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866B1 -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 Google Patents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866B1
KR101232866B1 KR1020120079245A KR20120079245A KR101232866B1 KR 101232866 B1 KR101232866 B1 KR 101232866B1 KR 1020120079245 A KR1020120079245 A KR 1020120079245A KR 20120079245 A KR20120079245 A KR 20120079245A KR 101232866 B1 KR101232866 B1 KR 10123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mbustion
pipe
body portion
combust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이재정
이동직
김민철
성동제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 filed Critical (주)유성
Priority to KR102012007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5/00Cleaning arrangements for grates; Moving fuel alo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로 내부에서 고형연료가 연소 되면서 발생 되는 클린커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는, 고형연료(10)가 연소 되는 공간을 갖는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선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부위를 물 또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냉각몸체부(100);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 설치된 화격자(590)에 발생 되는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제거부(200); 및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EQUIPMENT FOR CLINKER REMOVING OF COMBUSTION CHAMBER AND COMBUSTION CHAMBER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로 내부에서 고형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클린커를 원활하게 제거하고 투입되는 고형연료를 효율적으로 태울 수 있도록 연소로 화격자 내에 넓게 펴주면서 뒤집어 주는 기능을 가진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소로는 연소실에 연료를 투입하여 연소조건(3T ; Temperature, Turbulence, Time)을 잘 갖추어야 연료의 연소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는데, 연소실에서는 투입된 폐기물 또는 연료를 화염 연소시키거나 또는(제거) 열분해(탄화)시키고, 연소조건이나 연료상태에 따라 불연소된 가스상물질을 다시(제거) 재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소로에는 톱밥이나 목재 부스러기뿐만 아니라 사업장이나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을 펠릿 형태로 압축한 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얻음으로써 보일러나 열병합발전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는 온실가스 배출원인 경유/B-C 유 등(고가의 화석연료)을 사용하지 않아 연료비가 적게 들고 친환경적인 설비라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에너지 다소비 업체에서 자체적으로 이용하는 전용 보일러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발전설비나 열병합발전과 같은 곳에서도 널리 확산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고형연료를 연소시킬 때에는 점화된 고형연료에 단순히 연소공기를 공급하여 태우는데 그치고 있는 것이어서 연소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소공기를 공급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연소가 일어나도록 할 필요가 있을 뿐만아니라, 연료를 태우는 화격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동율을 높여 운전효율을 증가시켜야 한다.
더불어 고형연료를 연소시킴에 따라 연소시 많은 재와 고형연료 속에 포함된 유리가루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연소로의 고열에 용융되면서 서로 뭉쳐 슬래그 및 클린커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재는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연소장치의 각 구성물에 침착되는바 연소효율을 저하시키고 연소장치의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재와 클린커의 침착이 심할 경우 제때 제거하여 주지 못하게 되면 연소장치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설비의 가동중지 뿐만 아니라 폭발로도 이어져 작업자를 다치게 하거나 화재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큰 사고로 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형연료가 연소되면서 화격자 위에 발생된 클린커를 제거하기 위해 연소로의 가동을 멈추고 연소로 내부의 열이 제거된 후 작업자가 그 클린커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격자 위에 발생된 클린커를 제거하기 위해 연소로의 가동이 빈번하게 정지됨에 따라 생산능률이 급격히 저하되고,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110300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소로 내부의 화격자 및 연소로의 각 구성물에 침착되는 클린커를 연소로 가동중에 지속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연소장치의 고장을 방지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는, 연소로 내에 발생된 클린커에 의해 연소장치 및 각 구성물이 훼손되거나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는, 연소로의 각 구성물에 침착되는 클린커를 연소로 가동중에도 연소로의 가동중지 없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는, 연소로의 가동중에 연속적으로 클린커를 제거하면서 투입된 고형연료를 연소로 화격자위에 넓게 펴주면서 뒤집어주는 기능이 있어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는, 고형연료(10)가 연소되는 공간을 갖는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선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부위를 물 또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냉각몸체부(100);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 설치된 화격자(590)에 발생되는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제거부(200); 및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는 봉 형태의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봉 형태의 외부냉각관(114)으로 구성되는 냉각하우징(110); 상기 외부냉각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외부에서 진입되는 냉각수(50)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수(50)를 구획하는 냉각구획조(120);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냉각구획조(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130);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50)가 진입되는 진입관(142)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수(50)가 배출되는 배출관(144)으로 구성되는 공급배수관(140); 및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면서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내부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내부에 연결 배치되어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수(50)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공급관(15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지지된 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지지관(162)과,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의 하부에서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64)이 배치된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직경이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외부냉각관(114)이 연결되는 부위 외면을 감싸는 제1밀폐베어링(512)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는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1밀폐문(514)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외면을 감싸는 제2밀폐베어링(516)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밀폐문(514)과 더불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이중으로 격리하는 제2밀폐문(518)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밀폐문(514)에는, 상기 제1밀폐문(514)과 제2밀폐문(518)의 사이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그 사이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주입구(515)가 더 포함된다.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다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화격자(590)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는 제거칼날(2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거칼날(210)은, 측 단면이 삼각형태를 갖는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는 봉 형 태의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봉 형태의 외부냉각관(114)으로 구성되는 냉각하우징(110); 상기 외부냉각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외부에서 진입되는 냉각공기(70)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공기(70)를 구획하는 냉각구획조(120);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냉각구획조(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130);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공기(70)가 진입되는 진입관(142)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공기(70)가 배출되는 배출관(144)으로 구성되는 공급배수관(140);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면서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내부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내부에 연결 배치되어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공기(70)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공급관(150); 및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상기 클린커제거부(200)가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로 진입된 냉각 공기를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홈(160)을 포함한다.
고형연료(10)가 내부로 진입되어 연소되면서 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화격자(590)와, 상기 화격자(59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환형 형태를 갖되, 상기 화격자(590)가 회전되도록 하는 턴테이블(580)과, 하부 측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진입거치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소몸체부(500);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선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부위를 물 또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냉각몸체부(100);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격자(590)에 발생 되는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제거부(200);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0);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구획되어 다수 개의 층을 이루면서 각 층에서 별도로 공기를 분배주입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600); 및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부(600)에 의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진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압유도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 배치되는 봉 형태의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봉 형태의 외부냉각관(114)으로 구성되는 냉각하우징(110); 상기 외부냉각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냉각을 위해 외부에서 진입되는 물 또는 공기로 이루어진 냉각물질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물질을 구획하는 냉각구획조(120);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냉각구획조(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130);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외면에 연결되어 냉각물질이 진입되는 진입관(142)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냉각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관(144)으로 구성되는 공급배수관(140); 및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면서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내부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내부에 연결 배치되어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물질이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공급관(150);을 포함한다.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턴테이블(580)의 하부에서 상기 화격자(590)를 상 방향으로 관통 배치되면서, 외부에서 상기 고형연료(10)를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로 공급하는 호퍼(585)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몸체부(500) 외부에는, 상기 고형연료(10)가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부(535)와, 상기 컨베이어부(535)로부터 이송된 상기 고형연료(10)가 유입되어 상기 호퍼(585)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관 형태의 실린더부(520)와, 상기 실린더부(52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된 채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실린더부(520)에 유입된 상기 고형연료(10)를 밀어 이송되도록 하는 실린더로드부(530)가 포함된다.
상기 냉각부(600)는, 외부에서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610)와, 상기 냉각부(6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량센서(603)와, 상기 유량센서(603)에서 측정된 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냉각부(6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장치(605)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고형연료(10)가 발화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불꽃을 제공하는 기동버너(570)와, 상기 연소로(500)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스팀이나 전기로 전환 시키는 에너지교환부(575)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지지 된 채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지지관(162)과,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의 하부에서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64)이 배치된다.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외부냉각관(114)이 연결되는 부위 외면을 감싸는 제1밀폐베어링(512)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는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1밀폐문(514)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외면을 감싸는 제2밀폐베어링(516)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밀폐문(514)과 더불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이중으로 격리하는 제2밀폐문(518)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밀폐문(514)에는, 상기 제1밀폐문(514)과 제2밀폐문(518)의 사이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그 사이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주입구(515)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는, 연소장치의 가동중에 클린커를 분쇄하여 크기를 줄여줘 재와 함께 배출(제거)시킬수 있어 설비의 부하를 줄이고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는, 클린커가 화격자에 늘러붙어 화격자를 재사용하기 어렵게 하거나 덩어리 형태로 클린커가 성장해 연소장치 화격자와 내벽을 훼손시키거나 화재원인으로 될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는 기술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는, 연소장치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면서 연소로 내에서 고형연료를 넓게 폐주면서 뒤집어 주어 연소효율을 높여 재사용 에너지를 생산하는 생산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평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연소로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고형으로 된 고형연료가 부하발생이 최소화된 채로 정량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소로 연료투입장치 및 연료투입장치를 구비하는 연소로 설비 [특히, 냉각몸체부, 클린커제거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평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고형연료(10)가 연소 되는 공간을 갖는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는 상기 고형연료(10)가 연소 되는 화격자(59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화격자(590)에서 상기 고형연료(10)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형연료(10) 내의 이물질이 발화되면서 상기 화격자(590) 상에 융착되거나 덩어리로 성장하는 클린커(30)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고형연료(10)의 연소효율을 저하시키게 되고, 상기 화격자(590)를 포함한 다른 구조물을 훼손시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클린커(30)를 반복적으로 제거해야하는데 이를 위해, 클린커제거부(200)가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는, 상기 화격자(590)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에 직접 마찰 되면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는 다수 개의 제거칼날(21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거칼날(210)은, 측 단면이 삼각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제거칼날(210)의 형태는 일 실시 예 일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가 사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는 상기 고형연료(10)의 연소에 의해 900 내지 1500 ℃ 정도의 고열이 발생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거칼날(210)을 포함하는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는 내열성 금속이 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상기 제거칼날(210)은 빠르게 회전을 하면서 상기 클린커(30)에 마찰 되면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제거칼날(210)이 상기 화격자(590)와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화격자(590) 상의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기 제거칼날(210)이 부양된 채로 회전되도록 하는 냉각몸체부(100)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부양함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면서,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는 봉 형태의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봉 형태의 외부냉각관(114)으로 구성되는 냉각하우징(110)을 갖는다.
특히,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된 채로 배치되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된 채로, 상호 마주보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냉각관(112)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진입거치부(5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선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부위를 물 또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냉각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는 상기 클린커제거부(20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린커제거부(200)가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화격자(590)에 발생되는 클린커(30)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부냉각관(114)에는,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 외부에 구비된 채로, 상기 외부냉각관(114)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냉각관(114)이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내부냉각관(112)에 연결된 다수 개의 상기 제거칼날(210)이 연동 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외부냉각관(114) 외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기어(310)와, 상기 돌출기어(310)에 연결된 체인(320)과, 상기 체인(320)에 연결되되 상기 돌출기어(310)와 마주보며 형성되는 연결기어(330)와, 상기 연결기어(33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기어(330)를 회전하는 모터(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구성은 일 실시 예 일뿐, 상기 냉각몸체부(10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면, 풀리와 벨트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냉각시키면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기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 촉매제로 물과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냉각 촉매제로 물을 사용할 경우,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외부냉각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외부에서 진입되는 냉각수(50)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수(50)를 구획하는 냉각구획조(120)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냉각구획조(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130)를 갖는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50)가 진입되는 진입관(142)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수(50)가 배출되는 배출관(144)으로 구성되는 공급배수관(140)을 갖는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면서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내부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내부에 연결 배치되어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수(50)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공급관(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수(50)가 상기 냉각공급관(150)으로 진입된 후,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외부냉각관(114)을 순환한 후, 상기 배출관(114)으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50)와 상호 격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냉각하우징(110)은, 상기 클린커제거부(200)가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클린커제거부(200) 및 상기 내부냉각관(112)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인트(130)는, 상기 냉각구획조(120)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상기 외부냉각관(11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130)의 내부로는,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냉각관(114) 내부에서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내부까지 배치 형성되는 상기 냉각공급관(15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130)의 내부로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을 순환한 상기 냉각수(50)가 상기 냉각공급관(150)의 외경을 따라 상기 조인트(1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냉각공급관(15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냉각수(50)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 공급하고, 상기 냉각하우징(110)은, 상기 냉각공급관(150)에 간섭되지 않은 채로,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지지 된 채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지지관(162)과,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의 하부에서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64)이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은, 상기 냉각하우징(110)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회전시 상기 냉각하우징(110) 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몸체부(100)은,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직경이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직경이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이유는, 상기 내부냉각광(112)에 진입된 상기 냉각수(50)가 상기 외부냉각관(114)으로 유동시에, 병목현상을 주어 상기 냉각수(50)의 배출 속도를 늦추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5를 설명하면,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외부냉각관(114)이 연결되는 부위 외면을 감싸는 제1밀폐베어링(512)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는 제1밀폐문(514)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제1밀폐문(514)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외면을 감싸는 제2밀폐베어링(516)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밀폐문(514)과 더불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이중으로 격리하는 제2밀폐문(518)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밀폐문(514)에는, 상기 제1밀폐문(514)과 제2밀폐문(518)의 사이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그 사이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주입구(515)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1밀폐베어링(512)은,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외경을 감싼 채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면서,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회전시 그 외부냉각관(114)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밀폐문(518)과 상기 제2밀폐베어링(516)은,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외경을 감싼 채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면서,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회전시 그 외부냉각관(114)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밀폐문(518)은,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의 열기가 상기 제2밀폐문(518)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밀폐베어링(516)은,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외주연을 가압하면서도 상기 외부냉각관(114)이 회전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밀폐문(514)은,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의 열기 중에서 상기 제2밀폐문(518)의 외부로 노출된 열기를 한번 더 견고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밀폐베어링(512) 또한,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외주연을 가압하면서도 상기 외부냉각관(114)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밀폐문(514)에는, 상기 제1밀폐문(514)의 외부에서 상기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2밀폐문(518)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그 사이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각주입구(5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냉각주입구(515)에 주입된 냉각공기는, 상기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2밀폐문(518)의 사이 공간을 직접적으로 냉각시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주변 구성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2밀폐문(518)의 이중 구조를 이루며,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원활하게 진입 및 연결된 채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부양함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면서,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는 봉 형태의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봉 형태의 외부냉각관(114)으로 구성되는 냉각하우징(11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 촉매제로 물과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냉각 촉매제로 공기를 사용할 경우,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외부냉각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외부에서 진입되는 냉각공기(70)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공기(70)를 구획하는 냉각구획조(120)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냉각구획조(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130)를 갖는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공기(70)가 진입되는 진입관(142)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공기(70)가 배출되는 배출관(144)으로 구성되는 공급배수관(140)을 갖는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면서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내부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내부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공기(70)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공급관(15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상기 클린커제거부(200)가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로 진입된 냉각 공기를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홈(160)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냉각홈(160)은,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상기 클린커제거부(200)의 제거칼날(210)이 배치된 부위에 다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내부냉각관(112)을 관통하면서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유동 되는 상기 냉각공기(70) 중 일부는, 상기 보조냉각홈(160)을 통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화격자(590)의 상부와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동시에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냉각홈(160)을 통해 상기 화격자(590)의 상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공기(70)는, 상기 화격자(590)에서 연소 되는 상기 고형연료(10)에 산소를 공급하여, 상기 고형연료(10)가 완전연소 되도록 보조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공기(70)가 상기 냉각공급관(150)으로 진입된 후,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외부냉각관(114)을 순환한 후, 상기 배출관(114)으로 배출되는 상기 냉각공기(70)와 상호 격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하우징(110)은, 상기 클린커제거부(200)가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클린커제거부(200) 및 상기 내부냉각관(112)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인트(130)는, 상기 냉각구획조(120)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상기 외부냉각관(11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130)의 내부로는,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냉각관(114) 내부에서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내부까지 배치형성되는 상기 냉각공급관(15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130)의 내부로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을 순환한 상기 냉각공기(70)가 상기 냉각공급관(150)의 외경을 따라 상기 조인트(1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냉각공급관(15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냉각공기(70)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 공급하고, 상기 냉각하우징(110)은, 상기 냉각공급관(150)에 간섭되지 않은 채로,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지지 된 채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지지관(162)과,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의 하부에서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64)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냉각몸체부(100)은,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직경이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직경이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이유는, 상기 내부냉각광(112)에 진입된 상기 냉각공기(70)가 상기 외부냉각관(114)으로 유동시에, 병목현상을 주어 상기 냉각공기(70)가 상기 내부냉각관(112)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상기 냉각공기(70)는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고형연료(10)가 내부로 진입되어 연소 되면서 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연소몸체부(500)를 갖는다.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연솜몸체부(500) 내부에 배치되되, 다수 개가 상호 겹치게 연결되면서 환형 형태를 이루고, 상면에 고형연료(10)가 거치 된 채로 연소 될 수 있도록 하는 화격자(590)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화격자(59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환형 형태를 갖되, 상기 화격자(590)가 회전되도록 하는 턴테이블(58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 측면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진입거치부(5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선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부위를 물 또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냉각몸체부(1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격자(590)에 발생 되는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제거부(200)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구획되어 다수 개의 층을 이루면서 각 층에서 별도로 공기를 분배주입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60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부(600)에 의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진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압유도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부양함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면서,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는 봉 형태의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봉 형태의 외부냉각관(114)으로 구성되는 냉각하우징(110)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냉각관(112)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진입거치부(5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선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부위를 물 또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냉각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는 상기 클린커제거부(20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린커제거부(200)가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회전에 연동 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화격자(590)에 발생 되는 클린커(30)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부냉각관(114)에는,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 외부에 구비된 채로, 상기 외부냉각관(114)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냉각관(114)이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내부냉각관(112)에 연결된 다수 개의 상기 제거칼날(210)이 연동 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외부냉각관(114) 외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기어(310)와, 상기 돌출기어(310)에 연결된 체인(320)과, 상기 체인(320)에 연결되되 상기 돌출기어(310)와 마주보며 형성되는 연결기어(330)와, 상기 연결기어(33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기어(330)를 회전하는 모터(340)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냉각시키면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기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 촉매제로 물과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냉각 촉매제로 물을 사용할 경우,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외부냉각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외부에서 진입되는 냉각수(50)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수(50)를 구획하는 냉각구획조(120)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냉각구획조(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130)를 갖는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50)가 진입되는 진입관(142)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수(50)가 배출되는 배출관(144)으로 구성되는 공급배수관(140)을 갖는다.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면서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내부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내부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수(50)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공급관(15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턴테이블(580)의 하부에서 상기 화격자(590)를 상 방향으로 관통배치되면서, 외부에서 상기 고형연료(10)를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로 공급하는 호퍼(58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는, 상기 고형연료(10)가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부(535)와, 상기 컨베이어부(535)로부터 이송된 상기 고형연료(10)가 유입되어 상기 호퍼(585)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관 형태의 실린더부(5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는, 상기 실린더부(52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된 채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실린더부(520)에 유입된 상기 고형연료(10)를 밀어 이송되도록 하는 실린더로드부(53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화격자(590)와 상기 턴테이블(580)은, 상기 호퍼(585)의 외면을 감싸면서 고정연결된다.
상기 컨베이어부(535)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10)는, 관 형태의 상기 실린더부(520)를 통해 상기 호퍼(585)를 지나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로 진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520)와 상기 호퍼(585)의 사이에는 베어링(525)이 형성되고, 상기 턴테이블(580)가 회전되면, 상기 베어링(525)에 의해 상기 호퍼(585)와 상기 턴테이블(580)는 연동 되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525)을 통해, 상기 실린더부(520)는, 상기 호퍼(585)와 상기 턴테이블(58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고정형성되게 된다.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지지 된 채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지지관(162)과,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의 하부에서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64)이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은, 상기 냉각하우징(110)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회전시 상기 냉각하우징(110) 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외부냉각관(114)이 연결되는 부위 외면을 감싸는 제1밀폐베어링(512)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는 제1밀폐문(514)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제1밀폐문(514)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외면을 감싸는 제2밀폐베어링(516)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밀폐문(514)과 더불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이중으로 격리하는 제2밀폐문(518)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밀폐문(514)에는, 상기 제1밀폐문(514)의 외부에서 상기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2밀폐문(518)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그 사이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각주입구(5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냉각주입구(515)에 주입된 냉각공기는, 상기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2밀폐문(518)의 사이 공간을 직접적으로 냉각시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주변 구성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2밀폐문(518)의 이중 구조를 이루며,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원활하게 진입 및 연결된 채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호퍼(585)의 개구 된 상부를 통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고형연료(1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서 연소 되면서 열과 스팀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고형연료(10)가 연소 되면서 발생 되는 열과 스팀은 에너지로 변환되어 재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다수 개의 조각이 상호 결합 되어 상기 고형연료(10)의 연소시 상기 고형연료(10)를 지지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바닥면을 이루는 화격자(59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화격자(590)는, 다수 개의 조각이 상호 결합 되어 조립됨으로써 환형 형태로 된 하나의 화격자(590)를 이루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고형연료(10)가 연소 되는 과정에서 고열에 의해 상기 화격자(590)가 부분적으로 훼손되더라도 그 훼손된 부위만 별도로 교체함으로써 소모부품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화격자(590)의 상부에 거치 된 상기 고형연료(10)는, 상기 턴테이블(580)의 회전을 통해 연동 되는 상기 화격자(59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격자(590)의 내측에서부터 외 측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되면서 완전연소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화격자(590)와 상기 턴테이블(580)의 테두리 부위 하부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화격자(590)에서 연소 된 상기 고형연료(10)의 재가 이송되어 저장되는 재실(50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재실(505)에는, 상기 재실(505)로 유입된 상기 고형연료(10)의 재를 상기 재실(505)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판(507)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재실(505)에는, 바닥면에 관통형성되어 재가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는 배출공(509)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509)의 하부에는 상기 재실(505)의 재가 상기 배출공(509)을 통해 배출된 후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재통(506)이 배치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배출판(507)은, 상기 턴테이블(580) 하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재실(505)에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580)이 회전됨에 따라 연동 되면서 상기 재실(505) 내부의 재를 상기 배출공(509)으로 유도하여 그 재가 상기 연소몸체부(500) 외부로 토출 되어 상기 재통(506)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호퍼(585)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로부터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진입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호퍼(585)는, 상기 고형연료(100)가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호퍼(585)는, 상기 턴테이블(580)과 상기 화격자(590)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진입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부(520)를 통해 상기 호퍼(585)로 진입된 상기 고형연료(1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의 상기 화격자(590) 상면으로 이송되어 연소 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화격자(590)와 상기 턴테이블(580)과 상기 호퍼(585)는, 내열성이 강한 철재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고형연료(10)가 내부로 진입되어 연소 되면서 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면에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벽과 일체로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구획되어 다수 개의 층을 이루면서 각 층에서 별도로 공기를 분배주입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600)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부(6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벽을 감싸면서 구비되되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면을 따라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적층 되게 연결배치된다.
상기 고형연료(10)가 연소 되게 되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는 1,000℃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열은 상기 연소몸체부(500) 주변의 부품들을 훼손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면과 내부를 냉각시켜, 상기 연소몸체부(500) 주변 부품들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와 상기 냉각부(600)는, 내열성이 강한 강철 또는 다양한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내열성이 강한 금속을 주물형태로 제작사용하여 열의 의한 변형을 최소화시킨다.
이러한 상기 냉각부(6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구획되어 다수 개의 층을 이루면서 각 층에서 별도로 공기를 분배주입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를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부(6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와 내부에 전달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외부에서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되, 예열 된 공기가 투입되도록 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의 연소분위기가 상승 되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의 연소분위기가 상승 되면, 연소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에너지전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소몸체부(500)를 감싸는 부품들에 고압에 의한 열이 전달되게 되면 그 부품들이 단시간에 훼손되게 되는데, 이를 조절하여 열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음압유도부(700)가 사용 되게 된다.
즉,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음압유도부(700)가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음압유도부(7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부(600)에 의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진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음압유도부(700)를 통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유동 되기 때문에,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가 음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양압 운전으로 인한 연소로 내 외통 및 주변 부품들이 훼손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부(600)는, 상기 냉각부(6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량센서(603)와, 상기 유량센서(603)에서 측정된 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냉각부(6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장치(605)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고형연료(10)가 발화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불꽃을 제공하는 기동버너(570)와, 상기 연소몸체부(500)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스팀이나 전기로 전환 시키는 에너지교환부(57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냉각부(600)는, 상기 냉각부(6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량센서(603)와, 상기 유량센서(603)에서 측정된 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냉각부(6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장치(605)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절장치(605)로는 댐퍼(damper) 또는 질량유량계(MFC)와 같은 유량조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량센서(603)는, 상기 냉각부(6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연소몸체부(500)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다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냉각부(600)에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유량센서(603)는, 상기 냉각부(6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압유도부(7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609)와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압력센서(609)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의 차압을 견고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다층으로 적층형성된 상기 냉각부(600) 각각의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유량센서(603)와 상기 압력센서(609)에서 측정된 유량 수치와 압력 수치를 수신하고, 유량 수치와 압력 수치에 따라 상기 공기조절장치(605)와 상기 음압유도부(700)를 제어하는 제어기(502)와, 상기 온도센서(601)에서 측정된 정보를 상기 컨베이어부(535)로 송신하는 송신기(5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601)는, 다층으로 적층형성된 상기 냉각부(600) 각각에 구비되어 부위별 온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량센서(603)와 상기 압력센서(609) 및 상기 온도센서(601)의 위치와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것이 당연하다.
상기 컨베이어부(535)는, 상기 송신기(504)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베이어부(535)에서 이송되는 상기 고형연료(10)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량제어기(56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송신기(504)는, 상기 온도센서(601)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를 상기 컨베이어부(535)로 송신하고, 상기 컨베이어부(535)에서는 상기 송신기(504)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공급량제어기(560)가 상기 컨베이어부(535)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급량제어기(560)는, 상기 컨베이어부(535)에서 상기 실린더부(520)로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10)의 양을 제어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10)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특히,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고형연료(10)가 발화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불꽃을 제공하는 기동버너(570)와, 상기 연소몸체부(500)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스팀이나 전기로 전환 시키는 에너지교환부(57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음압유도부(7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 상부에 연결되는 연통(710)과, 상기 연통(710)에 연결되는 음압발생기(720)와, 상기 연통(710)과 상기 음압발생기(720) 사이에 형성되어 가스상 유해물질과 입자상 유해물질을 갖는 연소가스를 제거 또는 분해하는 유해가스처리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동버너(570)는, 제작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와 형태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너지교환부(575)는,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에서 발생 된 열을 이용하여, 스팀으로 전환된 상태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그 스팀을 이용해서 전기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에너지교환부(575)는, 발전기를 통해 에너지를 변환시켜 사용하는 보일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해가스처리부(730)는, 상기 연통(710)에 연결되되 상기 에너지교환부(540)와 상기 음압발생기(720) 사이에 형성되어 유해한 가스를 분해 또는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유해가스처리부(730)로는, SNCR, SCR, SDR, DR, 백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에너지교환부(575)는, 폐 연료를 가공한 상기 고형연료(10)를 통해 발생 된 열에너지를 활용하여 작동되고, 이로 인해 에너지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몸체부(500)를 지지하며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지지몸체부(300)의 하부에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다수 개의 바퀴(50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바퀴(501)는,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작동 중에는 상기 바퀴(501)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고정구(503)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연소장치의 가동중에 클린커를 원활하게 제거함으로써, 연소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클린커에 의해 연소장치 및 각 구성물이 훼손되거나 화재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연소장치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면서 연소로 내에서 고형연료를 연소하여 재사용 에너지를 생산하는 생산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고형연료 30 : 클린커
100 : 냉각몸체부 110 : 냉각하우징
112 : 내부냉각관 114 : 외부냉각관
120 : 냉각구획조
130 : 조인트
140 : 공급배수관 142 : 진입관
144 : 배출관
150 : 냉각공급관
162 : 베어링지지관 164 : 지지테이블
200 : 클린커제거부 210 : 제거칼날
300 : 동력전달부 310 : 돌출기어
320 : 체인 330 : 연결기어
340 : 모터
500 : 연소몸체부 502 : 제어기
504 : 송신기 505 : 재실
506 : 재통 507 : 배출판
509 : 배출공
510 : 진입거치부 512 : 제1밀폐베어링
514 : 제1밀폐문 515 : 냉각주입구
516 : 제2밀폐베어링 518 : 제2밀폐문
520 : 실린더부 525 : 베어링
530 : 실린더로드부
535 : 컨베이어부
570 : 기동버너 575 : 에너지교환부
580 : 턴테이블 585 : 호퍼
590 : 화격자
600 : 냉각부 601 : 온도센서
603 : 유량센서 605 : 공기조절장치
609 : 압력센서
700 : 음압유도부 710 : 연통
720 : 음압발생기 730 : 유해가스처리부

Claims (18)

  1. 고형연료(10)가 연소되는 공간을 갖는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선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부위를 물 또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냉각몸체부(100);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하부에 설치된 화격자(590)에 발생되는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제거부(200); 및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클린커제거부(200)는,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다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회전에 따라 연동 되면서 상기 화격자(590)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는 제거칼날(2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 배치되는 봉 형태의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봉 형태의 외부냉각관(114)으로 구성되는 냉각하우징(110);
    상기 외부냉각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외부에서 진입되는 냉각수(50)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수(50)를 구획하는 냉각구획조(120);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냉각구획조(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130);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50)가 진입되는 진입관(142)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수(50)가 배출되는 배출관(144)으로 구성되는 공급배수관(140); 및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면서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내부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내부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수(50)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공급관(150);을 포함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지지된 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지지관(162)과,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의 하부에서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6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몸체부(100)은,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직경이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외부냉각관(114)이 연결되는 부위 외면을 감싸는 제1밀폐베어링(512)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는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1밀폐문(514)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외면을 감싸는 제2밀폐베어링(516)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밀폐문(514)과 더불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이중으로 격리하는 제2밀폐문(518)을 포함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폐문(514)에는,
    상기 제1밀폐문(514)과 제2밀폐문(518)의 사이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그 사이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주입구(515)가 더 포함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칼날(210)은,
    측 단면이 삼각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 배치되는 봉 형태의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봉 형태의 외부냉각관(114)으로 구성되는 냉각하우징(110);
    상기 외부냉각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외부에서 진입되는 냉각공기(70)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공기(70)를 구획하는 냉각구획조(120);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냉각구획조(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130);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공기(70)가 진입되는 진입관(142)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공기(70)가 배출되는 배출관(144)으로 구성되는 공급배수관(140);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면서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내부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내부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공기(70)가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공급관(150); 및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상기 클린커제거부(200)가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로 진입된 냉각 공기를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홈(160)을 포함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10. 고형연료(10)가 내부로 진입되어 연소 되면서 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화격자(590)와, 상기 화격자(59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환형 형태를 갖되, 상기 화격자(590)가 회전되도록 하는 턴테이블(580)과, 하부 측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진입거치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소몸체부(500);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선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진입된 부위를 물 또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냉각몸체부(100);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격자(590)에 발생 되는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제거부(200);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냉각몸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0);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구획되어 다수 개의 층을 이루면서 각 층에서 별도로 공기를 분배주입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600); 및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부(600)에 의해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진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압유도부(700);를 포함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몸체부(100)는,
    상기 진입거치부(510)를 통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에 진입배치되는 봉 형태의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내부냉각관(112)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봉 형태의 외부냉각관(114)으로 구성되는 냉각하우징(110);
    상기 외부냉각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냉각을 위해 외부에서 진입되는 물 또는 공기로 이루어진 냉각물질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물질을 구획하는 냉각구획조(120);
    상기 냉각하우징(110)과 상기 냉각구획조(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회전시 상기 냉각구획조(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130);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외면에 연결되어 냉각물질이 진입되는 진입관(142)과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서 순환된 냉각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관(144)으로 구성되는 공급배수관(140); 및
    상기 진입관(142)에 연결되면서 상기 냉각구획조(120)의 내부와 상기 냉각하우징(110)의 내부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진입관(142)을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물질이 상기 냉각하우징(11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공급관(150);을 포함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턴테이블(580)의 하부에서 상기 화격자(590)를 상 방향으로 관통배치되면서, 외부에서 상기 고형연료(10)를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로 공급하는 호퍼(585)를 포함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 외부에는,
    상기 고형연료(10)가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부(535)와,
    상기 컨베이어부(535)로부터 이송된 상기 고형연료(10)가 유입되어 상기 호퍼(585)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관 형태의 실린더부(520)와,
    상기 실린더부(52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된 채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실린더부(520)에 유입된 상기 고형연료(10)를 밀어 이송되도록 하는 실린더로드부(530)가 포함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600)는,
    외부에서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610)와,
    상기 냉각부(6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량센서(603)와,
    상기 유량센서(603)에서 측정된 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냉각부(6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장치(605)를 포함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몸체부(500)는,
    상기 고형연료(10)가 발화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몸체부(500) 내부에 불꽃을 제공하는 기동버너(570)와,
    상기 연소몸체부(500)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스팀이나 전기로 전환 시키는 에너지교환부(575)를 포함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냉각관(114)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하우징(110)이 지지 된 채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지지관(162)과,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의 하부에서 상기 베어링지지관(162)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6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거치부(510)는,
    상기 내부냉각관(112)과 상기 외부냉각관(114)이 연결되는 부위 외면을 감싸는 제1밀폐베어링(512)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는 제1밀폐문(514)과,
    상기 제1밀폐문(514)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내부냉각관(112)의 외면을 감싸는 제2밀폐베어링(516)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밀폐문(514)과 더불어 상기 연소몸체부(500)의 내부와 외부를 이중으로 격리하는 제2밀폐문(518)을 포함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폐문(514)에는,
    상기 제1밀폐문(514)과 제2밀폐문(518)의 사이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그 사이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주입구(515)가 더 포함되는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KR1020120079245A 2012-07-20 2012-07-20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KR10123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45A KR101232866B1 (ko) 2012-07-20 2012-07-20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45A KR101232866B1 (ko) 2012-07-20 2012-07-20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866B1 true KR101232866B1 (ko) 2013-02-13

Family

ID=4789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245A KR101232866B1 (ko) 2012-07-20 2012-07-20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8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33B1 (ko) 2013-02-22 2014-10-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보일러 크링커 제거장치
KR101557870B1 (ko) 2014-10-17 2015-10-06 에너원 주식회사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KR101726723B1 (ko) * 2015-11-17 2017-04-13 (주)유성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KR101767369B1 (ko) * 2015-08-06 2017-08-11 (주)유성 연소로에서 이동가능한 클린커 제거장치
CN107883389A (zh) * 2017-11-10 2018-04-06 上海宝钢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滚筒法渣处理工艺的漏斗清渣装置
KR20190001114U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롬스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CN117167754A (zh) * 2023-11-03 2023-12-05 华能山东发电有限公司烟台发电厂 一种干式除渣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153A (ja) * 1995-12-28 1997-07-11 Hitachi Zosen Corp 高温溶融炉における排気ダクトのダスト除去装置
JP2004012078A (ja) 2002-06-10 2004-01-15 Takuma Co Ltd ダクト清掃装置
JP2007240051A (ja) 2006-03-07 2007-09-20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水冷式水平回転体のエア抜き構造
KR100888253B1 (ko) 2008-05-23 2009-03-10 (주) 위넥스뷰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153A (ja) * 1995-12-28 1997-07-11 Hitachi Zosen Corp 高温溶融炉における排気ダクトのダスト除去装置
JP2004012078A (ja) 2002-06-10 2004-01-15 Takuma Co Ltd ダクト清掃装置
JP2007240051A (ja) 2006-03-07 2007-09-20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水冷式水平回転体のエア抜き構造
KR100888253B1 (ko) 2008-05-23 2009-03-10 (주) 위넥스뷰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33B1 (ko) 2013-02-22 2014-10-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보일러 크링커 제거장치
KR101557870B1 (ko) 2014-10-17 2015-10-06 에너원 주식회사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KR101767369B1 (ko) * 2015-08-06 2017-08-11 (주)유성 연소로에서 이동가능한 클린커 제거장치
KR101726723B1 (ko) * 2015-11-17 2017-04-13 (주)유성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KR20190001114U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롬스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KR200489378Y1 (ko) * 2017-11-01 2019-09-30 주식회사 롬스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CN107883389A (zh) * 2017-11-10 2018-04-06 上海宝钢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滚筒法渣处理工艺的漏斗清渣装置
CN117167754A (zh) * 2023-11-03 2023-12-05 华能山东发电有限公司烟台发电厂 一种干式除渣机
CN117167754B (zh) * 2023-11-03 2024-02-27 华能山东发电有限公司烟台发电厂 一种干式除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866B1 (ko)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KR101228423B1 (ko) 공냉식 연소로 설비
JP6751476B2 (ja) 自動灰処理機を含む熱分解ガス化炉
CN204254623U (zh) 垃圾气化清洁环保蓄热装置
CN206094112U (zh) 一种污泥焚烧系统
KR101229877B1 (ko) 턴테이블이 구비된 연소로 조립식 화격자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소로 설비
KR101228420B1 (ko) 직접선회 냉각장치를 구비한 연소설비
CN204648254U (zh) 农村生活垃圾焚烧系统
KR101228421B1 (ko) 연소로 연료투입장치 및 연료투입장치를 구비하는 연소로 설비
CN104197341A (zh) 往复式废气热解炉
JP2002155287A (ja) 産業廃棄物乾留ガス化溶融炉並びに乾留ガス利用の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及びその連続発電方法
KR101415450B1 (ko) 고형 폐기물의 연소설비
CN204345644U (zh) 新型垃圾焚烧炉
CN113124411A (zh) 一种含氟危废处理工艺
CN102997225A (zh) 固体燃料的燃烧方法和实现该种燃烧方法的装置
CN208717234U (zh) 一种垃圾衍生燃料热分解系统
CN207405125U (zh) 一种卧式生物质反应炉
KR101228422B1 (ko) 조립식 연소로를 갖는 연소설비
CN105546552A (zh) 树脂类危废流化床高温焚烧净化一体化装置及方法
KR101267024B1 (ko) 펠릿 연소 보일러
RU2406747C1 (ru) Пиролиз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тилизаци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CN209399370U (zh) 一种生活垃圾闪蒸矿化处理器所用炉排
CN210398935U (zh) 一种气化焚烧熔融一体炉
RU25394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в пульсирующем потоке
CN203440318U (zh) 一种多功能污泥气化与燃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