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27Y1 - 계란 포장용구 - Google Patents

계란 포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27Y1
KR200217027Y1 KR2020000027961U KR20000027961U KR200217027Y1 KR 200217027 Y1 KR200217027 Y1 KR 200217027Y1 KR 2020000027961 U KR2020000027961 U KR 2020000027961U KR 20000027961 U KR20000027961 U KR 20000027961U KR 200217027 Y1 KR200217027 Y1 KR 200217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gg
side plate
cover plat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각
Original Assignee
안영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각 filed Critical 안영각
Priority to KR2020000027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27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좌를 감싸는 포장상자를 포함하는 계란 포장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풀 또는 스테플러 등을 사용하여 접합하여야 하므로 포장용구의 재활용이 극히 어려우며, 계란포장용구가 유동성이 강하여 적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포장상자는, 상기 난좌가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측단에서 상부로 10°~ 150°절곡되는 좌측부판과; 상기 바닥판의 우측단에서 상부로 10°~ 150°절곡되는 우측부판과; 상기 좌측부판의 선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는 좌덮개판과; 상기 우측부판의 선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는 우덮개판과; 상기 좌덮개판과 상기 우덮개판의 선단에서 하부로 135°~ 175°절곡되며, 상기 좌판에 놓이는 계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뚫려 있는 좌지지판 및 우지지판과; 상기 좌지지판 및 우지지판의 선단에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좌측부판 및 우측부판의 상기 결합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설된 결합공과; 상기 좌덮개판과 좌지지판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우덮개판과 우지지판 사이의 절곡부가 밀접되도록, 상기 좌덮개판과 우덮개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에 형성된 체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란 포장용구{PACKING BOX PUTTING EGGS}
본 고안은 계란 포장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 및 난좌를 포장하는 포장상자로서, 상기 포장상자가 상기 난좌에 밀착되어 흔들림이 없어 적재시에 쓰러짐이 없고 포장작업이 간편한 계란 포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60459호(출원번호 제20-1999-9452호)에는 계란을 보관 또는 운반할 때 사용되는 기존 계란판에 덧붙여 구성되어 계란 운반 및 보관시의 안정성과 편의성 향상에 되움이 되도록 기존 계란판의 구조적, 재질적 단점을 보완하는 계란 포장용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71773호(출원번호 제20-1999-19078호)에는 계란재치판과 골판지를 이용한 계란포장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60459호는 포장을 완료하기 위하여 풀 또는 스테플러 등을 사용하여 접합하여야 하므로 포장용구의 재활용이 극히 어려웠고,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71773호는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60459호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였으나, 계란포장용구가 유동성이 강하여 적재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상자의 측면을 경사지게 하여 난좌와 상기 포장상자가 긴밀하게 접하도록 하며, 풀이나 스테플러없이 포장상자만으로 완벽하게 포장이 되도록 하는 계란포장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6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제7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제8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제9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10실시예의 전개도와 사시도.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난좌의 측면도와 돌부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난좌 110. 돌부 112. -형 홈
114. +형 홈 120. 측면 200. 상자
210. 바닥판 212. 안착홀 220. 좌측부판
230. 우측부판 240. 좌덮개판 250. 우덮개판
260. 좌지지판 265. 좌완충판 270. 우지지판
275. 우완충판 280. 결합편 290. 결합공
300. 체결수단 302. 설편 303. 이탈방지돌기
304. 체결공 310. 적재용 홈 320. 보조공
330. 이탈방지편 340. 지지편 350. 지지설편
360. 걸고리 370. 걸림공 380. 상부 손잡이공
390. 하부 손잡이공 400. 계란
본 고안에 의한 계란 포장용구는,
난좌와, 상기 난좌를 감싸는 포장상자를 포함하는 계란 포장용구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는, 상기 난좌가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측단에서 상부로 10°~ 150°절곡되는 좌측부판과; 상기 바닥판의 우측단에서 상부로 10°~ 150°절곡되는 우측부판과; 상기 좌측부판의 선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는 좌덮개판과; 상기 우측부판의 선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는 우덮개판과; 상기 좌덮개판과 상기 우덮개판의 선단에서 하부로 135°~ 175°절곡되며, 상기 난좌에 놓이는 계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뚫려 있는 좌지지판 및 우지지판과; 상기 좌지지판 및 우지지판의 선단에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좌측부판 및 우측부판의, 상기 결합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설된 결합공과; 상기 좌덮개판과 좌지지판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우덮개판과 우지지판 사이의 절곡부가 밀접되도록, 상기 좌덮개판과 우덮개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에 형성된 체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부판은 중간에서 적어도 1회이상 우측으로 1°~ 120°절곡되며, 상기 우측부판은 중간에서 적어도 1회이상 좌측으로 1°~ 120°절곡되되, 상기 좌측부판 또는 상기 우측부판이 상기 난좌 또는 계란에 밀착되어 포장상자가 흔들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좌덮개판과 상기 좌지지판이 만나는 절곡부에 형성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설편과; 상기 설편에 대응되도록 상기 우덮개판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바닥판에, 상기 난좌의 저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안착홀;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좌측부판/우측부판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좌측부판 및/또는 우측부판 내에서의 절곡부와; 상기 좌측부판 및/또는 우측부판 내에서의 절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에는 홈을 부설하여, 상기 포장상자를 적층하고 끈으로 묶을 때 상기 홈에 상기 끈이 끼어 상기 포장상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우지지판의,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체결공보다 작거나 유사한 크기의 보조공이 형성되어, 상기 설편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고 이탈되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계란 포장용구는,
난좌와, 상기 난좌를 감싸는 포장상자를 포함하는 계란 포장용구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는, 상기 난좌가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측단에서 상부로 10°~ 150°절곡되는 좌측부판과; 상기 바닥판의 우측단에서 상부로 10°~ 150°절곡되는 우측부판과; 상기 좌측부판의 선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는 좌덮개판과; 상기 우측부판의 선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는 우덮개판과; 상기 좌덮개판과 우덮개판의 선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난좌의 돌부를 압박하는 좌지지판 및 우지지판과; 상기 좌지지판과 상기 우지지판이 밀접되도록 상기 좌덮개판, 우덮개판, 좌지지판, 우지지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에 형성된 체결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부판은 중간에서 적어도 1회이상 우측으로 1°~ 120°절곡되며, 상기 우측부판은 중간에서 적어도 1회이상 좌측으로 1°~ 120°절곡되되, 상기 좌측부판 또는 상기 우측부판이 상기 난좌 또는 계란에 밀착되어 포장상자가 흔들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좌덮개판과 상기 좌지지판이 만나는 절곡부에 형성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설편과; 상기 설편에 대응되도록 상기 우덮개판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설편 또는 체결공의 소정의 위치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체결공의 일측부는 손가락 굵기만큼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좌지지판의 선단에서 상기 좌측부판과 상기 좌덮개판 사이의 절곡부를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난좌에 놓이는 계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뚫려있는 좌완충판과; 상기 우지지판의 선단에서 상기 우측부판과 상기 우덮개판 사이의 절곡부를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난좌에 놓이는 계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뚫려있는 우완충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좌완충판 및 우완충판의 선단에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좌측부판과 상기 좌덮개판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우측부판과 상기 우덮개판 사이의 절곡부의, 상기 결합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설된 결합공;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바닥판에, 상기 난좌의 저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안착홀;을 가지므로써 상기 난좌가 상기 포장상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좌측부판/우측부판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좌측부판 및/또는 우측부판 내에서의 절곡부와; 상기 좌측부판 및/또는 우측부판 내에서의 절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에는 적재용 홈을 부설하여, 상기 포장상자를 적층하고 끈으로 묶을 때 상기 적재용 홈에 상기 끈이 끼어 상기 포장상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이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이들 실시예의 일부를 상호 조합하거나 실시예의 일부만으로 고안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10에서는 포장상자(200)의 전개도와, 계란(400)을 난좌(100)에 안치하고 상기 포장상자(200)로 포장한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전개도에서 사용한 이점쇄선은 접지하는 선을 표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일실시예이다. 전개도를 살펴보면, 포장상자(200)는 1장의 종이(골판지, 아트지, 하드보드 등)로 구성된다. 상기 포장상자(200)는 다수개의 접지선(도면부호 미표시)이 있으며, 상기 접지선들을 기준으로 각각의 판을 명명하였다. 포장상자(200)의 좌측부터 차례로 좌지지판(260), 좌덮개판(240), 좌측부판(220), 바닥판(210), 우측부판(230), 우덮개판(250), 우지지판(2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에는 상기 포장상자(200)를 접지시 계란(40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도면부호 미표시)이 뚫려 있다. 상기 구멍은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에 의하여 상기 계란(400)이 압박받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의 선단에는 결합편(280)이 위치한다.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에는, 상기 포장상자(200)을 접었을때 상기 결합편(280)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290)이 뚫려 있다.
상기 우덮개판(250)과 우지지판(270) 사이의 접지선에서 상기 우지지판(270)으로는 상기 우지지판(270)의 일부가 절개되어 설편(302)을 형성한다. 상기 좌덮개판(240)에는 상기 설편(302)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04)이 뚫려 있다. 상기 포장상자(200)을 접지시에 상기 설편(302)은 상기 체결공(304)에 삽입되어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체결시킨다. 상기 설편(302)과 체결공(304)을 합하여 체결수단(300)이라 한다.
본 도면에서는 체결수단(300)을 상기 설편(302)과 체결공(304)만으로 표현하였으나, 다른 방법으로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스테플러로 연결시키거나, 날클립으로 연결시키거나,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의 적당한 부위에 구멍을 뚫고 철심으로 연결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은 중간에서 한번 더 접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의 중간에 위치하는 접지선(도면부호 미표시)에는 적재용 홈(310)이 뚫려 있다. 상기 적재용 홈(310)은 상기 포장상자(200)를 적재하고 끈으로 묶을 때, 상기 적재용 홈(310)에 끈이 끼어 중간에 있는 어느 하나의 포장상자(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좌지지판(260)에는 상기 체결공(304)보다 작거나 유사한 크기의 보조공(320)이 뚫려 있다. 상기 보조공(320)은 상기 체결공(304)에 삽입되는 설편(302)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체결공(304)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적재용 홈(310)과 보조공(320)은 본 고안이 성립하기 위한 필수요건은 아니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포장상자(200)를 접지하여 계란(400)과 난좌(100)를 포장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 하부의 그림이다.
상기 좌측부판(220)/우측부판(230)은 상기 바닥판(210)의 양 끝에서 상부로 60°가량 절곡되어 있으며, 도2 내지 도4와 도7 내지 도9에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은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의 선단에서 하부로 160°가량 절곡되어 있다.
상기 난좌(100)의 측면은 도11의 하부에 있는 그림처럼 측면(120)이 경사져 있으며,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이 상기 측면(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장상자(200)의 흔들림이 없다. 또한,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에 가해지는 압력 중 일부는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으로 직접전달되며, 다른 일부의 압력은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을 통하여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으로 전달된다.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에 전달된 압력은 상기 난좌(100)의 측면(120)이나 상기 바닥판(210)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실시예 2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전개도를 살펴보면, 포장상자(200)는 1장의 종이(골판지, 아트지, 하드보드 등)로 구성된다. 상기 포장상자(200)는 다수개의 접지선(도면부호 미표시)이 있으며, 상기 접지선들을 기준으로 각각의 판을 명명하였다. 포장상자(200)의 좌측부터 차례로 좌지지판(260), 좌덮개판(240), 좌측부판(220), 바닥판(210), 우측부판(230), 우덮개판(250), 우지지판(2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우덮개판(250)과 우지지판(270) 사이의 접지선에서 상기 우지지판(270)으로는 상기 우지지판(270)의 일부가 절개되어 설편(302)을 형성한다. 상기 좌덮개판(240)에는 상기 설편(302)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04)이 뚫려 있다. 상기 포장상자(200)을 접지시에 상기 설편(302)은 상기 체결공(304)에 삽입되어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체결시킨다. 상기 설편(302)과 체결공(304)을 합하여 체결수단(300)이라 한다.
본 도면에서는 체결수단(300)을 상기 설편(302)과 체결공(304)만으로 표현하였으나, 다른 방법으로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스테플러로 연결시키거나, 날클립으로 연결시키거나,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의 적당한 부위에 구멍을 뚫고 철심으로 연결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은 중간에서 한번 더 접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의 중간에 위치하는 접지선(도면부호 미표시)에는 적재용 홈(310)이 뚫려 있다. 상기 적재용 홈(310)은 상기 포장상자(200)를 적재하고 끈으로 묶을 때, 상기 적재용 홈(310)에 끈이 끼어 중간에 있는 어느 하나의 포장상자(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적재용 홈(310)은 본 고안이 성립하기 위한 필수요건은 아니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포장상자(200)를 접지하여 계란(400)과 난좌(100)를 포장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 하부의 그림이다. 상기 난좌(100)의 측면은 도11의 하부에 있는 그림처럼 측면(120)이 경사져 있으며,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이 상기 측면(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장상자(200)의 흔들림이 없다. 또한,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에 가해지는 압력 중 일부는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으로 직접전달되며, 다른 일부의 압력은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을 통하여 상기 난좌(100)의 돌부(난좌의 중앙에 튀어나온 부분, 도11에는 도면부호 110으로 표기됨)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에 전달된 압력은 상기 난좌(100)의 측면(120)이나 상기 바닥판(210)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실시예 3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3번째 실시예이다.
도3은 이탈방지편(330)이 추가로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2와 같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은 난좌(100)의 돌부(난좌의 중앙에 튀어나온 부분, 도11에는 도면부호 110으로 표기됨)와 돌부 사이의 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은 상기 난좌(100)와 여기에 안치된 계란(400)이 상기 포장상자(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을 길게 형성시킬 경우에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4번째 실시예이다.
도4는 이탈방지편(330)의 모양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도3과 동일하다. 이탈방지편(330)의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계란(400)의 측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편(330)이 호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이 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을 길게 형성시킬 경우에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실시예 5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5번째 실시예이다.
도5는 바닥판(210)에 안착홀(212)이 뚫려 있으며, 적재용 홈(310)이 상기 바닥판(210)과 좌측부판(220)/우측부판(230) 사이의 접지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부판(220)/우측부판(230)의 내부에 있던 접지선이 없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2와 같다. 상기 안착홀(212)은 난좌(100)의 하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부판(220)/우측부판(230)은 상기 바닥판(210)의 양 끝에서 상부로 120°가량 절곡되어 있으며, 도6에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즉, 포장상자(200)는 접지시에 사다리꼴 모양을 형성한다.
실시예 6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6번째 실시예이다.
도6은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의 선단에 이탈방지편(330)이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5와 동일하다.
실시예 7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7번째 실시예이다.
도7은 계란을 30개 포장하는 30개들이 포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전개도를 살펴보면, 포장상자(200)는 1장의 종이(골판지, 아트지, 하드보드 등)로 구성된다. 상기 포장상자(200)는 다수개의 접지선(도면부호 미표시)이 있으며, 상기 접지선들을 기준으로 각각의 판을 명명하였다. 포장상자(200)의 좌측부터 차례로 좌지지판(260), 좌덮개판(240), 좌측부판(220), 바닥판(210), 우측부판(230), 우덮개판(250), 우지지판(2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우덮개판(250)과 우지지판(270) 사이의 접지선에서 상기 우지지판(270)으로는 상기 우지지판(270)의 일부가 절개되어 설편(302)을 형성한다. 상기 좌덮개판(240)에는 상기 설편(302)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04)이 뚫려 있다. 상기 포장상자(200)을 접지시에 상기 설편(302)은 상기 체결공(304)에 삽입되어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체결시킨다. 상기 설편(302)과 체결공(304)을 합하여 체결수단(300)이라 한다.
본 도면에서는 체결수단(300)을 상기 설편(302)과 체결공(304)만으로 표현하였으나, 다른 방법으로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스테플러로 연결시키거나, 날클립으로 연결시키거나,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의 적당한 부위에 구멍을 뚫고 철심으로 연결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의 선단에는 이탈방지편(330)이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은 난좌(100)의 돌부(난좌의 중앙에 튀어나온 부분, 도11에는 도면부호 110으로 표기됨)와 돌부 사이의 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은 상기 난좌(100)와 여기에 안치된 계란(400)이 상기 포장상자(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을 길게 형성시킬 경우에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의 측면에는 일부가 절개된 지지편(34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340)은 포장상자(200)를 접지시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난좌(100)의 측면에 끼워져 상기 포장상자(200)에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의 측면 선단에는 걸고리(3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210)의 양 측면에는 걸림공(3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장상자(200)를 접지시에 상기 걸고리(360)는 상기 걸림공(370)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린다. 상기 걸고리(360)와 걸림공(370)은 상기 설편(302)과 체결공(304)에 의한 체결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덮개판(240) 및/또는 우덮개판(250)과, 상기 바닥판(210)에는 상부손잡이공(380)과 하부손잡이공(3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손잡이공(380)과 하부손잡이공(390)은 상기 포장상자(200)에 의해 포장된 계란(400)을 운반할 때 한 손으로도 가능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상부손잡이공(380)과 하부손잡이공(390)을 2개씩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1개 또는 3개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포장상자(200)를 접지하여 계란(400)과 난좌(100)를 포장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 하부의 그림이다. 상기 난좌(100)의 측면은 도11의 하부에 있는 그림처럼 측면(120)이 경사져 있으며,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이 상기 측면(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장상자(200)의 흔들림이 없다. 또한,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에 가해지는 압력 중 일부는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으로 직접전달되며, 다른 일부의 압력은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을 통하여 상기 난좌(100)의 돌부(난좌의 중앙에 튀어나온 부분, 도11에는 도면부호 110으로 표기됨)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에 전달된 압력은 상기 난좌(100)의 측면(120)이나 상기 바닥판(210)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또한 일부의 압력은 상기 지지편(340)을 통하여 상기 난좌(100)으로 전달, 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은 중간에서 한번 더 접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의 중간에 위치하는 접지선(도면부호 미표시)에는 도1 또는 도2에서와 같은 적재용 홈(310)을 뚫을 수 있다. 상기 적재용 홈(310)은 상기 포장상자(200)를 적재하고 끈으로 묶을 때, 상기 적재용 홈(310)에 끈이 끼어 중간에 있는 어느 하나의 포장상자(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 8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8번째 실시예이다.
도8은 계란을 30개 포장하는 30개들이 포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전개도를 살펴보면, 포장상자(200)는 1장의 종이(골판지, 아트지, 하드보드 등)로 구성된다. 상기 포장상자(200)는 다수개의 접지선(도면부호 미표시)이 있으며, 상기 접지선들을 기준으로 각각의 판을 명명하였다. 포장상자(200)의 좌측부터 차례로 좌지지판(260), 좌덮개판(240), 좌측부판(220), 바닥판(210), 우측부판(230), 우덮개판(250), 우지지판(2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우덮개판(250)과 우지지판(270) 사이의 접지선에서 상기 우지지판(270)으로는 상기 우지지판(270)의 일부가 절개되어 설편(302)을 형성한다. 상기 좌덮개판(240)에는 상기 설편(302)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04)이 뚫려 있다. 상기 포장상자(200)을 접지시에 상기 설편(302)은 상기 체결공(304)에 삽입되어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체결시킨다. 상기 설편(302)과 체결공(304)을 합하여 체결수단(300)이라 한다.
본 도면에서는 체결수단(300)을 상기 설편(302)과 체결공(304)만으로 표현하였으나, 다른 방법으로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을 스테플러로 연결시키거나, 날클립으로 연결시키거나,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의 적당한 부위에 구멍을 뚫고 철심으로 연결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의 선단에는 이탈방지편(330)이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은 난좌(100)의 돌부(난좌의 중앙에 튀어나온 부분, 도11에는 도면부호 110으로 표기됨)와 돌부 사이의 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은 상기 난좌(100)와 여기에 안치된 계란(400)이 상기 포장상자(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을 길게 형성시킬 경우에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설편(350)이 있다. 상기 지지설편(350)은 상기 포장상자(200)을 접지하여 포장하였을 때, 난좌(100)의 돌부(난좌의 중앙에 튀어나온 부분, 도11에는 도면부호 110으로 표기됨)에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지지설편(350)은 상기 돌부(110)에 대응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돌부(110)와 돌부(110)사이의 홈에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210)에는 하부손잡이공(3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손잡이공(390)은 상기 포장상자(200)에 의해 포장된 계란(400)을 운반할 때 한 손으로도 가능하도록 한다. 도7에서와 같은 상부 손잡이공(380)은 상기 지지설편(350)이 이탈된 구멍으로 대체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 손잡이공(38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포장상자(200)를 접지하여 계란(400)과 난좌(100)를 포장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 하부의 그림이다. 상기 난좌(100)의 측면은 도11의 하부에 있는 그림처럼 측면(120)이 경사져 있으며,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이 상기 측면(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장상자(200)의 흔들림이 없다. 또한, 상기 좌덮개판(240)과 우덮개판(250)에 가해지는 압력 중 일부는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으로 직접전달되며, 다른 일부의 압력은 상기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을 통하여 상기 난좌(100)의 돌부(난좌의 중앙에 튀어나온 부분, 도11에는 도면부호 110으로 표기됨)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에 전달된 압력은 상기 난좌(100)의 측면(120)이나 상기 바닥판(210)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또한 일부의 압력은 상기 지지설편(350)을 통하여 난좌(100)의 돌부에 전달, 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은 중간에서 한번 더 접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의 중간에 위치하는 접지선(도면부호 미표시)에는 도1 또는 도2에서와 같은 적재용 홈(310)을 뚫을 수 있다. 상기 적재용 홈(310)은 상기 포장상자(200)를 적재하고 끈으로 묶을 때, 상기 적재용 홈(310)에 끈이 끼어 중간에 있는 어느 하나의 포장상자(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 9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9번째 실시예이다.
도9는 도8의 특징인 지지설편(350)이 추가로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7과 같다.
실시예 10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 포장용구의 10번째 실시예이다.
도10은 전개도 상으로는 도2에 좌완충판(265)과 우완충판(275)이 추가로 더해진 형태를 띠고 있다. 즉,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의 선단을 연장하여 좌완충판(265)과 우완충판(275)을 만든다. 상기 좌완충판(265)과 우완충판(275)에는 난좌(100)에 안착하는 계란(400)에 대응되는 위치는 구멍이 뚫려 계란(400)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멍은 좌지지판(260)과 우지지판(270)까지 연장되어 눈사람의 형태를 띤다. 이는 상기 좌지지판(260)과 좌완충판(265)사이의 접지선 또는 우지지판 (270)과 우완충판(275)사이의 접지선에 의해 본 계란포장용구가 접혔을 때, 공간을 만들어 계란에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에 계란이 위치하므로써 계란포장용구에서 난좌 또는 계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설편(302)의 양측부에는 이탈방지돌기(303)이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설편(302)가 체결공(304)에 삽입된 후 손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설편(302)과 상기 이탈방지돌기(303)를 확대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상기 이탈방지돌기(303)는 상기 체결공(304)에 돌기가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303)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304)의 한쪽을 작게 하거나,상기 설편(302)을 약간 크게 만들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공(304)은 상기 설편(302)이 체결되는 반대쪽이 손가락이 들어갈 만큼 확대되어 있다. 이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구가 제품화되어 출하되고 나서 사용할 때, 포장용구를 분리하기 쉽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체결공(304)의 확대된 공간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설편(302)을 상기 체결공(304)로부터 탈리시킨다.
상기 좌완충판(265)과 우완충판(275)의 선단에는 결합편(280)이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부판(220)과 우측부판(230)의 선단쪽에는 상기 결합편(280)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290)이 설치되어 있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303)나 상기 체결공을 손가락 굵기만큼 확대시키는 것은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9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좌의 일실시예이다.
도11에서 상부에는 난좌(100)의 돌부(110)의 끝에 -형 홈(112)또는 +형 홈(11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며, 하부에는 난좌(100)의 측면(120)이 경사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형 홈(112)또는 +형 홈(114)은 도2 내지 도9에서의 좌지지판(260) 또는 우지지판(27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측면(120)은 도2 내지 도9에서의 좌측부판(220)과 우지지판(230)과의 접촉을 긴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10에서 사용하는 난좌(100)은 실시예10에서 제공하는 난좌(100)를 사용하고 있으나, 시중에서 널리 이용되는 통상의 난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10의 포장상자(200)의 적당한 곳에는 구멍을 뚫어 내부가 보이도록 하거나, 통풍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멍을 뚫는 것은 당업자로서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특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하게 포장을 마무리할 수 있으며, 포장상자의 재활용이 용이하며, 포장상자의 유동이 없어 많이 적재할 수 있으며, 여러개를 적재후 끈으로 묶어도 어느 하나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난좌와, 상기 난좌를 감싸는 포장상자를 포함하는 계란 포장용구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는,
    상기 난좌가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측단에서 상부로 10°~ 150°절곡되는 좌측부판과;
    상기 바닥판의 우측단에서 상부로 10°~ 150°절곡되는 우측부판과;
    상기 좌측부판의 선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는 좌덮개판과;
    상기 우측부판의 선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는 우덮개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덮개판과 상기 우덮개판의 선단에서 하부로 135°~ 175°절곡되며, 상기 난좌에 놓이는 계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뚫려 있는 좌지지판 및 우지지판과;
    상기 좌지지판 및 우지지판의 선단에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좌측부판 및 우측부판의, 상기 결합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설된 결합공과;
    상기 좌덮개판과 좌지지판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우덮개판과 우지지판 사이의 절곡부가 밀접되도록, 상기 좌덮개판과 우덮개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에 형성된 체결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부판은 중간에서 적어도 1회이상 우측으로 1°~ 120°절곡되며,
    상기 우측부판은 중간에서 적어도 1회이상 좌측으로 1°~ 120°절곡되되, 상기 좌측부판 또는 상기 우측부판이 상기 난좌 또는 계란에 밀착되어 포장상자가 흔들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좌덮개판과 상기 좌지지판이 만나는 절곡부에 형성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설편과;
    상기 설편에 대응되도록 상기 우덮개판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상기 난좌의 저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안착홀;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좌측부판/우측부판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좌측부판 및/또는 우측부판 내에서의 절곡부와;
    상기 좌측부판 및/또는 우측부판 내에서의 절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에는 홈을 부설하여,
    상기 포장상자를 적층하고 끈으로 묶을 때 상기 홈에 상기 끈이 끼어 상기 포장상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지지판의,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체결공보다 작거나 유사한 크기의 보조공이 형성되어,
    상기 설편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고 이탈되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덮개판과 우덮개판의 선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난좌의 돌부를 압박하는 좌지지판 및 우지지판과;
    상기 좌지지판과 상기 우지지판이 밀접되도록 상기 좌덮개판, 우덮개판, 좌지지판, 우지지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에 형성된 체결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부판은 중간에서 적어도 1회이상 우측으로 1°~ 120°절곡되며,
    상기 우측부판은 중간에서 적어도 1회이상 좌측으로 1°~ 120°절곡되되, 상기 좌측부판 또는 상기 우측부판이 상기 난좌 또는 계란에 밀착되어 포장상자가 흔들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좌덮개판과 상기 좌지지판이 만나는 절곡부에 형성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설편과;
    상기 설편에 대응되도록 상기 우덮개판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 또는 체결공의 소정의 위치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의 일측부는 손가락 굵기만큼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지지판의 선단에서 상기 좌측부판과 상기 좌덮개판 사이의 절곡부를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난좌에 놓이는 계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뚫려있는 좌완충판과;
    상기 우지지판의 선단에서 상기 우측부판과 상기 우덮개판 사이의 절곡부를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난좌에 놓이는 계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뚫려있는 우완충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완충판 및 우완충판의 선단에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좌측부판과 상기 좌덮개판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우측부판과 상기 우덮개판 사이의 절곡부의, 상기 결합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설된 결합공;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상기 난좌의 저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안착홀;을 가지므로써 상기 난좌가 상기 포장상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좌측부판/우측부판 사이의 절곡부와;
    상기 좌측부판 및/또는 우측부판 내에서의 절곡부와;
    상기 좌측부판 및/또는 우측부판 내에서의 절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에는 적재용 홈을 부설하여,
    상기 포장상자를 적층하고 끈으로 묶을 때 상기 적재용 홈에 상기 끈이 끼어 상기 포장상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용구.
KR2020000027961U 2000-10-07 2000-10-07 계란 포장용구 KR200217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61U KR200217027Y1 (ko) 2000-10-07 2000-10-07 계란 포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61U KR200217027Y1 (ko) 2000-10-07 2000-10-07 계란 포장용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094A Division KR20010016013A (ko) 2000-09-25 2000-09-25 계란 포장용구와 난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27Y1 true KR200217027Y1 (ko) 2001-03-15

Family

ID=7305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961U KR200217027Y1 (ko) 2000-10-07 2000-10-07 계란 포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6848A (zh) * 2019-06-19 2019-08-13 无锡欣盛包装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式锁扣纸包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6848A (zh) * 2019-06-19 2019-08-13 无锡欣盛包装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式锁扣纸包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7027Y1 (ko) 계란 포장용구
KR20010016013A (ko) 계란 포장용구와 난좌
JPS6128754Y2 (ko)
JPH086739Y2 (ja) 提手付包装用紙箱
JP2569590Y2 (ja) 梱包用箱
JP3388906B2 (ja) チャック付袋体
JP3100049U (ja) 紙製梱包箱
JPH09240775A (ja) 梱包装置
JPS607190Y2 (ja) 紙葉綴込具
JPH0352699Y2 (ko)
JPS5824817Y2 (ja) 複合包装箱
JP3353856B2 (ja) 梱包装置
JPS6112366Y2 (ko)
JPS5841147Y2 (ja) 提手付パッケ−ジ用ケ−ス
JPS5917780Y2 (ja) 包装箱の結合具
KR200223128Y1 (ko) 기타포장박스
JPS5828999Y2 (ja) 包装容器
JP2005119686A (ja) 把持部付組立包装箱
JPS6223700Y2 (ko)
US1817427A (en) Storage file
JPS6230975Y2 (ko)
JP4639855B2 (ja) 組み立て箱の蓋構造
JPS6122815Y2 (ko)
JP2006044757A (ja) 段ボール製包装箱
JP3459618B2 (ja) 簡易封緘段ボール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