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82Y1 - 앵커볼트 연결구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82Y1
KR200217082Y1 KR2020000022591U KR20000022591U KR200217082Y1 KR 200217082 Y1 KR200217082 Y1 KR 200217082Y1 KR 2020000022591 U KR2020000022591 U KR 2020000022591U KR 20000022591 U KR20000022591 U KR 20000022591U KR 200217082 Y1 KR200217082 Y1 KR 200217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clip
reinforcing bar
side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포스에이씨종합감리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포스에이씨종합감리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2020000022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82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볼트가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골에 설치되는 앵커볼트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보강용 철근(5)과 앵커볼트(11)를 연결하는 앵커볼트 연결구에 있어서, 철근(5)의 둘레면이 삽입되어 들어오는 개방구를 가지며 개방구를 통해 삽입된 철근(5)이 개방구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퍼가 개방구 안쪽에 설치된 클립(20)과, 클립(20)의 바깥둘레면 중에서 철근(5)의 삽입방향 반대편에 고정된 너트(30)를 포함하며, 철근(5)의 둘레를 감싸는 클립(20)에 고정된 너트(30)에 앵커볼트(11)의 일단부가 체결되어 철근(5)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앵커볼트(11)가 위치하도록 연결하는 앵커볼트 연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앵커볼트 연결구{Anchor bolt connecter}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앵커볼트의 설치위치에 앵커볼트를 쉽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앵커볼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다른 사물체를 연결시키기 위해 폭 넓게 사용되는 연결부재이다. 이런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으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이전에 미리 설치하는 고정매립공법과,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에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고 설치하는 후붙임공법 두 종류가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앵커볼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는 선단부에 수나사 가공되며 후단부는 휘어져 폐쇄고리를 형성한 것이 일반적이다. 고정매립공법에 의하면, 이런 앵커볼트(1)의 후단부를 콘크리트(3) 타설할 내부에 위치시키고, 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앵커볼트(1)의 선단부가 콘크리트(3)의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콘크리트(3)의 외부로 돌출된 앵커볼트(1)의 수나사 부위에 콘크리트(3)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다른 사물체의 암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사물체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킨다.
한편, 이런 앵커볼트(1)에 콘크리트(3)를 타설할 때에 위치설정된 앵커볼트(1)가 움직이지 않도록 앵커볼트(1)의 후단부는 주변의 철근(5) 또는 각재 등의 보조재료 등의 고정체에 철사를 이용하여 묶어 고정한다. 그러나, 앵커볼트(1)의 위치설정된 자리에 앵커볼트(1)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철사와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인력 및 철사와 같은 부가적인 건축자재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다.
또한, 앵커볼트의 성능은 앵커볼트가 박혀 있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콘크리트와의 결합정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앵커볼트의 설계는 콘크리트가 앵커볼트와 완전히 밀착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설계됨으로, 앵커볼트와 콘크리트의 정착상태가 앵커볼트의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과 연결되지 않고 단독으로 콘크리트와 결합되거나 또는 철사 등과 같은 불안정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앵커볼트와 콘크리트 정착상태가 불량한 경우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앵커볼트의 기능인 고정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콘크리트에 박혀 고정된 앵커볼트의 우수한 정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앵커볼트의 설치가 용이한 앵커볼트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앵커볼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 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앵커볼트 연결구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 : 앵커볼트 3 : 콘크리트
5 : 철근 20 : 클립
22 : 클립의 측면 24 : 클립의 폐쇄면
30 : 너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보강용 철근과 앵커볼트를 연결하는 앵커볼트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둘레면이 삽입되어 들어오는 개방구를 가지며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삽입된 철근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퍼가 상기 개방구 안쪽에 설치된 클립과, 상기 클립의 바깥둘레면 중에서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 반대편에 고정된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의 둘레를 감싸는 클립에 고정된 너트에 앵커볼트의 일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철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앵커볼트가 위치하는 앵커볼트 연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클립은 상호 대응하는 두 측면과, 상기 두 측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두 측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폐쇄면을 포함하며, 상기 두 측면의 타단부에서 상기 두 측면의 중간부까지의 상기 두 측면의 간격은 점차 좁아지고, 상기 두 측면의 중간부에서 상기 두 측면의 일단부까지의 상기 두 측면의 간격은 점차 넓어지며, 상기 두 측면의 중간부가 상기 스토퍼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클립은 상기 철근이 상기 스토퍼를 넘어갈 때에 상기 개방구가 최대로 벌어지며, 상기 철근이 상기 스토퍼를 넘어서면 상기 클립의 안쪽에 상기 철근이 위치하도록 상기 개방구가 수축되는 탄성복원력을 가진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 연결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 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앵커볼트 연결구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 연결구는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5)을 클램핑하는 클립(20)과, 앵커볼트(11)가 체결되도록 클립(20)에 고정되는 너트(30)를 포함한다.
클립(20)은 상호 대응하는 두 측면(22)과 두 측면(2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두 측면(22)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폐쇄면(24)을 구비하며, 이런 클립(20)의 전단면은 'ㄷ'형상이다. 그리고, 두 측면(22)의 타단부에서 두 측면(22)의 중간부 방향으로 들어가면서 점차 좁아지고, 두 측면(22)의 중간부에서 일단부 즉, 폐쇄면(24)이 위치한 방향으로 들어갈 수 록 두 측면(22)의 간격은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클립(20)의 상호 대응하는 두 측면(22)의 중간부의 간격(26)이 가장 짧으며, 두 측면(22)의 중간부에서 일단부 또는 타단부로 갈수록 두 측면의 간격(25)은 점차 넓어진다.
이런 클립(2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철근(5)의 측부에 끼워져 철근(5)의 둘레를 감싸게 된다. 클립(20)의 개방구를 철근(5)의 둘레에 위치시키고, 클립(20)의 폐쇄면(24)에서 철근(5)의 방향으로 클립(20)을 가압하게 되면 클립(20)의 중간부의 간격(26)은 벌어지면서 철근(5)은 중간부를 지나 폐쇄면(24) 쪽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된다. 그러면, 철근(5)은 클립(20)의 중간부에서 폐쇄면(24)까지의 점차 넓어지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클립(20)의 중간부의 간격(26)은 클립(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짧아지게 되면서 클립(20)의 내부에 철근(5)이 수용된다. 이 때, 클립(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철근(5)의 둘레는 클립(20)의 폐쇄면(24) 안쪽면과, 두 측면(22)의 안쪽면에 접하며 두 측면(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클립(20)은 철근(5)의 둘레에 고정된다.
한편, 너트(30)는 클립(20)의 폐쇄면(24)의 바깥면 즉, 폐쇄면(24)을 기준으로 철근(5)이 삽입되는 반대면에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너트(30)에는 일직선 앵커볼트(11)의 일단부가 체결된다. 따라서, 앵커볼트(11)는 철근(5)의 둘레에 고정된 클립(20)에 의해 철근(5) 둘레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앵커볼트 연결구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클립(20)은 앵커볼트(11)가 설치될 설치장소에 위치한 철근(5)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클립(20)에 고정된 너트(30)에 앵커볼트(11)를 체결하여 앵커볼트(11)가 타설될 콘크리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체결한다. 이런 상태에서 콘크리트(3; 도 1에 도시됨)를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3)는 클립(20)의 안쪽에 위치한 철근(5)과 클립(20) 사이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채워지고, 너트(30)에 체결된 앵커볼트(11)의 하부를 감싸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5)과 클립(20) 및 앵커볼트(11)가 일체화되어 고정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앵커볼트 연결구는 앵커볼트의 설치위치에 맞춰 철근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앵커볼트 연결구는 철근에 체결됨으로써, 앵커볼트와 콘크리트의 장착 미비에 따른 앵커볼트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앵커볼트 연결구는 클립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철근에 체결함으로써, 앵커볼트와 철근을 연결하는 철사와 같은 다른 연결부재 없이도 체결이 가능하여 노동력 및 건축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앵커볼트의 연결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보강용 철근과 앵커볼트를 연결하는 앵커볼트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둘레면이 삽입되어 들어오는 개방구를 가지며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삽입된 철근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개방구 안쪽에 스토퍼가 설치된 클립과,
    상기 클립의 바깥둘레면 중에서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 반대편에 고정된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의 둘레를 감싸는 클립에 고정된 너트에 앵커볼트의 일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철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앵커볼트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호 대응하는 두 측면과, 상기 두 측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두 측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폐쇄면을 포함하며,
    상기 두 측면의 타단부에서 상기 두 측면의 중간부까지의 상기 두 측면의 간격은 점차 좁아지고, 상기 두 측면의 중간부에서 상기 두 측면의 일단부까지의 상기 두 측면의 간격은 점차 넓어지며, 상기 두 측면의 중간부가 상기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철근이 상기 스토퍼를 넘어갈 때에 상기 개방구가 최대로 벌어지며, 상기 철근이 상기 스토퍼를 넘어서면 상기 클립의 안쪽에 상기 철근이 위치하도록 상기 개방구가 수축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연결구.
KR2020000022591U 2000-08-08 2000-08-08 앵커볼트 연결구 KR200217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91U KR200217082Y1 (ko) 2000-08-08 2000-08-08 앵커볼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91U KR200217082Y1 (ko) 2000-08-08 2000-08-08 앵커볼트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82Y1 true KR200217082Y1 (ko) 2001-03-15

Family

ID=7308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591U KR200217082Y1 (ko) 2000-08-08 2000-08-08 앵커볼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763B1 (ko) 양방향 정착 커플러와 인서트 고정장치 및 고점착 유연성 겔 방수재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방법
KR20190012801A (ko) 인서트가 매입되는 터널 라이닝 거푸집 및 풍도 슬래브 지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브래킷 형성방법
KR200217082Y1 (ko) 앵커볼트 연결구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0822027B1 (ko) 조립식 사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6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094433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슬리브
KR200407613Y1 (ko)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JP4483087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施工方法
KR100762012B1 (ko) 배관보호용 슬리브
JPH067169Y2 (ja) 構築用止水板支持金具
KR930001321Y1 (ko) 배수관 연결 조인트
KR200394970Y1 (ko) 측면 지수판 고정체
JP3000084U (ja) 地中張り型枠用セパレータ止金具
JP446905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方法
JPH05171740A (ja) 棒鋼のねじ継手及び接続方法
KR19980063010U (ko) 철근이음용슬리브
JP3797988B2 (ja) Pc構造物のグラウト注入口、排出口あるいは排気口の構造及びそれに使用する栓体
KR20050075057A (ko) 단자함 고정구
JP4097550B2 (ja) 型枠とセパレータとの連結具
KR20110022124A (ko) 암거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0246507Y1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매립식 앵커
KR100645370B1 (ko) 시스템 박스의 철근 고정장치
JPS5932684Y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工事における定着部のグラウトキヤツプ
KR970001776A (ko) 콘크리트 이어치기시의 배근철근 이음장치 및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