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321Y1 - 배수관 연결 조인트 - Google Patents

배수관 연결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321Y1
KR930001321Y1 KR2019900003328U KR900003328U KR930001321Y1 KR 930001321 Y1 KR930001321 Y1 KR 930001321Y1 KR 2019900003328 U KR2019900003328 U KR 2019900003328U KR 900003328 U KR900003328 U KR 900003328U KR 930001321 Y1 KR930001321 Y1 KR 930001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rotrusions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ion joint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3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913U (ko
Inventor
권수길
이근희
Original Assignee
권수길
이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수길, 이근희 filed Critical 권수길
Priority to KR2019900003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321Y1/ko
Publication of KR910016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수관 연결 조인트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의 배수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사용 상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조인트 2 : 절개부
3 : 돌기부 4a, 4b : 경사면
5a, 5b, 5', 5' : 지수돌기 6 : 보강돌기
7a, 7b : 고정편 9a, 9b : 고정구멍
10a, 10b : 걸이구멍 11a, 11b : 걸이편
16 : 협지편 17a, 17b : 경사면
18a, 18b : 지수돌기
본 고안은 오수 및 배수를 위한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관 상호간의 연결부위에 합성수지재의 연결조인트를 설치하므로써 누수 및 지하수침투반지를 도모하고 경량화로 인한 운반 및 시공의 편리로 공기를 단축시키고자 안출한 배수관 연결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관 연결부재로써는 콘크리트재의 링형 칼라관을 사용하여 누수 및 지하수 침투를 방지하였던 것으로, 누수 및 지하수 침투를 방지하는 목적은 배수관으로 흐르는 오물이 누수되어다른 각종 배관으로 스며들어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한 지하수 침투 방지는 단순히 지하수만 배수관으로 스며들면 관계없겠으나 지하수와 더불어 미세한 입자의 흙 또는 모래등을 동반 하기 때문에 배수관에 흙 또근 모래등이 쌓이게 되면 원활한 배수효과를 얻을수 없을 뿐만아니라 배수관이 막혀서 악취로 인한 가스폭발의 염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고, 더욱이 배수관이 연결후 토사를 채우더라도 그 토사의 밀도가 낮아서 누수 또는 지하수의 침투가 심할경우 도로의 침하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수관을 연결하고자 할때에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배수관(15a)(15b)의 연결부쥐에 칼라관(20)을 설치한후 배수관(15a)(15b)과 칼라간(20)사이의 틈 및 칼라관(20)의 양측 주연부에 몰타르(21)를 채워서 양생하므로써 누수 및 지하침투를 방지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제1도 (a) 및 제2도 (a)와 같이 칼라관(20)과 배수관(15a)(15b)사이의 틈이 균일하도록 설치하여야만 몰타르(21)가 균일하게 채워져서 누수 및 지하수침투를 방지할수 있겠으나 현실적으로 현장 작업자의 태만으로 배수관(15a)(15b)이 편심되어 몰타르(21)를 균일하게 충진할수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즉, 제1도 (b) 및 제2도 (b)와 같이 칼라관(20)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틀(22)을 설치하기 때문에 배수관(15a)(15b)의 자중에 의해 그 연결부위가 치지게 되어 칼라관(20)내에서 편심되고 그로인해 몰타르(21)의 충전시 상부측 주연부만 채워지게 되고 하부측 주연부는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제하여 누수 및 지하수침투를 방지할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칼라관(20)과 배수관(15a)(15b)사이의 틈이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부측에는 몰타르가 충진하기 용이하나 하부측은 시공상 충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시공상이 어려움으로 근원적인 누수 및 지하수침투를 방지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토건분야에서 중요한 과제라고 아니할수 없는 것이다.
또, 상기 칼라관은 콘크리트재이므로 중량이고 운반이 불편하며, 운반시 파손되는 경우가 있어 불량품으로 시공하는 경우가 있고, 기초 콘크리트틀을 설치하기 위하여 더파기를 해야하는 등의 시공이 필요하며, 시공후 몰타르의 양생시간이 필요하므로 공기의 지연 및 후속공정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추진할수 없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한 것으로, 단면이 T자형 포는 I자형으로서 일측이 절개된 연결 조인트를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므로써 경량화시켜 운반이 편리하고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배수관의 연결시 절개된 부위를 와이어 또는 보울트로 조여서 연결조인트의 내측면이 배수관의 외주면에 밀착되게하여 누수 또는 지하수 침투를 방지토록하므로써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공기를 단축시킬수가 있으며, 그로인해 시공비의 절감 및 후속공정의 진행을 원할하게 할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고안은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부호1은 합성수지재의 연결 조인트이며, 그 연결조인트(1)의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부(2)를 형성하고, 내주면 중간에 원주방향으로 돌기부(3)를 돌출형성하여 단면상으로 "T"자형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3)를 중심으로 내주면에 경사면(4a)(4b)을 형성하되 외측방으로 상호경사자게 하고, 상기 돌기부(3)의 양측면과 경사면(4a)(4b)에 다수개의 지수돌기(5a)(5b)를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조인트(1)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돌기(6)를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한다.
그리고, 절개된 연결조인트(1)의 양단에 각각 축방향으로 고정편(7a)(7b)을 돌출형성하며, 그 고정편(7a)(7b)의 보강을 위해 중간부 전후방에 보강리브(8a)(8b)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리브(8a)(8b)를 중심으로 고정편(7a)(7b)의 양측에 고정구멍(9a)(9b)을 다수개 형성한다.
또, 상기 고정편(7a)(7b)의 후방측 중간부에 각각 걸이 구멍(10a)(10b)이 형성된 걸이편(11a)(11b)을 돌출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2는 고정편(7a)(7b)의 하단부에 축방향으로 천공된 수축변형 방지구멍이며, 13은 고정 보울트 및 너트이고, 14는 근 조임장치이며, 15a, 15b는 배수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 내지 제5도에서 배수관(15a)(15b)을 연결조인트(1)로 연결할때 제5도와 같이 배수관(15a)(15b)의 양끝단을 연결조인트(1)의 양측에서 끼우되 그 끝단이 돌기부(3)의 양측면에 접촉할 때까지 끼운다.
이때, 연결조인트(1)는 절개부(2)에 의해 절개된 상태이므로 배수관(15a)(15b)의 연결 작업은 매우 용이하다.
그후 제4도와 같이 연결조인트(1)의 걸이편(11a)(11b)의 걸이구멍(10a)(10b)에 끈(19)을 각각 끼운후 끈조임장치(14)로써 끈(19)을 조이게 되면 절개부(2)에 의해 벌어져 있던 양단이 조여지게 된다.
즉, 고정편(7a)와(7b)상호간이 좁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끈 조임장치(14)는 일반적으로 박스를 묶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그외 끈을 조일수 있는 장치이며,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끈 조임장치(14)에 의하여 연결조인트(1)의 양단이 조여지게 되면 고정편(7a)(7b)의 고정구멍(9a)(9b)을 통해 고정 보울트 및 너트(13)로 조여서 고정편(7a)(7b)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작업 현장에따라 필요시 고정보울트 및 너트(13) 대신에 와이어(도면에 미표시)로 묶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편(7a)과(7b)을 고정 보울트 및 너트(13)로 조여서 고정시킬때 연결조인트(1)의 내주면의 경사면(4a)(4b)이 배수관(15a)(15b)의 각 끝단 외주면과 밀착하게 되고, 또한 경사면(4a)(4b)에 형성된 지수돌기(5a)(5b)가 배수관(15a)(15b)의 외주면에 밀착과 동시에 수축하게 되어 기밀을 유지시켜 주므로써 누수 및 지하수 침투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또 배수관(15a)(15b)의 양끝단이 내주면에 돌출된 돌기부(3)의 지수돌기(5a')(5b')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수돌기(5a)(5b)와 (5a')(5b')에 의해 기밀을 2중으로 중업하여 유지시켜 주므로 종래보다 현저하게 누수 및 지하수 침투를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 조인트(1)의 고정후 끈 조임장치(14)와 끈(19)을 해체시킨다.
연결조인트(1)를 배수관(15a)(15b)에 고정시킨후 연결 조인트(1)의 절개부(2)는 제4도와 같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현장 작업자가 몰타르를 채우면 되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공기를 현저하게 단축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5도와 같이 연결조인트(1)가 조립된 상태에서 배수관(15a)과(15b)사이의 내부에 몰타르 또는 코킹(20)을 하여 기밀을 더욱 도모 할수도 있다.
상기 연결조인트(1)의 경사면(4a)(4b)은 연결되는 배수관(15a)(15b)의 크기가 약간의 차이가 있을 경우 그 경사면(4a)(4b)에 효과적으로 밀착되게 하여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수돌기(5a)(5b)(5a')(5b')는 연질재로 사출성형하여 배수관(15a)(15b)과 탄력있게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조인트(1)의 내주면에 윈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3)에 협지편(16)을 축방향으로 일체로 돌출형성하여 단면상 "I"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협지편(16)의 상면에 경사면(17a)(17b)을 형성하되 외측방으로 상호 경사지게 하고, 그 경사면(17a)(17b)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수돌기(18a) (18b)를 각각 돌출형성한 것으로, 협지편(16)의 경사면(17a)(17b)이 배수관(15a)(15b)의 내주면과 밀착되게 하고 또한 지수돌기(18a)(18b)가 배수관(15a)(15b)의 내주면에 수축하여 밀착되게 하므로써 배수관(15a)(15b)의 내,외 주면 및 끝단에서 동시에 밀착되게 하여 기밀을 3중으로 유지시킬수가 있어 누수 및 지하수 침투를 현저하게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도면 제7도 및 제8도는 본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연결 조인트(1)의 원주방향으로 외주면 중간부에 절곡홈(19)을 형성하여 내주면의 돌기부(3)와 일체로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홈(19)이 통과하는 위치의 고정편(7a)(7b)에는 절개하여 절개부(20)를 형성한다.
이는 제8도와 같이 배관(15a)과(15b)가 임의의 각도( )로 비스듬히 설치되는 경우 그 배관(15a)과(15b)를 견고하게 고정 시킴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조인트(1)가 절곡될수 밖에 없다.
따라서, 연결조인트(1)의 굴곡이 절곡부를 형성한 돌기부(3)와 절곡홈(19)이 탄력있게 절곡되므로서 배관(15a)과(15b)의 설치각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수가 있는 것이다.
또 제9도 및 제10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연결 조인트(1)를 폭방향으로 계단식으로 형성하여 대경부(21)와 소경부(22)를 형성한 것으로, 이는 제10도와 같이 소켓형의 배관(15a')(15b')의 연결시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이에 한하지않고 크기가 다른 배관의 연결시에도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 조인트를 사용하므로서 종래의 기초 콘크리트틀이 필요없게 되고, 또하 기초 콘크리트틀을 설치하기 위한 더파기 작업이 필요없게 되므로 시공이 매우 간단하며, 종래의 콘크리트재인 링형 칼라관보다 경량재인 합성수지재 연결 조인트를 사용 하므로서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고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또 근본적인 몰타르 작업이 배수관의 외주면 및 배수관과 연결조인트 사이에 몰타르 등의 코킹을 할필요가 없어 매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고, 그로인해 후속공정을 진행할수 있는 등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배수관(15a)과(15b)을 연결하여 누수 및 지하수침투를 방지함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써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부(2)를 형성하고, 내주면 중간에 원주방향으로 돌기부(3)를 돌출형성하여 단면상 "T"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3)를 도출형성하여 단면상 "T"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3)를 중심으로 내주면에 경사면(4a)(4b)을 형성하되 상호 외측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다수재의 보강돌기(6)를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하며, 절개된 양단에 각각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구멍(9a)(9b)이 형성된 고정편(7a)(7b)을 돌출 형성시켜서 연결조인트(1)를 구성하고, 그 연결조인트(1)의 양측 경사면(4a)(4b)에 배수관(15a)(15b)의 끝단이 밀착되게 하여 누수 및 지하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조인트(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3)에 외측방으로 상호 경사지게 경사면(17a)(17b)이 형성된 협지편(16)을 일체로 돌출형성하여 단면상 "I"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 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1)의 원주방향으로 외주면 중간부에 절곡홈(19)을 형성하여 내주면의 돌기부(3)와 일체로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홈(19)이 통과하는 위치의 고정편(7a)과(7b)에 절개부(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 조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조인트(1)를 폭방향으로 대경부(21)와 소경부(22)가 형성되게 계단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 조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1)의 고정편(7a)(7b)의 후방측 중간부에 걸이구멍(10a)(10b)이 형성된 걸이편(11a)(11b)을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조인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1)의 경사면(4a)(4b)과, (17a) (17b)에 다수개의 지수돌기(5a)(5b), (18a)(18b)를 돌출성형하고, 돌기부(3) 양측면에 지수돌기(5a')(5b')를 돌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조인트.
KR2019900003328U 1990-03-21 1990-03-21 배수관 연결 조인트 KR930001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328U KR930001321Y1 (ko) 1990-03-21 1990-03-21 배수관 연결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328U KR930001321Y1 (ko) 1990-03-21 1990-03-21 배수관 연결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913U KR910016913U (ko) 1991-10-28
KR930001321Y1 true KR930001321Y1 (ko) 1993-03-22

Family

ID=1929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3328U KR930001321Y1 (ko) 1990-03-21 1990-03-21 배수관 연결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3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060B1 (ko) * 1998-07-17 2006-11-1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현상방법 및 현상장치
KR20120089968A (ko) * 2011-01-07 2012-08-16 (주) 굿피앤씨 번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722B1 (ko) * 2013-10-10 2014-01-16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용 선배수관 시공방법
KR101349720B1 (ko) * 2013-10-10 2014-01-16 현빈개발 주식회사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060B1 (ko) * 1998-07-17 2006-11-1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현상방법 및 현상장치
KR20120089968A (ko) * 2011-01-07 2012-08-16 (주) 굿피앤씨 번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913U (ko) 199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8344A1 (en) Apparatus for joining precast concrete units
KR102077960B1 (ko) 꺽쇠 조인트로 결합되는 pc 암거 박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930001321Y1 (ko) 배수관 연결 조인트
KR20060069419A (ko) 수밀성 및 가요성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박스암거와 이 암거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076536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KR20200004106A (ko) 콘크리트 관로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공법
KR100950956B1 (ko) 암거블록
KR100891617B1 (ko) 콘크리트 충전형 암거 시공용 강박스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JPH07259490A (ja) トンネルの歩床敷設方法
KR200221895Y1 (ko) 맨홀암거
KR101715132B1 (ko) 상하수도용 분절형 맨홀의 조립식 시공방법
KR0160595B1 (ko) 콘크리트 신축줄눈재 지지 고정장치
JPH0322335Y2 (ko)
JP2891670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可撓継手構造及びその可撓継手構造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製品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JPH0577816B2 (ko)
KR100637048B1 (ko) 토목공사에서의 상,하수관용 콘크리트 흄관
KR200268425Y1 (ko) 도로 경사면의 지중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JPH0710149U (ja) 目地部ジョイントシース
KR200294160Y1 (ko) 전기 및 통신관로용 철재맨홀
KR890002350Y1 (ko) 콘크리트 맨홀
JPS61168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