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106B1 - 레일고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고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106B1
KR101005106B1 KR1020080072678A KR20080072678A KR101005106B1 KR 101005106 B1 KR101005106 B1 KR 101005106B1 KR 1020080072678 A KR1020080072678 A KR 1020080072678A KR 20080072678 A KR20080072678 A KR 20080072678A KR 101005106 B1 KR101005106 B1 KR 10100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leeper
fixing
pa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451A (ko
Inventor
권호진
황광하
전세곤
윤병현
유응대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1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6Rail fastenings allowing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rails, so far as not included in the preceding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3/00Arrangements preventing shifting of the track
    • E01B13/02Rail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2Rail fastenings incorporating resilient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레일(Rail)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을 침목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을 침목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침목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패드와; 상기 레일과 높이조절패드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 외부로 개방된 절개부가 형성된 압력분산수단과; 상기 압력분산수단의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침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과 압력분산수단의 절개부 및 높이조절패드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을 상기 침목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레일고정시스템에 의하면, 테이퍼부 및 톱니가 형성된 부시로 분리형 레일 가압수단을 고정함으로써, 레일 가압수단의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일의 횡하중 작용점을 낮춰 볼트의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볼트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베이스플레이트, 탄성패드 및 레일패드 등과 같은 레일 하부의 부재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레일, 침목, 높이조절패드, 베이스플레이트, 레일패드, 가압수단, 탄성부재, 고정수단, 부시

Description

레일고정시스템{Rail fastening system}
본 발명은 철도 레일(Rail)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을 침목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테이퍼부 및 톱니가 형성된 부시로 분리형 레일 가압수단을 고정함으로써, 레일 가압수단의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일의 횡하중 작용점을 낮춰 볼트의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볼트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베이스플레이트, 탄성패드 및 레일패드 등과 같은 레일 하부의 부재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레일고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일을 침목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은, 열차의 중량과 속도가 커짐에 비례하여 레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 된다.
일반적인 레일고정시스템은, 레일과 침목 사이에 레일의 크기보다 넓은 지지판부재를 침목에 고정하고, 이 지지판부재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부재에 고정클립 형태의 탄성부재의 일측을 고정한 후, 이 탄성부재의 타측이 레일 풋(Rail foot)을 탄성 지지하여 침목에 레일을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등록번호 20-0342448호에서 제시되고 있는 기술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2) 상에 철도 레일(1)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레일 고정지지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2)이 제작될 때 침목 내부에 매설고정되는 스탬프(10)와, 상기 스탬프(10)와 일체로 주조형성되고 침목 상부로 돌출하여 레일고정용 스프링클립(3)이 체결되는 헤드부(20)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스프링클립(3)의 체결을 위한 두 수직의 지지벽부(21)들을 대향 형성하고 이들 두 지지벽부(21)들의 상단부 사이에 보강리브(22)를 일체로 연결형성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스탬프(10)는 반복적인 큰 하중 및 충격력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지닌 금속소재로 제작된 후, 콘크리트 침목의 성형 시 레일 스탬프(10)가 침목 내부로 매립고정되고, 이에 연결된 헤드부가 레일의 고정지지를 위해 침목 상부로 돌출되도록 침목에 결합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레일고정시스템은, 레일 상을 주행하는 열차로부터 레일에 부과되는 횡하중에 의한 횡응력이 스탬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데, 이를 완충하는 기능이 없어 클램프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스탬프(10)가 침목에 매립된 상태이므로 레일의 위치변경 할 때와 유지보수시에는, 스탬프의 위치가 다른 침목을 교체하거나 크기가 다른 절연블록을 다시 배치하여 레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이는 시공이 매우 어렵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공개번호 10-2007-0042973호는 레일의 위치조절이 가능 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클립(24)을 수용하는 유지요소를 침목(34)에 매설되는 소켓에 삽입된 관통볼트(76, 94)를 통하여 고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일고정시스템은, 관통볼트(76, 94)를 풀어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나, 이 또한 레일 상을 주행하는 열차로부터 레일에 부과되는 횡하중에 의한 횡응력이 관통볼트(76, 94)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체결 강도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일과 침목 사이에 배치된 리브형 판(14), 탄성중간층(30) 및 중간층(32)과 같은 판 부재들의 교체시, 관통볼트(76, 94)를 침목에서 완전히 분리한 상태에서만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야간 작업 및 현장 조립시 상기 판 부재들을 정확한 위치로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 설치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볼트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베이스플레이트, 탄성패드 및 레일패드 등과 같은 레일 하부의 부재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레일을 고정하는 볼트의 체결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레일고정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퍼부 및 톱니가 형성된 부시로 분리형 레일 가압수단을 고정함으로써, 레일 가압수단의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일의 횡하중 작용점을 낮춰 볼트의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볼트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베이스플레이트, 탄성패드 및 레일패드 등과 같은 레일 하부의 부재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레일고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레일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을 침목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침목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패드와; 상기 레일과 높이조절패드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 외부로 개방된 절개부가 형성된 압력분산수단과; 상기 압력분산수단의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침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과 압력분산수단의 절개부 및 높이조절패드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을 상기 침목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일고정시스템은, 테이퍼부 및 톱니가 형성된 부시로 분리형 레일 가압수단을 고정함으로써, 레일 가압수단의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일의 횡하중 작용점을 낮춰 볼트의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볼트를 완 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베이스플레이트, 탄성패드 및 레일패드 등과 같은 레일 하부의 부재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출원인은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고정시스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도 3에 따른 평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 2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요부확대도, 도 9는 도 7에 따른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평면도, 도 11a는 다른 실시예 3의 측단면도, 도 11b는 다른 실시예 3의 평면도, 도 12a는 다른 실시예 4의 측단면도, 도 12b는 다른 실시예 4의 평면도, 도 13a는 다른 실시예 5의 측단면도, 도 13b는 다른 실시예 6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1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발명은,
레일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을 침목(10)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100)과 상기 침목(10)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패드(200)와; 상기 레일(100)과 높이조절패드(200)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 외부로 개방된 절개부(310a, 322a)가 형성된 압력분산수단(300)과;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의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가압수단(400); 및 상기 가압수단(400)과 압력분산수단(300)의 절개부(310a, 322a) 및 높이조절패드(200)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패드(200)는 레일(100)의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양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고정수단통과공이 형성된다.
압력분산수단(300)은 높이조절패드(200)의 상부로부터 탄성패드(310), 베이스플레이트(320) 및 레일패드(330) 순으로 층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은 레일(100)에 가해지는 열차의 하중과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전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패드(310)는 완충력을 갖는 수지재를 이용해 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중앙에 통공이 있는 형상 또는 사각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상기 탄성패드(310)는 수지재로 제작되므로 레일(100)이 받는 충격을 완충하여 레일(100)의 균열,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패드(310)는, 높이조절패드(200)의 상부에 하나 이상으 로 구비되며, 상기 탄성패드(310)의 양단 중앙 부위에는 절개되어 외부로 개방된 상태의 제1절개부(310a)가 형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320)는 상기 탄성패드(3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는 상기 레일(100)의 일측 횡방향으로 경사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321)의 양측에는 얇은 두께로 연장된 안착부(3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연장된 부위의 중앙에는 제2절개부(322a)가 형성된다.
경사부(321)는 열차 운행시 레일(100)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 및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부(321)는 대향 하는 양측 레일(100)의 일측 횡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기 때문에 침목(10)에 작용하는 하중 및 충격을 경사면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횡방향 압력을 경사면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20)는 하부의 탄성패드(310)에 의하여, 더 큰 압력 분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레일패드(330)는 베이스플레이트(3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100)의 종바향측 양단부가 하부로 절곡 연장되어 베이스플레이트(320)의 상부 양측을 감싸는 상태로 위치된다.
가압수단(400)은 수직 관통공(410a)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100)과 접하는 일단을 제외한 외측단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20)의 안착부(322)를 감싸며 안착 되는 고정몸체(4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100) 종방향으로 대향 되도록 돌출된 두 개의 제1지지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420)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부에서 레일(100)을 침목(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는 제1탄성부재(440)가 구비된다.
고정몸체(410)는 중앙에 하나 이상의 원형 관통공(410a)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레일(100)의 종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몸체(410)의 양측에 관통공(410a)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410a)은 상측 단부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0a)의 내부 면으로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440)는 상기 제1지지부(420)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절곡된 반원부가 상기 레일(100)의 레일 풋(120)의 상부에 밀착되어 하부로 탄성 지지한다. 또한, 타측의 연장된 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각각 제1지지부(420) 내측에 안치 고정되는 클립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탄성부재(440)의 반원부에는 캡(450)이 씌워질 수 있고, 반원부의 하부 즉, 고정몸체(410)와 레일 풋(120)의 사이에는 제 1 탄성부재(440)를 하부에서 받치고, 고정몸체(410)와 레일 풋(120)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재(4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450)은 제1탄성부재(440)의 반원부와 레일 풋(120)이 접하는 부위에 충격을 흡수하고 제1탄성부재(440)의 반원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460)는 베이스플레이트(320)의 안착부(322)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고정몸체(410)의 중앙 또는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측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 2절개부(310a, 322a) 및 높이조절패드(200)을 통과하여 상기 침목(10)에 고정되는 볼트(510)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510)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와셔(5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볼트(510)에 편심되게 끼워져 상기 고정몸체(410)의 관통공(410a)에 삽입되는 부시(530)가 구비된다.
상기 볼트(510)는 관통공(410a)과 높이조절패드(200)의 고정수단통과공을 통해 침목(10)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몸체(410)의 중앙 및 양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부시(53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일측이 볼트에 끼워지는 것으로, 고정수단(500)의 볼트(510)를 높이조절패드(200)의 고정수단통과공에 끼울 때, 볼트(510)의 위치를 용이하게 돌려 조절할 수 있다. 즉, 부시(530)의 회전에 의해 고정몸체(410)의 좌·우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레일(100)의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시(530)의 외부에 형성된 테이퍼부는, 레일(100)에서 작용하는 횡하중 작용점을 낮아지게 하여 볼트(510)에 작용하는 횡응력을 감소시켜 고정수단(500)의 체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2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레일(100)과 상기 침목(10)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패드(200)와; 상기 레일(100)과 높이조절패드(200)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 외부로 개방된 절개부(310a, 322a)가 형성된 압력분산수단(300)과;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의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가압수단(400); 및 상기 가압수단(400)과 압력분산수단(300)의 절개부(310a, 322a) 및 높이조절패드(200)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를 설명하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2의 가압수단(400)은, 소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하부 중앙에 상기 관통공(410a)이 있고, 상기 관통공(410a)의 레일(100) 종방향으로 양측에는, 수직 톱니(S)가 다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100)과 접하는 일면을 제외한 외측 테두리가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20)의 안착부(322)를 분리된 상태로 감싸면서 안착 되는 고정몸체(41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부 양측에 상기 레일(100) 종방향으로 대향 되도록 돌출된 두 개의 제1지지부(4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420)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부에서 레일(100)을 침목(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는 제1탄성부재(440)가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410a)의 양측에 형성된 톱니(S)는 레일(100)의 종방향으로 수직 선을 이룬다. 이와 같은 톱니(S)는 레일(100)의 황방향에 다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100)의 횡응력에 대항하는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고정수단(500)은, 상기 고정몸체(410)의 중앙 또는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고정몸체(410)의 관통공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320)와 탄성패드(310)의 제1, 2절개부(310a, 322a) 및 상기 높이조절패드(200)을 통과하여 상기 침목(10)에 고정되는 볼트(5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볼트(510)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와셔(5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와셔(520)의 하부는 작은 지름으로 돌출되어 부시(540)의 상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볼트(510)에 끼워져 상기 관통공(410a)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410a)의 톱니(S)와 대응되는 톱니(S)가 양측에 형성된 부시(54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부시(540)의 톱니(S)부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410a) 및 부시(540)의 톱니(S)는, 전술된 바와 같이 레일(100)의 종방향으로 수직선을 이루는 톱니(S)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레일(100)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응력에 의해 고정수단(500)이 레일의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된다.
또한, 상기 부시(540)의 톱니(S)에 형성된 테이퍼진 부위는, 레일(100)에서 작용하는 횡하중 작용점을 낮아지게 하여 볼트(510)에 작용하는 횡응력을 감소시켜 고정수단(500)의 체결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를 설명하며, 실시예 1, 2와 동일한 구성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3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400)의 고정몸체(410)는,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으로 통공을 형성한 제2지지부(420-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420-1)의 통공에 일측이 고정되고, 반원 형상으로 절곡 연장된 타측이 상기 레일(100)을 탄성 지지하는 클립 형태의 제2탄성부재(440-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a와 도 11b는 실시예 1의 가압수단(400) 및 고정수단(500)을 적용하였으나, 실시예 2의 가압수단(400) 및 고정수단(500)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4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400)의 고정몸체(410)는, 상기 고정몸체(410)의 레일(100) 측에 돌출 형성되되, 고정몸체(410) 측에 고정몸체(410) 종방향측으로 걸림단턱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중앙부에 수직 볼트공을 형성한 제3지지부(420-2)를 구비하고, 상기 제3지지부(420-2)에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절곡된 반원부가 상기 레일(100)을 탄성 지지하고, 타측 연장된 단부 는 상기 와셔와 볼트공 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각각 외측으로 다각 절곡되어 상기 반원부의 양측에서 상기 레일(100)을 지지하는 제3탄성부재(440-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a와 도 12b는 실시예 1의 가압수단(400) 및 고정수단(500)을 적용하였으나, 실시예 2의 가압수단(400) 및 고정수단(500)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5
도 13a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400)의 고정몸체(410)는, 상기 고정몸체(410)의 레일(100)측에 돌출 형성되되, 중앙부에 수직 볼트공을 형성한 제4지지부(420-3)를 구비하고, 상기 제4지지부(420-3)의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와 제4지지부(420-3)의 상부 볼트공 사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하부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레일(100)을 탄성 지지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제4탄성부재(440-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a와 도 13b는 실시예 1의 가압수단(400) 및 고정수단(500)을 적용하였으나, 실시예 2의 가압수단(400) 및 고정수단(500)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고정시스템은,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탄성부재가 사용되는 레일고정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테이퍼부 및 톱니(S)가 형성된 부시(540)로 레일() 가압수단을 고정한 것으로서, 레일(100) 가압수단(500)의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일(100)의 횡하중 작용점을 낮춰 볼트(510)의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볼트(510)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베이스플레이트(320), 탄성패드(310) 및 레일패드(330) 등과 같은 레일(200) 하부의 부재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일고정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레일고정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고정시스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사시도.
고 5는 도 3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도 3에 따른 평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 2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요부확대도.
도 9는 도 7에 따른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평면도.
도 11a는 다른 실시예 3의 측단면도.
도 11b는 다른 실시예 3의 평면도.
도 12a는 다른 실시예 4의 측단면도.
도 12b는 다른 실시예 4의 평면도.
도 13a는 다른 실시예 5의 측단면도.
도 13b는 다른 실시예 6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침목 100...레일(Rail)
120...레일 풋(Rail foot) 200...높이조절패드
300...압력분산수단 310...탄성패드
310a...제1절개부 320...베이스플레이트
321...경사부 322...안착부
322a...제2절개부 330...레일패드
400...가압수단 410...고정몸체
410a...관통공 420...제1지지부
420-1...제2지지부 420-2...제3지지부
420-3...제4지지부 440...제1탄성부재
440-1...제2탄성부재 440-2...제3탄성부재
440-3...제4탄성부재 500...고정수단
510...볼트 520...와셔
530, 540...부시 530a...걸림단
S...톱니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레일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을 침목(10)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100)과 상기 침목(10)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패드(200)와;
    상기 레일(100)과 높이조절패드(200)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분산수단(300)과;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의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공(410a)이 형성된 두 개의 가압수단(400); 및
    상기 가압수단(400)과 압력분산수단(300) 및 높이조절패드(200)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측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400) 및 높이조절패드(200)를 통과하여 상기 침목(10)에 고정되는 볼트(510)와,
    상기 볼트(510)에 끼워져 상기 관통공(410a)에 삽입되는 부시(540)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410a)에는 그 내부 면에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시(540)에는 그 외부 면에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410a)에는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 양측 부위에 수직 톱니(S)가 형성되고,
    상기 부시(540)에는 상기 관통공(410a)에 삽입되어 상기 톱니(S)와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레일(100)의 종방향 양측에 톱니(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고정시스템.
KR1020080072678A 2008-07-25 2008-07-25 레일고정시스템 KR101005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678A KR101005106B1 (ko) 2008-07-25 2008-07-25 레일고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678A KR101005106B1 (ko) 2008-07-25 2008-07-25 레일고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51A KR20100011451A (ko) 2010-02-03
KR101005106B1 true KR101005106B1 (ko) 2010-12-30

Family

ID=4208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678A KR101005106B1 (ko) 2008-07-25 2008-07-25 레일고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1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078B1 (ko) * 2010-12-29 2011-08-31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궤도 분기기용 탄성패드
KR101067832B1 (ko) * 2010-12-29 2011-09-2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8956B (zh) * 2017-03-07 2018-09-25 陕西长美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约束导向型轨道减振扣件结构
CN110692168B (zh) 2018-01-19 2022-01-04 株式会社Lg化学 可分离高压连接器组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053Y1 (ko) 2003-05-15 2003-08-02 김정겸 철도용 레일 방진체결구조
KR100776267B1 (ko) * 2006-12-01 2007-11-1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c침목용 상판 체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053Y1 (ko) 2003-05-15 2003-08-02 김정겸 철도용 레일 방진체결구조
KR100776267B1 (ko) * 2006-12-01 2007-11-1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c침목용 상판 체결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078B1 (ko) * 2010-12-29 2011-08-31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궤도 분기기용 탄성패드
KR101067832B1 (ko) * 2010-12-29 2011-09-2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51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3429A (ko)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레일 체결장치
AU2012266790B2 (en) Rail-fastening system
KR101005106B1 (ko) 레일고정시스템
JP2011509361A (ja) レール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支持体
KR101010063B1 (ko) 레일고정구조
FI110885B (fi) Tuenta ylärakenneosaa varten
ITRM930355A1 (it) Traversina per sistema di transito con motore a induzione lineare.
CA2920961A1 (en) Rail-mounting assembly
KR101067832B1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KR20110080824A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US4275832A (en) Resilient support means
KR200473880Y1 (ko) 레일체결장치
EP3519629B1 (en)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KR100397870B1 (ko) 철도레일 방진체결장치
KR101005105B1 (ko) 레일고정장치
JP2017133205A (ja) 高さ調整可能なレール波状摩耗対策用締結装置
KR101061078B1 (ko) 콘크리트 궤도 분기기용 탄성패드
ES2523146T3 (es) Traviesa de doble cruz para una superestructura balastada
KR20110080820A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JP3749063B2 (ja) ラダー型マクラギ及び車両用軌道
KR100440800B1 (ko) 팬드롤형 교량용 콘크리트 방진침목
KR20140000516U (ko) 교량에서의 상향력 제어를 위한 레일체결장치
JP3824831B2 (ja) ラダー型マクラギ及び車両用軌道
KR20050080047A (ko) 철도레일 방진 체결장치
KR200432341Y1 (ko) Pc침목용 일반 상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