080048070 A KR 20080048070A KR 100888253 B1 KR100888253 B1 KR 100888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air chamber
grate
turntable
re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문식
Original Assignee
(주) 위넥스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위넥스뷰 filed Critical (주) 위넥스뷰
Priority to KR102008004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3/00Grates with hollow bars
    • F23H3/02Grates with hollow bars internally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성 폐자원을 에너지로 활용하는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격자의 하부에 냉각수라인이 구비되며 화격자가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 가능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48070
화격자, 냉각수라인, 회전형 연소장치, 단열층, 턴테이블

Description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combustion apparatus for recycling flammable waste with cooling water line}
본 발명은 가연성 폐자원을 에너지로 활용하는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격자의 하부에 냉각수라인이 구비되며 화격자가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 가능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분야와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타이어, 비닐,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로 만든 제품은 사용 후에 극히 일부분만이 재활용되고, 대부분은 폐기물로 분류되어 매립되거나 소각 처리되고 있다. 매립하는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 문제뿐만 아니라 매립된 폐기물에 의해 지하수 오염이라는 2차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고, 소각처리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유독성 가스와 매연을 발생시켜 대기오염이라는 2차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어서, 폐합성수지와 같은 쉽게 썩지 않는 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하든 많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회전형 연소장치 등 많은 기술이 개발되어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 출원되었으며, 예를 들면, 특허 제0656093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형 연소장치는 화격자의 상층 표면에 RPF, RDF 등의 고형연료가 투입되면 건조, 휘발, 열분해, 가스화 등의 과정이 조속히 진행되어 화격자의 상층 표면에 고온부식 현상이 발생하여 화격자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격자의 상층 표면 중 일부가 부식되는 경우에도 화격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회전형 화격자의 상부에 낙하되는 RPF, RDF 등의 고형연료는 플라스틱, 비닐류 성상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연소시 발생되는 열가소성이나, 열경화성 때문에 연소물의 중심부에는 가스가 전혀 휘발되지 않고 경화성 형태 그대로 회전형의 화격자 상부 표면에 달라붙거나 회전형 화격자의 표면이 과열되어 고형연료의 무기물들이 용융 고착되어 굳어버리기 때문에 회전형 연소장치의 연속가동에 치명적 결함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격자의 표면 하부에 냉각수라인을 부착하여 화격자의 표면온도를 저감시킴으로써 물기물의 멜팅 포인트를 억제하여 클링커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격자를 분리 가능한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함으로써, 화격자의 일부분만이 손상된 경우 그 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함으로써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회전형 에어챔버;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원추형의 화격자;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내의 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화격자의 상부 표면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 상기 단열층의 상면과 상기 화격자 하면 사이에 설치되는 냉각수라인;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 내부에 연소공기를 유입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에 연결되는 중공축;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를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구동부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에어 안내통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열층에는 상기 다수개의 에어 안내통이 각각 끼워지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은 각각 상기 에어 안내통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냉각수라인은 상기 중공축을 중심으로 하고 지름을 달리하는 다수개의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원형냉각수라인과, 상기 원형냉각수라인 중 서로 이웃한 원형냉각수라인과 원형냉각수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냉각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공축은 상기 턴테이블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 하측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고정되고, 상기 턴테이블에는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 가능하도록 턴테이블 중공축이 끼워지고, 상기 턴테이블 중공축의 상측단은 상기 중공축의 하측단에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형냉각수라인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라인은 상기 턴테이블 중공축을 통하여 상기 원형냉각수라인 중 최외곽(最外郭)의 원형냉각수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원형냉각수라인으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배출라인은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의 바닥면을 통하여 상기 원형냉각수라닝 중 최내곽(最內郭)의 원형냉각수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냉각수배출라인의 하측단이 형성되는 궤적의 하측에는 상기 냉각수배출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담수(湛水)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가 개방된 둥근 고리형태의 냉각수담수(湛水)라인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를 지지하는 회전형 에어챔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고, 하측단이 상기 중공축의 상측단에 연통되며, 상측단이 상기 화격자의 상부로 돌출되는 밀봉캡; 일측단이 상기 밀봉캡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가 설치되는 연소실의 내벽에 고정되는 재처리지지봉; 상기 화격자의 상부 표면에 퇴적된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재처리지지봉으로부터 상기 화격자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재처리갈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처리지지봉에는 상기 밀봉캡을 통하여 찬공기가 유입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찬공기 안내로가 형성되고, 상기 재처리지지봉에는 상기 재처리갈퀴가 끼워지되, 상기 재처리 갈퀴와의 유격을 통하여 상기 찬공기 안내로에 유입된 찬공기가 상기 화격자의 상부 표면으로 분출되는 재처리갈퀴 삽착공(揷着孔)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격자는 단열층의 상부 내측 표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되는 다수의 제1 화격자; 내측단이 상기 제1 화격자 중 서로 이웃한 2 개의 제1 화격자의 외측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단열층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는 다수의 제2 화격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턴테이블 회전수단은 상기 턴테이블의 외주연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체인과, 상기 어태치먼트체인과 맞물리는 스프라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격자의 표면 하부에 냉각수라인을 부착하여 화격자의 표면온도를 저감시킴으로써 무기물의 멜팅 포인트를 억제하여 클링커의 생성이 방지되는 장 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격자를 분리 가능한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함으로써, 화격자의 일부분만이 손상된 경우 그 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함으로써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형 에어챔버의 표면에 단열층을 적층시키고, 그 단열층 위에 냉각수라인을 설치하고, 그 위에 기와형식의 화격자를 적층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초경량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에어분사노즐이 에어 안내통에 삽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에어분사노즐의 보수 및 교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형 에어챔버와 화격자 사이에 단열층이 구비되어 있어 화격자 상부 표면 위의 뜨거운 공기가 회전형 에어챔버 내부의 찬 연소공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찬 연소공기를 화격자 표면 위에 설치되어 있는 재처리지지봉에 유입시켜 화격자 상부 표면에 분출시킴으로써 화격자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중공축을 통하여 회전형 에어챔버 및 화격자 등을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턴테이블을 통하여 회전형 에어챔버 및 화격자 등을 회전시킴으로써 동력전달력이 확실하며 중공축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주요부의 개략적 종단면도를, 도2는 도1의 화격자의 평면도를, 도3은 도1의 화격자의 주요부의 배면사시도를, 도4는 도1의 에 어챔버 지지대의 사시도를, 도5는 도1의 어태치먼트체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회전형 에어챔버(110), 중공축(210), 턴테이블 유닛(310)을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회전형 에어챔버(110)는 상부 표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형 에어챔버(110)에는 중공축(210)을 통하여 연소공기가 유입된다. 한편, 회전형 에어챔버(110)의 상부 표면에는 회전형 에어챔버(110)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에어 안내통(112)이 돌출 형성된다. 에어 안내통(112)을 통하여 회전형 에어챔버(110)로부터 연소공기가 분출된다.
도1을 참조하면 회전형 에어챔버(110)의 상부 표면에는 단열층(120)이 적층 고정된다. 단열층(120)에는 다수개의 에어 안내통(112)이 각각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단열층(120)은 제1 단열층(121)과 제2 단열층(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1 단열층(121)은 세라믹 보드일 수 있고, 제2 단열층(122)는 내화 시멘트일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단열층(120)의 상부 표면에는 원추형의 화격자(130)가 적층 고정된다. 도2를 참조하면 화격자(13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30H)이 형성될 수 있다. 화격자(130)는 관통공(130H)을 통하여 에어 안내통(112)의 상단부에 끼워짐으로써 단열층(120) 상부 표면에 적층 고정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화격자(130)는 제1 화격자(131) 및 제2 화격자(1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화격자(131)는 단열층(120)의 상부 내측 표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다수개 적층되고, 제2 화격자(132)는 내측단이 이웃한 2 개의 제1 화격자(131) 의 외측단에 위치하도록 다수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이란 중공축(210)에 가까운 쪽을 말하고, 외측이란 중공축(210)으로부터 먼 쪽을 말한다.
도1을 참조하면 화격자(130)의 상부 표면에는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140)이 돌출된다. 에어분사노즐(140)은 하단부가 에어 안내통(112)에 상단부에 끼워짐으로써 에어 안내통(112)에 체결될 수 있다. 회전형 에어챔버(110)내의 공기는 에어 안내통(112) 및 에어분사노즐(140)을 경유하여 화격자(130) 상부 표면 위로 분출된다.
도1을 참조하면 단열층(120)의 상면과 화격자(130) 하면 사이에는 냉각수라인(150)이 설치될 수 있다. 냉각수라인(150)은 중공축(210)을 중심으로 하고 지름을 달리하는 다수개의 동심원 상에 각각 위치하는 원형냉각수라인과, 이웃한 원형냉각수라인과 원형냉각수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냉각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각수라인(150)은 나선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화격자(131)의 하면에는 상기 원형냉각수라인의 상부 표면이 삽착되도록 상기 원형냉각수라인에 상응하는 원형냉각수라인 삽착홈(134G)이 형성되고, 상기 이웃한 원형냉각수라인 삽착홈(134G)과 원형냉각수라인 삽착홈(134G) 사이에는 상기 연결냉각수라인의 상부 표면이 삽착되도록 상기 연결냉각수라인에 상응하는 연결냉각수라인 삽착홈(135G)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화격자(132)의 하면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원형냉각수라인 삽착홈(134G) 및 연결냉각수라인 삽착홈(135G)이 형성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중공축(210)은 회전형 에어챔버(110)의 하측을 통하여 회전 형 에어챔버(110)에 인입된다. 중공축(210) 내부에는 연소공기가 유입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중공축(210)으로 유입된 연소공기가 회전형 에어챔버(110)에 유입되도록, 중공축(210)의 외주면에는 유출공(212)이 형성된다. 중공축(210)의 상측단은 회전형 에어챔버(1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체결공(도면 미도시)에 삽착된다. 한편, 중공축(210)은 턴테이블 유닛(3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 하측단이 턴테이블 유닛(310)에 고정된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에어챔버 지지대(400)를 가진다. 에어챔버 지지대(400)는 제1 에어챔버 지지대(410), 제2 에어챔버 지지대(420), 제3 에어챔버 지지대(430)를 포함한다.
도1과 도4를 참조하면 제1 에어챔버 지지대(410)는 턴테이블 유닛(310) 및 턴테이블 유닛 보조대(320)의 상측단에 고정된다. 제1 에어챔버 지지대(410)는 턴테이블 유닛(310) 및 턴테이블 유닛 보조대(320)의 상측단에 고정되어 회전형 에어챔버(110) 및 단열층(120)을 지지한다. 제2 에어챔버 지지대(4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에는 유출공(422)이 형성된다. 제2 에어챔버 지지대(420)는 그 하측 외주연이 제1 에어챔버 지지대(410)에 연결된다. 제3 에어챔버 지지대(430)는 제2 에어챔버 지지대(420) 상측단에 탑재되어 회전형 에어챔버(110) 이면과 접촉하며 회전형 에어챔버(110)를 지지한다. 제2 에어챔버 지지대(420)는 내부로는 중공축(210)이 지나가며, 제3 에어챔버 지지대(430)에는 중공축(210)이 관통되는 중공축 관통공(431)이 형성된다. 한편, 제3 에어챔버 지지대(430)에는 제2 에어챔버 지지대(420) 내부의 연소공기가 회전형 에어챔버(110)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제1 관통공(433) 및 제3 에어챔버 지지대(430) 하부의 연소공기가 제3 에어챔버 지지대(430) 지지대(430) 상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제2 관통공(43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소공기는 중공축(210)의 유출공(212), 제2 에어챔버 지지대(420)의 유출공(422), 제2 에어챔버 지지대(420)의 제1 관통공(433)을 통하여 회전형 에어챔버(110) 내부로 인입된다.
도1을 참조하면 턴테이블 유닛(310) 및 턴테이블 유닛 보조대(320)는 에어챔버 지지대(400, 도4 참조)를 통하여 회전형 에어챔버(110)를 지지하며 회전시킨다. 즉, 턴테이블 유닛(310) 및 턴테이블 유닛 보조대(320)는 회전형 에어챔버(110)를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이다.
도1을 참조하면 턴테이블 유닛(310)에는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 가능하도록 턴테이블 중공축(330)이 끼워진다. 턴테이블 중공축(330)의 상측단은 중공축(210)의 하측단에 연통되며 연결된다. 따라서 턴테이블 중공축(330)을 통하여 유입된 연소공기가 중공축(210)의 하측단으로 유입된다. 즉, 턴테이블 유닛(310) 및 턴테이블 유닛 보조대(320)가 턴테이블 중공축(330)을 회전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에어챔버 지지대(400, 도4 참조), 회전형 에어챔버(110), 중공축(210)이 일체로 회전한다.
도1 및 도5를 참조하면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턴테이블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회전수단은 턴테이블 유닛 보조대(320)의 외주연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체인(510)과, 어태치먼트체인(510)과 맞물리는 스프라킷(520)을 포함한다. 스프라킷(520)이 회전함에 따라 어태치먼트체인(510)이 이송되고, 따라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한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원형냉각수라인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라인(610)은 턴테이블 중공축(330)을 통하여 상기 원형냉각수라인 중 최외곽(最外郭)의 원형냉각수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냉각수라인으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배출라인(620)은 회전형 에어챔버(110)의 바닥면을 통하여 상기 원형냉각수라인 중 최내곽(最內郭)의 원형냉각수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수배출라인(620)은 제3 에어챔버 지지대(430)의 제3 관통공(435)을 경유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회전형 에어챔버(110)가 회전함에 따라 냉각수배출라인(620)의 하측단이 형성하는 궤적의 하측에는 냉각수배출라인(620)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담수(湛水)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가 개방된 둥근 고리형태의 냉각수담수(湛水)라인(630)이 설치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화격자(130)의 중앙부에는 밀봉캡(710)이 돌출 설치된다. 밀봉캡(710)은 하측단이 중공축(210)의 상측단에 연통되며, 상측단이 화격자(13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도1을 참조하면 밀봉캡(710)에는 재처리지지봉(720)의 일측단이 고정 연결된다. 재처리지지봉(720)의 타측단은 연소실 내벽(1100)에 고정된다. 재처리지지봉(720)은 내화물(730)로 둘러싸일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재처리갈퀴(740)는 화격자(130)의 상부 표면에 퇴적된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재처리지지봉(720)으로부터 화격자(130)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재처리지지봉(720)에는 밀봉캡(710)을 통하여 찬공기가 유입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찬공기 안내로(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고, 재처리지지봉(720)에는 재처리갈퀴(740)가 끼워지되, 재처리갈퀴(740)와의 유격을 통하여 상기 찬공기 안내로(도면부호 미부여)에 유입된 찬공기가 화격자(130)의 상부 표면으로 분출되는 재처리갈퀴 삽착공(揷着孔)(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재처리갈퀴(740)는 상기 재처리갈퀴 삽착공(揷着孔)(도면 미도시)을 통하여 재처리지지봉(720)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재처리지지봉(720)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내화물(73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화물(730)에도 재처리갈퀴(740)와의 유격을 통하여 상기 찬공기 안내로(도면부호 미부여)에 유입된 찬공기가 화격자(130)의 상부 표면으로 분출되도록 내화물 재처리갈퀴 삽착공(揷着孔)(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단열층(1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재처리수집부(762)가 형성될 수 있다. 재처리수집부(762)는 회전형 에어챔버(11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도록 단열층(120)의 외측단 둘레면에 부착 고정된다. 재처리수집부(762)의 특정 부분 하측에는 재처리안내부(764)가 연결 고정되는데, 재처리안내부(764)의 상측단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재처리수집부(762)의 바닥면과 연통한다.
도1을 참조하면 연소실 내벽(1100)에는 재배출갈퀴(770)이 형성될 수 있다. 재배출갈퀴(770)는 재처리수집부(762)가 회전함에 따라 재처리수집부(762)에 떨어진 재가 재처리안내부(764)에 안내되도록 한다. 한편, 재처리안내부(764)가 회전함에 따라 재처리안내부(764)의 하측단이 형성하는 궤적의 하부에는 재처리배출부(766)가 설치되는데, 재처리배출부(766)는 재배출갈퀴(770)에 의하여 재처리안내 부(764)에 안내된 재가 재처리안내부(764) 하측단으로 떨어지는 지점에 설치된다. 즉, 재처리배출부(766)는 재배출갈퀴(770)의 하측 근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주요부의 개략적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화격자의 평면도.
도3은 도1의 화격자의 주요부의 배면사시도.
도4는 도1의 에어챔버 지지대의 사시도.
도5는 도1의 어태치먼트체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회전형 에어챔버 112:에어 안내통
120:단열층 121:제1 단열층
122:제2 단열층
130:화격자 130H:관통공
131:제1 화격자 132:제2 화격자
134G:원형냉각수라인 삽착홈 135G:연결냉각수라인 삽착홈
140:에어분사노즐
150:냉각수라인
210:중공축 212:유출공
310:턴테이블 유닛 320:턴테이블 유닛 보조대
330:턴테이블 유닛 중공축
400:에어챔버 지지대 410:제1 에어챔버 지지대
420:제2 에어챔버 지지대 430:제3 에어챔버 지지대
431:중공축 관통공 433:제1 관통공
435:제2 관통공
510:어태치먼트체인 520:스프라킷
610:냉각수공급라인 620:냉각수배출라인
630:냉각수담수라인
710:밀봉캡 720:재처리지지봉
730:내화물 740:재처리갈퀴
762:재처리수집부 764:재처리안내부
766:재처리배출부 770:재배출갈퀴
1100:연소실 내벽

Claims (10)

  1.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회전형 에어챔버;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원추형의 화격자;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내의 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화격자의 상부 표면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
    상기 단열층의 상면과 상기 화격자 하면 사이에 설치되는 냉각수라인;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 내부에 연소공기를 유입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에 연결되는 중공축;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를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구동부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회전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에어 안내통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열층에는 상기 다수개의 에어 안내통이 각각 끼워지는 다수개의 관통 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은 각각 상기 에어 안내통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라인은 상기 중공축을 중심으로 하고 지름을 달리하는 다수개의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원형냉각수라인과, 상기 원형냉각수라인 중 서로 이웃한 원형냉각수라인과 원형냉각수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냉각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축은 상기 턴테이블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 하측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고정되고,
    상기 턴테이블에는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 가능하도록 턴테이블 중공축이 끼워지고,
    상기 턴테이블 중공축의 상측단은 상기 중공축의 하측단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냉각수라인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라인은 상기 턴테이블 중공축을 통하여 상기 원형냉각수라인 중 최외곽(最外郭)의 원형냉각수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원형냉각수라인으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배출라인은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의 바닥면을 통하여 상기 원형냉각수라인 중 최내곽(最內郭)의 원형냉각수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냉각수배출라인의 하측단이 형성되는 궤적의 하측에는 상기 냉각수배출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담수(湛水)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가 개방된 둥근 고리형태의 냉각수담수(湛水)라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를 지지하는 회전형 에어챔버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하측단이 상기 중공축의 상측단에 연통되며, 상측단이 상기 화격자의 상부로 돌출되는 밀봉캡;
    일측단이 상기 밀봉캡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상기 회전형 에어챔버가 설치되는 연소실의 내벽에 고정되는 재처리지지봉;
    상기 화격자의 상부 표면에 퇴적된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재처리지지봉으로부터 상기 화격자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재처리갈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처리지지봉에는 상기 밀봉캡을 통하여 찬공기가 유입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찬공기 안내로가 형성되고,
    상기 재처리지지봉에는 상기 재처리갈퀴가 끼워지되, 상기 재처리 갈퀴와의 유격을 통하여 상기 찬공기 안내로에 유입된 찬공기가 상기 화격자의 상부 표면으로 분출되는 재처리갈퀴 삽착공(揷着孔)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는,
    단열층의 상부 내측 표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되는 다수의 제1 화격자;
    내측단이 상기 제1 화격자 중 서로 이웃한 2 개의 제1 화격자의 외측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단열층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는 다수의 제2 화격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KR1020080048070A 2008-05-23 2008-05-23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KR100888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070A KR100888253B1 (ko) 2008-05-23 2008-05-23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070A KR100888253B1 (ko) 2008-05-23 2008-05-23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253B1 true KR100888253B1 (ko) 2009-03-10

Family

ID=4069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070A KR100888253B1 (ko) 2008-05-23 2008-05-23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25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03B1 (ko) * 2009-09-08 2011-05-26 주식회사 티엠큐브 가연성연료 연소로용 그레이트
KR101078329B1 (ko) * 2010-11-02 2011-10-31 김재순 고형연료의 열분해 및 가스화 연소장치
KR101135886B1 (ko) * 2011-04-04 2012-04-16 (주)세신환경산업 냉각장치가 구비되는 고형연료 연소장치
KR101177368B1 (ko) * 2009-09-28 2012-08-27 더블유비엠과학기술 주식회사 연료받침부가 개선된 바이오매스 가스발생장치
KR101232866B1 (ko) 2012-07-20 2013-02-13 (주)유성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KR101290219B1 (ko) 2012-03-30 2013-07-30 주식회사 티엠큐브 교반 장치가 구비된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
KR101295805B1 (ko) * 2010-12-27 2013-08-12 삼양이엔피주식회사 우드칩 가스화기
KR101532880B1 (ko) * 2014-07-24 2015-06-30 최재석 멀티냉각 및 다단연소 구조의 열회수용 연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414A (ko) * 2000-02-02 2001-08-17 엄태인 다단 화격자식 소각로
KR20020091022A (ko) * 2002-11-14 2002-12-05 김기경 고정식 수냉 화격자
KR20040074077A (ko) * 2001-12-12 2004-08-21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회절 광학 장치, 굴절 광학 장치, 조명 광학 장치, 노광장치 및 노광 방법
KR100821906B1 (ko) 2007-04-30 2008-04-16 김영정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소각장치의 그레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414A (ko) * 2000-02-02 2001-08-17 엄태인 다단 화격자식 소각로
KR20040074077A (ko) * 2001-12-12 2004-08-21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회절 광학 장치, 굴절 광학 장치, 조명 광학 장치, 노광장치 및 노광 방법
KR20020091022A (ko) * 2002-11-14 2002-12-05 김기경 고정식 수냉 화격자
KR100821906B1 (ko) 2007-04-30 2008-04-16 김영정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소각장치의 그레이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03B1 (ko) * 2009-09-08 2011-05-26 주식회사 티엠큐브 가연성연료 연소로용 그레이트
KR101177368B1 (ko) * 2009-09-28 2012-08-27 더블유비엠과학기술 주식회사 연료받침부가 개선된 바이오매스 가스발생장치
KR101078329B1 (ko) * 2010-11-02 2011-10-31 김재순 고형연료의 열분해 및 가스화 연소장치
CN102466221A (zh) * 2010-11-02 2012-05-23 姜点龙 固体燃料的圆桶阶梯形方式热分解及气化的燃烧装置
KR101295805B1 (ko) * 2010-12-27 2013-08-12 삼양이엔피주식회사 우드칩 가스화기
KR101135886B1 (ko) * 2011-04-04 2012-04-16 (주)세신환경산업 냉각장치가 구비되는 고형연료 연소장치
KR101290219B1 (ko) 2012-03-30 2013-07-30 주식회사 티엠큐브 교반 장치가 구비된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
KR101232866B1 (ko) 2012-07-20 2013-02-13 (주)유성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KR101532880B1 (ko) * 2014-07-24 2015-06-30 최재석 멀티냉각 및 다단연소 구조의 열회수용 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253B1 (ko)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KR100791972B1 (ko) 가연성 폐자원을 에너지로 활용하는 소각용 연소장치
CN105368478B (zh) 连续内热式固体有机物裂解炉
KR101229220B1 (ko) 폐기물 가스화처리장치
KR200390978Y1 (ko) 소각로
KR100901494B1 (ko) 가연성 폐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열회수 소각 연소로의 자동 재처리 장치
KR100896017B1 (ko) 가연성 폐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열회수 소각 연소로
KR100936743B1 (ko) 고형연료 소각장치
KR101557870B1 (ko)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KR100921906B1 (ko)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KR101360945B1 (ko) 연소로
KR102392544B1 (ko) 폐플라스틱 성형장치
KR100989703B1 (ko) 폐열 회수효율 및 유지관리성이 향상된 소각보일러
KR200489378Y1 (ko)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KR200408326Y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00646018B1 (ko) 건류가스 발생장치에 적용되는 로스톨유닛의 노즐구조체 및그 제작방법
KR100715480B1 (ko) 배출공이 형성된 폐합성수지의 처리장치
KR101037303B1 (ko) 가연성연료 연소로용 그레이트
KR100849930B1 (ko)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KR100997152B1 (ko) 가연성연료 연소로용 그레이트
KR101134350B1 (ko) 고형연료 연소장치
KR100999952B1 (ko) 폐합성수지 용융장치
KR101899583B1 (ko) 가연성 폐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열회수 소각 연소로의 연소촉진장치
KR100668464B1 (ko) 고형연료의 정량공급장치
KR101342392B1 (ko) 고형연료의 소각을 위한 화격자 및 이를 구비하는 고형연료 소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