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764B1 -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 - Google Patents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764B1
KR100322764B1 KR1019990044168A KR19990044168A KR100322764B1 KR 100322764 B1 KR100322764 B1 KR 100322764B1 KR 1019990044168 A KR1019990044168 A KR 1019990044168A KR 19990044168 A KR19990044168 A KR 19990044168A KR 100322764 B1 KR100322764 B1 KR 10032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wrapped
door
wrapping
body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316A (ko
Inventor
심학보
Original Assignee
심학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학보 filed Critical 심학보
Priority to KR101999004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764B1/ko
Priority to KR2019990022009U priority patent/KR20017572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316A/ko
Priority to JP2000290660A priority patent/JP2001146875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06B1/18Metal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06B1/20Metal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무늬목(NATURAL VENEER), 모양지 (FINISHING FOIL OR PAPER FOIL) 또는 비닐 시트지 (PVC FOIL)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문틀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원자재를 사용하여 간단한 제작 공정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문틀의 부품화로 가장 중요한 부분에 대한 규격화, 표준화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은, 본체소재(111)를 규격에 맞추어 소정형상으로 재단하는 제 1단계; 다수의 보조부재(113, 115)를 접착하여 'ㄱ'자 모양의 표피소재(113, 115)를 만드는 제 2단계; 표피소재(113, 115)의 외표면 상에 랩핑목(117)을 접착시켜 랩핑하는 제 3단계; 재단된 본체소재(11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랩핑목(117)으로 랩핑된 표피소재(113, 115)를 부착하여 본체소재(111)의 중앙부분에 수용홈부를 형성시키는 제 4단계; 수용홈부 내부에 판형상의 도어스토퍼(100)를 본체소재(111)의 길이방향으로 안착시켜 도어스토퍼(100)의 상단부가 표피소재보다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도어스토퍼(100)가 본체소재(111)의 가로방향으로 진입하는 도어를 이격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각 현장에서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치수의 문틀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본체소재(111) 만의 가공을 통해서 문틀 전체의 폭 및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 {method for manufacturing door frame wrapped in natural wood veneer, finishing foil and PVC foil etc. and thereby door frame}
본 발명은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하나의 통으로 이루어진 본체 문틀을, 표준화, 규격화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아니한 부분, 이에 일치하여 고급 원자재를 사용하여야 할 부분과 저렴한 원자재 사용이 가능한 부분으로 분리하여, 고급 원자재 부분은 표준화에 의하여, 전체 면적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본체소재 부분에 저렴한 가격의 원자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하게 하며, 각 현장마다 다른 규격의 문틀을 사용함으로써 빚어지던 과잉 생산분의 악성 재고화를 표준화로 방지하여 대량 생산을 통한 원가 절감도 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라왕 창호에 유색도장을 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생활의 질 향상으로 실내를 원목으로 꾸미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유색 도장 창호의 수요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원목의 가격은 라왕 창호재에 비하여 엄청나게 비쌀 뿐 아니라 휨이나 뒤틀림 현상, 각 나무마다 현저히 차이가 나는 색상 및 무늬결로 인하여 통일감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위에 언급한 유색도장 라왕 창호 및 원목 창호가 가진 각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랩핑 제품(wrapping products)이다. 랩핑제품은 각종 창호재등에 다양한 무늬의 비닐 시트(PVC Foil), 모양지 (Finishing Foil) 및 천연 무늬목(Natural Veneer) 등을 씌운 것으로, 이미 유럽 등지에서 범용화된지 오래된 방법이다.
도 1은 종래의 랩핑 문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본문틀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랩핑 문틀은 벽체(11) 시공 시에 가문틀(13)을 설치한 후 이를 본문틀과 무리없이 고정시키기 위하여 본체(15)와 문짝 멈춤부(Door Stopper, 10)로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다.
랩핑은 랩핑목(17)을 사용하여 본체의 돌출부분과 문짝 멈춤부(10)에 이루어 지게 된다. 이 때, 본체 부분에는 문짝 멈춤부가 들어갈 홈(18)을 파고 (Moulding) 외부에 랩핑을 하여야 하기때문에, 본체(15)에 사용될 재질은 동 공정에 적합한 고품질의 라왕 집성목 또는 MDF 등의 소재가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위에 언급한 문틀의 제작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문틀 본체(15)와 문짝 멈춤부(10)는 각 현장에서 벽체(11)의 두께에 따라 그 규격이 결정되며 일일이 성형에 적합한 라왕 집성목 또는 MDF 등의 고가의 소재를 요구 치수보다 크게 준비한 후 형상가공기계(Moulder)에서 정 치수를 가공하여 성형 완료한 후, 천연 무늬목 등의 랩핑 소재를 필요한 부분에 랩핑하고, 천연 무늬목의 경우에는 연마, 도장 공정을 거쳐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문틀 제작 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문틀 본체는, 고가의 소재를 사용하여야 할 뿐 아니라, 정 치수 가공을 위하여 치수에 여유를 두고 자재를 준비한 후 홈을 파내므로 소재 자체의 비용 및 가공 시 발생되는 손실을 피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현장마다 원하는 규격이 다른 관계로 표준화가 불가능하여, 원하는 치수의 가공 칼날을 소재의 가공 치수에 맞게 일일이 준비하여야 하고 또 각각의 치수에 따라 일일이 칼날 장착(Setting) 작업을 다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한 현장 분으로 생산하다가 흔히 발생되는 과잉 생산 분은 악성 재고로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를 사용할 수 있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키며, 가능한 부분에서 규격화, 표준화를 통하여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를 사용할 수 있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키며, 가능한 부분에서 규격화, 표준화를 통하여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종래 랩핑된 문틀의 분해 사시도.
도 2 - 도 1의 조립 단면도.
도 3 - 도 1의 본문틀 부분의 확대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무늬목 등이 랩핑된 문틀의 분해 사시도.
도 5 - 도 4의 조립 단면도.
도 6 - 도 4의 본문틀 본체소재 및 표피소재 부분의 확대도.
도 7 -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무늬목 등이 랩핑된 문틀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 - 결합그루브를 형성하여 L형 문선을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도 9 - 본 발명에 따른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도 10 - 본 발명에 따른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문짝 멈춤부(DOOR STOPPER) 101 : 벽체
103 : 가문틀 111 : 본체소재
113 : 측방부재 115 : 상방부재
117 : 랩핑 자재 120 : 표피소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은, 본체소재를 규격에 맞추어 소정형상으로 재단하는 제 1단계; 다수의 보조부재를 접착하여 'ㄱ'자 모양의 표피소재를 만드는 제 2단계; 표피소재의 외표면 상에 랩핑목을 접착시켜 랩핑하는 제 3단계; 재단된 본체소재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랩핑목으로 랩핑된 표피소재를 부착하여 본체소재의 중앙부분에 수용홈부를 형성시키는 제 4단계; 수용홈부 내부에 판형상의 도어스토퍼를 본체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안착시켜 도어스토퍼의 상단부가 표피소재보다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도어스토퍼가 본체소재의 가로방향으로 진입하는 도어를 이격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각 현장에서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치수의 문틀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본체소재만의 가공을 통해서 문틀 전체의 폭 및 두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문틀 제조방법은, 도어스토퍼의 외표면 상에도 랩핑목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랩핑소재는 천연 무늬목(NATURAL VENEER), 모양지(FINISHING FOIL OR PAPER FOIL) 및 비닐 시트지(PVC FOIL)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랩핑소재로서 천연 무늬목이 채용될 때, 표피소재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rounding)처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표피소재는 'ㄱ'자 모양으로 재단성형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각 표피소재의 외측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결합그루브를 형성하여 결합그루브에 L형 문선의 결합구를 삽입하여 걸리게 함으로써, 표피소재 및 본체소재의 결합체의 폭과 벽면 두께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결합그루브의 유격을 통해 그 일치를 꾀하도록 하여, 문틀 본체의 표준화 및 규격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은, 규격에 맞추어 소정형상으로 재단되는 본체소재; 다수의 보조부재를 접착하여 'ㄱ'자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표피소재; 표피소재의 외표면 상에 접착되어 랩핑되는 랩핑목; 재단된 본체소재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랩핑목으로 랩핑된 표피소재가 부착됨으로써 본체소재의 중앙부분에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수용홈부 내부에서 본체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안착되어 그 상단부가 표피소재보다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본체소재의 가로방향으로 진입하는 도어를 이격저지할 수 있는 판형상의 도어스토퍼를 포함하여, 각 현장에서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치수의 문틀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본체소재 만의 가공을 통해서 문틀 전체의 폭 및 두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어스토퍼의 외표면 상에도 랩핑목이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랩핑목은 천연 무늬목(NATURAL VENEER), 모양지(FINISHING FOIL OR PAPER FOIL) 및 비닐 시트지(PVC FOIL)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랩핑목으로서 천연 무늬목이 채용될 때, 표피소재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rounding)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피소재는 'ㄱ'자 모양으로 재단성형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각 표피소재의 외측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결합그루브를 형성하여 결합그루브에 L형 문선의 결합구를 삽입하여 걸리게 함으로써, 표피소재 및 본체소재의 결합체의 폭과 벽면 두께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결합그루브의 유격을 통해 그 일치를 꾀하도록 하여, 문틀 본체의 표준화 및 규격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본체소재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핑 문틀은 벽체(101) 시공 시에 가문틀(103)을 설치한 후 이를 본문틀과 무리없이 고정시키기 위하여 본체(도번 없음)와 문짝 멈춤부(Door Stopper, 100)로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은, 본체소재(111)를 규격에 맞추어 소정형상으로 재단하는 제 1단계; 다수의 보조부재(113, 115)를 접착하여 'ㄱ'자 모양의 표피소재(113, 115)를 만드는 제 2단계; 표피소재(113, 115)의 외표면 상에 랩핑목(117)을 접착시켜 랩핑하는 제 3단계; 재단된 본체소재(11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랩핑목(117)으로 랩핑된 표피소재(113, 115)를 부착하여 본체소재(111)의 중앙부분에 수용홈부를 형성시키는 제 4단계; 수용홈부 내부에 판형상의 도어스토퍼(100)를 본체소재(111)의 길이방향으로 안착시켜 도어스토퍼(100)의 상단부가 표피소재(113, 115)보다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도어스토퍼(100)가 본체소재(111)의 가로방향으로 진입하는 도어를 이격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각 현장에서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치수의 문틀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본체소재(111) 만의 가공을 통해서 문틀 전체의 폭 및 두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스토퍼(100)의 외표면 상에도 랩핑목(117)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랩핑소재는 천연 무늬목(NATURAL VENEER), 모양지(FINISHING FOIL OR PAPER FOIL) 및 비닐 시트지(PVC FOIL)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고 있다.
랩핑소재로서 천연 무늬목이 채용될 때, 표피소재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rounding)처리된다. 이는 천연 무늬목이 랩핑시 찢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한 공정을 다시 간단하게 설명하면, 문틀 제조 방법은 본체소재(111)와 'ㄱ'형 표피소재(113, 115)를 규격에 맞추어 재단하는 1단계, 'ㄱ'형 표피소재(113, 115)를 접착 및 모서리를 라운드 처리하는 2단계, 접착, 가공된 표피소재 (120 = 113 + 115) 위에 천연 무늬목 등의 랩핑 자재를 랩핑하는 3단계를 거쳐 1단계에서 재단된 본체소재(111)와 3단계에 걸쳐 'ㄱ'형으로 랩핑된 표피소재를 부착하여 완성한다.
'ㄱ'형 표피소재(120)는 일반적으로 한국의 일반 문짝의 두께가 36mm이고, 문틀의 도아다리 부분의 폭이 40mm로 표준화되어 있는 관계로 문짝 멈춤부로 덮이는 부분을 포함하여 45 x 25mm 또는 45 x 22mm 등으로 표준화할 수 있다. 이 부위는 추후 이를 동 규격에 맞추어 정방형 목재를 사용하여 나머지 부분을 파낸다면 소재의 낭비가 극심하므로 3mm 또는 필요에 따라 4-5mm 두께의 MDF, HDF 또는 LVL (Laminated Veneer Lumber) 등의 소재를 재단한 상방부재(115)와 역시 필요한 규격으로 재단한 측방부재(113)를 'ㄱ'자 형으로 접착한 후 사용함으로써 소재 가격을 절감한다. 'ㄱ'형으로 접착한 후, 원만한 랩핑을 위하여 모서리 부분을 약간 둥글게 처리하고 랩핑 자재를 감싼 후, 천연 무늬목의 경우는 연마 및 도장 공정을 추가하고, 모양지나 비닐 시트의 경우에는 그 상태로 공정이 마감되게 된다.
본체소재는 기존 문틀 제작 방식과 달리, 홈을 파는 등의 형상 가공은 하지 않고 그 위에 표피소재를 덮방할 용도이므로 기존 문틀과 같이 형상 가공이 용이한 라왕이나, MDF 등과 같은 고급 소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합판, Block Board, PB, OSB 등의 보다 저렴하고 품질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이미 규격화되어 시판되고 있으므로 구매가 용이하고 별다른 형상 가공 없이 톱을 이용하여 정 재단만 하면 되므로 소재 가격의 절감은 물론 공정을 단축하여 불량 요인을 사전에 많이 줄일 수 있다.
이렇게 표피소재와 본체소재를 별도 공정에 의하여 가공한 후 두 소재를 접합시킴으로써 신 공법에 의한 문틀 본체의 생산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표피소재(113, 115)는 'ㄱ'자 모양으로 재단성형되어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조공정은, 표피소재(120)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조공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표피소재(113, 115)의 외측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결합그루브를 형성하여 결합그루브에 L형 문선(130)의 결합구를 삽입하여 걸리게 함으로써, 표피소재(120) 및 본체소재(111)의 결합체의 폭과 벽면 두께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결합그루브의 유격을 통해 그 일치를 꾀하도록 하여, 문틀 본체의 표준화 및 규격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도 9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문틀이 가문틀(103)이 제거된 상태에서 벽체(101)의 상면에 바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측방부재(113)와 상방부재(115)가 일체로 구성된 'ㄱ' 형상의 표피소재(120)가 문틀 본체소재(111)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본체소재(111)는 가문틀이 적층될 때 보다 다소 두껍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공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도 10에서는 문틀이 가문틀(103)이 제거된 상태에서 벽체(101)의 상면에 바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측방부재(113)와 상방부재(115)가 일체로 구성된 'ㄱ' 형상의 표피소재(120)가 본체소재(111)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표피소재(120)의 측방부재(113)가 다소 길이가 길도록 구성되어, 상기 문틀의 본체소재(111)에 상기 표피소재(120)가 결합되어 상기 문틀을 벽체(101)에 결합 고정시킨다. 즉, 상기 표피소재(120)의 상방부재(115)의 저면이 상기 문틀의 본체소재(111)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표피소재(120)의 측방부재(113)의 내측면이 상기 문틀의 본체소재(111) 측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벽체(101)의 측면에도 밀착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표피소재가 L형 문선 역할을 하므로 L형 문선(130)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문틀이 벽체(101)에 안정되게 지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본체소재(111)는 가문틀이 적층되는 때 보다 다소 두껍게 구성된다.본 실시예의 다른 공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문틀에 대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문틀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은 이에 한하지 아니하고, 창틀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슴은, 당해 발명의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에 의하면, 원하는 형상을 얻기 위하여 보다 큰 고가의 소재를 준비하여 형상 가공기를 이용하여 소재를 깎아내는 종전의 방식에서, 정치수의 제품을 재단한 본체소재 위에 역시 표준화된 정치수의 'ㄱ'형 표피소재를 접합함으로써 원자재의 Loss를 거의 없애 원가 절감과 지구 환경 보호 기여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거두면서, 90% 이상의 재적을 차지하는 본체소재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규격화되고 저렴한 제품을 사용하여 정 재단만을 하고, 우수한 표면을 유지하여야하는 표피 소재는 표준화, 규격화하여 어떠한 현장에서건 호환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체소재(111)를 규격에 맞추어 소정형상으로 재단하는 제 1단계;
    다수의 보조부재(113, 115)를 접착하여 'ㄱ'자 모양의 표피소재(113, 115)를 만드는 제 2단계;
    상기 표피소재(113, 115)의 외표면 상에 랩핑목(117)을 접착시켜 랩핑하는 제 3단계;
    재단된 상기 본체소재(11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랩핑목(117)으로 랩핑된 상기 표피소재(113, 115)를 부착하여 상기 본체소재(111)의 중앙부분에 수용홈부를 형성시키는 제 4단계;
    상기 수용홈부 내부에 판형상의 도어스토퍼(100)를 상기 본체소재(111)의 길이방향으로 안착시켜 상기 도어스토퍼(100)의 상단부가 상기 표피소재보다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스토퍼(100)가 상기 본체소재(111)의 가로방향으로 진입하는 상기 도어를 이격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각 현장에서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치수의 문틀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본체소재(111) 만의 가공을 통해서 문틀 전체의 폭 및 두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소재는 천연 무늬목(NATURAL VENEER), 모양지(FINISHING FOIL OR PAPER FOIL) 및 비닐 시트지 (PVC FOIL)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소재로서 상기 천연 무늬목이 채용될 때, 상기 표피소재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rounding)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피소재(113, 115)의 외측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결합그루브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그루브에 L형 문선(130)의 결합구를 삽입하여 걸리게 함으로써, 표피소재(113, 115) 및 본체소재(111)의 결합체의 폭과 벽면 두께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결합그루브의 유격을 통해 그 일치를 꾀하도록 하여, 문틀 본체의 표준화 및 규격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하는 문틀 제조방법.
  5.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에 있어서,
    규격에 맞추어 소정형상으로 재단되는 본체소재(111);
    다수의 보조부재(113, 115)를 접착하여 'ㄱ'자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표피소재(113, 115);
    상기 표피소재(113, 115)의 외표면 상에 접착되어 랩핑되는 랩핑목(117);
    재단된 상기 본체소재(11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랩핑목(117)으로 랩핑된상기 표피소재(113, 115)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본체소재(111)의 중앙부분에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수용홈부 내부에서 상기 본체소재(111)의 길이방향으로 안착되어 상기 그 상단부가 상기 표피소재보다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소재(111)의 가로방향으로 진입하는 상기 도어를 이격저지할 수 있는 판형상의 도어스토퍼(100)를 포함하여,
    각 현장에서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치수의 문틀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본체소재(111) 만의 가공을 통한 문틀 전체의 폭 및 두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목(117)은 천연 무늬목(NATURAL VENEER), 모양지 (FINISHING FOIL OR PAPER FOIL) 및 비닐 시트지 (PVC FOIL)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목(117)으로서 상기 천연 무늬목이 채용될 때, 상기 표피소재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rounding)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피소재(113, 115)의 외측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결합그루브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그루브에 L형 문선(130)의 결합구를삽입하여 걸리게 함으로써, 표피소재 및 본체소재의 결합체의 폭과 벽면 두께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결합그루브의 유격을 통해 그 일치를 꾀하도록 하여, 문틀 본체의 표준화 및 규격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은 가문틀이 제거된 상태에서 벽체(101)의 상면에 직접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
  10. 제 5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은 가문틀이 제거된 상태에서 벽체(101)의 상면에 직접 적층되고, 표피소재(120) 측방부재(113)의 내측면이 문틀의 본체소재(111)의 측면과 벽체(101)의 측면에 접촉되고, 표피소재(120) 상방부재(115)가 문틀의 본체소재(111)의 상면에 밀착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로 랩핑된 문틀.
KR1019990044168A 1999-10-12 1999-10-12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 KR10032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168A KR100322764B1 (ko) 1999-10-12 1999-10-12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
KR2019990022009U KR200175724Y1 (ko) 1999-10-12 1999-10-13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랩핑된 문틀
JP2000290660A JP2001146875A (ja) 1999-10-12 2000-09-25 天然木目単板、模様紙及びビニールシートなどのラッピング素材でラッピングされたドア枠組み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ドア枠組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168A KR100322764B1 (ko) 1999-10-12 1999-10-12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09U Division KR200175724Y1 (ko) 1999-10-12 1999-10-13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랩핑된 문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16A KR20000000316A (ko) 2000-01-15
KR100322764B1 true KR100322764B1 (ko) 2002-02-07

Family

ID=1961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168A KR100322764B1 (ko) 1999-10-12 1999-10-12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46875A (ko)
KR (1) KR100322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857B1 (ko) 2008-11-28 2011-10-17 이청백 도어용 문틀의 제작방법
KR102122072B1 (ko) 2019-12-19 2020-06-12 (주)동원 동 성분을 함유한 시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089A (ko) * 2001-07-16 2003-01-24 에이치.티코퍼레이션(주) 문틀
KR20030077114A (ko) * 2002-03-25 2003-10-01 최묵선 무늬목을 부착한 방화문틀
JP2006016943A (ja) * 2004-07-02 2006-01-19 Morisuke Kodama 開口枠
KR101119291B1 (ko) * 2011-04-18 2012-03-16 주식회사 현대목재산업 건축용 문틀의 제조방법 및 문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857B1 (ko) 2008-11-28 2011-10-17 이청백 도어용 문틀의 제작방법
KR102122072B1 (ko) 2019-12-19 2020-06-12 (주)동원 동 성분을 함유한 시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46875A (ja) 2001-05-29
KR20000000316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431A (en) Recessed decorative moulding for wood panel
EP1567742B1 (en) A door skin, method of manufacturing a door produced therewith, and door produced therefrom
CA2293141C (en) Method for making corners for laminate and veneer countertops
US3299595A (en) Compound door
EP1009901B1 (en) Mirrored door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770897C (en) Door facing alignment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 door
KR100322764B1 (ko)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문틀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문틀
US20060283121A1 (en) Panel door and method of making a panel door
US5918434A (en) Simulated panel door structure and method
KR200175724Y1 (ko)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랩핑된 문틀
CN109057648B (zh) 一种木塑拼装门及其制备方法
KR200279190Y1 (ko)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KR100377837B1 (ko) 랩핑소재가 부착된 문틀 제조방법 및 문틀
KR100348686B1 (ko) 문틀조립체
KR200211398Y1 (ko) 랩핑소재가 부착된 문틀
CN112593824A (zh) 一种铝合金制门板制造结构及其方法
KR100348685B1 (ko) 문틀조립체
EP0921261B1 (en) Reinforced door and related fabrication process
US20040206022A1 (en) Casing, door or window fr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946190B2 (ja) 開口枠の取付構造
KR200216497Y1 (ko) 간편문틀
CN212394362U (zh) 一种成套家具的饰面
JP2003090177A (ja) 木製フラッシュパネル
KR20010007829A (ko) 간편문틀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간편문틀
CA1228463A (en) Recessed decorative moulding for wood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814

Effective date: 200411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300012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814

Effective date: 20041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