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148A -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148A
KR20200028148A KR1020180106458A KR20180106458A KR20200028148A KR 20200028148 A KR20200028148 A KR 20200028148A KR 1020180106458 A KR1020180106458 A KR 1020180106458A KR 20180106458 A KR20180106458 A KR 20180106458A KR 20200028148 A KR20200028148 A KR 2020002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rate
vertical
air
cooling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034B1 (ko
Inventor
안상일
Original Assignee
안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일 filed Critical 안상일
Priority to KR1020180106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0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00Grates with solid bars
    • F23H1/02Grates with solid bars having provision for air supply or air preheating, e.g. air-supply or blast fittings which form a part of the grate structure or serve as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5/00Cleaning arrangements for grates; Moving fuel alo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8Cooling thereof; Tub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80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 F23G2203/803Rams or p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냉각구조에 의해 장치의 과열이나 장치 외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연소 잔류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형상의 연소본체(32)와, 상기 연소본체(32)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연료를 연소시키도록 된 화격자(35)와, 상기 연소본체(32)에 연결되어 상기 화격자(35) 상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된 연료공급수단(36)을 포함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35)와 연료공급수단(36)에는 에어에 의해 냉각과 단열이 가능하도록 된 공냉재킷(80) 또는 수냉재킷(90)이 구비되되; 상기 공냉재킷(80) 또는 수냉재킷(90)은 내외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로(81,82,91,92)와, 상기 수직로(81,82,91,92)에 연통되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평로(83,84,93,94)로 구성된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Burner with a cooling jacket of multi line structure}
본 발명은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냉각구조에 의해 장치의 과열이나 장치 외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연소 잔류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회수용 연소장치는 생활폐기물이나 폐플라스틱 등의 고형연료를 소각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온수나 스팀 또는 고온의 열매체를 요구하는 산업설비에 공급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연소장치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소장치(10)는 일정 크기의 연소실(12)이 형성된 연소본체(11)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본체(11) 내에는 연료가 연소되도록 안착되는 화격자(13)가 구비되며, 상기 연소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화격자(13)의 중심에 관통되어 연료를 공급하도록 된 이송스크류(15)와 같은 연료공급수단(14)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있어서, 상기 연소본체(11)에는 측벽이 상향 축소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부와의 단열과 냉각을 위해 공기나 물 등이 순환되는 냉각재킷(16)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연료가 연소됨에 따라 발생된 연소열을 보일러 등과 같은 설비에 공급되도록 공급덕트(D)가 연결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소장치(10)는 상기 냉각재킷(16)이 에어나 냉각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병행 사용하여 냉각을 행하게 되는데, 이는 단순히 공기나 물을 순환시키는 구조에 의해 냉각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됨으로 인해, 연소실(12) 내부에서 발생되는 1000도 이상의 고열을 단열시키거나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도록 장치를 냉각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어 연소실(12) 내외의 장치와 그에 구비되는 부품들이 열에 의해 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연소장치(10)는 냉각재킷(16)을 형성하기 위해 연소본체(11) 상에 스틸판과 같은 패널부재를 원통형태로 제작함으로 인해 일체화된 단일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냉각재킷(16)은 그 일부가 열부식되는 경우에 냉각재킷(16)을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유지보수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일 뿐만 아니라 비용과 시간적인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연소장치(10)에 의해 연료가 불완전 연소가 발생되면 연소본체(11)의 내부에 클링커(연료가 탄 후에 잔존하는 단단한 재덩어리)와 같은 연소잔류물이 고착되는데, 이러한 연소잔류물은 화격자(13)의 상면이나 연소본체(11)의 내벽면 등에 고착되어 연소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열원의 흐름을 방해함으로 인해 장치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연소장치(10)는 전술된 바와 같은 냉각재킷(16)이 연소본체(11)의 둘레측에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인데, 실질적으로 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화격자(13) 부분이나 연료공급수단(14) 등에는 별도의 냉각재킷(16)이 불비한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장치의 일부가 소손될 우려가 큰 것이다.
특히, 상기 화격자(13)의 경우에는 연소되는 연료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고, 그에 따라 장치가 고열에 직접적으로 노출됨으로 인해 열부식 등에 의한 장치의 손상이 발생되기 쉬운데, 종래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연소본체(11)에 대한 냉각에만 집중하여 상대적으로 화격자(13) 부분에 대한 장치의 열손상이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구성에 대해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상기 화격자(13)의 상면에 클링커가 고착된 상태로 잔존하게 되면 화격자(13) 상에 구비된 급기노즐(17)의 막힘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소공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장치의 작동 자체가 어려워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클링커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비하여 장치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일부에서 언급되는 종래의 클링커 제거장치는 그 자체적인 구성과 작동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나 유지보수 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제10-1132767호) 2012. 03. 2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냉각구조에 의해 장치의 과열이나 장치 외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소손이나 유지보수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간단한 작동구조의 제거장치에 의해 연소 잔류물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장치의 작동과 연소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통형상의 연소본체(32)와, 상기 연소본체(32)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연료를 연소시키도록 된 화격자(35)와, 상기 연소본체(32)에 연결되어 상기 화격자(35) 상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된 연료공급수단(36)을 포함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35)와 연료공급수단(36)에는 에어에 의해 냉각과 단열이 가능하도록 된 공냉재킷(80)이 구비되되;
상기 공냉재킷(80)은 내외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로(81,82)와, 상기 제2 수직로(82)에 연통되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평로(83,84)로 구성되며;
상기 공냉재킷(80)은 상기 각 수직로(81,82)와 수평로(83,84)를 통과하는 에어에 의해 냉각과 단열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제1 수직로(81)와 제2 수평로(84)의 각 단부를 통해 상기 화격자(35)의 상면측으로 에어를 배출하여 연소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통형상의 연소본체(32)와, 상기 연소본체(32)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연료를 연소시키도록 된 화격자(35)와, 상기 연소본체(32)에 연결되어 상기 화격자(35) 상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된 연료공급수단(36)을 포함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35)와 연료공급수단(36)에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과 단열이 가능하도록 된 수냉재킷(90)이 구비되되;
상기 수냉재킷(90)은 내외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로(91,92)와, 상기 각 수직로(91,92)에 연통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평로(93,94)로 구성되며;
상기 수냉재킷(90)은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각 수직로(91,92)와 수평로(93,94)가 배치되되, 상기 제1 수직로(91)의 일단부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상기 제1 및 제 2 수평로(93,9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에 상기 제2 수직로(92)의 타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격자(35)는 회전 구동되는 턴테이블(42) 상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본체(32) 상에는 상기 화격자(35) 상면의 일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로 연소잔류물을 제거하거나 원료를 균일하게 고르도록 구비되되, 상기 화격자(3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윕바(61)를 포함한 스크러버(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러버(60)는 상기 스윕바(61)를 상기 화격자(35) 측에 전후진시키도록 된 인출수단(6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윕바(61)에는 냉각유체가 순환되는 냉각재킷(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격자(35)와 연료공급수단(36) 측에 에어에 의해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공냉재킷(80) 또는 수냉재킷(90)이 구비됨에 따라, 열이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화격자(35) 등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장치의 외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에 의해 장치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냉재킷(80)은 에어에 의해 일차적으로 냉각과 단열작동을 행한 후에, 연소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어 에어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냉재킷(90)의 경우에는 냉각수가 수직로(91,92)와 수평로(93,94)를 연속적으로 통과되도록 구비되어 냉각수의 원활한 순환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격자(3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윕바(61)를 포함한 스크러버(60)가 설치됨에 따라, 턴테이블(42)에 의해 화격자(35)를 회전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크러버(60)를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연소잔류물을 제거하거나 원료를 고르게 분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스크러버(60) 자체의 구성이나 작동상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러버(60)는 화격자(35)로부터 후퇴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스크러버(60)를 연소본체(32)의 외부로 인출하여 장치의 작동 전후에 스크러버(60) 자체의 점검이나 유지보수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스크러버(60)의 스윕바(61) 상에 냉각재킷(63)이 형성되어 사용과정에서 구성이 열부식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구성에 따른 평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소장치(30)는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지지대(31) 상에 대략 원통형상의 연소본체(32)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소본체(32)는 일정 면적의 연소실(39)을 형성하는 통형태로 구비되어 상단에 연소열을 배출하기 위한 열배출공(33)이 형성되고, 상기 열배출공(33) 측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에어노즐(34)이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연소실(39)의 내부 둘레에는 냉각재킷(50)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연소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된 에어공급구(48)와 연소실(39)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창(49)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연소본체(32)의 하단측에는 원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화격자(35)와 이 화격자(35) 상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된 연료공급수단(36)이 구비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화격자(35)는 연소본체(32)의 하단 중앙측에 일정 면적으로 된 디스크 형태로 구비되고, 그 면상에 연소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급기노즐(37)이 돌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연료공급수단(36)은 하부에서 상기 화격자(35)의 상면으로 연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이송스크류(38)를 포함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화격자(35)와 연료공급수단(36) 측에 에어에 의해 냉각과 단열이 가능하도록 된 공냉재킷(80)이 구비되는데, 상기 공냉재킷(80)은 내외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로(81,82)와, 상기 제2 수직로(82)에 연통되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평로(83,84)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연료공급수단(36)은 이송스크류(38)를 내장하여 상하로 연장된 외통(41)이 구비되고, 상기 화격자(35)는 상기 외통(41)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연장된 수직실린더(43)와 상기 수직실린더(43)의 상단에 연통되는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수평테이블(46) 및 상기 수평테이블(46)의 중앙측 상면에 결합되는 급기노즐(37)을 포함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로(81)는 상기 외통(41)과 수직실린더(43) 사이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수직로(82)는 수직실린더(43)의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 수직로(81)의 상단은 연소본체(32) 내부에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2 수직로(82)는 후술되는 수평로(83,84)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테이블(46) 상에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격벽(47)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수평로(83)와 제2 수평로(84)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제1 수평로(83)와 제2 수평로(84)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로(82)의 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에어가 통과되도록 도시된 것이나, 이외에도 상기 제2 수직로(82)의 단부로부터 분기 형성되어 제1 수평로(83)와 제2 수평로(84)에 동시에 에어가 통과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냉재킷(80)은 이중으로 배치되는 상기 수직로(81,82)와 수평로(83,84)에 의해 연료공급수단(36)과 화격자(35)를 이중으로 냉각 및 단열하여 장치를 보호하는 데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각 수직로(81,82)와 수평로(8.,84)를 통과하는 에어에 의해 냉각과 단열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제1 수직로(81)와 제2 수평로(84)의 각 단부를 통해 상기 화격자(35)의 상면측으로 배출되어 연소공기를 공급하여 별도의 공급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공냉재킷(80) 대신에 화격자(35)와 연료공급수단(36) 측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도록 된 수냉재킷(9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수냉재킷(90)은 전술된 공냉재킷(80)에 유사하게 내외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로(91,92)와, 상기 제2 수직로(91,92)에 연통되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평로(93,94)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수냉재킷(90)은 공냉재킷(80)과는 달리 상기 제1 및 제2 수직로(91,92)를 수직실린더(43) 내에 이중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수평로(93)와 제2 수평로(94)의 경우는 수평테이블(46) 중에서 상기 급기노즐(37)이 결합된 일부분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연소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로(95)를 수냉재킷(9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냉재킷(90)은 상기 수직로(91,92)와 수평로(93,94)는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통과되도록 연통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제1 수직로(91,92)의 일단부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제1 수평로(93)와 제2 수평로(94)를 거쳐 상기 제2 수직로(92)의 타단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냉각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이중의 순환구조를 구현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냉재킷(80)과 수냉재킷(90)을 동시에 형성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공냉재킷(80)과 수냉재킷(90)에 의해 다중의 냉각과 단열이 가능하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작동이 미미한 경우에 다른 하나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보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클링커와 같은 연소잔류물을 제거하거나 원료를 균일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된 스크러버(60)가 구비되는데, 이를 도 6과 도 7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러버(60)는 화격자(35)의 상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스윕바(61)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스윕바(61)에는 저면에 화격자(35)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는 스퀴즈(62)나 브러쉬 등이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는 연소과정이나 연소후의 연소열에 의해 스윕바(61) 자체에 열이 전달되어 장치의 열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재킷(63)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스윕바(61)는 상시에 상기 화격자(35) 상면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연소본체(32)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출몰 가능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스윕바(61)의 단부에는 연소본체(32)의 일측 외부에 위치되도록 인출수단(64)이 결합된 것이다.
이러한 인출수단(64)은 구동모터(65)와 이에 결합된 체인벨트(66) 및 상기 체인벨트(66) 상에 결합되는 대차(67)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대차(67)는 스윕바(61)를 견인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윕바(61)의 단부측에는 냉각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입구포트(69)와 출구포트(70)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연소본체(32) 측에는 상기 스윕바(61)가 통과되는 가이드실린더(68)가 설치되어 스윕바(61)의 전후진 작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고, 상기 인출수단(64) 측에는 구동모터(65)와 체인벨트(66)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라켓(71,72)과 대차(67)에 구비된 이동휠(73) 및 이 이동휠(73)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74)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출수단(64)에 의해 화격자(35) 측에 전후진되는 스윕바(61)는 연소 도중에 연소본체(32)의 외부로 퇴피된 상태로 위치되고, 연소전에 원료를 고르거나 연소후에 연소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연소본체(32) 내로 투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크러버(60)에 의해 연소잔류물을 제거하거나 원료를 고르게 분배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윕바(61)가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화격자(35)가 회전 구동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화격자(35)는 연료를 공급하는 이송스크류(38)의 외통(41) 상에 결합되는 수직실린더(43)를 포함하는 턴테이블(42) 상에 구비되고, 상기 턴테이블(42)은 상기 수직실린더(43)를 회전 구동하도록 지지대(31)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44)와 구동벨트(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턴테이블(42)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화격자(35)를 회전 구동하도록 기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의 스크러버(60)는 구동을 위해 그 자체를 화격자(35) 상에서 공전 또는 자전되도록 구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스크러버(60)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30: 연소장치 32: 연소본체
35: 화격자 36: 연료공급수단
37: 급기노즐 38: 이송스크류
39: 연소실 42: 턴테이블
43: 수직실린더 46: 수평테이블
47: 격벽 60: 스크러버
61: 스윕바 63: 냉각재킷
64: 인출수단 67: 대차
80: 공냉재킷 81: 제1 수직로
82: 제2 수직로 83: 제1 수평로
84: 제2 수평로 90: 수냉재킷
91: 제1 수직로 92: 제2 수직로
93: 제1 수평로 94: 제2 수평로

Claims (5)

  1. 통형상의 연소본체(32)와, 상기 연소본체(32)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연료를 연소시키도록 된 화격자(35)와, 상기 연소본체(32)에 연결되어 상기 화격자(35) 상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된 연료공급수단(36)을 포함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35)와 연료공급수단(36)에는 에어에 의해 냉각과 단열이 가능하도록 된 공냉재킷(80)이 구비되되;
    상기 공냉재킷(80)은 내외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로(81,82)와, 상기 제2 수직로(82)에 연통되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평로(83,84)로 구성되며;
    상기 공냉재킷(80)은 상기 각 수직로(81,82)와 수평로(83,84)를 통과하는 에어에 의해 냉각과 단열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제1 수직로(81)와 제2 수평로(84)의 각 단부를 통해 상기 화격자(35)의 상면측으로 에어를 배출하여 연소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2. 통형상의 연소본체(32)와, 상기 연소본체(32)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연료를 연소시키도록 된 화격자(35)와, 상기 연소본체(32)에 연결되어 상기 화격자(35) 상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된 연료공급수단(36)을 포함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35)와 연료공급수단(36)에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과 단열이 가능하도록 된 수냉재킷(90)이 구비되되;
    상기 수냉재킷(90)은 내외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로(91,92)와, 상기 각 수직로(91,92)에 연통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평로(93,94)로 구성되며;
    상기 수냉재킷(90)은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각 수직로(91,92)와 수평로(93,94)가 배치되되, 상기 제1 수직로(91)의 일단부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상기 제1 및 제 2 수평로(93,9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에 상기 제2 수직로(92)의 타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35)는 회전 구동되는 턴테이블(42) 상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본체(32) 상에는 상기 화격자(35) 상면의 일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로 연소잔류물을 제거하거나 원료를 균일하게 고르도록 구비되되, 상기 화격자(3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윕바(61)를 포함한 스크러버(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버(60)는 상기 스윕바(61)를 상기 화격자(35) 측에 전후진시키도록 된 인출수단(6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바(61)에는 냉각유체가 순환되는 냉각재킷(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KR1020180106458A 2018-09-06 2018-09-06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KR10209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58A KR102093034B1 (ko) 2018-09-06 2018-09-06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58A KR102093034B1 (ko) 2018-09-06 2018-09-06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48A true KR20200028148A (ko) 2020-03-16
KR102093034B1 KR102093034B1 (ko) 2020-03-24

Family

ID=6994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458A KR102093034B1 (ko) 2018-09-06 2018-09-06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0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67B1 (ko) 2011-06-30 2012-04-06 (주)상수플랜트 열회수용 연소장치
KR20120067047A (ko) * 2010-12-15 2012-06-25 김상권 열회수율이 향상된 열회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시스템
KR20130134769A (ko) * 2012-05-31 2013-12-10 안상일 연소장치용 화격자
KR101532880B1 (ko) * 2014-07-24 2015-06-30 최재석 멀티냉각 및 다단연소 구조의 열회수용 연소장치
KR101726723B1 (ko) * 2015-11-17 2017-04-13 (주)유성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047A (ko) * 2010-12-15 2012-06-25 김상권 열회수율이 향상된 열회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시스템
KR101132767B1 (ko) 2011-06-30 2012-04-06 (주)상수플랜트 열회수용 연소장치
KR20130134769A (ko) * 2012-05-31 2013-12-10 안상일 연소장치용 화격자
KR101532880B1 (ko) * 2014-07-24 2015-06-30 최재석 멀티냉각 및 다단연소 구조의 열회수용 연소장치
KR101726723B1 (ko) * 2015-11-17 2017-04-13 (주)유성 클린커 제거 블레이드의 탈착이 가능하면서 냉각기가 구비된 클린커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034B1 (ko)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457559B (sv) Saett att uppraetta och nedmontera en reaktor med fluidiserad baedd
JP2005300022A (ja) 固形燃料の燃焼装置
CN104981660A (zh) 空冷式燃烧炉设备
KR102093034B1 (ko) 다중구조의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KR101557870B1 (ko)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KR101503298B1 (ko) 연소장치
KR101966290B1 (ko) 스크러버가 구비된 연소장치
KR101345425B1 (ko) 연소장치용 화격자
KR101997505B1 (ko) 파이프형 냉각재킷이 구비된 연소장치
KR101910165B1 (ko) 열분해 소각장치
KR20130000688U (ko)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수리 및 청소가 용이한 연소장치
KR200489378Y1 (ko)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KR20140091897A (ko) 연소장치
KR102543543B1 (ko) 회전로 노상 및 그 개조 방법
KR101426660B1 (ko) 로터리 킬른 버너
KR101532880B1 (ko) 멀티냉각 및 다단연소 구조의 열회수용 연소장치
RU2663435C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и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ый реактор с пароводогрейным котлом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739026B2 (ja) 廃棄物処理プラント
JP2016166723A (ja) 固形燃料用のチェーンストーカ火格子を用いる複合式蒸気ボイラ
KR101273311B1 (ko) 공기분배 및 회재배출 성능을 향상시킨 유동층 연소장치
KR200327910Y1 (ko) 연탄보일러용에어스쿠프구조
KR20120114115A (ko) 고체 연료 보일러
KR20170143153A (ko) 친환경에너지 연소장치
JP4067454B2 (ja) 廃棄物の焼却設備
KR101365277B1 (ko) 연소장치용 냉각자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