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504Y1 - 철도교량 목침목 탄성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철도교량 목침목 탄성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504Y1
KR200215504Y1 KR2019980023056U KR19980023056U KR200215504Y1 KR 200215504 Y1 KR200215504 Y1 KR 200215504Y1 KR 2019980023056 U KR2019980023056 U KR 2019980023056U KR 19980023056 U KR19980023056 U KR 19980023056U KR 200215504 Y1 KR200215504 Y1 KR 200215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support
fastener
fastening
fasten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196U (ko
Inventor
김정겸
Original Assignee
김정겸
세양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겸, 세양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정겸
Priority to KR2019980023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50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504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교량 목침목의 탄성체결구조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침목체결 구조는 봉스프링으로 이루워지며 체결구의 내측단부를 U자형으로 절곡하여 두가닥의 지지부로 구성되며 절곡된 내단부는 rj더의 받침부로 구성되고 지지부 외단부는 침목의 횡폭만큼 확개시켜 침목저면 받침부와, 침목저면 받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시킨 침목측면 받침부로 이루워지는 홀더부를 가지며 체결구의 내단부 받침부와 침목홀더부 사이의 지지부는 만곡상태의 탄성부로 구성되 있으며 지지부의 중간부에는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끼워지는 요구로 구성되고 체결볼트 머리부에는 요구 안착홈을 요설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철도교량 목침목 탄성 체결구조
본 고안은 강이나 하천의 교량상에 부설되는 목침목의 체결구조에 관한 고안이다.
교량상에 부설되는 목침목은 지상에 부설되는 목침목과는 달리 거더상에 고정배열시키기 때문에 특수한 체결구조를 갖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거더상에 체결되는 목침목을 보다 안전하게 체결될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체결구조를 보인 것으로,
종래고안의 체결구조를 보면,
교량의 교대상에 설치되는 I빔 구조의 거더(girder)(1)위에 침목(2)이 배열되고 침목(2)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주물제클립(3)이 이용되며 주물제클립(3)은 내측단부가 거더(1)의 저면에 밀착되고 외측단부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볼트(4)가 끼워저 볼트(14)상단머리부가 침목(2) 저면을 받처 주게 되며 침목(2)과 클립(3)을 관통하는 체결볼트(5)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고안의 문제점은 열차 주행에 따른 반복적인 중량이동으로 인한 충격응력을 흡수하지 못하는데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클립(3)이 주물제로 구성되 있어서 탄성을 갖지 못하는데서 긴인되는 것이다.
또한 클립(3)이 체결된 상태에서 진동으로 인하여 체결상태가 나해되어 견고한체결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되고 체결상태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클립(3)이 침목저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쉽게확인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게되는 것이다.
체결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수원이 강이나 하천으로 들어가서 확인해야 되는 어려움이 있게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고안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체결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므로서 열차주행시에 진동과 휨이 원활하게 흡수되도록 하여 견고한 체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체결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침목위로 도보순시하면서도 쉽게 육안으로 확인될수 있도록 하였으며 탄성체결구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수가 있도록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목침목 체결구조를 보인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 체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서 볼트 조임 직전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3b는 볼트 조임으로 체결이 끝난 상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부너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체결구, b: 체결볼트, 10,10': 지지부, 11: 받침부,
12,12': 침목저면받침부, 13,13': 침목측면받침부, 14: 볼트머리부
15,15': 볼트머리이탈방지요구, 16,16': 요구안착홈 h: 침목홀더부
본 고안은 봉스프링으로 이루워지는 체결구(a)와 이를 침목과 체결하는 체결볼트(b)로 이루워지며 봉스프링으로 이루워지는 체결구(a)는 내측단부를 U자형으로 절곡하여 두가닥의 지지부(10)(10')로 구성되며 절곡된 내단부는 거더(1)의 받침부(11)로 구성되고 두가닥의 지지부(10)(10') 외단부는 침목(2)의 횡폭만큼 확개시켜 침목저면을 받처주는 침목저면받침부(12)(12')와, 상기 침목저면 받침부(12)(12')에서 수직으로 연장시킨 침목측면받침부(13)(13')로 이루워지는 침목홀더부(h)를 구성하며 상기 체결구(a)의 내단부받침부(11)와 침목홀더부(h)사이의 지지부(10)(10')는 만곡상태의 탄성부(S)로 구성하여 탄성을 부여하고 상기 지지봉(10)(10')의 중간부에는 체결볼트(b)의 머리부(14)가 끼워지는 볼트끼리 이탈방지요구(15)(15')를 구성하고 상기 볼트머리부(14)에는 상기 요구안착홈(16)(16')을 요설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목침목체결구조는 봉상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하므로서 탄성을 부여시킬수가 있는 것으로 체결구(a) 소재는 봉스프링만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4각봉 스프링이나 판스프링도 적용될수 있는 것이다.
도3a에 표시된것과 같이 체결구(a)의 내단부에 형성되는 거더받침부(11)는 거더(1)의 저면에 밀착되게 하고 체결구(a)의 외단부에 형성된 홀더부(h)는 침목저면 받침부(12)(12')와 침목측면 받침부(13)(13')로 이루워저 있어서 침목의 저면과 측면을 안정되게 받처주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상태에서 체결볼트(b)의 머리부(14)가 체결구(a)의 지지부(10)(10')에 형성된 볼트머리이탈방지 요구(15)(15')로 끼워지며 요구(15)(15')는 볼트머리에 형성된 안착홈(16)(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침목으로 관통시키면 도3a의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공지의 왓셔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볼트(b)를 조여주면 볼트(b)가 체결구(a)의 만곡된 탄성부(s)를 위로 당겨서 체결구(a)의 거더받침부(11)는 거더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고 홀더부(h)는 침목을 감싸면서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도3b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체결구(a)의 탄성부(s)에 의하여 강한 탄성이 유지됨으로서 양호한 침목의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충격응력 흡수효과가 뛰어나며 체결구(a)의 홀더부(h)가 침목을 감싼상태로 지지하고 있어서 진동으로 인한 체결구의 유동이나 이탈을 막을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 및 작용효과를 갖게 되는 본 고안은 체결구(a)에 탄성이 부여됨으로서 견고한 체결상태의 유지와 충격흡수효과가 뛰어나며 체결구(a)의 홀더부(h)가 침목측면으로 노출되 있어서 보수하는 사람이 침목위에서 체결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가 있으며 체결구(a)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제작단가를 낮출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 고안체결구조는 봉스프링으로 이루워지는 체결구(a)와 이를 침목과 체결하는 체겨롤트(b)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구(a)는 내측단부를 U자형으로 절곡하여 두가닥의 지지부(10)(10')로 구성되며 절곡된 내단부는 거더(1)의 받침부(11)로 구성되고 두가닥의 지지부(10)(10') 외단부는 침목(2)의 횡폭만큼 확개시켜 침목저면을 받처주는 침목저면받침부(12)(12')와, 상기 침목저면 받침부(12)(12')에서 수직으로 연장시킨 침목측면받침부(13)(13')로 이루워지는 침목홀더부(h)를 구성하며 상기 체결구(a)의 내단부받침부(11)와 침목홀더부(h)사이의 지지부(10)(10')는 만곡상태의 탄성부(s)로 구성하여 탄성을 부여하고 상기 지지봉(10)(10')의 중간부에는 체결볼트(b)의 머리부(14)가 끼워지는 볼트머리 이탈방지요구(15)(15')를 구성하고 상기 볼트머리부(14)에는 상기 요구안착홈(16)(16')을 요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목침목 탄성 체결구조
KR2019980023056U 1998-11-25 1998-11-25 철도교량 목침목 탄성 체결구조 KR200215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56U KR200215504Y1 (ko) 1998-11-25 1998-11-25 철도교량 목침목 탄성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56U KR200215504Y1 (ko) 1998-11-25 1998-11-25 철도교량 목침목 탄성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96U KR19990008196U (ko) 1999-02-25
KR200215504Y1 true KR200215504Y1 (ko) 2001-03-15

Family

ID=6950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056U KR200215504Y1 (ko) 1998-11-25 1998-11-25 철도교량 목침목 탄성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5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76B1 (ko) * 2009-05-13 2009-12-17 (주)광원아이앤디 판형교 장대레일 장출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96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2675A (en) Rail fastener
US8833671B2 (en) Suspended rail fastening apparatus
KR101955574B1 (ko) 충격흡수 성능을 갖는 인도교
US4494695A (en) Device for affixing a rail to a concrete support
KR200215504Y1 (ko) 철도교량 목침목 탄성 체결구조
KR101005106B1 (ko) 레일고정시스템
AU2017359912B2 (en) Anchor clamp and fastening point for fastening a rail to a subsurface
US4304359A (en) Rail fastener
JP3101165U (ja) 角フックボルトを用いた橋梁用丸穴付枕木固定構造
JPH02140301A (ja) レールと枕木とを固定する装置
KR200400949Y1 (ko) 교량용 철로 침목 체결부재
FI72776B (fi) Anordning foer faestande av en raels vid en syll.
KR200233601Y1 (ko) 도로 교량의 핑거 조인트
KR102637012B1 (ko)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KR200362099Y1 (ko) 레일 고정용 클립
RU2002105393A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роуд Груп"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к шпале
KR950000954Y1 (ko) 구식 타이플레이트를 활용한 코일스프링크립 체결장치
RU223014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к железобетонному основанию
JP2511764Y2 (ja) Pc締結装置用板ばね
RU2089699C1 (ru) Промежуточн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KR200410829Y1 (ko) 급커브 철도 레일의 체결장치
JP3014313U (ja) 落石防止柵に於けるワイヤロープの固定装置
PT1709249E (pt) Ponto de apoio de carris altamente elástico e electricamente isolante
SU1677138A1 (ru) Упруг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дл пути на железобетонном основании
KR840000147Y1 (ko) 조립식 다리난간의 앙카보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