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337B1 -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 Google Patents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337B1
KR102215337B1 KR1020190010107A KR20190010107A KR102215337B1 KR 102215337 B1 KR102215337 B1 KR 102215337B1 KR 1020190010107 A KR1020190010107 A KR 1020190010107A KR 20190010107 A KR20190010107 A KR 20190010107A KR 102215337 B1 KR102215337 B1 KR 10221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ate
ash
base housing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766A (ko
Inventor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케이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3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2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travelling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8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ridge-type grate, e.g. for combustion of peat, sawdust, or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9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various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700/00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Ash and slag handling in pulverulent fuel furnaces; Ash removal means for incinerators
    • F23J2700/001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는, 연료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투입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연소 챔버; 상기 연소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베이스 하우징; 궤도형(Caterpillar Type)으로 이루어져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속적인 순환운동을 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 챔버에 투입된 연료가 상측부에 안치되어 연소된 후 발생된 재가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화격자 유닛;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화격자 유닛에서 상측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화격자 유닛의 상측부에서 연료가 연소된 후 낙하하는 재를 수거하는 재 수거수단;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재 수거수단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 수거수단에 의해 수거된 재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재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격자 유닛은, 궤도형으로 이루어지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체결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에 양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위 화격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FURNACE FOR STEAM BOILER}
본 발명은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궤도형 무빙 화격자 유닛(fire grate unit)을 채용한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는 용도에 따라 난방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난방 보일러와, 동력원 또는 가공용 열풍으로 이용되는 스팀을 생산하는 스팀 보일러로 대별될 수 있다.
두 종류의 보일러 모두 최적의 열효율을 얻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데, 스팀 보일러의 경우 고압의 스팀을 대량 생산해야하는 특성상 강도를 강화하는 구조와 구성으로 제작되게 된다.
스팀 보일러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연소로의 구조가 상이하나, 기본적으로 연소로에서 발생된 열이 물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챔버 내부에 복잡한 구조의 배관 다발이 구비되고, 챔버와 배관에 연소가스와 물이 교호적으로 투입되게 된다.
스팀 보일러의 연료로서 주로 벙커씨유나 가스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원유값의 상승 및 지구 온난화에 따른 화석연료의 사용이 지양되고 있는 가운데, 대안 연료로서 가격이 저렴한 우드 팰릿, 우드칩 및 WCF 등의 목재 연료가 주목받고 있다.
목재 연료용 스팀 보일러는 목재 연료가 안치되는 연료 처리유닛, 상기 연료 처리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소유닛 및 스팀 발생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 처리유닛과 연소유닛에는 화격자와 수직수관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화격자 및 수직수관을 통과하면서 예열되는 물이 스팀 발생유닛에 집수되며, 스팀 발생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관에 연소유닛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집수된 물로부터 스팀이 발생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 보일러의 화격자에는 예열될 물이 유입되는 수관 및 상부에 안치된 목재 연료의 연소를 위해 에어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에어홀 주변의 목재 연료에만 연소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홀을 통해 재의 일부가 하부에 구비된 에어 공급룸에 유입됨으로써 공기공급 불량으로 인해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 보일러의 화격자는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재가 쌓이게 됨에 따라, 자주 청소를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 보일러의 화격자는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일부분이 변형되면 화격자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535772 B1 (2015.07.24.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청소를 할 필요가 없고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변형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는 궤도형 무빙 화격자 유닛(fire grate unit)을 채용한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는, 연료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투입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연소 챔버; 상기 연소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베이스 하우징; 궤도형(Caterpillar Type)으로 이루어져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속적인 순환운동을 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 챔버에 투입된 연료가 상측부에 안치되어 연소된 후 발생된 재가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화격자 유닛;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화격자 유닛에서 상측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화격자 유닛의 상측부에서 연료가 연소된 후 낙하하는 재를 수거하는 재 수거수단;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재 수거수단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 수거수단에 의해 수거된 재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재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격자 유닛은, 궤도형으로 이루어지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체결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에 양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위 화격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위 화격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액자 형태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되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꼬인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화격자 봉; 및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화격자 봉에서 서로 인접한 화격자 봉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꼬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인접한 화격자 봉 사이에 복수의 배출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재 수거수단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광하협의 호퍼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재 배출유닛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재 수거수단으로부터 수거된 재가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화격자 봉에서 서로 인접한 화격자 봉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꼬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인접한 화격자 봉 사이에 복수의 배출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연소 챔버에 투입된 연료가 화격자 유닛의 상측부에 안치되어 연소된 후 발생된 재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화격자 유닛이 막힘이 없어 화격자 유닛을 별도로 청소를 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격자 유닛은 체결부가 형성된 궤도형 이송 컨베이어에 복수의 단위 화격자를 체결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변형된 단위 화격자 부분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보수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격자 유닛의 하부에 공기공급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에어커튼 효과를 구현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외주면에 상호 사잇각이 60°내지 80°가 되도록 형성된 제1공기공급노즐과 제2공기공급노즐을 마련함으로써, 화격자 유닛의 상측부 전 면적에 걸쳐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격자 유닛의 상측부와 하측부 사이에 공기공급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연료에 공기를 공급해줌과 동시에 1500℃ 이상으로 가열되는 화격자 유닛의 상측부를 공냉식으로 냉각시켜 공기공급유닛의 하부에 위치한 화격자 유닛의 하측부의 온도를 30℃ 이하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재 수거수단과 재 배출유닛을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화격자 유닛에서 연소된 후 발생한 재를 자동으로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채용된 단위 화격자가 결합되는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채용되는 단위 화격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단위 화격자에서 화격자 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채용되는 공기공급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서 공기공급노즐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2단으로 이루어진 공기공급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채용되는 공기공급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는, 연소 챔버(10), 베이스 하우징(20), 화격자 유닛(30), 재 수거수단(50) 및 재 배출유닛(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소 챔버(10)는 돔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에 연료가 투입되는 투입부(12)가 형성되고, 하측은 개구되어 후술할 베이스 하우징(20)의 상단에 결합된다.
연료는 목재 팰릿(wood pellet)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목재 팰릿은 임업 폐기물이나 소나무 벌채목 등의 톱밥을 분쇄한 뒤 원기둥 모양으로 압축 가공한 연료이다.
길이 3.0cm, 굵기 0.6~0.8cm 정도의 크기로 단순 땔감으로 사용하는 일반 나무보다 발열량이 많고 연소율도 95%에 달해 잔해를 거의 남기지 않는다.
그나마 얼마 안나오는 재도 텃밭이나 화분에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탄소 배출량도 일반 경유의 12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친환경 연료로 각광을 받고 있어 선진국형 에너지 연료로 불리고 있다.
이처럼 목재 팰릿이 가장 경제적인 청정 연료로 주목받으면서 각종 진위 왜곡 시도가 있었으나, 대부분이 규격외 시설에서 시험하는 등 공인된 시험이 아니었다.
현재 목재 팰릿은 산림청과 관련 기관의 엄격한 품질 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며, 환경부의 관련 법령과 과학적 검증에 따라 각종 의혹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연소 챔버(10)의 내부에는 투입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가열수단(미도시)이 설치되는데, 가열수단으로는 플라즈마 토치 등이 채용될 수 있고, 이러한 가열수단은 불꽂이 후술할 화격자 유닛(30)의 상측부(U)에 안치된 연료를 향하도록 연소 챔버(10)의 내부 둘레에 설치된다.
베이스 하우징(20)은 연소 챔버(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후술할 화격자 유닛(30), 재 수거수단(50) 및 재 배출유닛(60) 등이 설치된다.
화격자 유닛(30)은 궤도형(Caterpillar Type)으로 이루어져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속적인 순환운동을 하도록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연소 챔버(10)에 투입된 연료가 상측부(U)에 안치되어 연소된 후 발생된 재가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복수의 배출공(H)이 형성된다.
이러한 화격자 유닛(3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재 수거수단(50)은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되 화격자 유닛(30)에서 상측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화격자 유닛(30)의 상측부(U)에서 연료가 연소된 후 낙하하는 재를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광하협의 호퍼(52)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 배출유닛(60)은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되 재 수거수단(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재 수거수단(50)에 의해 수거된 재를 베이스 하우징(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격자 유닛(30)의 이송 컨베이어(32)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재 수거수단(50)으로부터 수거된 재가 적층되어 베이스 하우징(2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배출 컨베이어(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재 배출유닛(60)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재를 모으기 위해 베이스 하우징(20)의 일측에 재받이함(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채용된 단위 화격자가 결합되는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채용되는 단위 화격자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단위 화격자에서 화격자 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격자 유닛(30)은, 궤도형으로 이루어지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체결부(32a)가 복수로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32)와, 이송 컨베이어(32)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32a)에 양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위 화격자(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처럼 화격자 유닛(30)은 체결부(32a)가 형성된 궤도형 이송 컨베이어(32)에 복수의 단위 화격자(34)를 체결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변형된 단위 화격자(34) 부분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보수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단위 화격자(34)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액자 형태의 프레임부(34a); 프레임부(3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되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꼬인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화격자 봉(34b); 및 프레임부(34a)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이송 컨베이어(32)에 형성된 체결부(32a)에 체결되는 결합부(3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수의 화격자 봉(34b)에서 서로 인접한 화격자 봉(34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꼬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인접한 화격자 봉(34b) 사이에 복수의 배출공(H)을 형성한다.
이처럼 연소 챔버(10)에 투입된 연료가 화격자 유닛(30)의 상측부(U)에 안치되어 연소된 후 발생된 재가 상기 배출공(H)(인접한 화격자 봉(34b)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화격자 유닛(30)이 막힘이 없어 화격자 유닛(30)을 별도로 청소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채용되는 공기공급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는,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되 화격자 유닛(30)에서 상측부(U)의 하방에 배치되어 복수의 배출공(H)(인접한 화격자 봉(34b)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통해 화격자 유닛(30)에 안치된 연료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화격자 유닛(30)의 상측부(U)와 하측부(L) 사이에 공기공급유닛(40)을 마련함으로써, 연료에 공기를 공급해줌과 동시에 1500℃ 이상으로 가열되는 화격자 유닛(30)의 상측부(U)를 공냉식으로 냉각시켜 공기공급유닛(40)의 하부에 위치한 화격자 유닛(30)의 하측부(L)의 온도를 30℃ 이하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공급유닛(40)은,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42); 및 복수로 마련되어 고정 프레임(42)과 직각 방향으로 고정 프레임(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 이격되어 배치되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42)에 각각 고정되는 공기공급노즐 조립체(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공기공급노즐 조립체(44)는, 몸체(44a), 제1공기공급노즐(N1) 및 제2공기공급노즐(N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44a)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제1공기공급노즐(N1)은 몸체(44a)의 외주면 상에 돌출되게 결합되되, 복수로 마련되어 몸체(4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2공기공급노즐(N2)은 제1공기공급노즐(N1)과의 사잇각(몸체(44a)의 외주를 따라 이루는 각)이 60°내지 80°가 되도록 몸체(44a)의 외주면 상에 돌출되게 결합되되, 복수로 마련되어 몸체(4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몸체(44a)와 제1공기공급노즐(N1), 몸체(44a)와 제2공기공급노즐(N2)은 상호 연통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1공기공급노즐(N1)과 제2공기공급노즐(N2)은 몸체(44a)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交互)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화격자 유닛(30)의 상측부(U) 전 면적에 걸쳐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6에서 공기공급노즐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서 2단으로 이루어진 공기공급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공기공급노즐(N1)과 제2공기공급노즐(N2)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제1공기공급노즐(N1)은 몸체(44a)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A노즐(A)과, 내경이 A노즐(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A노즐(A)로부터 연장되는 B노즐(B)을 포함하여 2단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제2공기공급노즐(N2)은 몸체(44a)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C노즐(C)과, 내경이 C노즐(C)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C노즐(C)로부터 연장되는 D노즐(D)을 포함하여 2단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공기공급노즐(N1)과 제2공기공급노즐(N2)을 내경이 작아지는 2단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화격자 유닛(30)에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공기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보다 원할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에 채용되는 공기공급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화격자 유닛(30)에서 발화가 시작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1공기공급노즐(N1) 상호간, 복수의 제2공기공급노즐(N2) 상호간은, 몸체(4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밀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화가 시작되는 부분에 공기를 더 많이 공급하여 연소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연소 챔버 20 : 베이스 하우징
30 : 화격자 유닛 32 : 이송 컨베이어
34 : 단위 화격자 40 : 공기공급유닛
42 : 고정 프레임 44 : 공기공급노즐 조립체
50 : 재 수거수단 60 : 재 배출유닛
62 : 배출 컨베이어

Claims (4)

  1. 연료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투입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연소 챔버;
    상기 연소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베이스 하우징;
    궤도형(Caterpillar Type)으로 이루어져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속적인 순환운동을 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 챔버에 투입된 연료가 상측부에 안치되어 연소된 후 발생된 재가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화격자 유닛;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화격자 유닛에서 상측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화격자 유닛의 상측부에서 연료가 연소된 후 낙하하는 재를 수거하는 재 수거수단;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재 수거수단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 수거수단에 의해 수거된 재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재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격자 유닛은,
    궤도형으로 이루어지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체결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에 양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위 화격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화격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액자 형태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되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꼬인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화격자 봉; 및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화격자 봉에서 서로 인접한 화격자 봉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꼬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인접한 화격자 봉 사이에 복수의 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재 배출유닛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재 수거수단으로부터 수거된 재가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 수거수단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광하협의 호퍼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4. 삭제
KR1020190010107A 2019-01-25 2019-01-25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KR10221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107A KR102215337B1 (ko) 2019-01-25 2019-01-25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107A KR102215337B1 (ko) 2019-01-25 2019-01-25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766A KR20200092766A (ko) 2020-08-04
KR102215337B1 true KR102215337B1 (ko) 2021-03-05

Family

ID=7204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107A KR102215337B1 (ko) 2019-01-25 2019-01-25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3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45B1 (ko) * 2009-02-12 2009-06-29 박운섭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KR101170386B1 (ko) * 2012-06-18 2012-08-01 하만식 펠릿보일러의 연소제어장치
KR101452720B1 (ko) * 2013-10-16 2014-10-22 주로테크 주식회사 소각로 재 이송용 컨베이어의 에이프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72B1 (ko) 2015-02-24 2015-07-24 (주)마메든펠릿보일러 펠릿을 이용한 스팀보일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45B1 (ko) * 2009-02-12 2009-06-29 박운섭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KR101170386B1 (ko) * 2012-06-18 2012-08-01 하만식 펠릿보일러의 연소제어장치
KR101452720B1 (ko) * 2013-10-16 2014-10-22 주로테크 주식회사 소각로 재 이송용 컨베이어의 에이프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766A (ko)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600B1 (ko) 보일러
CN105219438A (zh) 一种生产生物质炭的气化炉
KR101361483B1 (ko) 바이오매스 고체연료 보일러
KR102215337B1 (ko)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KR102215339B1 (ko)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KR101204756B1 (ko) 고형연료제품의 열분해 및 가스화 일체형 연소보일러장치
KR101062471B1 (ko) 펠릿 연소시스템
CN102105744B (zh) 木质粒料的燃烧方法及其燃烧装置
RU2698173C1 (ru) Котел форсированного кипящего слоя
KR100918942B1 (ko) 고체연료 연소시스템
KR20200113981A (ko) 왕겨재 제조장치
KR101272380B1 (ko) 펠릿연료 연소장치
KR101496299B1 (ko) 열매체 보일러와 스팀 보일러 복합형 고형연료 보일러
JP3129469U (ja) 木質ペレット焚きガンタイプバーナ
JP2016166723A (ja) 固形燃料用のチェーンストーカ火格子を用いる複合式蒸気ボイラ
RU200764U1 (ru) Горелка полной газификации
KR102258485B1 (ko) 대나무를 포함한 초본계 연료 받침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초본계 연료 전용 연소 시스템
KR101323388B1 (ko) 팰랫 연소장치
JP5550664B2 (ja) 溶解炉
CN201462808U (zh) 一种燃煤锅炉
KR20160145372A (ko) 무한궤도식 화격자를 구비한 보일러설비
KR101753875B1 (ko) 무한궤도형 친환경 대체 연료 연소장치
JPH0611101A (ja) ボイラ燃焼室の構造
KR200485449Y1 (ko) 연소장치
KR20130130990A (ko) 바이오매스 고체연료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