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190Y1 -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 Google Patents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190Y1
KR200279190Y1 KR2020020009391U KR20020009391U KR200279190Y1 KR 200279190 Y1 KR200279190 Y1 KR 200279190Y1 KR 2020020009391 U KR2020020009391 U KR 2020020009391U KR 20020009391 U KR20020009391 U KR 20020009391U KR 200279190 Y1 KR200279190 Y1 KR 200279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kin member
finishing material
shap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학보
Original Assignee
심학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학보 filed Critical 심학보
Priority to KR2020020009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190Y1/ko

Links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에 관한 것으로, 벽체두께에 맞추어 재단되며 벽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틀몸체(100)와;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보조부재(111)가 상호간에 결합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틀몸체(100)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가틀몸체(100)에 결합되는 표피부재(110)와; 상기 표피부재(110)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틀몸체(100)의 상면에 길이 방향의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창문틀이 결합되는 수용홈부(120); 상기 표피부재(11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제1마감소재(130); 그리고, 상기 가틀몸체(100)의 상면 수용홈부(120)측에 형성되는 제2마감소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를 사용 할 수 있고, 제작공정을 단순화 시키며, 가능한 부분에서 규격화, 표준화를 통하여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원가를 절감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window frame attached wrap}
본 고안은 창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시공 시 값싼소재로 형성된 본체소재를 설치한 후, 마감 시 본체소재의 상면에 도장 또는 랩핑이 된 표피부재를 설치함에 의해 창문틀을 형성시킴에 의해 생산비가 절감되고 외부충격에 의한 하자가 줄어드는 도장,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랩핑된 창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종래 창틀 및 미닫이 문틀(이하 창틀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라왕소재를 가공하여 유색도장이나 랩핑마감을 한 후 조적 또는 벽체타설 시 기준을 잡아야 하므로 건축공정 초기에 설치한 후 보양을 철저히 하여 공사 마감시 까지 외부충격에 의한 하자 발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주의를 기울인다 손 치더라도 하자의 발생은 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창틀의 제작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창틀 본체는 각 현장에서 벽체의 두께에 따라 그 규격이 결정되며, 시공시 마다 성형에 적합한 라왕, 집성목 등의 고가의 소재를 요구 치수보다 크게 준비한 후 형상가공기계(moulder)에서 정 치수를 가공하여 성형 완료 한 후, 랩핑공정 또는 도장공정을 거쳐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창틀 제작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창틀 본체는 고가의 소재를 사용하여야 할 뿐 아니라, 정치수 가공을 위하여 치수에 여유를 두고 자재를 준비한 후 홈 및 정규격 성형을 하여야 하므로 소재 자체의 비용 및 가공시 발생되는 손실을 피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장마다 원하는 규격이 다른 관계로 표준화가 불가능 하여, 원하는 치수의 가공 칼날을 소재의 가공치수에 맞게 일일이 준비하여야 하고, 또 각각의 치수에 따라 일일이 칼날 장착(setting) 작업을 다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과잉생산분은 악성재고로 보유하고 있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를 사용 할 수 있고, 제작공정을 단순화 시키며, 가능한 부분에서 규격화, 표준화를 통하여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원가를 절감 할 수 있는 도장,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고안에 따른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이 설치된 형상을 보인 단면도.
도2 - 분해도.
도3 - 창틀의 형상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틀몸체 110 : 표피부재
111 : 보조부재 111a : 측방보조부재
111b : 상방보조부재 120 : 수용홈부
130 : 제1마감소재 140 : 제2마감소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체두께에 맞추어 재단되며 벽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틀몸체와;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보조부재가 상호간에 결합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틀몸체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가틀몸체에 결합되는 표피부재와; 상기 표피부재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틀몸체의 상면에 길이 방향의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창문틀이 결합되는 수용홈부; 상기 표피부재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제1마감소재; 그리고, 상기 가틀몸체의 상면 수용홈부측에 형성되는 제2마감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소재 및 제2마감소재는 도장, 랩핑, 오버레이 중 한가지로 형성되고, 상기 표피부재는 표피부재의 외표면에 제1마감소재가 형성된 후 상기 가틀몸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를 사용 할 수 있고, 제작공정을 단순화 시키며, 가능한 부분에서 규격화, 표준화를 통하여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며원가를 절감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이 설치된 형상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2는 분해도이며, 도3은 창틀의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은 크게 가틀몸체(100)와, 표피부재(110)와, 수용홈부(120), 제1마감소재(130) 그리고 제2마감소재(140)로 구성된다.
먼저 가틀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가틀몸체(1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벽체 두께와 동일하거나 벽체 두께보다 조금 작게 가공하여 벽체의 상면에 놓여진다. 상기 가틀몸체(100)의 설치는 벽체시공 시에 통상 벽체의 상면에 놓여진다.
상기 가틀몸체(100)는 기존 창틀의 제작방식과는 달리 홈을 파는 등의 형상가공은 하지 않고 가틀몸체(100)의 상면에 표피부재(110)가 덮방될 용도이므로, 기존 창틀과 같이 형상가공이 용이한 라왕이나 MDF 같은 고급소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합판, Block Board, PB, OSB 등의 보다 저렴하고 품질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소재를 사용한다. 단, 벽체 공사방법에 따라 내수성은 고려하여야 하며, 이러한 소재들은 이미 규격화 되어 시판되고 있으므로 구매가 용이하고 별다른 형상가공 없이 톱을 이용하여 정재단만 하면 되므로 소재가격을 절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을 단축하여 불량요인을 사전에 제거 할 수 있다.
상기 가틀몸체(100)의 상면에는 제1마감소재(130)가 랩핑된 표피부재(110)가상기 가틀몸체(100)의 양측면 모서리부를 따라 덮방 되는 바, 상기 표피부재(11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표피부재(110)의 형성은 먼저 소정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보조부재(111)를 준비한다. 그런 다음, 하나의 측방보조부재(111a) 측면 단부를 따라 상방보조부재(111b)를 접합 결합시키고, 측방보조부재(111a)와 상방보조부재(111b) 두개가 결합되어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부재(11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표피부재(110)를 더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표피부재(110)는 MDF, HDF, PB 또는 LVL등의 소재가 사용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표피부재(111)의 외표면에 제1마감소재(130)가 랩핑 또는 도장되는 바, 상기 제1마감소재(130)는 도장,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을 상기 표피부재(110)의 외표면에 랩핑 또는 도장 처리함에 의해 완료된다. 여기서 제1마감소재(130)를 처리하기 전에 상기 표피부재(110)의 모서리부는 라운딩 처리를 함에 의해 제1마감소재(130)가 쉽게 랩핑 또는 도장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표면에 제1마감소재(130)가 처리된 표피부재(110)는 상기 가틀몸체(100)에 설치되는 바, 설치 시기는 전체공사 마감시점에 설치함에 의해 외부충격 등에 의한 파손염려를 해소시킨다.
한편, 창틀은 벽체에 비해 일면이 3㎜정도 외부돌출을 허용하므로 가틀몸체(100)의 규격을 벽체두께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상기 표피부재(110) 측면부가 벽체의 외부로 소정돌출되게 되어 원하는 규격이 된다.
만약 외부돌출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가틀몸체(100)의 두께를 표피부재(110)의 측면 두께만큼 작게 재단하여 설치하면 창틀이 벽체로 부터 돌출되지 않는 형태가 된다.
가틀몸체(100)의 상면 및 측면에 상기 제1마감소재(130)가 결합된 표피부재(110)가 설치되면 상기 표피부재(110)가 상기 가틀몸체(100)의 상측으로 소정 돌출되며, 상기 가틀몸체(100)의 대략 중앙부를 따라서는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수용홈부(120)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부(120)에 창문틀이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수용홈부(120)에도 마감처리를 하여야 하는 바, 제2마감소재(140)로 상기 가틀몸체(100)의 중앙부를 따라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 제2마감소재(140)는 도장,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을 상기 가틀몸체(100)의 상부 중앙외표면에 라미네이팅 처리함에 의해 완료된다. 상기의 과정을 완료하면 창틀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가틀몸체(100)를 규격에 맞추어 소정형상으로 재단시킨다. 그런 다음, 재단된 가틀몸체(100)를 현장에 시공한다. 가틀몸체(100) 설치는 통상 벽체시공 시에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상기 가틀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용홈부(120), 즉 가틀몸체의 중앙부를 따라 연장된 방향으로 제2마감소재(140)를 이용하여 라미네니팅을 하고 라미네이팅 처리된 부분에 보호재를 덮어둔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방보조부재(111b)와 측방보조부재(111a)를 접착결합시켜 "ㄱ"자 형상의 표피부재(110)를 완성시키고 상기 표피부재(110)의 외표면에 제1마감소재(130)를 도장 또는 랩핑처리 한다.
그리고 상기 표피부재(110)를 상기 가틀몸체(100)에 결합시켜 대략적인 창틀을 완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표피부재(110)의 결합은 전체공사 마감시점에 이루어지며 표피부재가 결합되면 창틀이 완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를 사용 할 수 있고, 제작공정을 단순화 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능한 부분에서 규격화, 표준화를 통하여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원가를 절감 할 수 있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3)

  1. 벽체두께에 맞추어 재단되며 벽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틀몸체(100)와;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보조부재(111)가 상호간에 결합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틀몸체(100)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가틀몸체(100)에 결합되는 표피부재(110)와;
    상기 표피부재(110)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틀몸체(100)의 상면에 길이 방향의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창문틀이 결합되는 수용홈부(120);
    상기 표피부재(11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제1마감소재(130); 그리고,
    상기 가틀몸체(100)의 상면 수용홈부(120)측에 형성되는 제2마감소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소재(130) 및 제2마감소재(140)는 도장, 랩핑, 오버레이 중 한가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부재(110)는 표피부재(110)의 외표면에 제1마감소재(130)가 형성된 후 상기 가틀몸체(100)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KR2020020009391U 2002-03-29 2002-03-29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KR200279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391U KR200279190Y1 (ko) 2002-03-29 2002-03-29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391U KR200279190Y1 (ko) 2002-03-29 2002-03-29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190Y1 true KR200279190Y1 (ko) 2002-06-22

Family

ID=7307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391U KR200279190Y1 (ko) 2002-03-29 2002-03-29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1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482A (ko) 2021-12-23 2023-06-30 최영남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482A (ko) 2021-12-23 2023-06-30 최영남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431A (en) Recessed decorative moulding for wood panel
US4402170A (en) Millwork member of folded construction
KR200279190Y1 (ko) 랩핑소재가 랩핑된 창틀
EP1492663B1 (en) Hollow sandwich panel
US20210198940A1 (en) Cabinet do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thereof
KR200175724Y1 (ko) 천연 무늬목, 모양지 및 비닐시트지 등의 랩핑소재가랩핑된 문틀
AU2005200734B1 (en) Louvre Blade with Covering Applied Thereto
KR200241616Y1 (ko) 문틀재
RU2664369C1 (ru) Декорированный погонаж многослойной панел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1146875A (ja) 天然木目単板、模様紙及びビニールシートなどのラッピング素材でラッピングされたドア枠組み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ドア枠組み
JP3132891U (ja) 造作材
US20020005229A1 (en) Wood product having a composite substrate covered with paper
US8850777B2 (en) Wall board with edge strip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07002418A (ja) 木質枠材
CA1228463A (en) Recessed decorative moulding for wood panel
JP3252693B2 (ja) 表面化粧造作材
CN219158310U (zh) 一种用于集成墙板踢脚线的转角结构
JP7324622B2 (ja) フラッシュ構造体の製造方法
KR200272179Y1 (ko) 천연무늬목을 랩핑한 합성목재 및 이를 이용한 문틀
KR200384811Y1 (ko) 화장실용 칸막이 패널
JP2003090177A (ja) 木製フラッシュパネル
KR100377837B1 (ko) 랩핑소재가 부착된 문틀 제조방법 및 문틀
JP2583731Y2 (ja) 化粧板、及び、その化粧板からなる扉
JP2660668B2 (ja) 框組ドアーの製造方法
KR200335570Y1 (ko) 가구의 유리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