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686B1 - 문틀조립체 - Google Patents

문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686B1
KR100348686B1 KR1020000004446A KR20000004446A KR100348686B1 KR 100348686 B1 KR100348686 B1 KR 100348686B1 KR 1020000004446 A KR1020000004446 A KR 1020000004446A KR 20000004446 A KR20000004446 A KR 20000004446A KR 100348686 B1 KR100348686 B1 KR 10034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cover
core
door
s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968A (ko
Inventor
임영진
Original Assignee
임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진 filed Critical 임영진
Priority to KR2020000002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964Y1/ko
Priority to KR1020000004446A priority patent/KR1003486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06B1/30Frames of plastic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각목으로 형성되며, 내주면과 양 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긴 그루브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문틀코어와; 상기 문틀코어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도어의 측연에 대향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부커버부와 상기 문틀코어의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커버부를 갖는 측면커버와, 상기 도어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는 걸림턱커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제 문틀커버를 가지며;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걸림턱커버에는 상기 문틀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삽입홈에 맞물리는 긴 리브형상의 삽입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문틀커버를 문틀코어의 외표면에 요철결합시킴에 따라 문틀커버의 결합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외관이 향상된다. 그리고, 폐자재와 자투리 각목으로 문틀코어를 형성하는 동시에 걸림턱을 문틀커버에 일체로 형성시키고, 자투리 필름문양지로 문틀커버를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문틀의 후시공이 가능하여 필름이 부착된 문틀의 외표면에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문틀조립체{DOORFRAME ASSAY}
본 발명은 문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코어와 문틀커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자투리 각목이나 자투리 필름 등의 폐자재를 사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문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틀조립체는 도어나 창문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51)과, 문틀(51)의 측부에 설치되어 문틀(51)과 벽면 사이의 이음새를 차단하는 문틀케이싱(65)을 포함한다. 여기서, 문틀(51)은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평부재(55)와, 각 수평부재(55)를 상호 연결하도록 각 수평부재(55)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60)를 포함한다.
각 수평부재(55)와 수직부재(60)의 내측면에는, 도어나 창문의 각 연부에 접하는 접촉부(52)와, 접촉부(52)로부터 돌출하여 도어나 창문의 폐쇄시 도어나 창문의 위치를 제한하는 걸림턱(53)이 수평부재(55)와 수직부재(60)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평부재(55)와 수직부재(60)의 외측면에는 각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취되어 함몰형성된 그루브(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루브(57)의 형성으로 인해 각 부재의 외측면의 단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수직부재(60)와 수평부재(55)가 보강되어 뒤틀림을 방지하고, 시공시그루브(57)에 콘크리트가 매입되어 문틀(51)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문틀(51)은 각각의 수평부재(55)와 수직부재(60)가 단일의 목재로 형성하며, 목재를 재단하여 걸림턱(53)과 그루브(57) 등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문틀(51)의 양 측면에 문틀(51)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장착된 문틀케이싱(65)은, 문틀(5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문틀케이싱(65)은 문틀(51)과 벽면의 이음새를 차단하여 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문틀케이싱(65)을 문틀(51)에 고정할 때는, 문틀(51)과 문틀케이싱(65)을 관통하도록 문틀케이싱(65)의 외부에서 못질을 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문틀조립체는, 문틀(51)의 수직부재(60)를 각각 단일의 목재로 형성하므로, 목재의 폭이나 길이가 수직부재(60)의 크기보다 조금만 작아도 사용할 수 없으며, 목재가 비틀리거나 벌레구멍이나 크랙이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목재가 넓을수록 가격이 비싸 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더구나 문틀(51)의 수평부재(55)나 수직부재(60)를 만들고 남은 자투리 각목들은 재활용이 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적당한 크기의 각목을 마련하여 가공하는 경우에도, 각목을 절단하고 표면처리시, 페인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회에 걸쳐 페인팅을 해야 하며, 필름문양지를 랩핑하여 접착할 경우에는 각목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접착력이 저하되고, 필름문양지가 쉽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문틀(51)의 제작시 남은 자투리 각목이나 길이가 비교적 짧은 목재나 휜 목재를 활용하여 수평부재(55)나 수직부재(60)를 제작할 수 있고, 표면처리가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는 문틀(51)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문틀(51)에 결합되는 문틀케이싱(65)은, 문틀케이싱(65)의 외측에서 못질을 하기 때문에 못이 외부로 드러나 외관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문틀(51)의 배면에서 문틀케이싱(65)을 향해 못질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결합력이 저하되고 못질이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투리 각목을 이용하여 문틀을 제작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문틀케이싱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문틀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틀조립체의 조립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조립체의 조립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문틀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문틀조립체 10 : 문틀코어
11 : 제2측면 삽입홈 12 : 걸림턱 삽입홈
13 : 제1측면 삽입홈 15 : 필름문양지
20 : 문틀커버 21 : 제2측면커버
22 : 수용돌기 25 : 제1측면커버
27 : 접촉부커버부 28 : 측면커버부
29 : 제2측면 삽입돌기 30 : 걸림턱커버
31 : 걸림턱 삽입돌기 33 : 수용홈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문틀조립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각목으로 형성되며, 내주면과 양 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긴 그루브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문틀코어와; 상기 문틀코어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도어의 측연에 대향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부커버부와 상기 문틀코어의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커버부를 갖는 측면커버와, 상기 도어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는 걸림턱커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제 문틀커버를 가지며;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걸림턱커버에는 상기 문틀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삽입홈에 맞물리는 긴 리브형상의 삽입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커버의 측면커버부에는 문틀케이싱이 결합됨으로써, 문틀케이싱을 별도로 조립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문틀조립체는,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평부재와, 각 수평부재를 상호 연결하도록 각 수평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로 형성되며,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는, 문틀코어(10)와, 문틀코어(10)를 감싸는 문틀커버(20)를 포함한다.
문틀코어(10)는, 복수의 자투리 각목이나 비교적 크기가 작은 각목을 적층하여 일측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문틀코어(10)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취되어 함몰형성된 그루브(7)가 형성되어 있고, 시공시 그루브(7)에 콘크리트가 매입되어 문틀조립체(5)가 지지된다.
이러한 문틀코어(10)의 외표면에는, 문틀코어(10)의 내주면과 양 측면의 외표면을 감싸는 문틀커버(20)가 부착되게 된다. 문틀커버(20)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걸림턱을 형성하는 걸림턱커버(30)와, 문틀코어(10)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측의 측면커버는 문틀코어(1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도어의 연부에 대향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부커버부(27)와 일체로 형성되어 'ㄱ'자 형상의 제1측면커버(25)를 형성하고, 타측의 측면커버는 걸림턱커버(30)의 측면과 문틀코어(10)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제2측면커버(21)를 형성한다.
걸림턱커버(30)에는 문틀코어(10)를 향한 내측면에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걸림턱커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리브형상의 걸림턱 삽입돌기(31)가 소정의 폭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문틀코어(10)에는 걸림턱 삽입돌기(31)가 삽입되는 걸림턱 삽입홈(12)이 문틀코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커버(30)의 제1측면커버(25)에 인접한 측면 상부 모서리는 비스듬히 절삭되어 있으며, 하부 모서리는 제1측면커버(25)의 말단부가 맞물리는 결합홈(32)이 절취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턱커버(30)의 제2측면커버(21)가 접하는 측면에는 제2측면커버(21)와의 결합을 위해 걸림턱커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그루브 형상의 수용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측면커버(25)는, 접촉부커버부(27)와 측면커버부(28)를 포함하며, 측면커버부(28)의 내측면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한 제1측면 삽입돌기(29)가 형성되어 있고, 문틀코어(10)의 측면에는 제1측면 삽입돌기(29)에 대응하는 제1측면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측면커버(25)의 문틀코어(10)의 외면을 향한 단부는 문틀코어(10) 외면의 판면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2측면커버(21)는, 내측면에 판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접촉부커버부(27)의 수용홈(33)에 결합되는 수용돌기(22)와, 문틀코어(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측면 삽입돌기(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문틀코어(10)에는 제2측면 삽입돌기(23)가 수용되는 그루브 형상의 제2측면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측면커버(21)의 접촉부커버부(27) 측면에 접하는 상부 모서리 영역이 비스듬히 절삭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문틀코어(10) 외면의 판면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한편, 수용돌기(22)와 각 삽입돌기의 외주면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미소한돌기들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걸림턱커버(30)와 제1측면커버(25) 및 제2측면커버(21)는 플라스틱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형성되며, 그 외표면에 필름문양지(15)로 랩핑처리하거나 천연무늬목을 접착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커버(25)와 제2측면커버(21)에 문틀케이싱(40)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문틀케이싱(40)은 문틀코어(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속이 빈 중공체로 형성되며, 문틀케이싱(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 경우 별도로 문틀케이싱(40)을 형성하고 부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작업이 간편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문틀조립체(5)의 조립작업은, 문틀코어(10)와 문틀커버(20)를 각각 조립 및 성형한 다음 상호 조립하게 된다. 먼저, 문틀코어(10)는 복수의 자투리 각목이나 비교적 작은 각목을 적층시켜 직육면체 형상의 문틀코어(10)를 조립한 다음, 문틀코어의 상면에 걸림턱커버(30)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 삽입홈(12)을 형성하고, 양 측면에는 제1측면커버(25) 및 제2측면커버(21)의 각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측면 삽입홈(13,11)을 형성한다.
문틀커버(20)는, 걸림턱커버(30)와 제1측면커버(25) 및 제2측면커버(21)를 압출성형한 다음, 걸림턱커버(30)와 제1측면커버(25) 및 제2측면커버(21)를 필름으로 둘러싸거나 열전사 또는 천연무늬목으로 표면처리하여 형성한다.
그런 다음, 문틀커버(20)를 문틀코어(10)에 결합시키기 위해, 먼저, 문틀코어(10)의 외표면이나 걸림턱커버(30)와 제1 및 제2측면커버(21,25)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걸림턱커버(30)의 걸림턱 삽입돌기(31)가 문틀코어(10)의 걸림턱 삽입홈(12)에 삽입되도록 걸림턱커버(30)를 문틀코어(10)를 향해 가압하여 걸림턱커버(30)를 문틀코어(1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문틀코어(10)의 양 측면에 제1측면커버(25) 및 제2측면커버(21)를 결합시키게 되며, 먼저, 제1측면커버(25)의 제1측면 삽입돌기(29)가 문틀코어(10)의 제1측면 삽입홈(13)에 삽입되도록 가압한다. 이 때, 제1측면커버(25)의 말단부가 걸림턱커버(30)의 결합홈(32)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2측면커버(21)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제2측면커버(21)의 수용돌기(22)가 걸림턱커버(30)의 수용홈(33)에 삽입되고, 제2측면 삽입돌기(23)가 문틀코어(10)의 제2측면 삽입홈(11)에 삽입되도록 제2측면커버(21)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문틀코어(10)와 문틀커버(20)를 요철결합시킬 수 있도록 문틀코어(10)에는 걸림턱 삽입홈(12)과 제1 및 제2측면 삽입홈(13,11)을 형성하고, 걸림턱커버(30)와 각 측면커버에는 걸림턱 삽입돌기(31)와 제1 및 제2측면 삽입돌기(23)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틀코어(10)의 외표면에 압출성형물인 걸림턱커버(30)와 각 측면커버를 가압하기만 하면 문틀커버(20)의 결합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문틀의 조립시, 종래에 필름문양지(15)가 랩핑되거나 무늬목이 접착된 경우에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시 결합부분에 단차가 생기더라도 단차를 제거할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문틀커버(20)를 부착할 경우에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결합부분의 단차를 대폐로 제거하고, 문틀커버(20)를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외표면에 부착하기만 하면 단차에 의한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문틀커버(20)의 부착시 못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문틀코어(10)를 자투리 각목이나 비교적 작은 각목을 사용하여 조립하고, 걸림턱커버(30)와 각 측면커버에도 자투리 필름문양지(15)를 부착하여 마감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환경문제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원자재 구입에 따른 외화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을 목재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걸림턱커버(30)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목재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틀커버를 문틀코어의 외표면에 요철결합시킴에 따라 문틀커버의 결합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외관이 향상된다. 그리고, 폐자재와 자투리 각목으로 문틀코어를 형성하는 동시에 걸림턱을 문틀커버에 일체로 형성시키고, 자투리 필름문양지로 문틀커버를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문틀의 후시공이 가능하여 필름이 부착된 문틀의 외표면에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을 막을 수 있다.

Claims (2)

  1. 문틀조립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각목으로 형성되며, 내주면과 양 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긴 그루브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문틀코어와;
    상기 문틀코어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도어의 측연에 대향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부커버부와 상기 문틀코어의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커버부를 갖는 측면커버와, 상기 도어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는 걸림턱커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제 문틀커버를 가지며;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걸림턱커버에는 상기 문틀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삽입홈에 맞물리는 긴 리브형상의 삽입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의 측면커버부에는 문틀케이싱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조립체.
KR1020000004446A 2000-01-29 2000-01-29 문틀조립체 KR10034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492U KR200186964Y1 (ko) 2000-01-29 2000-01-29 문틀조립체
KR1020000004446A KR100348686B1 (ko) 2000-01-29 2000-01-29 문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446A KR100348686B1 (ko) 2000-01-29 2000-01-29 문틀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492U Division KR200186964Y1 (ko) 2000-01-29 2000-01-29 문틀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968A KR20010076968A (ko) 2001-08-17
KR100348686B1 true KR100348686B1 (ko) 2002-08-17

Family

ID=196427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446A KR100348686B1 (ko) 2000-01-29 2000-01-29 문틀조립체
KR2020000002492U KR200186964Y1 (ko) 2000-01-29 2000-01-29 문틀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492U KR200186964Y1 (ko) 2000-01-29 2000-01-29 문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8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707A (ko) * 2002-03-20 2003-09-26 임영민 문틀조립체
KR100468462B1 (ko) * 2002-05-22 2005-01-29 주식회사 우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문틀구조
KR100506614B1 (ko) * 2002-08-16 2005-08-17 (주)동인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문틀
CN111451161A (zh) * 2020-04-16 2020-07-28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色选机的滑道盖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964Y1 (ko) 2000-06-15
KR20010076968A (ko) 200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686B1 (ko) 문틀조립체
KR100348685B1 (ko) 문틀조립체
KR200256745Y1 (ko) 스토퍼 일체형의 조립식 문틀 덮개
US5134823A (en) Trim strip apparatus for concealing a joint
KR200212926Y1 (ko) 건축내장용 천장 마감재
JP2824442B2 (ja) 開口枠
JP2005042444A (ja) スターター付き出隅・入隅セット及びスターター付き出隅・入隅セットによる施工方法
KR200272171Y1 (ko) 조립식 문틀
KR200393507Y1 (ko) 이형필름을 이용한 문짝용 장식 패널의 결합구조
JP3247081B6 (ja) 引き戸枠の枠材
JPH0741828Y2 (ja) ドア枠の構造
KR200212921Y1 (ko) 문틀용 마감재
KR200185403Y1 (ko) 조립식 문틀
KR200177669Y1 (ko) 문틀
KR200300500Y1 (ko) 조립식 문틀 덮개
KR200251296Y1 (ko) 조립식 문틀의 보호커버
KR20010002022U (ko) 문틀
JP3217282B2 (ja) ドア枠構造およびドア枠の施工方法
KR100377837B1 (ko) 랩핑소재가 부착된 문틀 제조방법 및 문틀
KR200375934Y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JP3247081B2 (ja) 引き戸枠の枠材
KR100528063B1 (ko) 가변형 문틀커버
JP3685017B2 (ja) 端部カバー
KR100676294B1 (ko) 외부에 의한 손상방지 창틀,문틀의 구조
KR200196835Y1 (ko) 문(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