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497Y1 - 간편문틀 - Google Patents

간편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497Y1
KR200216497Y1 KR2020000027636U KR20000027636U KR200216497Y1 KR 200216497 Y1 KR200216497 Y1 KR 200216497Y1 KR 2020000027636 U KR2020000027636 U KR 2020000027636U KR 20000027636 U KR20000027636 U KR 20000027636U KR 200216497 Y1 KR200216497 Y1 KR 200216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aterial
door frame
main body
lapp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기
전명호
Original Assignee
전병기
전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기, 전명호 filed Critical 전병기
Priority to KR2020000027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497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틀에 관한 것으로, 본체소재(100)와; 상기 본체소재(100)의 일면에 가압접착되는 랩핑소재(110)와; 상기 랩핑소재(110)가 접착된 면과 반대면에 형성되고, 소정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결형성되는 절곡홈부(120)와; 상기 절곡홈부(120)를 따라 절곡되며, 본체소재(100)의 측면을 형성시키는 측면부(103)와; 상기 절곡홈부(120)를 따라 절곡되어 본체소재의 상면을 형성시키는 상면부(104); 그리고, 상기 상면부(104)의 단부와 단부사이에 형성되어 문짝멈춤부(130)가 결합되는 문짝멈춤부 결합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편문틀을 또한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값싼 본체소재(100)를 사용하며 본체소재(100)의 일면에 랩핑소재(110)를 가압 접착한 다음 본체소재(100)를 구성하므로 원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기존문틀은 다양한 규격의 자재를 저장 보관하여야 하나, 본 고안에서는 본체소재(100)를 합판상태로 보관하다가, 필요한 만큼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재재고 부담이 적고, 랩핑소재가 도포된 재공품(반제품) 상태로 보관해 둘 수 있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응하여 제품을 공급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간편문틀{door frame}
본 고안은 문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두께의 반정도되는 합판 적층체나 MDF의 상면에 천연무늬목이나, 모양지 비닐시트지 등의 마감소재인 랩핑소재를 접착한 상태에서 합판의 배면에 절곡홈부를 형성하여 합판을 절곡홈부를 따라서 접음과 동시에 접착재를 접착하여 문틀 형상을 구성하는 간편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문틀 및 창호를 제작하기 위해 원목을 사용하여 문틀을 구성하고 있으나 원목의 가격은 엄청나게 비쌀 뿐 아니라 휨이나 뒤틀림 현상, 각 나무마다 현저히 차이가 나는 색상 및 무늬결로 인하여 통일감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원목 문틀 및 창호가 가진 각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랩핑 제품(wrapping products)이다. 랩핑제품은 각종 창호재등에 다양한 무늬의 비닐 시트(PVC Foil), 모양지(Finishing Foil) 및 천연 무늬목(Natural Veneer) 등을 씌운 것으로, 이미 유럽 등지에서 범용화된지 오래된 방법이다.
도1은 종래의 랩핑 문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조립단면도이며, 도3은 도1의 본문틀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랩핑 문틀은 벽체(11) 시공 시에 가문틀(13)을 설치한 후 이를 본문틀과 무리없이 고정시키기 위하여 본체(15)와 문짝 멈춤부(Door Stopper, 10)로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다.
랩핑은 랩핑목(17)을 사용하여 본체의 돌출부분과 문짝 멈춤부(10)에 이루어 지게 된다. 이때, 본체 부분에는 문짝 멈춤부가 들어갈 홈(18)을 파고 (Moulding) 외부에 랩핑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본체(15)에 사용될 재질은 동 공정에 적합한 고품질의 라왕 집성목 등의 소재가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위에 언급한 문틀의 제작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문틀 본체(15)와 문짝 멈춤부(10)는 각 현장에서 벽체(11)의 두께에 따라 그 규격이 결정되며 일일이 성형에 적합한 라왕 집성목 등의 고가의 소재를 요구 치수보다 크게 준비한 후 형상가공기계(Moulder)에서 정 치수를 가공하여 성형 완료한 후, 천연 무늬목 등의 랩핑 소재를 필요한 부분에 랩핑하고, 천연 무늬목의 경우에는 연마, 도장 공정을 거쳐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문틀 제작 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문틀 본체는, 고가의 소재를 사용하여야 할 뿐 아니라, 정 치수 가공을 위하여 치수에 여유를 두고 자재를 준비한 후 홈을 파내므로 소재 자체의 비용 및 가공 시 발생되는 손실을 피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현장마다 원하는 규격이 다른 관계로 표준화가 불가능하여, 원하는 치수의 가공 칼날을 소재의 가공 치수에 맞게 일일이 준비하여야 하고 또 각각의 치수에 따라 일일이 칼날 장착(Setting) 작업을 다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한 현장 분으로 생산하다가 흔히 발생되는 과잉 생산 분은 악성 재고로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문틀 및 창호 두께의 반정도되는 합판 적층체나 MDF의 상부표면에 천연무늬목, 모양지, 비닐시트을 도포한 상태에서, 합판적층체나 MDF를 일정크기로 성형 재단 한 후, 합판의 후면에 절곡홈부를 형성하여 합판을 절곡홈부를 따라서 접음과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절곡압착시킴에 의해 문틀 및 창호를 형성시키는 간편문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랩핑문틀의 분해사시도.
도2 - 도1의 조립단면도.
도3 - 도1의 본문틀 부분의 확대도.
도4 - 본체소재에 랩핑소재가 접착된 형상을 보인도.
도5 - 본체소재에 절곡홈부가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도.
도6 - 도6의 절곡홈부를 따라 절곡된 본체소재에 도어스토퍼가 결합되는 형상을 보인도.
도7 -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체소재에 절곡홈부가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도
도8 - 도8의 본체소재가 절곡되어 본체소재에 도어스토퍼가 결합되는 형상을 보인도.
도9 - 창호틀의 대략적인 형상을 보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소재 101 :일측내표면
102 : 타측내표면 103 : 측면부
104 : 상면부 106 : 유동홈부
107 : 저면부 110 : 랩핑소재
120 : 절곡홈부 130 : 문짝멈춤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소재와; 상기 본체소재의 일면에 가압접착되는 랩핑소재와; 상기 랩핑소재가 접착된 면과 반대면에 형성되고, 소정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결형성되는 절곡홈부와; 상기 절곡홈부를 따라 절곡되며, 본체소재의 측면을 형성시키는 측면부와; 상기 절곡홈부를 따라 절곡되어 본체소재의 상면을 형성시키는 상면부; 그리고, 상기 상면부의 단부와 단부사이에 형성되어 문짝멈춤부가 결합되는 문짝멈춤부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편문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소재는 합판 적층체 또는 MDF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곡홈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를 사용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 시키고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체소재에 랩핑소재가 접착된 형상을 보인도이고, 도5는 본체소재에 절곡홈부가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도이며, 도6은 도5의 절곡홈부를 따라 절곡된 본체소재에 도어 스토퍼가 설치된 형상을 보인도이며, 도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체소재에 절곡홈부가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도이고, 도8는 도7의 본체소재가 절곡되어 본체소재에 도어스토퍼가 결합되는 형상을 보인도이며, 도9는 창호틀의 대략적인 형상을 보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편문틀은 크게 본체소재(100)와, 랩핑소재(110)와, 절곡홈부(120)와, 상면부(104)와, 측면부(103) 그리고 문짝 멈춤부 결합홈(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소재(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소재(100)는 문틀의 골격이 되는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합판적층체나 잡성목등의 저가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통상 상기 본체소재(100)의 양면은 매끈하나, 측면은 굴곡이 심하게 되므로 측면에 랩핑소재(110)를 접착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상기 본체소재(100)의 일면에는 상기 본체소재(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랩핑소재(110)가 접착재를 이용하여 가압 접착되는 바, 상기 랩핑소재(110)는 다양한 무늬의 비닐 시트(PVC Foil), 모양지 (Finishing Foil) 및 천연 무늬목(Natural Veneer)으로 구성되며 상기 랩핑소재를 상기 본체소재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재단 성형한 뒤, 오버레이방식으로 상기 랩핑소재(110)를 상기 본체소재(100)의 일면에 접착시킨다. 이때 상기 랩핑소재(110)은 문틀완료시 상기 랩핑소재(110)가 문틀의 외부에 들어나게 되어 문틀의 다양한 질감 및 색감을 구현시킨다.
상기 본체소재(100)의 두 면중 랩핑소재(110)가 접착되지 않은 면에는 절곡홈부(120)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절곡홈부(120)는 표면측에서 내측으로 소정테이퍼지는 형상이며 대략 V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결형성된다. 상기 절곡홈부(120)는 본체소재(100)의 소정깊이까지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소재(100)가 절곡홈부(120)를 따라 절곡되더라도 본체소재(100)가 분리되거나 파손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절곡홈부(120)를 따라 상기 본체소재(100)를 접게 되면, 절곡홈부(120)에 형성된 본체소재(100)의 일측내표면(101)과 타측내표면(102)이 서로간에 접촉되며, 일측내표면(101)과 타측내표면(102)이 접촉되면 외측에서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가압하는 형태로 일측내표면과 타측내표면을 접착시킨다. 따라서, 본체소재(100)가 절곡됨과 동시에 문틀의 기본 골격이 완성되며 문틀의 측면부(103), 상면부(104) 그리고 저면부(10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소재(100)를 절곡시키더라도 랩핑소재(110)는 본체소재(100)의 외측방향으로 드러나게 되어 따로이 랩핑소재(110)를 접착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절곡홈부(120)를 따라 본체소재(100)를 접게 되면 본체소재(100)의 일측 상면부 단부와 타측상면부 단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바, 상기 이격공간이 문짝 멈춤부 결합홈(미도시)이 되게 되며 상기 문짝멈춤부 결합홈(미도시)에 따로이 제작된 문짝 멈춤부(130)가 결합되면 문틀이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문짝 멈춤부 결합홈(미도시)은 상기 절곡홈부(120)를 따라 절곡되는 본체소재(100)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므로 문짝멈춤부 결합홈(미도시)의 폭은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문틀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멈춤부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따로이 상기 본체소재(100)의 상면에 창문이 결합 유동되는 유동홈부(106)를 길이방향으로 형성시켜 창문을 결합시켜 사용하는 창문틀 또는 창호틀로 이용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본체소재(100)의 일면에 접착재를 이용하여 랩핑소재(110)를 압착 접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본체소재(100)의 타면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정크기 및 소정개수의 절곡홈부(120)를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시킨다. 절곡홈부(120)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소재(100)의 절곡홈부(120)에 소정의 접착재를 도포시킨 다음, 본체소재(100)를 절곡홈부(120)를 따라 절곡 시키면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접는다. 따라서 상기 본체소재(100)는 절곡홈부(120)를 따라 접히면서 문틀의 기본틀인 저면부(107), 측면부(103), 상면부(104)가 형성되며 상면부(104)의 단부와 단부의 이격공간은 문짝멈춤부(130)가 결합되는 문짝멈춤부 결합홈(미도시)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문짝 멈춤부 결합홈(미도시)에 문짝멈춤부(130)를 끼우면 간편문틀이 완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본체소재를 사용하며 본체소재의 일면에 랩핑소재를 가압 접착한 다음, 본체소재를 구성하므로 원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기존문틀은 다양한 규격의 자재를 저장 보관하여야 하나, 본 고안에서는 본체소재를 합판상태로 보관하다가, 필요한 만큼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재재고 부담이 적고, 랩핑소재가 도포된 재공품(반제품) 상태로 보관해 둘 수 있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응하여 제품을 공급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소재를 절곡시켜 문틀을 구성하게 되므로 작업공정이 단순화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재고관리가 양호하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3)

  1. 본체소재와;
    상기 본체소재의 일면에 가압접착되는 랩핑소재와;
    상기 랩핑소재가 접착된 면과 반대면에 형성되고, 소정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결형성되는 절곡홈부와;
    상기 절곡홈부를 따라 절곡되며, 본체소재의 측면을 형성시키는 측면부와;
    상기 절곡홈부를 따라 절곡되어 본체소재의 상면을 형성시키는 상면부; 그리고,
    상기 상면부의 단부와 단부사이에 형성되어 문짝멈춤부가 결합되는 문짝멈춤부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문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소재는 합판 적층체 또는 MDF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문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문틀.
KR2020000027636U 2000-10-04 2000-10-04 간편문틀 KR200216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36U KR200216497Y1 (ko) 2000-10-04 2000-10-04 간편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36U KR200216497Y1 (ko) 2000-10-04 2000-10-04 간편문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183A Division KR20010007829A (ko) 2000-10-04 2000-10-04 간편문틀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간편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497Y1 true KR200216497Y1 (ko) 2001-03-15

Family

ID=7305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636U KR200216497Y1 (ko) 2000-10-04 2000-10-04 간편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4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594A (ko) * 2002-01-17 2003-07-28 서울임업(주) 천연무늬목을 랩핑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문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594A (ko) * 2002-01-17 2003-07-28 서울임업(주) 천연무늬목을 랩핑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848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universal door skin blank
US8677707B2 (en) Door skin, method of manufacturing a door produced therewith, and door produced therefrom
US3299595A (en) Compound door
JP2005504194A (ja) ベニア加工されたレイズドパネル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5103432A1 (fr) Lame de jalousie en bambou
JP3721079B2 (ja) 家具ボデイの製造方法および家具ボデイ
KR200216497Y1 (ko) 간편문틀
KR20010007829A (ko) 간편문틀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간편문틀
KR100322764B1 (ko)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
RU2664369C1 (ru) Декорированный погонаж многослойной панел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775027B1 (ko) 가구 문짝의 투톤 가공방법
KR0150807B1 (ko) 무늬목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KR19980082136A (ko) 플라스틱 문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28921Y1 (ko) 가구 장식용 마감재의 단면 접합 구조
CN101352289A (zh) 一种椅面套框及其制造、使用方法
KR200315778Y1 (ko)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KR100530887B1 (ko) 가구문짝의 투톤 가공방법
KR20100060117A (ko) 도어 문틀용 지지판을 목재로 성형하는 방법 및 그 지지판
CN219748335U (zh) 一种板材的折边结构
JPS582569Y2 (ja) 化粧建材
KR200272179Y1 (ko) 천연무늬목을 랩핑한 합성목재 및 이를 이용한 문틀
KR100377837B1 (ko) 랩핑소재가 부착된 문틀 제조방법 및 문틀
KR200175724Y1 (ko)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랩핑된 문틀
CN205498203U (zh) 装饰铝箔纸
CN1278475A (zh) 单板侧压式弯曲木家具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