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723B1 -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723B1
KR101726723B1 KR1020150161098A KR20150161098A KR101726723B1 KR 101726723 B1 KR101726723 B1 KR 101726723B1 KR 1020150161098 A KR1020150161098 A KR 1020150161098A KR 20150161098 A KR20150161098 A KR 20150161098A KR 101726723 B1 KR101726723 B1 KR 101726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blade
cleaner body
cool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이재정
성동제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주)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 filed Critical (주)유성
Priority to KR102015016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700/00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Ash and slag handling in pulverulent fuel furnaces; Ash removal means for incinerators
    • F23J2700/001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Treatment of fumes or ashes
    • F23J2900/01003Ash crushing means associated with ash remov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소로 내의 화격자에 발생되는 클린커를 원활하게 제거하면서 연소로 내의 화력으로 인해 클린커 제거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클린커 제거장치가 연소로 내부에 장착되었다가 언제든지 탈착하여 외부로 이동될 수 있어, 클린커 제거장치의 부분 훼손이 발생될 경우 단 시간에 간편하게 클린커 제거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10) 내측 하부의 화격자(12) 상부에 배치된 채로 회전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클린커몸체(110)와,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연소로(10) 내의 클린커(30)를 제거하는 다수 개의 클린커블레이드(120)가 구비되는 클린커 제거부(100); 및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경에 밀착된 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결합되고, 내부에 유체가 순환될 수 있는 유체순환로(210)가 구비되는 봉 형태의 냉각관(220)과, 상기 냉각관(220)의 내부에 봉 형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냉각을 위한 냉각유체(50)가 내부에서 외부로 분사되면서 상기 냉각유체(50)가 냉각관(220) 내의 유체순환로(210)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공급관(230)이 구비되는 냉각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EQUIPMENT FOR CLINKER REMOVING OF COMBUSTION CHAMBER WITH COOLER}
본 발명은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소로 내의 화격자에 발생되는 클린커와 클린커 브레이커에 엉킨 철선 및 구리선을 원활하게 제거하면서 연소로 내의 화력으로 인해 클린커 제거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클린커 제거장치가 연소로 내부에 장착되었다가 언제든지 탈착하여 외부로 이동될 수 있어, 클린커 제거장치의 부분 훼손이 발생될 경우 단 시간에 간편하게 클린커 제거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소로에는 톱밥이나 목재 부스러기뿐만 아니라 사업장이나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을 펠릿 형태로 압축한 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형연료를 비성형으로 활용하거나, 파쇄잔재물, 전자폐기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폐기물연료까지 확대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형연료(성형, 비성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폐기물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일러나 열병합발전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는 온실가스 배출원인 경유/B-C 유 등(고가의 화석연료)을 사용하지 않아 연료비가 적게 들고 친환경적인 설비라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에너지 다소비 업체에서 자체적으로 이용하는 전용 보일러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발전설비나 열병합발전과 같은 곳에서도 널리 확산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고형연료를 연소시킬 때에는 점화된 고형연료에 단순히 연소공기를 공급하여 태우는데 그치고 있는 것이어서 연소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소공기를 공급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연소가 일어나도록 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를 태우는 화격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동율을 높여 운전효율을 증가시켜야 한다.
더불어 고형연료를 연소시킴에 따라 연소시 많은 재와 고형연료 속에 포함된 유리가루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연소로의 고열에 용융되면서 서로 뭉쳐 슬래그 및 클린커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재는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연소장치의 연소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클린커는 연소로 내의 화격자에 침착되어 연소효율을 저하시키고 연소장치의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린커 브레이커 자체에도 철선, 구리선 등이 감겨 브레이커 날을 가싸 장치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하거나 많이 감기는 경우 턴테이블에 까지 닿아 설비구동을 멈추게 하는 등 연속운전의 방해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에 연소로 내의 화격자에 침착된 클린커를 제거하는 클린커 제거장치가 연소로 내의 고열로 인해 훼손되거나 이물질로 인해 파손된 경우, 연소로 장치를 모두 교체하거나 연소로를 분해하여 클린커 제거장치를 교체하고 재사용하는데 까지 많은 소요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연로로 내의 클린커 제거장치를 교체할 경우, 클린커 제거장치와 관련된 모든 부품을 분해한 후, 클린커 제거장치를 조립하여 재 사용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길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인력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110300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 내부의 화격자 및 연소로의 각 구성물에 침착되는 클린커와 철선, 구리선 형태로 클린커 제거장치에 감기어 침착이 되는 클린커를 연소로장치의 운전중에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 내부의 화격자에 침착된 클린커를 제거하는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 내부에 장착되었다가 언제든지 탈착하여 이동가능할 수 있어, 클린커 제거장치의 부품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 내의 클린커 제거장치를 교체할 경우, 클린커 제거장치를 단시간에 분리한 후 교체함에 따라 작업자의 인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엉킨 클린커 브레이커가 설비를 간섭하거나 클린커 제거장치의 역할을 못하는 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로 내 연소분위기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10) 내측 하부의 화격자(12) 상부에 배치된 채로 회전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클린커몸체(110)와,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연소로(10) 내의 클린커(30)를 제거하는 다수 개의 클린커블레이드(120)가 구비되는 클린커 제거부(100); 및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경에 밀착된 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결합되고, 내부에 유체가 순환될 수 있는 유체순환로(210)가 구비되는 봉 형태의 냉각관(220)과, 상기 냉각관(220)의 내부에 봉 형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냉각을 위한 냉각유체(50)가 내부에서 외부로 분사되면서 상기 냉각유체(50)가 냉각관(220) 내의 유체순환로(210)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공급관(230)이 구비되는 냉각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는, 다수 개의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회전을 통해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 형태의 스크류면(112)이 구비되고,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내면에는, 상기 스크류면(112)에 회전을 통해 결합되면서 회전수에 따라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의 고정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는 대응스크류면(122)이 구비되며,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는, 상기 냉각관(220)이 회전을 통해 상기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스크류면(111)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스크류면(111)에 회전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스크류면(221)이 구비된다.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별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각각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될 경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상하 방향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일체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될 경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스크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클린커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쐐기돌기(114)가 구비되고,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내면에는, 상기 쐐기돌기(114)가 내부로 수용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상에 슬라이딩 된 후 고정되도록 하는 쐐기홈(124)이 구비되며,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서 고정될 경우,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와 상기 클린커몸체(110)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고정볼트(102)를 포함하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클린커몸체(110)의 내측으로 음각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홈(115)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냉각관(220)이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진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돌기(225)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관(220)이 클린커몸체(110)가 상호 고정될 경우,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냉각관(220)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결합볼트(104)를 포함한다.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별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다수 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유체공급관(230)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냉각유체(50)가 상기 유체공급관(23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체저장조(235)와, 상기 유체저장조(235)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체저장조(235)로 냉각유체(50)를 공급하는 공급라인(260)과, 상기 유체공급관(230)과 유체저장조(23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공급관(230)의 회전시 유체저장조(235)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270)와, 상기 냉각관(2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냉각관(220) 내의 유체순환로(210) 내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유체(50)가 냉각관(2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라인(280)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관(220) 내경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유체(50)가 유체순환로(210) 내에서 상하로 유동되면서 유동 속도를 조절하여 클린커 제거부(100)의 냉각 시간을 연장하도록 하는 유동제어판(224)이 포함된다.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와 냉각부(20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와 냉각부(200)를 부양한 채로 연소로(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도록 왕복운동 하는 대차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의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관(126)과, 상기 회전관(126)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관(126)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화격자(12) 상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는 제거칼날(128)을 포함하고,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이 회전 동작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부(30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고정되는 대차(240)와, 상기 대차(240)가 상기 연소로(10)의 외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연소로(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지지레일(245)과, 상기 대차(2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일(245)을 따라 유동되는 대차바퀴(250)와, 상기 대차(240)의 폭방향으로 상기 대차바퀴(250)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대차바퀴(250)가 회전되도록 하는 대차축(255)과, 상기 대차축(255)에 연결되어 상기 대차축(255)이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대차모터(26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레일(245)은, 렉과 같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차바퀴(250)는, 상기 지지레일(245)에 대응되는 피니언과 같은 톱니바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대차부(30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대차부(300) 상에서 고정된 상태로 연소로(10) 내에서 동작 될 경우, 상기 대차(240)와 지지레일(245)을 상호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대차(240)가 지지레일(245)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차고정판(26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거칼날(128)은, 상기 화격자(12)에 진입되어 상기 제거칼날(128)을 통해 제거되는 클린커(30)에 포함된 파쇄잔재물(80)이 상기 회전관(126)의 외면에 감기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파쇄잔재물(80)을 절단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날로 이루어진 스크류절단면(129)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의 가동 중에 클린커를 분쇄하여 크기를 줄여주면서 설비의 부하를 줄이고 클린커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 내부의 화격자에 침착된 클린커가 분리되면서 클린커가 연소로 내부의 테두리 부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클린커를 원활하게 제거함으로써 연소효율 및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클린커 제거장치가 연소로 내부에 장착되었다가 언제든 탈착되어 외부로 이동 가능할 수 있어, 클린커 제거장치의 부품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부분적인 부품 교체와 교체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지출비용을 줄이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클린커 제거장치가 다수개의 연소로 중 선택된 연소로에서 사용된 후 다른 연소로로 간편하게 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로 설비의 제작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클린커 제거장치를 신속하게 이동사용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 내의 클린커 제거장치를 교체할 경우, 클린커 제거장치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인력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클린커 제거장치 블레이드 날이 나선형 구조로된 블레이드의 형태로 되어 있어, 블레이드에 감겨있는 철선, 구리선 등을 연속적으로 클린커제거장치의 날로부터 감김을 해소하여 배출할 수 있어 클린커제거장치의 청소작업시간을 최소화하고 운전시간을 연장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다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예로 연소로 내의 화격자에 발생되는 클린커를 원활하게 제거하면서 연소로 내의 화력으로 인해 클린커 제거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클린커 제거장치의 부분 훼손이 발생될 경우 단 시간에 간편하게 클린커 제거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특히, 클린커 제거부, 냉각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10) 내측 하부의 화격자(12) 상부에 배치되어 클린커몸체(110)와 클린커블레이드(120)를 통해 화격자(12) 상부의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 제거부(100)와, 유체순환로(210)가 구비되는 냉각관(220)과 내부에 냉각유체(50)를 유체순환로(210)로 공급하는 유체공급관(230)을 통해 클린커몸체(110)가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는, 연소로(10) 내측 하부의 화격자(12) 상부에 배치된 채로 회전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클린커몸체(110)와,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연소로(10) 내의 클린커(30)를 제거하는 다수 개의 클린커블레이드(120)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경에 밀착된 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결합되고, 내부에 유체가 순환될 수 있는 유체순환로(210)가 구비되는 봉 형태의 냉각관(220)과, 상기 냉각관(220)의 내부에 봉 형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냉각을 위한 냉각유체(50)가 내부에서 외부로 분사되면서 상기 냉각유체(50)가 냉각관(220) 내의 유체순환로(210)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공급관(230)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상기 화격자(12)의 상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연동되어 상기 화격자(12) 상의 클린커(30)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유체공급관(230)을 통해 냉각유체(50)가 냉각관(220)의 유체순환로(210)로 공급되어 유체순환로(210)를 순환하면서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에 밀착형성되는 클린커몸체(110)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유체(50)는 공기 또는 상온보다 낮은 온도의 물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클린커몸체(110)를 원활하게 냉각 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유체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즉,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은 연소로(10)의 내부에서 고형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화력에 의해 열기를 전달받게 되는데, 이러한 열기가 지속될 경우 클린커몸체(110)를 포함하는 클린커 제거부(100)가 훼손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경에 밀착배치되는 상기 냉각관(220)의 유체순환로(210)에서 냉각유체(50)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유체(50)가 간접적으로 상기 클린커몸체(110)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는, 다수 개의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회전을 통해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 형태의 스크류면(112)이 구비되고,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내면에는, 상기 스크류면(112)에 회전을 통해 결합되면서 회전수에 따라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의 고정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는 대응스크류면(122)이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는, 상기 냉각관(220)이 회전을 통해 상기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스크류면(111)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스크류면(111)에 회전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스크류면(2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대응스크류면(122)이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면(112)을 타고 결합되면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외면에 간편하게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유동스크류면(221)이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결합스크류면(111)을 타고 결합되면서 상기 냉각관(220)이 클린커몸체(110) 내면에 간편하게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대응스크류면(122)이 스크류면(112)을 타고 결합되면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의 외면 상에서 일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호 결합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의 외면 상에서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호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결합스크류면(111)이 유동스크류면(221)을 타고 결합되면서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의 외면 상에서 일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호 결합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의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의 외면 상에서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호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는 스크류면(112)이 구비되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대응스크류면(122)을 통해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는 결합스크류면(111)이 구비되어 상기 냉각관(220)이 유동스크류면(221)을 통해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횟수에 따라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상의 고정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의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관(126)과, 상기 회전관(126)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관(126)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화격자(12) 상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는 제거칼날(12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이 회전 동작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별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다수 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회전관(126) 각각 내면에 대응스크류면(122)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회전관(126)의 고정 갯수를 선택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회전관(126)에는 상기 제거칼날(128)이 각각 하나 이상 배치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제거칼날(128)의 사용 갯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각각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될 경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상하 방향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일체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될 경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스크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회전관(126)과 상기 제거칼날(128)이 상기 클린커몸체(110)를 감쌀 수 있도록 대응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회전관(126)이 다수 개가 별도로 형성되면서 각각의 상기 회전관(126)에 제거칼날(128)이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판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형태는 상기 화격자(12) 상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어떠한 외관을 갖더라도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대응스크류면(122)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면(112)에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상에서 왕복운동 하면서 간편하게 고정 또는 이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별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10) 내측 하부의 화격자(12) 상부에 배치되어 클린커몸체(110)와 클린커블레이드(120)를 통해 화격자(12) 상부의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 제거부(100)와, 유체순환로(210)가 구비되는 냉각관(220)과 내부에 냉각유체(50)를 유체순환로(210)로 공급하는 유체공급관(230)을 통해 클린커몸체(110)가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클린커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쐐기돌기(114)가 구비되고,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내면에는, 상기 쐐기돌기(114)가 내부로 수용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상에 슬라이딩 된 후 고정되도록 하는 쐐기홈(12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서 고정될 경우,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와 상기 클린커몸체(110)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고정볼트(102)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클린커몸체(110)의 내측으로 음각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홈(115)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냉각관(220)이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진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돌기(22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관(220)이 클린커몸체(110)가 상호 고정될 경우,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냉각관(220)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결합볼트(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의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관(126)과, 상기 회전관(126)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관(126)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화격자(12) 상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는 제거칼날(12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이 회전 동작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관(126)과 제거칼날(128)로 이루어진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에서 상기 회전관(126)의 내면에는 상기 쐐기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쐐기홈(124)에 결합되는 쐐기돌기(114)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회전관(126)의 상기 쐐기홈(124)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쐐기돌기(114)에 결합된 채로, 상기 회전관(126)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을 감싼채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에 슬라이딩 되어 고정위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쐐기돌기(114)와 쐐기홈(124)은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상에서 고정위치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102)를 통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와 상기 클린커몸체(110)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상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볼트(102)를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와 상기 클린커몸체(11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관(126)의 상기 쐐기홈(124)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쐐기돌기(114)에 결합된 채로, 상기 회전관(126)이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서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에 슬라이딩 되면서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회전관(126)에 구비되는 쐐기홈(124)과 클린커몸체(110)의 쐐기돌기(114) 및 상기 고정볼트(102)를 통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에 간편하게 결합 고정 또는 분리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에 별도로 형성되는 링 형태의 회전관(126)에 구비되는 쐐기홈(124)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쐐기돌기(114)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회전관(126) 다수 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클린커블레이드(120)를 이루면서 쐐기홈(124)과 쐐기돌기(114)를 통해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회전관(126) 각각 내면에 쐐기홈(124)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회전관(126)의 고정 갯수를 선택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회전관(126)에는 상기 제거칼날(128)이 각각 하나 이상 배치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제거칼날(128)의 사용 갯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클린커몸체(110)의 내측으로 음각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홈(115)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냉각관(220)이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진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돌기(22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관(220)이 클린커몸체(110)가 상호 고정될 경우,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냉각관(220)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결합볼트(1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는 쐐기돌기(114)가 구비되어 상기 쐐기돌기(114)가 회전관(126)의 쐐기홈(124)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관(126)이 클린커몸체(110)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는 슬라이딩홈(115)이 구비되어 상기 냉각관(220)의 슬라이딩돌기(225)가 슬라이딩홈(115)에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의 슬라이딩돌기(225)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상기 슬라이딩홈(115)이 상기 냉각관(220)의 슬라이딩돌기(225)에 결합된 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을 감싼채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상기 냉각관(220) 상에서 슬라이딩 되어 고정위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홈(115)과 슬라이딩돌기(225)는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 상에서 고정위치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냉각관(220)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결합볼트(104)를 통해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 상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냉각관(220) 상에서 클린커몸체(11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볼트(104)를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상기 슬라이딩홈(115)이 상기 냉각관(220)의 슬라이딩돌기(225)에 결합된 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상기 냉각관(220) 상에서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상호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회전관(126)에 구비되는 쐐기홈(124)과 클린커몸체(110)의 쐐기돌기(114) 및 상기 고정볼트(102)를 통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에 간편하게 결합 고정 또는 분리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슬라이딩홈(115)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돌기(225) 및 상기 결합볼트(104)를 통해 상기 클린커몸체(110)가 냉각관(220)에 간편하게 결합 고정 분리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 개가 회전관(126)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제거칼날(128)과 함께 클린커블레이드(120)를 이루면서 클린커몸체(11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의 링 형태로 된 회전관(126)이 각각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될 경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상하 방향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관(126)이 일체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될 경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스크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회전관(126)과 상기 제거칼날(128)이 상기 클린커몸체(110)를 감쌀 수 있도록 대응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쐐기홈(124)과 쐐기돌기(114)를 통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상에 원할하게 연결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회전관(126)이 다수 개가 별도로 형성되면서 각각의 상기 회전관(126)에 제거칼날(128)이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판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형태는 상기 화격자(12) 상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별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10) 내측 하부의 화격자(12) 상부에 배치되어 클린커몸체(110)와 클린커블레이드(120)를 통해 화격자(12) 상부의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 제거부(100)와, 유체순환로(210)가 구비되는 냉각관(220)과 내부에 냉각유체(50)를 유체순환로(210)로 공급하는 유체공급관(230)을 통해 클린커몸체(110)가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유체공급관(230)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 되되 상기 냉각유체(50)가 상기 유체공급관(23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체저장조(235)와, 상기 유체저장조(235)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체저장조(235)로 냉각유체(50)를 공급하는 공급라인(2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유체공급관(230)과 유체저장조(23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공급관(230)의 회전시 유체저장조(235)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냉각관(2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냉각관(220) 내의 유체순환로(210) 내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유체(50)가 냉각관(2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라인(28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냉각관(220) 내경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 되되 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유체(50)가 유체순환로(210) 내에서 상하로 유동되면서 유동 속도를 조절하여 클린커 제거부(100)의 냉각 시간을 연장하도록 하는 유동제어판(224)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유체(50)가 상기 유제처장조(25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급라인(260)과 유체저장조(235)를 통해 상기 유체공급관(230)으로 공급되면, 상기 냉각유체(50)는 상기 유체공급관(230)에서 상기 냉각관(220) 내부의 유체순환로(210)로 공급되어 유체순환로(210)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배수라인(280)을 통해 상기 유체공급관(230)의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냉각유체(50)는 상기 냉각관(220)을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상기 클린커몸체(110)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제어판(224)은 상기 냉각유체(50)가 냉각관(220) 내의 유체순환로(210)에서 지그재그로 유동됨에 냉각유체(50)가 유체순환로(210) 내에서 머무는 시간을 수평으로 유동될 때 보다 오랫동안 지속 될 수 있도록 하면서 클린커몸체(11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인트(270)는, 상기 유체공급관(230)과 유체저장조(23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공급관(230)의 회전시 유체저장조(235)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조인트(270)는, 상기 냉각관(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체공급관(230)이 연동될 경우에도 상기 유체저장조(235)와 별도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8 및 도 9를 살펴보면,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와 냉각부(20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와 냉각부(200)를 부양한 채로 연소로(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도록 왕복운동 하는 대차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부(30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고정되는 대차(240)와, 상기 대차(240)가 상기 연소로(10)의 외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연소로(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지지레일(245)과, 상기 대차(2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일(245)을 따라 유동되는 대차바퀴(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차부(300)는, 상기 대차(240)의 폭방향으로 상기 대차바퀴(250)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대차바퀴(250)가 회전되도록 하는 대차축(255)과, 상기 대차축(255)에 연결되어 상기 대차축(255)이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대차모터(2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레일(245)은, 렉과 같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차바퀴(250)는, 상기 지지레일(245)에 대응되는 피니언과 같은 톱니바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대차부(30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대차부(300) 상에서 고정된 상태로 연소로(10) 내에서 동작 될 경우, 상기 대차(240)와 지지레일(245)을 상호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대차(240)가 지지레일(245)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차고정판(2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차부(300)는, 상기 연소로(10)의 외부에서 클린커 제거부(100)를 지지한 채로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왕복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차(24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를 지지한채로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차(240)의 하부에서 대차(240)를 지지하며 연결되는 상기 대차바퀴(250)는 상기 지지레일(245)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레일(245)을 따라 안내되면서 유동되게 된다.
상기 대차모터(263)는 상기 대차바퀴(250)와 연결되는 대차축(255)에 동력을 전달하여 대차축(255)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차바퀴(250)가 대차축(255)과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대차모터(263)는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차모터(263)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대차축(255)에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대차축(25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대차바퀴(250)가 회전되면서, 상기 대차바퀴(250)가 지지레일(245)을 따라 일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대차(240)에 고정된 클린커 제거부(100)가 연동되어 유동됨으로써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연소로(1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대차모터(263)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대차축(255)에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대차축(25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대차바퀴(250)가 지지레일(245)을 따라 일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연소로(10) 내부로 진입된 클린커 제거부(100)가 연소로(10)의 외부로 반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레일(245)이 렉과 같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차바퀴(250)는, 상기 지지레일(245)에 대응되는 피니언과 같은 톱니바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대차바퀴(250)는 상기 지지레일(245) 상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대차바퀴(250)의 정 방향 또는 역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대차(240)에 고정된 클린커 제거부(100)가 연동되어 견고하게 일 방향 또는 일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 예로 상기 지지레일(245)은, 렉과 같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차바퀴(250)는, 상기 지지레일(245)에 대응되는 피니언과 같은 톱니바퀴 형태로 형성된다고 하였지만, 상기 대차바퀴(250)가 지지레일(245)에서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왕복 운동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대차부(300)는, 물건을 실을 수 있는 트럭(70)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대차부(300)가 트럭(70)을 통하여 이동된 후 트럭(7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연소로(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차부(300)가 상기 트럭(70)에 고정된 상태로 트럭(70)이 이동되면서 다수 개의 연소로(10) 중에서 선택된 연소로(10)에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하나의 연소로(10)에서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의 사용이 종료될 경우, 상기 트럭(70)이 유동되도록 하여 상기 대차부(300)와 클린커 제거부(100)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후 다른 연소로(10)에 클린커 제거부(100)가 진입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다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는, 연소로(10) 내측 하부의 화격자(12) 상부에 배치되어 클린커몸체(110)와 클린커블레이드(120)를 통해 화격자(12) 상부의 클린커(30)를 제거하는 클린커 제거부(100)와, 유체순환로(210)가 구비되는 냉각관(220)과 내부에 냉각유체(50)를 유체순환로(210)로 공급하는 유체공급관(230)을 통해 클린커몸체(110)가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관(220)과 클린커몸체(110)의 결합과,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회전관(126)의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는 내용은 도 1내지 도 9에 상세히 기재되었으니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의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관(126)과, 상기 회전관(126)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관(126)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화격자(12) 상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는 제거칼날(12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거칼날(128)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스크류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거칼날(128)은, 상기 화격자(12)에 진입되어 상기 제거칼날(128)을 통해 제거되는 클린커(30)에 포함된 파쇄잔재물(80)이 상기 회전관(126)의 외면에 감기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파쇄잔재물(80)을 절단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날로 이루어진 스크류절단면(1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쇄잔재물(80)은 철선이나 구리선이 될 수 있고, 회전관(126)에 감길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파쇄잔재물(80)은 모두 상기 회전관(126)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절단면(129)에 의해 절단되어 파쇄잔재물(80)이 회전관(126)의 외면에 감기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거칼날(128)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스크류절단면(129)을 통해, 상기 파쇄잔재물(80)을 절단하여 파쇄잔재물(80)이 회전관(126)의 외면에 감기는 것을 차단하여, 연소로(10)의 가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연소로의 가동 중에 클린커를 분쇄하여 크기를 줄여주면서 설비의 부하를 줄이고 클린커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소로 내부의 화격자에 침착된 클린커가 분리되면서 클린커가 연소로 내부의 테두리 부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클린커를 원활하게 제거함으로써 연소효율 및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클린커 제거장치가 연소로의 내부에서 외부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어, 클린커 제거장치의 부품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부분적인 부품 교체와 교체시간의 단축에 의해 비용소모가 감소되도록 하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린커 제거장치가 다수개의 연소로 중 선택된 연소로에서 사용된 후 다른 연소로로 간편하게 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로 설비의 제작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클린커 제거장치를 신속하게 이동사용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연소로 내의 클린커 제거장치를 교체할 경우, 클린커 제거장치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간소화되고, 이에 따라, 인력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생산성 향상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연소로 12 : 화격자
30 : 클린커 50 : 냉각유체
100 : 클린커 제거부 110 : 클린커몸체
120 : 클린커블레이드 150 : 모터
200 : 냉각부 210 : 유체순환로
220 : 냉각관 224 : 유동제어판
230 : 냉각공급관 235 : 유체저장조
240 : 대차 245 : 지지레일
250 : 대차바퀴 255 : 대차축
260 : 공급라인 263 : 대차모터
265 : 대차고정판
270 : 조인트 280 : 배수라인
300 : 대차부

Claims (14)

  1. 연소로(10) 내측 하부의 화격자(12) 상부에 배치된 채로 회전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클린커몸체(110)와,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연소로(10) 내의 클린커(30)를 제거하는 다수 개의 클린커블레이드(120)가 구비되는 클린커 제거부(100); 및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경에 밀착된 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결합되고, 내부에 유체가 순환될 수 있는 유체순환로(210)가 구비되는 봉 형태의 냉각관(220)과, 상기 냉각관(220)의 내부에 봉 형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냉각을 위한 냉각유체(50)가 내부에서 외부로 분사되면서 상기 냉각유체(50)가 냉각관(220) 내의 유체순환로(210)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공급관(230)이 구비되는 냉각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는,
    다수 개의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회전을 통해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 형태의 스크류면(112)이 구비되고,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내면에는,
    상기 스크류면(112)에 회전을 통해 결합되면서 회전수에 따라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의 고정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는 대응스크류면(122)이 구비되며,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는,
    상기 냉각관(220)이 회전을 통해 상기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스크류면(111)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스크류면(111)에 회전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스크류면(221)이 구비되며,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별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와 냉각부(20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와 냉각부(200)를 부양한 채로 연소로(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도록 왕복운동 하는 대차부(300)를 포함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각각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될 경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상하 방향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일체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될 경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클린커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쐐기돌기(114)가 구비되고,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의 내면에는,
    상기 쐐기돌기(114)가 내부로 수용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클린커몸체(110) 상에 슬라이딩 된 후 고정되도록 하는 쐐기홈(124)이 구비되며,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가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서 고정될 경우,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와 상기 클린커몸체(110)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고정볼트(102)를 포함하고,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내면에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클린커몸체(110)의 내측으로 음각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홈(115)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관(220)의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냉각관(220)이 클린커몸체(110)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진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돌기(225)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관(220)이 클린커몸체(110)가 상호 고정될 경우, 상기 클린커몸체(110)와 냉각관(220)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결합볼트(104)를 포함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커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별도로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다수 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 상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유체공급관(230)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냉각유체(50)가 상기 유체공급관(23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체저장조(235)와,
    상기 유체저장조(235)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체저장조(235)로 냉각유체(50)를 공급하는 공급라인(260)과,
    상기 유체공급관(230)과 유체저장조(23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공급관(230)의 회전시 유체저장조(235)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270)와,
    상기 냉각관(2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냉각관(220) 내의 유체순환로(210) 내에서 순환된 상기 냉각유체(50)가 냉각관(2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라인(280)을 포함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220) 내경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유체(50)가 유체순환로(210) 내에서 상하로 유동되면서 유동 속도를 조절하여 클린커 제거부(100)의 냉각 시간을 연장하도록 하는 유동제어판(224)이 포함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의 클린커블레이드(12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관(126)과,
    상기 회전관(126)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관(126)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화격자(12) 상에 발생된 상기 클린커(30)를 제거하는 제거칼날(128)을 포함하고,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는,
    상기 클린커몸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클린커몸체(110)이 회전 동작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0)를 포함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30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고정되는 대차(240)와,
    상기 대차(240)가 상기 연소로(10)의 외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연소로(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지지레일(245)과,
    상기 대차(2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일(245)을 따라 유동되는 대차바퀴(250)와,
    상기 대차(240)의 폭방향으로 상기 대차바퀴(250)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대차바퀴(250)가 회전되도록 하는 대차축(255)과,
    상기 대차축(255)에 연결되어 상기 대차축(255)이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대차모터(263)를 포함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245)은,
    렉과 같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차바퀴(250)는,
    상기 지지레일(245)에 대응되는 피니언과 같은 톱니바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300)는,
    상기 클린커 제거부(100)가 대차부(300) 상에서 고정된 상태로 연소로(10) 내에서 동작 될 경우, 상기 대차(240)와 지지레일(245)을 상호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대차(240)가 지지레일(245)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차고정판(265)을 더 포함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칼날(128)은,
    상기 화격자(12)에 진입되어 상기 제거칼날(128)을 통해 제거되는 클린커(30)에 포함된 파쇄잔재물(80)이 상기 회전관(126)의 외면에 감기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파쇄잔재물(80)을 절단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날로 이루어진 스크류절단면(129)을 더 포함하는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KR1020150161098A 2015-11-17 2015-11-17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KR101726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98A KR101726723B1 (ko) 2015-11-17 2015-11-17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98A KR101726723B1 (ko) 2015-11-17 2015-11-17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723B1 true KR101726723B1 (ko) 2017-04-13

Family

ID=5857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098A KR101726723B1 (ko) 2015-11-17 2015-11-17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114U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롬스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KR101997505B1 (ko) * 2018-09-10 2019-07-08 안상일 파이프형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KR20200028148A (ko) * 2018-09-06 2020-03-16 안상일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737A (ja) * 1996-04-03 1997-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抜差型煤吹装置
JP2005241213A (ja) * 2004-02-27 2005-09-08 Takuma Co Ltd ダクト清掃装置
JP2005296972A (ja) * 2004-04-07 2005-10-27 Fuji Heavy Ind Ltd 金型冷却構造
KR101103000B1 (ko) 2009-04-13 2012-01-05 주식회사 에너지 오션 다단계 연소방식에 의한 고형연료 연소장치
KR101232866B1 (ko) * 2012-07-20 2013-02-13 (주)유성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737A (ja) * 1996-04-03 1997-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抜差型煤吹装置
JP2005241213A (ja) * 2004-02-27 2005-09-08 Takuma Co Ltd ダクト清掃装置
JP2005296972A (ja) * 2004-04-07 2005-10-27 Fuji Heavy Ind Ltd 金型冷却構造
KR101103000B1 (ko) 2009-04-13 2012-01-05 주식회사 에너지 오션 다단계 연소방식에 의한 고형연료 연소장치
KR101232866B1 (ko) * 2012-07-20 2013-02-13 (주)유성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114U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롬스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KR200489378Y1 (ko) * 2017-11-01 2019-09-30 주식회사 롬스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KR20200028148A (ko) * 2018-09-06 2020-03-16 안상일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KR102093034B1 (ko) * 2018-09-06 2020-03-24 안상일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KR101997505B1 (ko) * 2018-09-10 2019-07-08 안상일 파이프형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723B1 (ko)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US10036554B2 (en) Wood pellet boiler
US9951957B2 (en) Air-cooled combustion furnace system
US8372166B2 (en) Plasma assisted gasification system
KR100888253B1 (ko) 냉각장치를 적용한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CN102620297A (zh) 单元模块化大型生活垃圾焚烧炉
WO2012127562A1 (ja) 燃焼装置
KR101361483B1 (ko) 바이오매스 고체연료 보일러
CN108672924B (zh) 一种具有镜片清洗功能的激光切割机
KR101248589B1 (ko) 향상된 열효율을 갖는 보일러
KR101503298B1 (ko) 연소장치
KR101767369B1 (ko) 연소로에서 이동가능한 클린커 제거장치
US20120117877A1 (en) Plasma assisted gasification system with internal syngas heater
US8747499B2 (en) Modular plasma assisted gasification system
KR100921906B1 (ko)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KR101557870B1 (ko)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JP2017161139A (ja) ボイラ装置
CN108361825B (zh) 一种具有加热功能的节能型空气净化设备
KR101966290B1 (ko) 스크러버가 구비된 연소장치
JP4794018B2 (ja) 固形燃料の燃焼装置
KR101228422B1 (ko) 조립식 연소로를 갖는 연소설비
KR102215337B1 (ko)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KR101532880B1 (ko) 멀티냉각 및 다단연소 구조의 열회수용 연소장치
KR101416342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재생유 유화장치
KR102093034B1 (ko)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